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993B1 -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993B1
KR101666993B1 KR1020160053492A KR20160053492A KR101666993B1 KR 101666993 B1 KR101666993 B1 KR 101666993B1 KR 1020160053492 A KR1020160053492 A KR 1020160053492A KR 20160053492 A KR20160053492 A KR 20160053492A KR 101666993 B1 KR101666993 B1 KR 101666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distribution line
power distribution
jump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화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화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화이앤씨
Priority to KR1020160053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8Devices affording mechanical protection in the event of breakage of a line or cable, e.g. net for catching broken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을 위해 설치되는 전신주에서 전선을 지지하기 위한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는 전신주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 배전선이 결합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전신주의 타측에 배치되어 제2 배전선이 결합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배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점프선과 상기 제2 배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점프선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대를 포함하는 점프선연결소켓부,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상기 제1 배전선의 끝단이 상기 제2 배전선이 위치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당겨지도록 지지하는 제1 탄성스프링과, 상기 제1 배전선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탄성스프링에 걸쳐지는 제1 걸침부재를 포함하는 제1 장력유지부, 상기 제2 프레임에서 상기 제2 배전선의 끝단이 상기 제1 배전선이 위치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당겨지도록 지지하는 제2 탄성스프링과, 상기 제2 배전선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탄성스프링에 걸쳐지는 제1 걸침부재를 포함하는 제2 장력유지부, 및 상기 점프선연결소켓부의 내부에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배전선 또는 상기 제2 배전선의 단선 시 상기 제1 탄성스프링 또는 상기 제2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점프선연결소켓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걸침부재 또는 제2 걸침부재로부터 가압되어 상기 단자대에서 제1 점프선과 제2 점프선을 분리시키는 단선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배전선의 단선으로 인한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a cable support apparatus for utility pole}
본 발명은 배전을 위해 설치되는 전신주에서 전선을 지지하기 위한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은 바닥에서 이격되도록 전신주에 설치되고, 배전선이 서로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전선 지지장치에 의해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전선 지지장치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61422호에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에 개시된 종래의 전선 지지장치는 경완금을 U볼트 및 너트로 체결할 수 있도록 경완금 결착지인 결착편을 마련한 채, 전신주에 씌움고정되는 캡부와; 상기 캡부의 결착편에 체결고정되면서 전선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격을 흡수하며 판스프링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경완금과; 상기 경완금에 현수애자를 연결함에 있어 대향된 경완금의 체결편에 X자 형으로 연결고정되는 꺾임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 장치를 제공하되, 상기 경완금은, 절곡부에 의해 절곡을 이룬 채 연장체결편을 연장하여 전선의 증설을 이룸과 동시에 꺾임바 연결을 이루면서 충격을 흡수하며 판스프링 역할을 수행하는 대향된 체결편과; 상기 절곡부를 보강하며 돌출되어 상기 체결편의 충격흡수시 체결편의 파단을 방지하는 대향된 보강돌출부와; 상기 보강돌출부에서 U볼트의 결착지 간격만큼을 남긴 채 돌출되어 상기 보강돌출부와 함께 U볼트와 아울러 체결편의 충격흡수시 체결편의 파단방지를 더욱 보강하는 돌출벽과; 상기 보강돌출부와 돌출벽의 사이에서 경완금을 에워싼 형태로 캡부의 결착편과 결합되어 너트의 체결로 고정을 이루면서 보강돌출부와 함께 돌출벽과 아울러 체결편의 충격흡수시 체결편의 파단 방지를 더욱 보강하며 경완금의 체결력을 증대케 하는 U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전선 지지장치는 체결편이 판스프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전선의 텐션을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전선 지지장치는 전선이 텐션을 가지도록 지지만 할 뿐, 전신주의 전도 또는 바람에 의해 전선이 단선될 때, 단선된 전선이 활선 상태로 바닥으로 늘어져 지나는 행인이 감전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력에 의해 배전선이 끊어지면 전기를 