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860B1 -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 - Google Patents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860B1
KR102166860B1 KR1020200068556A KR20200068556A KR102166860B1 KR 102166860 B1 KR102166860 B1 KR 102166860B1 KR 1020200068556 A KR1020200068556 A KR 1020200068556A KR 20200068556 A KR20200068556 A KR 20200068556A KR 102166860 B1 KR102166860 B1 KR 102166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nut
connection terminal
bolt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수
Original Assignee
제이에스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스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제이에스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200068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a plate, spring, wire or ring immovable with regard to the bolt or object and main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ol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 송전선을 현수애자에 연결하기 위한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는 송전선이 일단에 연결되며 타단에 현수애자가 연결되는 클램프몸체, 상기 클램프몸체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현수애자를 걸어 연결하는 고리부, 상기 클램프몸체에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송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점프선의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 상기 접속단자의 일면에 겹쳐진 상기 점프선의 연결단자를 상기 접속단자와 함께 관통하여 끼워지는 복수 개의 고정볼트, 상기 각 고정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연결단자를 겹쳐진 상태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너트, 상기 연결단자 또는 상기 접속단자에 겹쳐져 상기 고정너트에서 상기 고정볼트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각 고정볼트의 머리부가 끼워지는 머리끼움홈이 복수 개가 형성되는 볼트고정판, 상기 머리끼움홈에 상기 머리부가 끼워지거나, 이탈되도록 상기 연결단자에 서 상기 볼트고정판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판힌지부, 상기 접속단자 또는 상기 연결단자에서 상기 고정너트가 위치되는 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볼트에서 상기 고정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풀림방지부는 상기 각 고정너트와 대응되는 부분에서 상기 고정너트의 둘레를 지지하여 상기 고정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너트고정부재, 상기 너트고정부재가 상기 고정너트에 지지되거나, 상기 고정너트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너트고정부재가 출몰하는 고정부재출몰홈이 형성되는 고정부재하우징, 및 상기 고정부재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너트고정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출몰홈에서 출몰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너트고정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출몰홈에서 출몰시키는 가동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clamp for overhead power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가공 송전선을 현수애자에 연결하기 위한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 송전선은 공중에 설치되는데, 송전선의 무게로 처짐 및 단선을 방지하기 위해 철탑 또는 전신주와 같은 지지물마다 송전선을 점퍼선에 의해 연결하는 형태로 포설한다.
송전선을 지지물에 연결할 때에는 송전선의 전기가 지지물로 누설되지 않도록 송전선과 지지물의 사이에 현수애자를 설치하는데, 현수애자와 송전선을 연결할 때에는 점퍼선을 함께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압축인류 클램프에 의해 연결한다.
압축인류 클램프는 일단에 송전선이 연결되며, 타단에는 현수애자가 연결되는 고리부가 형성되어 현수애자를 지지물에 고정한 상태에서 고리부에 현수애자를 걸어 지지물에 송전선을 결합하며, 압축인류 클램프에는 송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가 설치되어 접속단자에 점퍼선을 결합하는 형태로 점퍼선을 송전선에 용이하게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점퍼선을 압축인류 클램프의 접속단자에 연결할 때에는 접속단자에 점퍼선의 연결단자를 겹친 상태에서 볼트를 관통하여 관통한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는 형태로 설치하는 데, 볼트와 너트가 풀릴 경우에는 접속단자와 연결단자의 사이가 이격되면서 과열 또는 아크의 발생에 따른 전기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11285호(2020.2.3.공개)의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가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와 상기 볼트의 나사산에 체결되며 일정토크를 가하여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풀림방지너트와 상기 풀림방지너트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풀림방지너트에 조임력과 장력을 가하여 상기 풀림방지너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풀림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는 풀림방지너트에 풀림방지수단을 설치하여 풀림방지너트의 풀림에 따른 불완전한 접속에 의한 전기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었다.
