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242A - 분리공구 - Google Patents

분리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6242A
KR20170136242A KR1020160068069A KR20160068069A KR20170136242A KR 20170136242 A KR20170136242 A KR 20170136242A KR 1020160068069 A KR1020160068069 A KR 1020160068069A KR 20160068069 A KR20160068069 A KR 20160068069A KR 20170136242 A KR20170136242 A KR 20170136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pressing
low
clamping surface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설
김동민
정치교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60068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6242A/ko
Publication of KR20170136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2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04Arrangements for interchanging inductances, transformers or co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4Leading of conductors or axles through casings, e.g. for tap-chang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대상물의 일측을 고정하는 제1 클램프면이 형성되는 고정클램프부; 상기 고정클램프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클램프면과 함께 고정대상의 타측을 고정하는 제2 클램프면이 형성된 이동클램프부; 및, 상기 제1 클램프면과 제2 클램프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고, 분리대상물에 삽입되면서 개방부를 벌려주는 쐐기부재;를 포함하는 분리공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분리공구{SEPARATING TOOL}
본 발명은 고착된 분리대상물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분리공구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에는 지상변압기(20)를 교체시 저압단자판(30)의 케이블결선부(33)에 동관단자(39)로 체결된 저압케이블(37)을 회선별, 상별로 개별적으로 분리하고, 지상변압기(20) 교체 후 신설된 지상변압기(20)의 저압단자판(30)에 저압케이블(37)을 개별 연결하는 방식으로 지상변압기(20)를 교체해 왔다.
저압케이블(37)의 동관단자(39)의 분리를 위해 볼트, 너트, 와셔 등 부속설비 해체 시공해야하고, 저압단자판(30)에 연결된 케이블(37)의 회선수가 다회선일 경우 개별 분리 시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변압기(20) 교체를 위해서는 저압케이블(37)을 저압부싱(21)으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며, 재연결시 착오연결로 인한 역상, 이상전압 공급 등에 의한 정전사고 및, 안전사고의 발생으로 인한 작업자 및 전기사용자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압단자판(30)을 지상변압기(20)의 저압부싱(21)에서 일괄로 분리하는 경우에도 저압단자판(30)과 저압부싱(21)의 결합부의 고착으로 저압단자판(30) 분리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며, 기계적인 힘을 사용하여 분리할 경우 저압부싱(21)의 파손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지상변압기를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분리공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변압기 교체를 위한 케이블 연결작업시 착오결선으로 발생할 수 있는 정전사고 및, 안전사고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분리공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저압단자판과 저압부싱의 결합부가 고착된 경우에도 저압단자판과 저압부싱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분리공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분리대상물의 일측을 고정하는 제1 클램프면이 형성되는 고정클램프부; 상기 고정클램프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클램프면과 함께 고정대상의 타측을 고정하는 제2 클램프면이 형성된 이동클램프부; 및, 상기 제1 클램프면과 제2 클램프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고, 분리대상물에 삽입되면서 개방부를 벌려주는 쐐기부재;를 포함하는 분리공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고정클램프부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이동클램프부가 설치되는 클램프홀이 형성된 상부프레임; 및,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분리대상물을 고정하는 제1 클램프면이 형성된 하부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체프레임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클램프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동클램프부는, 분리대상물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제2 클램프면이 형성된 가압클램프; 및, 상기 가압클램프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클램프부의 클램프홀에 형성된 내부나사산에 치합되면서 상기 가압클램프를 가압하는 가압볼트;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쐐기부재는, 상기 분리대상물의 개방부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 클램프면과 제2 클램프면 중 어느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되 상기 클램프면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이 감소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쐐기부재는 상기 고정클램프부의 제1 클램프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호상의 블레이드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분리대상물은, 케이블이 설치된 케이블결선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단자판본체와, 상기 단자판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지상변압기의 저압부싱을 클램프하는 단자클램프를 구비하는 저압단자판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압단자판을 지상변압기의 저압부싱에서 일체로 분리하여 지상변압기를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블을 개별적으로 분리할 필요없이 저압단자판을 지상변압기의 저압부싱에서 일체로 분리하여 착오결선 등으로 인한 정전사고 및, 안전사고의 발생으로 인한 작업자 및 전기사용자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저압단자판과 저압부싱의 결합부가 고착된 경우에도 저압부싱 등의 