차단하여 활선상태의 전선에 의한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는 전신주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 배전선이 결합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전신주의 타측에 배치되어 제2 배전선이 결합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배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점프선과 상기 제2 배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점프선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대를 포함하는 점프선연결소켓부,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상기 제1 배전선의 끝단이 상기 제2 배전선이 위치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당겨지도록 지지하는 제1 탄성스프링과, 상기 제1 배전선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탄성스프링에 걸쳐지는 제1 걸침부재를 포함하는 제1 장력유지부, 상기 제2 프레임에서 상기 제2 배전선의 끝단이 상기 제1 배전선이 위치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당겨지도록 지지하는 제2 탄성스프링과, 상기 제2 배전선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탄성스프링에 걸쳐지는 제1 걸침부재를 포함하는 제2 장력유지부, 및 상기 점프선연결소켓부의 내부에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배전선 또는 상기 제2 배전선의 단선 시 상기 제1 탄성스프링 또는 상기 제2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점프선연결소켓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걸침부재 또는 제2 걸침부재로부터 가압되어 상기 단자대에서 제1 점프선과 제2 점프선을 분리시키는 단선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단선부재는 상기 제1 걸침부재 또는 상기 제2 걸침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의 하부 양측에서 상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선부재가 하부로 이동 시 상기 점프선연결소켓부와 제1 점프선 및 제2 점프선의 사이로 파고들어 상기 단자대에서 상기 제1 점프선과 상기 제2 점프선을 분리시키는 분리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점프선의 끝단과 상기 제2 점프선의 끝단에는 상기 단자대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연결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배전선과 제2 배전선이 외력에 의해 끊어지면 제1 배전선과 제2 배전선의 끝단에 결합된 제1 걸침부재 또는 제2 걸침부재가 단선부재를 가압하여 단자대에 연결된 제1 점프선과 제2 점프선을 분리함으로써, 끊어진 배전선에 전기공급을 차단하여 활선에 의한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1 장력유지부와 제2 장력유지부에 의해 제1 배전선 및 제2 배전선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제1 배전선의 단선에 의해 점프선이 분리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는 먼저, 전신주(500)에 설치하기 위해 배전선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전선은 여러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각 배전선은 교체 및 장력에 의한 단선을 최소화하도록 전신주(500)에서 전신주(500)를 기준으로 제1 배전선(100)과 제2 배전선(200)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제1 배전선(100)과 제2 배전선(200)은 점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전할 수 있다.
한펴느 본 발명에서의 점프선은 중앙을 기준으로 분할되어 제1 배전선(100)에 연결되는 제1 점프선(150)과 제2 배전선(200)에 연결되는 제2 점프선(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는 제1 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프레임(110)은 전신주(5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 배전선(100)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프레임(110)은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끝단 또는 중앙에 전신주(500)의 둘레를 감싸 고정하도록 밴드부(115)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밴드부(115)는 하기에 설명될 제2 프레임(210)의 밴드부(215)가 전신주(500)를 중앙에 두고 양끝단이 겹쳐져 고정되도록 반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레임(110)에는 복수 개의 제1 배전선(100)이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각각의 제1 배전선(100)의 끝단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부(120)에는 제1 배전선(100)의 끝단이 관통하여 끼워지는 제1 전선끼움공(121)이 가로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고정부(120)에 끼워지기 전의 제1 배전선(100)의 부분에는 제1 프레임(110)과 제1 배전선(100)을 전기적 절연하는 애자(40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정부(120)에는 애자(400)에서 연결된 제1 배전선(100)의 끝단부분이 제1 전선끼움공(121)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제1 프레임(110)으로 전기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배전선(100)의 끝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는 제2 프레임(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제2 