히자만, 종래의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는 풀림방지너트마다 풀림방지수단을 체결해야하기 때문에 풀람방지수단의 설치가 번거로우며, 접속단자에서 점퍼선을 탈착하기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풀림방지수단은 풀림방지너트의 풀림만을 방지할 뿐, 진동의 발생에 따라 볼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접속단자에 볼트고정판과 풀림방지부가 설치되어 고정볼트와 고정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볼트고정판과 접속단자의 사이에 연결단자가 위치되어 접속단자와 연결단자가 이격됨에 따른 불완전한 접속에 따른 전기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동잠금부재의 작동에 따라 볼트고정판을 고정함과 동시에 가동부재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풀림방지부에서 모든 너트고정부재가 돌출되면서 복수 개의 고정너트를 지지하기 때문에 작동 및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는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는 송전선이 일단에 연결되며 타단에 현수애자가 연결되는 클램프몸체, 상기 클램프몸체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현수애자를 걸어 연결하는 고리부, 상기 클램프몸체에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송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점프선의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 상기 접속단자의 일면에 겹쳐진 상기 점프선의 연결단자를 상기 접속단자와 함께 관통하여 끼워지는 복수 개의 고정볼트, 상기 각 고정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연결단자를 겹쳐진 상태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너트, 상기 연결단자 또는 상기 접속단자에 겹쳐져 상기 고정너트에서 상기 고정볼트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각 고정볼트의 머리부가 끼워지는 머리끼움홈이 복수 개가 형성되는 볼트고정판, 상기 머리끼움홈에 상기 머리부가 끼워지거나, 이탈되도록 상기 연결단자에 서 상기 볼트고정판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판힌지부, 상기 연결단자 또는 상기 접속단자에서 상기 고정너트가 위치되는 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볼트에서 상기 고정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풀림방지부는 상기 각 고정너트와 대응되는 부분에서 상기 고정너트의 둘레를 지지하여 상기 고정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너트고정부재, 상기 너트고정부재가 상기 고정너트에 지지되거나, 상기 고정너트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너트고정부재가 출몰하는 고정부재출몰홈이 형성되는 고정부재하우징, 및 상기 고정부재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너트고정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출몰홈에서 출몰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너트고정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출몰홈에서 출몰시키는 가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머리끼움홈에 상기 머리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접속단자 또는 상기 연결단자에 상기 볼트고정판이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너트고정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출몰홈에서 돌출되어 상기 고정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볼트고정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동부재와 연결되며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가동잠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잠금부재는 상기 볼트고정판의 회전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볼트고정판에 설치되며, 상기 가동잠금부재의 회전에 따라 편심된 위치의 변경으로 상기 가동부재가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가동잠금부재가 회전하는 회전축에 대해 편심되어 상기 가동부재를 연결하는 편심연결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너트고정부재를 상기 가동부재에 대각선의 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가동부재의 슬라이딩 이동 시 상기 너트고정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출몰홈에서 출몰시키는 연결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단자에 볼트고정판과 풀림방지부가 설치되어 고정볼트 및 고정너트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고정볼트 및 고정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이나, 볼트고정판에 의해 복수 개의 고정볼트를 함께 지지함과 동시에 풀림방지부에 의해 복수 개의 고정너트를 함께 지지함으로써, 각 고정볼트와 고정너트의 풀림방지 및 설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볼트고정판에 가동잠금부재가 설치되어 가동잠금부재에 의해 볼트고정판을 고정함과 동시에 가동부재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너트고정부재가 돌출되면서 고정너트를 지지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볼트고정판과 접속단자의 사이에 가압단자가 위치되어 가압단자가 접속단자에서 이격되면서 불완전한 접속에 따른 과열 또는 아크의 발생 등의 전기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를 송전선측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볼트고정판에 의해 볼트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를 고리부측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풀림방지부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를 고리부측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풀림방지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100)는 클램프몸체(110), 및 고리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몸체(110)는 가공 송전선(200)과 현수애자를 연결할 수 있다.
클램프몸체(110)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에는 송전선(200)이 결합되고, 타단에는 현수애자가 결합될 수 있으며, 현수애자는 송전탑 또는 전주와 같은 지지물과 연결되어 송전선(200)을 지지물에 연결할 수 있다.
클램프몸체(110)에는 송전선(200)의 심선이 압축되어 끼워질 수 있다.
클램프몸체(110)에서 현수애자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현수애자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고리부(1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고리부(115)에는 현수애자의 끝단을 끼워 고정하는 형태로 현수애자를 연결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100)는 접속단자(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단자(120)는 송전선(200)을 타고 흐르는 전기를 인접한 송전선(200) 또는 변압기, 개폐기 등의 송전기구로 전기를 전달하기 위한 점프선(300)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접속단자(120)에는 점프선(300)의 연결단자(3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접속단자(120)는 클램프몸체(110)와 일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속단자(120)는 판의 형태로 클램프몸체(110)의 하부로 점프선(300)을 연결하도록 판의 형상으로 클램프몸체(110)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될 수 있다.
