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360B1 -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360B1
KR102029360B1 KR1020190043102A KR20190043102A KR102029360B1 KR 102029360 B1 KR102029360 B1 KR 102029360B1 KR 1020190043102 A KR1020190043102 A KR 1020190043102A KR 20190043102 A KR20190043102 A KR 20190043102A KR 102029360 B1 KR102029360 B1 KR 102029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ension
telephone pole
fixing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남
Original Assignee
유정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남 filed Critical 유정남
Priority to KR1020190043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 침하에 따른 전신주의 높이 변화로 인해 해당 전신주 및 그에 가설된 배전선에 장력 이상이 발생된 경우, 해당 전신주의 지면에 대한 고정 상태는 그대로 두면서 해당 전신주의 지면과 인접한 하부 지점에서 높이를 조정하여 해당 전신주 및 그에 가설된 배전선의 장력 이상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하는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는 전신주 본체, 승하강 서포트, 고정 서포트, 높이 조정 유닛, 전신주 베이스, 제1 고정볼트, 제2 고정볼트 및 서포트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는 장력 감지 센서,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제어부 및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Tension maintenance apparatus for the electric pole of electric power line}
본 발명은 지반 침하에 따른 전신주의 높이 변화로 인해 해당 전신주 및 그에 가설된 배전선에 장력 이상이 발생된 경우, 해당 전신주의 지면에 대한 고정 상태는 그대로 두면서 해당 전신주의 지면과 인접한 하부 지점에서 높이를 조정하여 해당 전신주 및 그에 가설된 배전선의 장력 이상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하는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생된 대전력은 송전탑 등의 송전선로를 통해 각 변전소로 송전된 다음. 변전소에서 여러 단계의 변압 과정을 거쳐 각 가정 또는 건물 등의 수용가로 배전된다.
그리고 배전은 전신주에 지지되는 가공배전선 또는 지중에 설치되는 지중배전선을 통해 이루어진다.
가공배전선을 이용하는 배전 구조 및 방식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일반 수용가를 대상으로 가공배전선에 의한 전력 공급은 전신주에 애자를 매개로 고정된 가공배전선을 통해 이루어지고, 각 가공배전선은 점퍼선으로 연결된다.
즉, 전신주에 연결하고자 하는 가공배전선은 전신주에 고정된 완금의 상단 양측에 설치되는 애자를 통해 고정하고, 이와 같이 고정된 가공배전선은 점퍼선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여기서, 바람, 눈 등의 기후적인 영향, 기온 변화에 따른 가공배전선 자체의 팽창 및 수축 또는 지반 침하 현상 등에 의해서 전신주를 중심으로 가공배전선에 장력 변화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장력 변화가 심할 경우 가공배전선 및 전신주의 애자 간 고정 부위 또는 가공배전선 및 점퍼선 간의 접속 부위에 이상이 발생되면서 수용가로의 전력 공급에 차질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최근 들어 기후 변화가 심해지면서 폭우 현상이 잦고, 이에 더하여 지하철 노선 확대 등에 따른 잦은 터널 공사 등으로 인해 도심지의 지반을 중심으로 그 침하 현상이 발생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도심지의 전신주를 주요 대상으로 그 주변의 지반 침하 시 해당 가공배전선의 장력이 순간적으로 크게 변하지 않으면서 일정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869715호(2018.06.21.공고.), “가공 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한국 등록특허 제10-1666993호(2016.10.17.공고.),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 한국 등록특허 제10-1746371호(2017.06.14.공고.), “배전선로 지지를 위한 지지기구”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지반 침하에 따른 전신주의 높이 변화로 인해 해당 전신주 및 그에 가설된 배전선에 장력 이상이 발생된 경우, 해당 전신주의 지면에 대한 고정 상태는 그대로 두면서 해당 전신주의 지면과 인접한 하부 지점에서 높이를 조정하여 해당 전신주 및 그에 가설된 배전선의 장력 이상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하는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는, 하부에 둘레를 따라 복수의 고정홈(11)이 형성되는 전신주 본체(10)와; 상기 전신주 본체(10)의 하부가 삽입되는 제1 인입홈(21)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신주 본체(10)의 하부가 상기 제1 인입홈(21)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전신주 본체(10)의 고정홈(11)들과 개별적으로 대응되어 해당 고정홈(11)과 연결되는 복수의 나사홀(22)이 상측 측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하부에 제2 인입홈(23)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인입홈(23)의 