프레임(210)은 전신주(500)의 타측에 설치되어 제2 배전선(200)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프레임(210)은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끝단 또는 중앙에 전신주(500)의 둘레를 감싸 고정하도록 밴드부(215)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밴드부는 제1 프레임(110)의 밴드부가(115) 전신주(500)를 중앙에 두고 양끝단이 겹쳐져 고정되도록 반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프레임(210)에는 복수 개의 제2 배전선(200)이 나란하게 이격 설치될 수 있도록 각각의 제1 배전선(100)의 끝단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부(220)에는 제2 배전선(200)의 끝단이 관통하여 끼워지는 제2 전선끼움공(221)이 가로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고정부(220)에 끼워지기 전의 제2 배전선(200)의 부분에는 제2 프레임(210)과 제2 배전선(200)을 전기적 절연하는 애자(40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정부(120)에는 애자(400)에서 연결된 제2 배전선(200)의 끝단부분이 제2 전선끼움공(221)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제2 프레임(210)으로 전기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배전선(200)의 끝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는 점프선연결소켓부(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점프선연결소켓부(300)는 제1 점프선(150)과 제2 점프선(250)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통되도록 제1 점프선(150)과 제2 점프선(250)의 끝단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점프선(150)의 일단은 제1 배전선(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점프선(150)의 타단에는 점프선연결소켓부(300)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마치 전원코드의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코드(151)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점프선(250)도 제1 점프선(150)과 마찬가지로 제2 점프선(250)의 일단은 제2 배전선(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점프선(250)의 타단에는 점프선연결소켓부(300)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마치 전원코드의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코드(251)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점프선연결소켓부(300)는 단자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자대(330)는 제1 점프선(150)의 연결코드(151)와 제2 점프선(250)의 연결코드(251)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서 끼워져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단자대(330)에는 연결코드(151,251)가 마치 전원코드가 콘센트에 끼워지듯이 억지끼움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는 제1 장력유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장력유지부(130)는 제1 프레임(110)에 결합된 제1 배전선(100)의 장력을 탄성력에 의해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장력유지부(130)는 제1 탄성스프링(1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탄성스프링(133)은 제1 고정부(120)의 제1 전선끼움공(121)에 끼워진 제1 배전선(100)을 점프선연결소켓부(300)가 위치된 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당겨 제1 배전선(100)의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탄성스프링(133)은 제1 전선끼움공(121)으로 관통된 끝단에 끼워져 일단이 제1 고정부(120)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장력유지부(130)는 제1 걸침부재(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걸침부재(131)는 제1 전선끼움공(121)을 관통한 제1 배전선(100)의 끝단에 나사체결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걸침부재(131)에는 제1 탄성스프링(133)의 타단이 지지되어 제1 배전선(100)을 탄성력에 의해 점프선연결소켓부(300)가 위치된 방향으로 당겨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걸침부재(131)에서 제1 배전선(100)이 연결되는 반대방향의 끝단은 마치 쐐기 형성과 같이 상부로 갈수록 점점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는 제2 장력유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2 장력유지부(230)는 제2 프레임(210)에 결합된 제2 배전선(200)의 장력을 탄성력에 의해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장력유지부(230)는 제2 탄성스프링(2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제2 탄성스프링(233)은 제2 고정부(220)의 제2 전선끼움공(221)에 끼워진 제2 배전선(200)을 점프선연결소켓부(300)가 위치된 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당겨 제2 배전선(200)의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탄성스프링(233)은 제2 전선끼움공(221)으로 관통된 끝단에 끼워져 일단이 제2 고정부(220)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장력유지부(230)는 