KR20200039179A - 케이블 혼촉 방지캡 - Google Patents

케이블 혼촉 방지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9179A
KR20200039179A KR1020180118775A KR20180118775A KR20200039179A KR 20200039179 A KR20200039179 A KR 20200039179A KR 1020180118775 A KR1020180118775 A KR 1020180118775A KR 20180118775 A KR20180118775 A KR 20180118775A KR 20200039179 A KR20200039179 A KR 20200039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elastic
prevention cap
push button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용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118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9179A/ko
Publication of KR20200039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mounting or sec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위치변경조작부를 통해 절연관부가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변경되어 케이블에 구비된 압착단자를 수용함으로써, 터미널블록에 압착단자를 설치 또는 분리하는 과정에서 압착단자가 혼촉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케이블 혼촉 방지캡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케이블 혼촉 방지캡은 케이블이 통과 가능하게 수용되는 절연관부 및 절연관부가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변경되어 케이블에 구비된 압착단자를 수용 가능하게 조작하는 위치변경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혼촉 방지캡{ELECTRIC CONFUSION PREVENTION CAP FOR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혼촉 방지캡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변경조작부를 통해 절연관부가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변경되어 케이블에 구비된 압착단자를 수용함으로써, 터미널블록에 압착단자를 설치 또는 분리하는 과정에서 압착단자가 혼촉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케이블 혼촉 방지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은 터미널블록에 설치되어 전기적 에너지와 신호를 원하는 곳으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터미널블록에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단부에 압착단자가 구비되며, 압착단자는 대부분 볼트에 의해 터미널블록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터미널블록에 연결된 케이블을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설비의 점검을 위해 볼트를 풀어 압축단자를 분리시키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설비를 점검하는 과정에서 압축단자에 혼촉이 발생하게 되면 다른 케이블에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혼촉 부위에 열이 발생하여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어 많은 주의를 요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터미널블록에서 압착단자를 분리 또는 고정시 다른 케이블이나 외부의 다른 금속과의 혼촉으로 인한 전기적인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압축단자에 절연 테이프로 감아주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설비를 점검하는 과정에서 터미널블록에서 압축단자를 분리시 압축단자에 절연 테이프로 테이핑 작업을 수행한 후에 설비의 점검을 실시하고, 설비를 점검한 후에 압축단자를 터미널블록에 원상 복구시키기 위해 압축단자에 테이핑된 절연 테이프를 벗겨내는 반복적인 작업으로 인해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절연 테이프로 테이핑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압착단자에 혼촉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3550호(2012년 11월 05일 등록, 명칭: 혼촉 방지 가능한 소켓 접속용 주름 절연 캡)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위치변경조작부를 통해 절연관부가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변경되어 케이블에 구비된 압착단자를 수용함으로써, 터미널블록에 압착단자를 설치 또는 분리하는 과정에서 압착단자가 혼촉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케이블 혼촉 방지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혼촉 방지캡은 케이블이 통과 가능하게 수용되는 절연관부 및 상기 절연관부가 상기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변경되어 상기 케이블에 구비된 압착단자를 수용하도록 조작하는 위치변경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변경조작부는 상기 절연관부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는 누름버튼부 및 상기 누름버튼부의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케이블을 탄성적으로 장악 또는 장악 해제하도록 상기 절연관부에 구비되는 탄성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작동부는 상기 절연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누름버튼부의 가압시 상기 케이블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격되도록 회전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누름버튼부에 가압력 제거시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케이블에 접촉되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절연관부에 기울어지도록 힌지 연결되는 힌지연결부와, 상기 힌지연결부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상기 케이블과 접촉되는 탄성접촉부 및 상기 힌지연결부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누름버튼부의 가압에 연동되어 상기 힌지연결부를 회전시키는 연동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관부는 상기 압착단자를 수용시 상기 압착단자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혼촉 방지캡은 위치변경조작부를 통해 절연관부가 케이블에 