상면 둘레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홈(24)이 상기 제2 인입홈(23)의 상면 둘레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승하강 서포트(20)와; 상기 승하강 서포트(20)의 상기 나사홀(22)을 통해 상기 전신주 본체(10)의 상기 고정홈(11) 및 상기 나사홀(22)의 내측에 걸치는 상태로 삽입되어 상기 승하강 서포트(20)를 상기 전신주 본체(10)의 하부에 고정하는 복수의 제1 고정볼트(60)와; 상기 승하강 서포트(20)의 상기 결합홈(24)들과 개별 대응되는 복수의 결합돌기(31)가 상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각각의 결합돌기(31)가 그에 대응되는 상기 결합홈(24)에 삽입되는 상태로 상부가 상기 승하강 서포트(20)의 제2 인입홈(23)에 삽입되며, 상기 승하강 서포트(20)의 하단과 소정 거리 이격된 하단에는 외향 플랜지부(32)가 형성되되, 상기 외향 플랜지부(32)는 그 둘레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나사홀(32a)이 그 둘레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지름이 상기 승하강 서포트(20)의 하면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며, 하부를 개방한 중공형의 고정 서포트(30)와; 상기 승하강 서포트(20)의 하면 및 상기 고정 서포트(30)의 외향 플랜지부(32) 사이에 상기 고정 서포트(3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하나 또는 둘 이상 적층 설치되어 상기 전신주 본체(10)의 높이를 조정하며, 각각은 반원형의 본체(41a) 및 상기 본체(41a)의 길이방향 양단에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결합 플랜지(41b)가 각각 형성되는 제1 클램프 부재(41)와, 상기 제1 클램프 부재(41)와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2 클램프 부재(42)와, 상기 제1 클램프 부재(41) 및 제2 클램프 부재(42)를 상기 제1 클램프 부재(41) 및 제2 클램프 부재(42)의 상기 결합 플랜지(41b,42b)를 통해 상호 결합시키는 조임볼트(43)와 조임너트(44)를 포함하는 복수의 높이 조정 유닛(40)과; 상기 고정 서포트(3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부가 상기 고정 서포트(30)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 서포트(30)의 내측에 상부가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 서포트(30)의 상기 나사홀(32a)들과 개별적으로 대응되어 해당 나사홀(32a)과 연결되는 복수의 고정홈(51)이 상측 측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하부가 지면에 고정되는 전신주 베이스(50)와; 상기 고정 서포트(30)의 상기 나사홀(32a)을 통해 상기 전신주 베이스(50)의 고정홈(51) 및 상기 고정 서포트(30)의 나사홀(32a) 내측에 걸치는 상태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 서포트(30)를 상기 전신주 베이스(50)의 상부에 고정하는 복수의 제2 고정볼트(70); 및 상기 승하강 서포트(20)와 고정 서포트(30)를 결합하는 서포트 결합수단(80);을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 서포트(20) 및 전신주 본체(10)에 대한 상승 외력이 상기 고정 서포트(30)의 외향 플랜지부(32)보다 바깥쪽에 위치되는 상기 승하강 서포트(20)의 하면 둘레를 통해 가해지고, 상기 승하강 서포트(20)의 하면 및 상기 고정 서포트(30)의 외향 플랜지부(32)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높이 조정 유닛(40)의 설치 개수에 따라 상기 전신주 본체(10)의 높이가 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지반 침하에 따른 전신주의 높이 변화로 인해 해당 전신주 및 그에 가설된 배전선에 장력 이상이 발생된 경우, 해당 전신주의 지면에 대한 고정 상태는 그대로 두면서 해당 전신주의 지면과 인접한 하부 지점에서 높이를 조정하여 해당 전신주 및 그에 가설된 배전선의 장력 이상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를 분해된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를 결합된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에서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의 사용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를 분해된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를 결합된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에서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는 전신주 본체(10), 승하강 서포트(20), 고정 서포트(30), 높이 조정 유닛(40), 전신주 베이스(50), 제1 고정볼트(60), 제2 고정볼트(70) 및 서포트 결합수단(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는 장력 감지 센서(91),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92),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93), 제어부(94) 및 무선통신모듈(9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신주 본체(10)는 하부에 둘레를 따라 복수의 고정홈(11)이 형성된다. 이러한 전신주 본체(10)는 해당 전신주의 본체를 형성하는 부분이며, 따라서 전신주 본체(10)의 상부에 완철, 애자 등이 설치되어 배전선이 가설된다. 그리고 상기 완철, 애자 및 이를 통한 배전선의 가설은 주지관용의 기술에 해당되므로,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였다.