접속단자(120)에는 고정볼트(121)를 관통하여 끼울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공은 복수 개의 고정볼트(121)를 가로x세로로 배열하여 체결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100)는 고정볼트(121) 및 고정너트(12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볼트(121)는 접속단자(120)에 연결단자(310)가 겹쳐진 상태로 접속단자(120)와 연결단자(310)를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고정볼트(121)는 머리부와 몸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볼트(121)의 몸체는 접속단자(120)의 관통공에 관통하여 끼워질 수 있는 둘레를 가지며, 접속단자(120)와 연결단자(310)가 겹쳐진 상태에서 둘 모두를 관통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의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기에 설명할 고정너트(125)가 나사체결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머리부는 몸체의 끝단에 몸체부의 둘레보다 더 큰 둘레를 가지며, 머리부는 육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머리부는 접속단자(120)와 연결단자(310)가 겹쳐진 상태에서 관통한 몸체가 접속단자(120) 또는 연결단자(310)에 걸쳐질 수 있으며, 고정볼트(121)는 접속단자(1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공마다 끼워질 수 있다.
한편, 점프선(300)의 연결단자(310)는 접속단자(120)와 대응되는 크기의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단자(310)는 접속단자(120)에 겹쳐진 상태에서 접속단자(120)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크기로 고정볼트(121)의 몸체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고정너트(125)는 고정볼트(121)의 몸체가 나사체결되는 체결공이 관통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공의 내주에는 고정볼트(121)의 몸체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고정볼트(121)의 몸체 끝단에서 고정너트(125)가 나사체결될 수 있다.
고정너트(125)는 육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속단자(120)와 연결단자(310)가 겹쳐진 상태에서 관통공을 관통한 각각의 고정볼트(121)에 나사체결되어 나사체결력에 의해 접속단자(120)와 연결단자(310)가 밀착하도록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100)는 볼트고정판(130), 및 고정판힌지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고정판(130)은 접속단자(120)와 연결단자(310)를 관통하여 끼워진 고정볼트(121)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볼트고정판(130)은 판의 형상으로 고정볼트(121)의 머리부가 끼워지는 머리끼움홈(131)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볼트고정판(130)에는 복수 개의 고정볼트(121)를 함께 고정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머리끼움홈(131)이 고정볼트(121)의 배열과 대응되는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머리끼움홈(131)은 고정볼트(121)의 머리부의 둘레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머리끼움홈(131)에 머리부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억압되어 고정볼트(121)의 회전에 따른 고정너트(125)와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머리끼움홈(131)은 복수 개의 고정볼트(121)마다 머리부의 회전한 각도가 다르더라도 머리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머리부의 둘레 모서리가 걸쳐지는 모서리홈이 머리끼움홈(131)의 내주에 복수 개가 형성되어 마치 톱니와 같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볼트고정판(130)은 접속단자(120)의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볼트(121)와 고정너트(125)를 체결한 상태에서 회전하여 고정볼트(121)의 머리부가 위치되는 접속단자(120) 또는 연결단자(310)의 외면에 겹쳐지거나, 접속단자(120) 또는 연결단자(310)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볼트고정판(130)은 전기가 통전되지 않은 합성수지와 같은 부도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속단자(120)에는 볼트고정판(13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판힌지부(137)가 접속단자(120)의 측단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판힌지부(137)는 볼트고정판(130)이 접속단자(120)의 측단을 중심으로 볼트고정판(130)의 측단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접속단자(120) 또는 연결단자(310)에 겹쳐지거나, 연결단자(310) 또는 접속단자(120)에서 이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볼트고정판(130)과 접속단자(120)의 사이에 연결단자(310)가 위치되어 연결단자(310)를 접속단자(120)와 볼트고정판(130)에 의해 구속되도록 볼트고정판(130)이 연결단자(310)의 외면에 겹쳐지거나, 연결단자(310)에서 이격되도록 접속단자(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였다.
