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007U -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 - Google Patents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007U
KR20140002007U KR2020120008771U KR20120008771U KR20140002007U KR 20140002007 U KR20140002007 U KR 20140002007U KR 2020120008771 U KR2020120008771 U KR 2020120008771U KR 20120008771 U KR20120008771 U KR 20120008771U KR 20140002007 U KR20140002007 U KR 201400020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able
upper body
high voltage
hook
clamp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7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1200087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007U/ko
Publication of KR201400020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00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Abstract

본 고안은, 고압케이블이 연결되고, 로드부스터 후크에 거치되는 고리부를 구비하는 상부본체와, 고리부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로드부스터 후크를 고리부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와, 가압부재가 연결되고, 고리부 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상부본체에 결합되는 조작부, 작업스틱과 결합되어 가압부재의 상승, 하강을 용이케 하는 하부본체, 상부본체와 하부본체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 {CLAMP APPARATUS FOR HIGH VOLTAGE CABLE}
본 고안은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정전 변압기 교체작업 중에 작업자가 무정전 직접활선작업을 하지 않고, 무정전 활선작업을 행할 수 있는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전용 변압기는 납품자재 중 점유율이 가장 높은 제품이며 배전손실의 약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변압기의 고장 원인으로는 불순물 침투나 바니시 함침불량, 수분유입 등으로 인한 1차권선 층간단락, 외함 도장 마모 등에 의한 변압기 외함 부식과, 부싱 파손, 탭 리드 오결선 등 부품불량 및 제조공정상의 문제 그리고 단락강도 불량에 의한 여러 가지 원인으로 고장이 발생되고 있다.
주상변압기 소손(불량)이 발생되었을 경우 배전운영실에서 현장으로 출동하여 변압기를 현장에서 점검하고 소손 정도를 파악한 후에 교체여부를 결정한다.
이때 주상변압기 교체를 수행하는 동안 장시간이 소요되고 있어 고객의 불편 및 민원 발생의 요인이 되고 있다.
주상변압기 교체 방법은 3상 주상변압기인 경우 3상 이동용 변압기차를 이용하여 3상 모두 정전시킨 후 또는 무정전 활선작업으로 주상변압기를 교체한다.
본 고안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3272호(2012년 3월 20일 공개, 고안의 명칭 : 임시송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변압기는 고압선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변압기를 교체할 때에는 변압기의 1차측 인하선이 연결된 배전선로의 해당 상을 작업하기 위하여 배전선로에 3상 이동용 변압기의 고압케이블을 접속하여야 하기 때문에 변압기 교체작업이 장시간 소요되고,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은 무정전 변압기 교체작업 중에 작업자가 무정전 직접활선작업을 하지 않고, 무정전 활선작업을 행할 수 있는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고압케이블이 연결되고, 로드부스터 후크에 거치되는 고리부를 구비하는 상부본체; 상기 고리부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로드부스터 후크를 상기 고리부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고리부 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본체에 결합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상부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작업스틱에 의해 회전되는 조작돌기부를 구비하는 하부본체; 및 상기 상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상부본체의 하단에는 상기 하부본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에는 볼트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걸림돌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조작부는 상기 상부본체와 나사결합되는 스크루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루는 상기 하부본체는 중앙을 관통하며, 상기 스크루의 상단에는 상기 가압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스크루의 하단에는 상기 작업스틱이 연결되는 연결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상부본체와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는 제1간격링이 개재되고, 상기 하부본체와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는 제2간격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가압부재에는 상기 고리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상부본체에는 상기 고압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부재가 체결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는, 고압케이블을 클램프장치에 연결하여 클램프장치를 로드 부스터 후크에 쉽게 거치할 수 있고, 로드 부스터 후크로부터 클램프장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변압기 교체작업을 하기 위한 고압케이블을 안전하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어 변압기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작업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의 조임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의 조임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는, 고압케이블(100)이 연결되고, 로드부스터 후크(Loadbuster Hook : 82)에 거치되는 고리부(12)를 구비하는 상부본체(10)와, 고리부(12)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로드부스터 후크(82)를 고리부(12)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30)와, 가압부재(30)가 연결되고 고리부(12) 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상부본체(10)에 결합되는 조작부(70)를 포함한다.
무정전 변압기를 교체할 때에는 무정전 변압기 전원장치에 연결되는 고압케이블(100)을 상부본체(10)에 연결한 후에 컥 아웃 스위치 일측에 형성되는 로드부스터 후크(82)에 고리부(12)를 거치하여 고압케이블(100)을 로드 부스터 후크(82)에 거치시킨다.