제2 걸침부재(2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2 걸침부재(231)는 제2 전선끼움공(221)을 관통한 제2 배전선(200)의 끝단에 나사체결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걸침부재(231)에는 제2 탄성스프링(233)의 타단이 지지되어 제2 배전선(200)을 탄성력에 의해 점프선연결소켓부(300)가 위치된 방향으로 당겨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걸침부재(231)에서 제2 배전선(200)이 연결되는 반대방향의 끝단은 마치 쐐기 형성과 같이 상부로 갈수록 점점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는 단선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선부재(310)는 점프선연결소켓부(300)의 내부에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 시 단자대(330)에 끼워진 제1 점프선(150)과 제2 점프선(250)을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단선부재(310)는 가압부(311)와, 분리돌출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가압부(311)는 제1 배전선(100)과 제2 배전선(200)이 외력에 의해 단락 시 제1 탄성스프링(133) 또는 제2 탄성스프링(233)을 각각 지지하는 제1 걸침부재(131) 또는 제2 걸침부재(231)가 탄성력에 의해 점프선연결소켓부(300)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압되어 점프선연결소켓부(300)에서 단선부재(310)를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가압부(311)는 제1 걸침부재(131)의 경사면 또는 제2 걸침부재(231)의 경사면에 의해 단선부재(310)가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각 경사면과 만나는 경사면이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돌출부(313)는 단선부재(310)가 점프선연결소켓부(300)에서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 시 단자대(330)에서 제1 점프선(150)의 연결코드(151)와 제2 점프선(250)의 연결코드(251)를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분리돌출부(313)는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 시 점프선연결소켓부(300)에서 제1 점프선(150)이 연결되는 부분과 제2 점프선(250)이 연결되는 부분의 사이로 파고들어 단자대(330)에서 제1 점프선(150)과 제2 점프선(250)이 분리될 수 있도록 가압부(311)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분리돌출부(313)는 상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경사면을 갖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점프선(150)의 연결코드(151)와 제2 점프선(250)의 연결코드(251) 각각에는 점프선연결소켓부(300)의 사이로 분리돌출부(313)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 부분에 분리돌출부(313)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플랜지부(153,25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선부재(310)는 점프선연결소켓부(300)에서 제3 탄성스프링(350)의 탄성력에 지지되어 가압부(311)에 가압력이 해재되면, 제3 탄성스프링(350)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는 전신주(500)의 제1 프레임(110)에는 제1 배전선(100)에 끝단이 제1 고정부(120)의 제1 전선끼움공(121)을 관통하는 형태로 끼워지고, 제1 배전선(100)의 끝단에는 제1 배전선(100)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제1 장력유지부(130)가 설치된다.
이때, 제1 장력유지부(130)는 제1 배전선(100)의 끝단에 제1 탄성스프링(133)이 끼워진 상태에서 제1 걸침부재(131)가 결합되어 제1 배전선(100)이 점프선연결소켓부(300)가 위치된 방향으로 제1 탄성스프링(133)의 탄성력에 의해 당겨지는 형태로 제1 배전선(100)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프레임(210)에는 제1 배전선(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배전선(200)의 끝단이 제2 고정부(220)의 제2 전선끼움공(221)을 관통하는 형태로 끼워지고, 제2 배전선(200)의 끝단에는 제2 배전선(200)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제2 장력유지부(230)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2 장력유지부(230)는 제1 장력유지부(130)와 마찬가지로 제2 배전서의 끝단에 제2 탄성스프링(233)이 끼워진 상태에서 제2 걸침부재(231)가 결합되어 제2 배전선(200)이 점프선연결소켓부(300)가 위치된 방향으로 제2 탄성스프링(233)의 탄성력에 의해 당겨지는 형태로 제2 배전선(200)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210)의 사이에는 점프선연결소켓부(300)가 설치되며, 점프선연결소켓부(300)에는 제1 점프선(150)과 제2 점프선(25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대(330)가 하부에 위치되며, 단자대(330)의 상부로는 점프선연결소켓부(300)의 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선부재(310)가 설치된다.
그리고, 단선부재(310)는 상부로 돌출되는 가압부(311)가 제1 걸침부재(131)와 제2 걸침부재(231)의 사이에 위치되며, 가압부(311)의 하부로는 상부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쐐기 형상의 분리돌출부(313)가 단자대(330)에 끼워진 제1 점프선(150)의 연결코드(151)와 제2 점프선(250)의 연결코드(251)가 위치되는 상부에 각각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는 제1 배전선(100) 또는 제2 배전선(200)에 전신주(500)가 넘어지거나, 배전선에 다른 물체가 걸리는 등 과도한 외력이 작용하여 전선이 끊어진다.