이때, 고정판힌지부(137)에서 볼트고정판(130)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핀은 연결단자(310)의 두께만큼 접속단자(120)에서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접속단자(120)에서 볼트고정판(130)의 회전 시 연결단자(310)의 두께로 인해 볼트고정판(130)이 연결단자(310)에 겹쳐지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볼트고정판(130)에는 하기에 설명할 가동잠금부재(140)를 설치하기 위한 잠금설치부(133)가 볼트고정판(130)의 고정판힌지부(137)가 연결되는 부분과는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끝단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잠금설치부(133)는 연결단자(310)에 겹쳐지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연결단자(310)의 측단으로 돌출되도록 볼트고정판(130)의 측단을 연장하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잠금설치부(133)에는 볼트고정판(130)이 연결단자(310)에 겹쳐진 상태에서 연결단자(310)와 접속단자(120)가 위치되는 방향 즉, 볼트고정판(130)에 직교되도록 돌출되는 회전축(135)이 고정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볼트고정판(130)은 연결단자(310)에 겹쳐진 상태에서 고정볼트(121)의 머리부가 머리끼움홈(131)에 끼우고 고정볼트(121)에 고정너트(125)를 체결함으로써, 고정볼트(121)의 머리부를 공구로 파지할 필요 없이 고정너트(125)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도 있다.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100)는 풀림방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풀림방지부(150)는 고정볼트(121)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25)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풀림방지부(150)는 접속단자(120) 또는 연결단자(310)에서 고정너트(125)가 위치되는 면에 위치되어 고정볼트(121)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25)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풀림방지부(150)는 접속단자(120)를 중심으로 볼트고정판(130)이 위치되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의 접속단자(120)의 면에 설치하였다.
풀림방지부(150)는 복수 개의 고정너트(125)를 함께 지지하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풀림방지부(150)는 가로X세로로 배열되어 결합되는 고정볼트(121)의 세로방향에 위치되는 고정볼트(121)의 사이에 위치되어 가로방향으로 위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너트(125) 및 세로방향으로 위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너트(125)를 함께 지지하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풀림방지부(150)는 접속단자(120)와 연결단자(310)를 통하는 전기가 흐르지 않도록 합성수지와 같은 부도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풀림방지부(150)는 접속단자(120)에 볼트, 리벳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접속단자(120)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풀림방지부(150)는 고정부재하우징(160), 너트고정부재(180), 및 가동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하우징(160)은 접속단자(120)의 상하에 위치되는 고정볼트(121)의 사이에서 접속단자(120)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접속단자(1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하우징(160)은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고, 고정부재하우징(160)에서 각 고정너트(125)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너트고정부재(180)가 출몰하는 고정부재출몰홈(161)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부재출몰홈(161)은 고정부재하우징(160)의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너트(125)뿐만 아니라, 고정부재하우징(160)의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너트(125)를 너트고정부재(180)가 출몰하며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하우징(160)의 상하 뿐만 아니라, 고정부재하우징(16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는 모든 고정너트(125)도 너트고정부재(180)가 돌출하여 지지하도록 고정부재하우징(160)의 길이방향으로도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하우징(160)의 길이방향의 양단으로는 하기에 설명할 가동부재(170)가 관통하여 끼워지는 부재지지공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너트고정부재(180)는 고정너트(125)를 지지하여 고정볼트(121)에서 고정너트(125)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너트고정부재(180)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출몰홈(161)마다 설치될 수 있으며, 너트고정부재(180)는 고정부재출몰홈(161)에서 고정너트(125)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출몰할 수 있다.
예컨대, 고정부재하우징(160)의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부재출몰홈(161)에 설치되는 너트고정부재(180)는 고정부재출몰홈(161)에서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고정부재하우징(160)의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너트(125)를 지지하고, 고정부재하우징(160)의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부재출몰홈(161)에 설치되는 너트고정부재(180)는 고정부재출몰홈(161)에서 하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고정부재하우징(160)의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너트(125)를 지지할 수 있다.