구비된 압착단자를 수용하도록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변경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터미널블록에 압착단자를 해제시키는 순간 간편한 조작으로 압착단자를 바로 절연시킬 수 있으므로, 설비를 점검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압착단자가 혼촉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혼촉 방지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혼촉 방지캡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혼촉 방지캡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혼촉 방지캡에서 위치변경조작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혼촉 방지캡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혼촉 방지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혼촉 방지캡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혼촉 방지캡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혼촉 방지캡에서 위치변경조작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혼촉 방지캡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관부(100) 및 위치변경조작부(200)를 포함한다.
절연관부(100)는 절연 재질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블(C)이 통과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러한 절연관부(100)는 위치변경조작부(200)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케이블(C)의 단부에 구비된 압착단자(T)를 수용하도록 위치변경조작부(200)를 통해 케이블(C)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절연관부(100)의 일측은 케이블(C)의 둘레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절연관부(100)의 타측은 케이블(C)에 구비된 압착단자(T)를 수용 가능하도록 개방 형성된다.
또한, 절연관부(100)는 압착단자(T)를 수용시 압착단자(T)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부재(1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연관부(100)는 위치변경조작부(200)를 통해 케이블(C)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어 압착단자(T)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과도하게 이동되더라도 걸림부재(110)가 압착단자(T)에 걸림으로써, 케이블(C)에서 이탈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위치변경조작부(200)는 절연관부(100)가 케이블(C)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변경되어 케이블(C)에 구비된 압착단자(T)를 수용하도록 조작한다. 이때, 위치변경조작부(200)는 누름버튼부(210) 및 탄성작동부(22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누름버튼부(210)는 절연관부(100)의 둘레면에 한 쌍이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누름버튼부(210)는 외력을 통해 가압력이 가해지면 복원 가능하게 수축되어 탄성작동부(22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탄성작동부(220)는 누름버튼부(210)의 가압 여부에 따라 케이블(C)을 탄성적으로 장악 또는 장악 해제하도록 절연관부(100)에 구비된다. 즉, 탄성작동부(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버튼부(210)에 가압력이 가해지면 절연관부(100)가 케이블(C)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누름버튼부(210)에 연동되어 케이블(C)을 장악 해제하고, 누름버튼부(210)에 가해진 가압력이 제거되면 절연관부(100)를 위치 고정시키도록 케이블(C)을 탄성적으로 장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탄성작동부(220)는 회전부재(221) 및 탄성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재(221)는 절연관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누름버튼부(210)의 가압시 케이블(C)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격되도록 회전된다. 이때, 회전부재(221)는 절연관부(100)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연결부(221a)와, 힌지연결부(221a)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어 탄성부재(222)의 탄성력으로 케이블(C)과 접촉되는 탄성접촉부(221b) 및 힌지연결부(221a)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고, 누름버튼부(210)의 가압에 연동되어 힌지연결부(221a)를 회전시키는 연동회전부(221c)를 포함한다.
그리고, 탄성부재(222)는 누름버튼부(210)에 가압력 제거시 회전부재(221)가 케이블(C)을 접촉 가압하도록 회전부재(221)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탄성부재(222)는 연동회전부(221c)가 누름버튼부(210)의 가압력에 의해 연동 회전되면 탄성적으로 압축되어 탄성접촉부(221b)를 케이블(C)에서 이격시키고, 누름버튼부(210)의 가해진 가압력이 제거되면 탄성 복원력으로 탄성접촉부(221b)를 케이블(C)에 접촉시킨다.
이때, 탄성부재(222)는 탄성제공유지부(223)에 의해 회전부재(221)에 탄성력을 제공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제공유지부(223)는 절연관부(100)에 구비되어 탄성부재(222)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223a)와 회전부재(221)의 탄성접촉부(221b)에 구비되어 탄성부재(222)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22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지지부(223a)와 제2지지부(223b)는 누름버튼부(210)에 가압력에 가해져 탄성부재(222)가 압축되는 과정 또는 누름버튼부(210)에 가해진 가압력이 제거되어 탄성부재(222)가 복원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222)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회전부재(221)의 탄성접촉부(221b)에 탄성력을 항상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절연관부 110: 걸림부재
200: 위치변경조작부 210: 누름버튼부
220: 탄성작동부 221: 회전부재
221a: 힌지연결부 221b: 탄성접촉부
221c: 연동회전부 222: 탄성부재
223: 탄성제공유지부 223a: 제1지지부
223b: 제2지지부 C: 케이블
T: 압착단자