제1 배전선(100) 또는 제2 배전선(200)이 끊어지면, 제1 배전선(100) 또는 제2 배전선(200)의 장력을 유지하는 제1 탄성스프링(133) 또는 제2 탄성스프링(233)에 의해 제1 걸침부재(131) 또는 제2 걸침부재(231)가 점프선연결소켓부(300)가 위치된 방향으로 튀어나가 단선부재(310)의 가압부(311)를 가압한다.
한편, 가압부(311)가 제1 걸침부재(131) 또는 제2 걸침부재(231)에 의해 가압되면, 점프선연결소켓부(300)에서 단선부재(310)가 전체적으로 하향이동되고, 하향이동되는 단선부재(310)는 단자대(330)에 결합된 제1 점프선(150)의 연결코드(151)와 제2 점프선(250)의 연결코드(251)가 연결된 사이 부분을 파고들어 단자대(330)에서 제1 점프선(150)과 제2 점프선(250)을 분리하는 형태로 전기적으로 차단한다(도 3 참고).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는 배전선이 외력에 의해 끊어질 경우, 제1 점프선(150)과 제2 점프선(250)이 단락되어 활선에 의해 감전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점프선(150)과 제2 점프선(250)이 연결코드(151,251)에 의해 단자대(330)에 연결되어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장력유지부(130)와 제2 장력유지부(230)에 의해 제1 배전선(100) 및 제2 배전선(200)의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제1 배전선 110: 제1 프레임
115, 215: 밴드부 120: 제1 고정부
130: 제1 장력유지부 131: 제1 걸침부재
133: 제1 탄성스프링 150: 제1 점프선
151,251: 연결코드 153,253: 플랜지부
200: 제2 배전선 210: 제2 프레임 220: 제2 고정부 230; 제2 장력유지부
231: 제2 걸침부재 233: 제2 탄성스프링
250: 제2 점프선 300: 점프선연결소켓부
310: 단선부재 311: 가압부
313: 분리돌출부 330: 단자대
350: 제3 탄성스프링 400: 애자
500: 전신주

Claims (3)

  1. 전신주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 배전선이 결합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전신주의 타측에 배치되어 제2 배전선이 결합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배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점프선과 상기 제2 배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점프선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대를 포함하는 점프선연결소켓부,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상기 제1 배전선의 끝단이 상기 제2 배전선이 위치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당겨지도록 지지하는 제1 탄성스프링과, 상기 제1 배전선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탄성스프링에 걸쳐지는 제1 걸침부재를 포함하는 제1 장력유지부,
    상기 제2 프레임에서 상기 제2 배전선의 끝단이 상기 제1 배전선이 위치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당겨지도록 지지하는 제2 탄성스프링과, 상기 제2 배전선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탄성스프링에 걸쳐지는 제1 걸침부재를 포함하는 제2 장력유지부, 및
    상기 점프선연결소켓부의 내부에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배전선 또는 상기 제2 배전선의 단선 시 상기 제1 탄성스프링 또는 상기 제2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점프선연결소켓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걸침부재 또는 제2 걸침부재로부터 가압되어 상기 단자대에서 제1 점프선과 제2 점프선을 분리시키는 단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선부재는 상기 제1 걸침부재 또는 상기 제2 걸침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 및 상기 단선부재의 하부 양측에서 상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선부재가 하부로 이동 시 상기 점프선연결소켓부와 제1 점프선 및 제2 점프선의 사이로 파고들어 상기 단자대에서 상기 제1 점프선과 상기 제2 점프선을 분리시키는 분리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프선의 끝단과 상기 제2 점프선의 끝단에는 상기 단자대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연결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
KR1020160053492A 2016-04-29 2016-04-29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 KR101666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492A KR101666993B1 (ko) 2016-04-29 2016-04-29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492A KR101666993B1 (ko) 2016-04-29 2016-04-29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6993B1 true KR101666993B1 (ko) 2016-10-17

Family

ID=57250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492A KR101666993B1 (ko) 2016-04-29 2016-04-29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99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854B1 (ko) * 2017-03-29 2017-09-01 (주)광일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지지장치