너트고정부재(180)는 블럭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너트고정부재(180)에서 고정너트(125)를 지지하는 면은 고정너트(125)의 둘레를 너트고정부재(180)가 밀착하여 지지하는 형태로 풀림을 방지하도록 너트고정부재(180)의 모서리가 걸쳐지는 너트걸침홈(181)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너트걸침홈(181)은 고정너트(125)의 중심을 중심으로 복수 개가 원호형상으로 배열되어 고정너트(125)의 다양한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도 고정너트(125)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가 너트걸침홈(181)에 걸쳐져 고정너트(125)의 회전을 억제함으로써, 고정너트(125)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가동부재(170)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부재하우징(1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고정부재하우징(16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가동부재(170)는 고정부재하우징(160)에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고정부재출몰홈(161)에서 너트고정부재(180)를 출몰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출몰홈(161)에는 너트고정부재(180)의 양측을 지지하여 너트고정부재(180)의 상하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고정부재출몰홈(161)에서 너트고정부재(180)의 출몰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163)가 형성될 수 있다.
가동부재(170)는 양단이 고정부재하우징(160)의 양측단에 각각 형성된 부재지지공에 끼워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동부재(170)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 가동부재(170)가 부재지지공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부재하우징(160)의 길이보다는 더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동부재(170)는 상하에 위치되는 너트고정부재(18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가동부재(170)는 연결링크(173)에 의해 너트고정부재(180)가 연결될 수 있다.
가동부재(170)는 고정부재하우징(160)에서 너트고정부재(180)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경우, 압축되어 탄성력이 축적되도록 탄성스프링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가동부재(170)가 외력에 의해 고정부재하우징(160)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너트고정부재(180)를 돌출시킨 상태에서 가압력이 해제되면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어 너트고정부재(180)가 고정부재하우징(16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연결링크(173)는 너트고정부재(180)가 고정부재출몰홈(161)에서 삽입된 상태에서 가동부재(170)가 이동할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높이가 높아지는 대각선의 형태로 각 너트고정부재(180)와 가동부재(170)를 연결할 수 있으며, 가동부재(170)의 일단은 가동부재(170)에 힌지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가동부재(170)의 타단은 너트고정부재(180)에 힌지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링크(173)는 가동부재(170)에 대해 대각선의 형태로 연결되기 때문에 가동부재(170)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가동부재(170)에서 대각선으로 위치하였던 연결링크(173)가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너트고정부재(180)를 상부로 밀어 올려 고정부재출몰홈(161)에서 돌출시킬 수 있으며, 다시 반대방향으로 가동부재(170)가 이동하면, 수직으로 위치되었던 연결링크(173)가 대각선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고정부재출몰홈(161)에서 돌출되었던 너트고정부재(180)가 삽입되는 형태로 너트고정부재(180)를 출몰시킬 수 있다.
이때, 연결링크(173)의 중간부분에는 너트고정부재(180)가 고정너트(125)의 둘레에 탄성력에 의해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결단자(310)에 볼트고정판(130)이 겹쳐진 상태에서 볼트고정판(130)의 잠금설치부(133)가 위치되는 단부에는 하기에 설명할 가동잠금부재(140)에 걸쳐지는 고리형태의 잠금연결부(171)가 형성될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100)는 가동잠금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가동잠금부재(140)는 볼트고정판(130)이 연결단자(310)에 겹쳐진 상태에서 볼트고정판(130)과 접속단자(120)의 사이에 연결단자(310)를 억압함과 동시에 볼트고정판(130)의 회전을 방지하며, 너트고정부재(180)가 고정부재출몰홈(161)에서 돌출하도록 가동부재(170)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가동잠금부재(14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동잠금부재(140)는 볼트고정판(130)의 잠금설치부(133)에서 돌출되는 회전축(135)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가동잠금부재(140)는 연결단자(310)에 볼트고정판(130)이 겹쳐진 상태에서 잠금설치부(133)와 가동부재(170)의 잠금연결부(17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가동잠금부재(140)에는 회전축(135)을 중심으로 가동잠금부재(14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돌출되는 손잡이부(141)가 가동잠금부재(140)의 둘레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가동잠금부재(140)에는 회전축(135)에 대해 편심된 위치에서 가동잠금부재(140)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편심연결핀(143)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편심연결핀(143)에는 가동부재(170)의 잠금연결부(171)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가동잠금부재(140)는 볼트고정판(130)이 연결단자(310)에 겹쳐지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가동잠금부재(140)의 편심연결핀(143)에 가동잠금부재(140)의 편심연결핀(143)이 끼워진 상태에서 손잡이부(141)를 통해 가동잠금부재(140)를 회전시키면, 편심연결핀(143)의 편심된 위치에서 가동잠금부재(140)의 회전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면서 가동부재(170)를 가동잠금부재(140)가 위치된 방향으로 당겨 가동부재(170)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가동부재(170)의 잠금연결부(171)는 가동부재(170)에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어 가동잠금부재(140)의 회전 시 잠금연결부(171)만 가동부재(170)에서 회전하며 가동부재(170)는 길이방향으로 편심연결핀(14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100)는 송전선(200)과 현수애자를 연결하는 클램프본체에 점프선(300)의 연결단자(310)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120)가 설치되며, 접속단자(120)에는 고정판힌지부(13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볼트고정판(130)이 설치된다.