파손없이 저압단자판과 저압부싱의 고착된 부분을 이격시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상변압기의 교체를 위해 저압케이블을 개별적으로 해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지상변압기의 교체를 위해 지상변압기의 저압부싱에서 저압단자판을 일체로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공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지상변압기의 저압부싱에 저압단자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분리공구에 의해 분리대상물인 저압단자판이 저압부싱과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공구(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리공구(10)에 의해 지상변압기(20)의 저압부싱(21)에서 저압단자판(30)을 일체로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분리공구(10)는, 지상변압기(20)의 저압부싱(21)에서 저압단자판(30)을 일체로 분리 가능하게 하여 지상변압기(20)를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하고, 케이블(37)을 개별적으로 분리할 필요가 없어 착오결선 등으로 인한 정전사고 및, 안전사고의 발생으로 인한 작업자 및 전기사용자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공구(10)는 고정클램프부(100), 이동클램프부(200) 및, 쐐기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리공구(10)는 분리대상물의 일측을 고정하는 제1 클램프면(151)이 형성되는 고정클램프부(100)와, 상기 고정클램프부(1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클램프면(151)과 함께 고정대상의 타측을 고정하는 제2 클램프면(211)이 형성된 이동클램프부(200) 및, 상기 제1 클램프면(151)과 제2 클램프면(211)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고, 분리대상물에 삽입되면서 개방부(S)를 벌려주는 쐐기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클램프부(100)의 내면은 분리대상물의 외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클램프부(100)는 일측 측면이 개방된 C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램프부(100)는 본체프레임(110), 상부프레임(130), 하부프레임(150)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클램프부(100)는 본체프레임(110)과,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이동클램프부(200)가 설치되는 클램프홀(131)이 형성된 상부프레임(130) 및,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하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분리대상물을 고정하는 제1 클램프면(151)이 형성된 하부프레임(15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 본체프레임(110)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111)이 형성되고, 이동클램프부(200)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11) 상에서 이동하는 가이드홈(213)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클램프부(200)의 가압볼트(230)가 회전되면서 가압클램프(210)가 하강할 수 있다.
이때, 가압클램프(210)의 측면에는 가이드홈(213)이 형성될 수 있고, 가압클램프(210)는 가이드홈(213)이 가이드레일(111)에 결합된 상태에서 높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압클램프(210)의 가이드홈(213)이 본체프레임(110)의 가이드레일(111)에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가압볼트(230)가 회전하더라도 가압클램프(210)가 함께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클램프부(200)는 가압클램프(210) 및, 가압볼트(2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클램프부(200)는 분리대상물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제2 클램프면(211)이 형성된 가압클램프(210) 및, 상기 가압클램프(210)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클램프부(100)의 클램프홀(131)에 형성된 내부나사산에 치합되면서 상기 가압클램프(210)를 가압하는 가압볼트(230)를 구비할 수 있다.
가압볼트(230)는 상기 고정클램프부(100)의 C자 형상의 상측부분인 상부프레임(130) 또는 하측부분인 하부프레임(150) 중 어느 일측부분을 관통 형성되는 클램프홀(131)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볼트(230)는 고정클램프부(100)의 C자 형상의 상측부분인 상부프레임(130)에 관통 형성되는 클램프홀(131)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볼트(230)의 외부나사산이 클램프홀(131)의 내부나사산에 치합되면서 높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가압볼트(230)의 선단부에 설치된 가압클램프(210)가 하강하면서 분리대상물을 가압할 수 있다.
이때, 가압볼트(230)의 선단부는 가압클램프(210)에 설치되되, 가압볼트(230)의 선단부는 가압클램프(210)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압볼트(230)는 가압클램프(210)에 내설된 회전베어링을 매개로 가압클램프(210)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즉, 가압클램프(210)는 가압볼트(230)가 고정클램프부(100)의 클램프홀(131) 상에서 높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분리대상물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압볼트(230)의 상단에는 육각헤드부가 구비되고, 육각렌치에 의해 가압볼트(230)가 회전되면서 가압클램프(210)가 승강하면서 제1 클램프면(151)과 제2 클램프면(211)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쐐기부재(300)는 제1 클램프면(151)과 제2 클램프면(211)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분리대상물에 삽입되면서 개방부(S)를 벌려주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로 쐐기부재(300)는 고정클램프부(100)의 제1 클램프면(151)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쐐기부재(300)는 상기 분리대상물의 개방부(S)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 클램프면(151)과 제2 클램프면(211) 중 어느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되 상기 클램프면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이 감소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쐐기부재(300)는 상기 고정클램프부(100)의 제1 클램프면(15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호상의 블레이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대상물은 지상변압기(20)의 저압부싱(21)에 설치되는 저압단자판(30)일 수 있다.