고압케이블(100)과 상부본체(10)를 결합하는 방법은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장치 외에 별도의 지그 또는 장치의해 이루어지는 작업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고압케이블(100)과 상부본체(10)의 조립방법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작업자는 조작부(70)에 별도의 작업스틱(84)을 연결한 후에 작업스틱(84)을 상승시켜 컥 아웃 스위치의 일측에 형성되는 로드부스터 후크(82)에 고리부(12)를 거치시킨다.
이후에, 작업자가 작업스틱(84)을 회전시켜 조작부(70)를 회전시키면 가압부재(30)가 고리부(12) 측으로 이동되면서 고리부(12) 내부에 위치하는 로드부스터 후크(82)를 고리부(12)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변압기 교체작업을 행하는 동안 고압케이블(100)이 로드 부스터 후크(82)에 거치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고압케이블(100)이 로드 부스터 후크(82)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이 안전하게 진행될 수 있게 된다.
상부본체(10)에는 고압케이블(100)이 연결되는 연결부재(14)가 체결부재(16)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체결부재(16)를 상부본체(10)로부터 분리하면 연결부재(14)가 상부본체(10)에서 분리된다.
고압케이블(100)과 연결부재(14)를 결합한 후에 고압케이블(100)이 연결되는 연결부재(14)를 상부본체(10)에 체결부재(16)로 결합시키며, 체결부재(16)는 연결부재(14)가 결합된 후 원활하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중 록킹너트로 결합된다.
상부본체(10)는 파이프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고리부(12)가 형성되고, 고리부(12)의 배면에 연결부재(14)를 관통하여 체결부재(16)가 결합된다.
가압부재(30)에는 고리부(12)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돌기(32)가 형성되므로 조작부(70)에 의해 가압부재(30)가 승강될 때에 가압부재(30)가 고리부(12)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승강되도록 한다.
조작부(70)는 상부본체(10)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루(70a)를 포함하고, 스크루(70a)의 상단에는 가압부재(3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스크루의 하단에는 연결링부(72)가 형성된다.
작업자가 연결링부(72)에 별도의 작업스틱(84)을 결합한 후에 작업스틱(84)를 회전시키면 조작부(70)가 회전되면서 가압부재(30)를 승강시키게 된다.
상부본체(10)에 고압케이블(100)을 연결하고, 연결링부(72)에 작업스틱(84)을 결합한 후에 작업스틱(84)을 들어 올려 컷 아웃 스위치(Cut Out Switch : 80)의 로드부스터 후크(82)에 고리부(12)를 거치시키고, 작업스틱(84)를 회전시키면 조작부(70)가 회전되면서 상승하여 가압부재(30)가 고리부(12) 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가압부재(30)가 고리부(12) 측으로 상승되면 고리부(12) 내측에 위치하는 로드부스터 후크(82)가 가압부재(30)에 의해 고리부(12) 내측으로 가압되므로 고리부(12)가 로드부스터 후크(82)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는, 상부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본체(20)와, 상부본체(10)와 하부본체(2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50)를 더 포함한다.
하부본체(20)는 상부본체(10)와 비교하여 지름이 큰 파이프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되어 상부본체(10)가 하부본체(20)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부본체(10)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10a)가 형성되고, 하부본체(20)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볼트가 결합되어 돌기부(10a)에 걸리도록 다수 개의 걸림돌기(22)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부본체(10)가 하부본체(20)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부본체(10)는 저면이 개방된 파이프 모양을 이루고, 하부본체(20)는 상면이 개방된 파이프 모양으로 이루어지므로 상부본체(10)의 상면 내벽과 하부본체(20)의 저면 내벽 사이에 탄성부재(50)가 개재된다.
따라서 하부본체(20)는 탄성부재(50)에 의해 하측으로 밀리므로 조작부(70)의 하단에 형성되는 연결링부(72)에 하부본체(20)의 저면이 걸리게 된다.
하부본체(20)의 하단에는 조작돌기부(20a)가 형성되므로 작업스틱(84)에 형성되는 조작홈부(84a)에 조작돌기부(20a)를 삽입한 후에 작업스틱(84)을 회전시키면 조작스틱(84)의 회전운동이 하부본체(20) 및 조작부(70)에 전달된다.
작업스틱(84)에 의해 회전되는 조작부(70)는 가압부재(3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 하부본체(20)는 상부본체(10)의 둘레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상부본체(10)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스틱(84)으로 조임작업 또는 해체작업을 행하는 동안 상부본체(10)가 하부본체(2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미설명 부호 52, 54는 탄성부재(50)의 상단과 상부본체(10) 사이에 개재되는 제1간격링(52)과, 탄성부재(50)의 하단과 하부본체(20) 사이에 개재되는 제2간격링(54)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정전 변압기 교체작업을 행할 때에는 연결부재(14)에 의해 고압케이블(100)이 연결된 상부본체(10)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연결링부(72)에 작업스틱(84)를 결합한다.
작업스틱(84)과 연결링부(72)의 연결을 완료한 후에 작업자는 작업스틱(84)를 들어 올려 고리부(12)를 로드부스터 후크(82)에 거치시킨다.
이후에, 작업스틱(84)의 조작홈부 내부로 조작돌기부를 삽입하고, 작업스틱을 회전시켜 조작부(70)를 상승시킨다.
조작부(70)가 상승되면 가압부재(30)가 고리부(12) 측으로 이동되면서 로드 부스터 후크(82)를 고리부(12) 내측으로 가압하면서 로드부스터 후크(82)가 고리부(12)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고압케이블(100)을 로드부스터 후크(82)에 거치시킨 후에 변압기 교체를 행한다.
변압기의 교체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작업스틱(84)의 조작홈부(84a) 내부에 조작돌기부(20a)를 삽입하고, 작업스틱(84)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조작부(70) 및 가압부재(30)가 하강되어 로드 부스터 후크(82)의 구속이 해제된다.
이후에, 작업자는 작업스틱(84)을 들어 올려 고리부(12)를 로드부스터 후크(82)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로써, 변압기 교체작업을 위하여 무정전 변압기 전원장치의 고압케이블을 안전하게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고안의 클램프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상부본체 10a : 돌기부
12 : 고리부 14 : 연결부재
16 : 체결부재 20 : 하부본체
22 : 걸림돌기 30 : 가압부재
32 : 가이드돌기 50 : 탄성부재
52 : 제1간격링 54 : 제2간격링
70 : 조작부 72 : 연결링부
80 : 컷 오프 스위치 82 : 로드 부스터 후크
84 : 작업스틱 100 : 고압케이블