볼트고정판(130)에는 접속단자(120)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볼트(121)의 머리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머리끼움홈(131)이 체결할 볼트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관통형성되며, 머리끼움홈(131)에는 머리부의 둘레 모서리가 끼워지도록 모서리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볼트고정판(130)에서 고정판힌지부(137)가 위치되는 방향과는 반대되는 방향의 끝단에는 잠금설치부(133)가 형성되며, 잠금설치부(133)는 볼트고정판(13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직교되는 회전축(135)이 설치되고, 회전축(135)에는 가동잠금부재(14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가동잠금부재(140)는 회전축(135)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141)가 형성되며, 가동잠금부재(140)의 측면에는 회전축(135)에 대해 편심된 위치에서 편심연결핀(143)이 돌출된다.
한편, 접속단자(120)를 중심으로 볼트고정판(130)이 위치되는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면에는 고정너트(125)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방지부(150)가 설치되며, 풀림방지부(150)는 상하로 배열되는 고정볼트(121)의 사이에 고정부재하우징(160)이 설치되며, 고정부재하우징(160)에는 고정부재하우징(160)의 길이방향으로 가동부재(17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가동부재(170)를 중심으로 고정부재하우징(160)의 상하측면에는 너트고정부재(180)가 출몰하는 고정부재출몰홈(161)이 관통형성되며, 각 고정부재출몰홈(161)에는 너트고정부재(180)가 설치된다.
이때, 가동부재(170)를 중심으로 상하에 배치되는 너트고정부재(180)는 가동부재(170)를 중심으로 상하로 대칭되도록 설치되며, 너트고정부재(180)에는 고정너트(125)의 둘레 모서리가 걸쳐져 고정너트(125)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걸침홈(181)이 고정너트(125)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호형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가동부재(170)와 너트고정부재(180)는 연결링크(173)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링크(173)는 너트고정부재(180)가 고정부재출몰홈(16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대각선의 방향으로 기울어져 너트고정부재(180)와 고정부재출몰홈(161)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가동부재(170)의 가동잠금부재(140)가 위치되는 끝단에는 편심연결핀(143)에 결합되는 잠금연결부(17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잠금연결부(171)는 가동부재(170)에서 연결핀에 의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잠금연결부(171)는 편심연결핀(143)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가동부재(170)는 가동잠금부재(140)에 의해 가동잠금부재(140)가 위치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 압축되는 탄성스프링에 의해 고정부재하우징(160)에서 탄성력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100)는 클램프본체를 현수애자와 송전선(200)을 연결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점프선(300)을 연결하기 위해 점프선(300)의 연결단자(310)와 접속단자(120)를 겹친다.
이때, 접속단자(120)에서 볼트고정판(130)이 위치되는 위치에 연결단자(310)를 겹치고, 고정볼트(121)의 머리부가 볼트고정판(130)이 위치되는 방향에 위치되도록 연결단자(310)와 접속단자(120)의 관통공에 고정볼트(121)를 설치한다.
고정볼트(121)가 설치되면, 볼트고정판(130)에 형성된 머리끼움홈(131)에 고정볼트(121)의 머리부가 끼워지도록 연결단자(310)에 볼트고정판(130)이 겹쳐지도록 접속단자(120)에서 회전시킨다.
그 상태에서 풀림방지부(150)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볼트(121)의 끝단에 고정너트(125)를 채워 고정한다.
이때, 고정볼트(121)의 머리부는 볼트고정판(130)의 머리끼움홈(131)에 회전하지 못하도록 억압되기 때문에 고정볼트(121)가 회전하지 않도록 머리부를 잡은 상태에서 고정너트(125)를 체결할 필요 없이 고정너트(125)만을 파지하여 회전시키는 형태로 고정볼트(121)에 고정너트(125)를 체결할 수 있다.