이때, 저압단자판(30)은 단자판본체(31)와 단자클램프(35)를 구비할 수 있고, 쐐기부재(300)는 단자클램프(35)에 삽입될 수 있다.
저압단자판(30)은 케이블(37)이 설치된 케이블결선부(33)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단자판본체(31)와, 상기 단자판본체(31)의 일측에 구비되고 지상변압기(20)의 저압부싱(21)을 클램프하는 U자형 단자클램프(35)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블(37)의 단부에 설치된 동관단자(39)가 볼트, 너트에 의해 케이블결선부(33)에 체결될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압단자판(30)의 U자형 단자클램프(35)와 저압부싱(21)의 결합부가 고착될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부재(300)는 상기 U자형 단자클램프(35)의 개방부(S)로 삽입되면서 U자형 단자클램프(35)의 개방부(S)를 확경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상변압기(20)의 저압부싱(21)을 가압하여 고정하던 U자형 단자클램프(35)의 개방부(S)가 벌어지면서 지상변압기(20)의 저압부싱(21)과 U자형 단자클램프(35) 사이에 공차가 발생하면서 저압단자판(30)이 지상변압기(20)의 저압부싱(21)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분리공구(10)를 활용하여 지상변압기(20)의 저압부싱(21)에서 저압단자판(30)을 분리하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변압기(20)의 저압부싱(21)에 저압단자판(30)의 단자클램프(35)가 고정될 수 있다.
먼저, 저압단자판(30)의 단자클램프(35)의 상측에 설치된 상부볼트(B1)를 해체하고, 단자클램프(35)의 하부볼트(B2)를 해체한다.
단자클램프(35)의 하부볼트(B2)를 해체하면 단자클램프(35)와 저압부싱(21)은 분리될 수 있으나, 단자클램프(35)의 내면과 저압부싱(21)의 외면이 고착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압단자판(30)의 단자클램프(35) 부분에 본 발명의 분리공구(10)를 배치하고, 가압볼트(230)를 회전시켜 가압볼트(230)의 선단부에 설치된 가압클램프(21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클램프(210)에 형성된 제2 클램프면(211)이 분리대상물인 단자클램프(35)의 상면을 가압하고, 하부프레임(150)에 형성된 제1 클램프면(151)이 단자클램프(35)의 하면을 가압하면서 단자클램프(35)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클램프면(151)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쐐기부재(300)가 단자클램프(35)의 개방부(S)로 삽입되면서 U자형 단자클램프(35)의 개방부(S)가 확경될 수 있다.
지상변압기(20)의 저압부싱(21)을 가압하여 고정하던 U자형 단자클램프(35)의 개방부(S)가 벌어지면서 지상변압기(20)의 저압부싱(21)과 U자형 단자클램프(35) 사이에 공차가 발생한다.