CN109524936A (zh) * 2019-01-02 2019-03-26 广东南方电信规划咨询设计院有限公司 一种用于通信架空线路中的缆线自脱装置
CN109969866A (zh) * 2017-12-28 2019-07-05 李安 一种电力绕线结构
KR102027381B1 (ko) * 2019-03-27 2019-10-01 주식회사 서우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
KR102029360B1 (ko) 2019-04-12 2019-10-07 유정남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
CN110970854A (zh) * 2019-12-19 2020-04-07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配电网规划的配电网架
KR102103859B1 (ko) * 2020-02-27 2020-04-24 (주)성문기술단 가공송전선로간 간격유지 고정장치
KR102417248B1 (ko) * 2021-08-26 2022-07-06 주식회사 김이지엔지니어링 판스프링을 이용한 배전용 전선의 고정식 애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9906A (ja) * 1999-04-09 2000-10-24 Mitsubishi Electric Corp 送電線におけるジャンパ線開放装置
KR101357282B1 (ko) * 2013-09-12 2014-01-28 노영철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9906A (ja) * 1999-04-09 2000-10-24 Mitsubishi Electric Corp 送電線におけるジャンパ線開放装置
KR101357282B1 (ko) * 2013-09-12 2014-01-28 노영철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854B1 (ko) * 2017-03-29 2017-09-01 (주)광일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지지장치
CN109969866A (zh) * 2017-12-28 2019-07-05 李安 一种电力绕线结构
CN109524936A (zh) * 2019-01-02 2019-03-26 广东南方电信规划咨询设计院有限公司 一种用于通信架空线路中的缆线自脱装置
CN109524936B (zh) * 2019-01-02 2024-02-02 广东南方电信规划咨询设计院有限公司 一种用于通信架空线路中的缆线自脱装置
KR102027381B1 (ko) * 2019-03-27 2019-10-01 주식회사 서우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
KR102029360B1 (ko) 2019-04-12 2019-10-07 유정남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
CN110970854A (zh) * 2019-12-19 2020-04-07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配电网规划的配电网架
CN110970854B (zh) * 2019-12-19 2021-03-30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配电网规划的配电网架
KR102103859B1 (ko) * 2020-02-27 2020-04-24 (주)성문기술단 가공송전선로간 간격유지 고정장치
KR102417248B1 (ko) * 2021-08-26 2022-07-06 주식회사 김이지엔지니어링 판스프링을 이용한 배전용 전선의 고정식 애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6993B1 (ko)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
KR101522011B1 (ko) 전기안전사고 방지형 지중 배전선로 접속구조물
KR101523289B1 (ko) 감전위험을 줄일 수 있는 가공 배전선로 전용 절연애자
KR101700919B1 (ko) 전주에 케이블을 인장하여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고정 클램프
KR101199520B1 (ko) 송전 철탑용 가공 송전선 장력 완화 장치
US20190011657A1 (en) Mechanical fuse for use with overhead telecommunications cable
KR101906580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
CN104505766A (zh) 一种带电更换变电站500kV耐张绝缘子串的工具及方法
JP2008178280A (ja) ケーブル留め具
KR101573004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지지형 애자
KR100951147B1 (ko) 특고압 지중전선 배전대
KR101572946B1 (ko) 통신 케이블용 다중 클램프
KR101920193B1 (ko) 가공배전용 애자설치를 위한 쇄클기구
KR101070510B1 (ko) 통신 및 전기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
KR101597610B1 (ko)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KR100935939B1 (ko) 가공송전선용 송전선의 인입용 커넥터
CN215644368U (zh) 一种防偏转的带电安装令克固定套
KR101947683B1 (ko) 배전선 처리용 절연 랙크
KR101571449B1 (ko) 송배전 케이블을 결속하는 결속장치
KR101262640B1 (ko)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CN203014315U (zh) 一种终端线夹
KR101870966B1 (ko) 특고압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EP3609029B1 (en) Clamp for a wire of an overhead line and method for tightening a wire of an overhead line
KR101736175B1 (ko) 절연스틱 및 공사용 개폐기를 이용한 사선작업 공간확보 무정전 공법
KR101924034B1 (ko)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보호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