한편 고정볼트(121)에 고정너트(125)가 체결되면, 고정너트(125)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풀림방지부(150)의 가동잠금부재(140)에서 돌출되는 편심연결핀(143)에 가동부재(170)의 잠금연결부(171)를 끼운 상태에서 가동잠금부재(140)의 손잡이부(141)를 이용하여 가동잠금부재(140)를 회전시킨다.
가동잠금부재(140)가 회전하면, 편심연결핀(143)이 가동부재(170)에서 먼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동부재(170)가 가동잠금부재(140)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가동잠금부재(140)가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대각선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연결링크(173)가 세워지면서, 너트고정부재(180)를 고정너트(125)의 둘레에 밀착되도록 고정부재출몰홈(161)에서 돌출시킨다(도 5 참조).
너트고정부재(180)가 고정부재출몰홈(161)에서 돌출되면, 너트고정부재(180)의 너트걸침홈(181)에 고정너트(125)의 둘레에 형성된 모서리가 걸쳐지며 고정너트(125)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가동부재(170)가 이동하면, 가동부재(170)에 연결링크(173)에 의해 연결된 모든 너트고정부재(180)가 고정부재출몰홈(161)에서 돌출된다.
점프선(300)을 분리하기 위해 고정너트(125)를 고정폴트에서 분리할 대에는 가동잠금부재(140)를 초기 회전하였던 반대방향으로 손잡이부(141)를 통해 회전시키면, 편심연결핀(143)의 거리가 풀림방지부(150)가 위치된 방향과 근접하면서, 가동부재(170)가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판힌지부(137)가 위치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밀려난다(도 4 참조).
그리고, 가동부재(170)가 밀려나면, 너트고정부재(180)가 연결하였던 연결링크(173)가 다시 경사지도록 기울어지면서, 너트고정부재(180)가 고정부재출몰홈(161)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고정너트(125)에서 이격되면서 고정너트(125)의 풀림방지를 해제한 후 고정너트(125)를 고정볼트(121)에서 제거한 후, 볼트고정판(130)의 머리끼움홈(131)에서 고정볼트(121)의 머리부가 분리되고 볼트고정판(130)을 회전시켜 고정볼트(121)를 제거하는 형태로 접속단자(120)에서 연결단자(310)를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100)는 접속단자(120)에 볼트고정판(130)이 설치되어 볼트고정판(130)에 머리끼움홈(131)에 고정볼트(121)의 머리부가 끼워져 고정볼트(121)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볼트고정판(130)에 고정볼트(121)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억압함으로써, 고정볼트(121)에 고정너트(125)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볼트고정판(130)과 접속단자(120)의 사이에 연결단자(310)가 설치되어 연결단자(31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단자(310)와 접속단자(120)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면서 불완전한 접촉에 따른 과열 또는 아크의 발생 등의 전기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너트(125)가 위치되는 부분에 풀림방지부(150)가 설치되어 고정볼트(121)에서 고정너트(125)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풀림방지부(150)는 풀림방지부(150)에 볼트고정판(130)을 고정하는 가동잠금부재(140)의 회전에 의해 가동부재(170)가 이동하며 복수 개의 너트고정부재(180)가 돌출되면서 복수 개의 고정너트(125)를 함께 지지하여 한번의 작동으로 복수 개의 고정너트(125)의 풀림을 방지함으로써, 작동의 용이성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
110: 클램프몸체 115: 고리부
120: 접속단자 121: 고정볼트
125: 고정너트 130: 볼트고정판
131: 머리끼움홈 133: 잠금설치부
135: 회전축 137: 고정판힌지부
140: 가동잠금부재 141: 손잡이부
143: 편심연결핀 150: 풀림방지부
160: 고정부재하우징 161: 고정부재출몰홈
163: 가이드부 170: 가동부재
171: 잠금연결부 173: 연결링크
180: 너트고정부재 181: 너트걸침홈
200: 송전선 300: 점퍼선
310: 연결단자

Claims (4)

  1. 송전선이 일단에 연결되며 타단에 현수애자가 연결되는 클램프몸체,
    상기 클램프몸체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현수애자를 걸어 연결하는 고리부,
    상기 클램프몸체에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송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점프선의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
    상기 접속단자의 일면에 겹쳐진 상기 점프선의 연결단자를 상기 접속단자와 함께 관통하여 끼워지는 복수 개의 고정볼트,
    상기 각 고정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연결단자를 겹쳐진 상태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너트,
    상기 연결단자 또는 상기 접속단자에 겹쳐져 상기 고정너트에서 상기 고정볼트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각 고정볼트의 머리부가 끼워지는 머리끼움홈이 복수 개가 형성되는 볼트고정판,
    상기 머리끼움홈에 상기 머리부가 끼워지거나, 이탈되도록 상기 연결단자에 서 상기 볼트고정판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판힌지부,
    상기 접속단자 또는 상기 연결단자에서 상기 고정너트가 위치되는 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볼트에서 상기 고정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풀림방지부는
    상기 각 고정너트와 대응되는 부분에서 상기 고정너트의 둘레를 지지하여 상기 고정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너트고정부재,
    상기 너트고정부재가 상기 고정너트에 지지되거나, 상기 고정너트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너트고정부재가 출몰하는 고정부재출몰홈이 형성되는 고정부재하우징, 및