Claims (5)

  1. 케이블이 통과 가능하게 수용되는 절연관부; 및
    상기 절연관부가 상기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변경되어 상기 케이블에 구비된 압착단자를 수용하도록 조작하는 위치변경조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혼촉 방지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변경조작부는,
    상기 절연관부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는 누름버튼부; 및
    상기 누름버튼부의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케이블을 탄성적으로 장악 또는 장악 해제하도록 상기 절연관부에 구비되는 탄성작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혼촉 방지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작동부는,
    상기 절연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누름버튼부의 가압시 상기 케이블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격되도록 회전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누름버튼부에 가압력 제거시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케이블에 접촉되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혼촉 방지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절연관부에 기울어지도록 힌지 연결되는 힌지연결부;
    상기 힌지연결부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상기 케이블과 접촉되는 탄성접촉부; 및
    상기 힌지연결부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누름버튼부의 가압에 연동되어 상기 힌지연결부를 회전시키는 연동회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혼촉 방지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관부는 상기 압착단자를 수용시 상기 압착단자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혼촉 방지캡.
KR1020180118775A 2018-10-05 2018-10-05 케이블 혼촉 방지캡 KR20200039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775A KR20200039179A (ko) 2018-10-05 2018-10-05 케이블 혼촉 방지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775A KR20200039179A (ko) 2018-10-05 2018-10-05 케이블 혼촉 방지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179A true KR20200039179A (ko) 2020-04-16

Family

ID=70454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775A KR20200039179A (ko) 2018-10-05 2018-10-05 케이블 혼촉 방지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91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943A (ko) * 2020-06-30 2022-01-06 한국전력공사 피뢰기용 접지단자
KR20220003277A (ko) * 2020-07-01 2022-01-10 한국전력공사 절연 안전 튜브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943A (ko) * 2020-06-30 2022-01-06 한국전력공사 피뢰기용 접지단자
KR20220003277A (ko) * 2020-07-01 2022-01-10 한국전력공사 절연 안전 튜브
KR20220104668A (ko) * 2020-07-01 2022-07-26 한국전력공사 절연 안전 튜브
KR20220105628A (ko) * 2020-07-01 2022-07-27 한국전력공사 절연 안전 튜브
KR20220106090A (ko) * 2020-07-01 2022-07-28 한국전력공사 절연 안전 튜브
KR20220106089A (ko) * 2020-07-01 2022-07-28 한국전력공사 절연 안전 튜브
KR20220106723A (ko) * 2020-07-01 2022-07-29 한국전력공사 절연 안전 튜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94932B (zh) 快速锁紧线夹
KR20200039179A (ko) 케이블 혼촉 방지캡
KR101609860B1 (ko)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구
CN105470885B (zh) 一种新型母线槽分接装置
CN105846266A (zh) 一种电气配电箱用电缆接地转接装置
CN110635261A (zh) 一种导线搭接装置
KR101906580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
KR101219019B1 (ko) 방수용 플러그와 콘센트 구조체
KR20180108701A (ko) 회전식 더블브레이크포인트 스위치 접촉시스템 접속 개량 구조
CN107039788B (zh) 一种设备线夹
CN210576535U (zh) 一种导线搭接组件
JP2017077139A (ja) アースフック
JP4874635B2 (ja) 短絡接地及び試験工具
KR102093601B1 (ko) 방호관 연결 장치
US20130072052A1 (en) Contacting device
CN103617934B (zh) 一种用于现场线缆连接的保险丝连接器
KR200390292Y1 (ko) 전선결속용 고정단자
JP6843973B2 (ja) ケーブル迅速係止用の電気コネクタ
US20020064978A1 (en) Ground connector
KR101232338B1 (ko)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CN114069518B (zh) 线缆夹持装置
KR102667541B1 (ko) 가스절연부하개폐기용 케이블 커넥터
ITMI982809A1 (it) Dispositivo a pinze di messa a terra ed in corto circuito di lineeaeree in conduttoti nudi
KR20080002197U (ko)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KR100635790B1 (ko) 원텃치식 전선 접속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