저압부싱(21)과 U자형 단자클램프(35) 사이에 공차가 발생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분리공구(10)를 지상변압기(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단자클랩프를 지상변압기(20)의 저압부싱(21)에서 분리한다.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지상변압기(20)의 저압부싱(21)에 고정된 저압단자판(30)을 순차적으로 분리한 후, 지상변압기(20)를 철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분리공구 20: 지상변압기
21: 저압부싱 30: 저압단자판
31: 단자판본체 33: 케이블결선부
35: 단자클램프 37: 케이블
39: 동관단자
100: 고정클램프부 110: 본체프레임
111: 가이드레일 130: 상부프레임
131: 클램프홀 150: 하부프레임
151: 제1 클램프면 200: 이동클램프부
210: 가압클램프 211: 제2 클램프면
213: 가이드홈 230: 가압볼트
300: 쐐기부재 B1: 상부볼트
B2: 하부볼트 S: 개방부

Claims (7)

  1. 분리대상물의 일측을 고정하는 제1 클램프면이 형성되는 고정클램프부;
    상기 고정클램프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클램프면과 함께 고정대상의 타측을 고정하는 제2 클램프면이 형성된 이동클램프부; 및,
    상기 제1 클램프면과 제2 클램프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고, 분리대상물에 삽입되면서 개방부를 벌려주는 쐐기부재;를 포함하는 분리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램프부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이동클램프부가 설치되는 클램프홀이 형성된 상부프레임; 및,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분리대상물을 고정하는 제1 클램프면이 형성된 하부프레임;을 구비하는 분리공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클램프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공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클램프부는,
    분리대상물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제2 클램프면이 형성된 가압클램프; 및,
    상기 가압클램프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클램프부의 클램프홀에 형성된 내부나사산에 치합되면서 상기 가압클램프를 가압하는 가압볼트;를 구비하는 분리공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재는,
    상기 분리대상물의 개방부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 클램프면과 제2 클램프면 중 어느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되 상기 클램프면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이 감소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분리공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재는 상기 고정클램프부의 제1 클램프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호상의 블레이드로 구비되는 분리공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대상물은,
    케이블이 설치된 케이블결선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단자판본체와, 상기 단자판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지상변압기의 저압부싱을 클램프하는 단자클램프를 구비하는 저압단자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공구.
KR1020160068069A 2016-06-01 2016-06-01 분리공구 KR201701362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069A KR20170136242A (ko) 2016-06-01 2016-06-01 분리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069A KR20170136242A (ko) 2016-06-01 2016-06-01 분리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242A true KR20170136242A (ko) 2017-12-11

Family

ID=60943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069A KR20170136242A (ko) 2016-06-01 2016-06-01 분리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624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4809A (zh) * 2019-01-11 2019-03-26 莱芜鲁能开源集团电器有限公司 低压带电作业用的快速接线夹及绝缘夹持钳和操作方法
KR20200135899A (ko) * 2019-05-26 2020-12-04 (주) 진흥이엔지 지상 변압기의 저압단자와 연결되는 터미널 탈거장치
KR20200135901A (ko) * 2019-05-26 2020-12-04 (주) 진흥이엔지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4809A (zh) * 2019-01-11 2019-03-26 莱芜鲁能开源集团电器有限公司 低压带电作业用的快速接线夹及绝缘夹持钳和操作方法
KR20200135899A (ko) * 2019-05-26 2020-12-04 (주) 진흥이엔지 지상 변압기의 저압단자와 연결되는 터미널 탈거장치
KR20200135901A (ko) * 2019-05-26 2020-12-04 (주) 진흥이엔지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6242A (ko) 분리공구
KR101941106B1 (ko) 안전한 가공배전선로 수리를 위한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KR102333247B1 (ko)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CN101815419A (zh) 一种用于服务器滑轨的锁定机构
CN103050327A (zh) 真空断路器及中压充气柜
CN105098397A (zh) 一种接地线装拆装置及装拆方法
JP6599084B2 (ja) 回路遮断器の端子アセンブリ用導体ガイド部材
CN102576943A (zh) 尤其用于管道的照明线路的连接盒
CN213339902U (zh) 一种绝缘子导线紧固套件
KR102290560B1 (ko) 지상 변압기의 저압단자와 연결되는 터미널 탈거장치
CN205029179U (zh) 一种塑壳断路器的快速拆卸结构
KR101765087B1 (ko) 엘보 접속재 탈착장치
KR101477611B1 (ko) 변전설비용 단로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KR101135150B1 (ko)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
KR100863737B1 (ko) 선재 조압연기의 출구가이드 고정장치
CN219740106U (zh) 一种电动机防水接线盒
CN111478238A (zh) 一种应急绝缘装置
KR102166860B1 (ko)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
KR101696827B1 (ko) 클램핑 장치
CN108023189A (zh) 高压线带电作业用的固定连接器
KR102664845B1 (ko) Aitc 계통 접속함의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엘보접속재 분리방법
CN220367840U (zh) 一种经济型接地开关
KR200181715Y1 (ko) 전기배선용 차단기의 인출단자 고정장치
CN220933965U (zh) 调整组件及高压开关
KR102438891B1 (ko) 지중배전상태 점검기능을 구비한 안전형 지중배전선 지지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