    상기 고정부재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너트고정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출몰홈에서 출몰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너트고정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출몰홈에서 출몰시키는 가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끼움홈에 상기 머리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접속단자 또는 상기 연결단자에 상기 볼트고정판이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너트고정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출몰홈에서 돌출되어 상기 고정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볼트고정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동부재와 연결되며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가동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잠금부재는
    상기 볼트고정판의 회전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볼트고정판에 설치되며,
    상기 가동잠금부재의 회전에 따라 편심된 위치의 변경으로 상기 가동부재가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가동잠금부재가 회전하는 회전축에 대해 편심되어 상기 가동부재를 연결하는 편심연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너트고정부재를 상기 가동부재에 대각선의 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가동부재의 슬라이딩 이동 시 상기 너트고정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출몰홈에서 출몰시키는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
KR1020200068556A 2020-06-05 2020-06-05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 KR102166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556A KR102166860B1 (ko) 2020-06-05 2020-06-05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556A KR102166860B1 (ko) 2020-06-05 2020-06-05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860B1 true KR102166860B1 (ko) 2020-10-16

Family

ID=73035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556A KR102166860B1 (ko) 2020-06-05 2020-06-05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8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1607A (ko) * 2006-07-31 2008-0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휠 너트 풀림 방지 구조
KR20180136331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드림이노베이션 나사풀림 방지용 고정장치
KR20200011285A (ko) * 2018-07-24 2020-02-03 한국전력공사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1607A (ko) * 2006-07-31 2008-0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휠 너트 풀림 방지 구조
KR20180136331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드림이노베이션 나사풀림 방지용 고정장치
KR20200011285A (ko) * 2018-07-24 2020-02-03 한국전력공사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6850B2 (en) Electric wire changing device for wire replacing works on electric poles and power distributing method without cutting off power supply
KR101174356B1 (ko)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KR101877737B1 (ko)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
KR102333250B1 (ko)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CN203839535U (zh) 一种电力维护用可转向接地棒
KR102166860B1 (ko)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
KR101721540B1 (ko)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KR101174358B1 (ko) 설치가 용이한 송전용 가공전선 절연애자
KR102079089B1 (ko) 가공송전선 진동방지형 고정장치
KR101415134B1 (ko) 직류용 절연구분장치
KR101573004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지지형 애자
KR20150024898A (ko) 코로나가 없는 캡 조립체
KR102259566B1 (ko)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KR101924034B1 (ko)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보호커버
KR20220153295A (ko) 케이블 종단접속재 취부용 원터치 브라켓
KR102559513B1 (ko)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
CN112117555A (zh) 一种接地装置
CN203071418U (zh) 电力开关柜接地装置及接地桩
KR102668844B1 (ko) 저압선 멀티앵글 바인드레스 지지장치
CN219321115U (zh) 一种新型架空线路柱式绝缘子固定装置
KR200460891Y1 (ko) 배전선로용 풀림방지형 활선클램프
CN214379966U (zh) 一种线缆固定用耐张线夹
CN211579441U (zh) 一种施工现场多线缆整理和固定装置
CN113643864B (zh) 一种横担绝缘子补强装置
KR102653812B1 (ko) 쐐기형 인류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