Claims (8)

  1. 고압케이블이 연결되고, 로드부스터 후크에 거치되는 고리부를 구비하는 상부본체;
    상기 고리부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로드부스터 후크를 상기 고리부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고리부 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본체에 결합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작업스틱에 의해 회전되는 조작돌기부를 구비하는 하부본체; 및
    상기 상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의 하단에는 상기 하부본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에는 볼트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걸림돌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상부본체와 나사결합되는 스크루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루는 상기 하부본체는 중앙을 관통하며, 상기 스크루의 상단에는 상기 가압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스크루의 하단에는 상기 작업스틱이 연결되는 연결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와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는 제1간격링이 개재되고, 상기 하부본체와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는 제2간격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에는 상기 고리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에는 상기 고압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부재가 체결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
KR2020120008771U 2012-09-27 2012-09-27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 KR201400020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771U KR20140002007U (ko) 2012-09-27 2012-09-27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771U KR20140002007U (ko) 2012-09-27 2012-09-27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007U true KR20140002007U (ko) 2014-04-04

Family

ID=52442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771U KR20140002007U (ko) 2012-09-27 2012-09-27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00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231A (ko) * 2018-07-06 2020-01-15 한국전력공사 송전선용 접지장치
KR20200086540A (ko) * 2019-01-09 2020-07-17 (주) 진흥이엔지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
KR20210145429A (ko) * 2020-05-25 2021-12-02 한국전력공사 임시송전장치를 이용한 지상 개폐기 pt 교체 표준화 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231A (ko) * 2018-07-06 2020-01-15 한국전력공사 송전선용 접지장치
KR20200086540A (ko) * 2019-01-09 2020-07-17 (주) 진흥이엔지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
KR20210145429A (ko) * 2020-05-25 2021-12-02 한국전력공사 임시송전장치를 이용한 지상 개폐기 pt 교체 표준화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712B1 (ko)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CN108777378B (zh) 使用射枪式操作杆安装的自锁式配电网线路接续线夹
KR20140002007U (ko)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
KR102017031B1 (ko)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안전접속장치
CN104967027B (zh) 一种令克绝缘隔板
CN205178407U (zh) 电力电缆头制作支架
CN101640115B (zh) 有载分接开关吊架
CN205911663U (zh) 导线夹取装置
KR200454000Y1 (ko) 절연클램프
CN204376312U (zh) 一种杆顶引流线绝缘托架
KR100733574B1 (ko) 전선과 자동으로 탈부착되는 배전장치
KR101477611B1 (ko) 변전설비용 단로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CN207748751U (zh) 一种有载分接开关吊装机
KR102290560B1 (ko) 지상 변압기의 저압단자와 연결되는 터미널 탈거장치
KR20130058443A (ko) 케이블 연결장치
CN201765942U (zh) 高端换流变阀侧套管辅助安装工装
WO2021056915A1 (zh) 35kV高空高压熔断器套管式保险管更换装置
CN207629443U (zh) 一种用于小焊接件压触开关安全设计装置
KR20170136242A (ko) 분리공구
CN111478238A (zh) 一种应急绝缘装置
KR200483612Y1 (ko)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
CN111063511B (zh) 一种便于转移装车的电气自动化设备
KR20080002197U (ko)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CN204966728U (zh) 手动升降的高空接地装置
CN110445052B (zh) 一种便于对配电线路带电作业的绝缘辅助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