승하강 서포트(20)는 전신주 본체(10)의 하부가 삽입되는 제1 인입홈(21)이 상부에 형성되고, 전신주 본체(10)의 하부가 제1 인입홈(21)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전신주 본체(10)의 고정홈(11)들과 개별적으로 대응되어 해당 고정홈(11)과 연결되는 복수의 나사홀(22)이 상측 측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전신주 본체(10)는 하부에 제2 인입홈(23)이 형성되고, 이러한 제2 인입홈(23)의 상면 둘레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홈(24)이 제2 인입홈(23)의 상면 둘레를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제1 고정볼트(60)는 복수로 설치되는 것으로써, 이러한 제1 고정볼트(60)는 승하강 서포트(20)의 나사홀(22)을 통해 전신주 본체(10)의 고정홈(11) 및 나사홀(22)의 내측에 걸치는 상태로 삽입되어 승하강 서포트(20)를 전신주 본체(10)의 하부에 고정한다.
고정 서포트(30)는 하부를 개방한 중공형 구조로써, 이러한 고정 서포트(30)는 승하강 서포트(20)의 결합홈(24)들과 개별 대응되는 복수의 결합돌기(31)가 상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각각의 결합돌기(31)가 그에 대응되는 결합홈(24)에 삽입되는 상태로 상부가 승하강 서포트(20)의 제2 인입홈(23)에 삽입된다. 그리고 고정 서포트(30)는 승하강 서포트(20)의 하단과 소정 거리 이격된 하단에 외향 플랜지부(32)가 형성되되, 이러한 외향 플랜지부(32)는 그 둘레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나사홀(32a)이 그 둘레를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또한, 고정 서포트(30)는 외향 플랜지부(32)의 지름이 승하강 서포트(20)의 하면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높이 조정 유닛(40)은 승하강 서포트(20)의 하면 및 고정 서포트(30)의 외향 플랜지부(32) 사이에 고정 서포트(3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하나 또는 둘 이상 적층 설치되며, 이러한 높이 조정 유닛(40)은 전신주 본체(10)의 높이를 조정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각각의 높이 조정 유닛(40)은 반원형의 본체(41a) 및 이러한 본체(41a)의 길이방향 양단에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결합 플랜지(41b)가 각각 형성되는 제1 클램프 부재(41), 제1 클램프 부재(41)와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2 클램프 부재(42), 제1 클램프 부재(41) 및 제2 클램프 부재(42)를 제1 클램프 부재(41)와 제2 클램프 부재(42)의 결합 플랜지(41b,42b)를 통해 상호 결합시키는 조임볼트(43) 및 조임너트(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신주 베이스(50)는 고정 서포트(3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부가 고정 서포트(30)의 내측에 삽입되며, 고정 서포트(30)의 내측에 상부가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고정 서포트(30)의 나사홀(32a)들과 개별적으로 대응되어 해당 나사홀(32a)과 연결되는 복수의 고정홈(51)이 상측 측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전신주 베이스(50)는 하부가 지면에 고정된다.
제2 고정볼트(70)는 복수로 설치되는 것으로써, 이러한 제2 고정볼트(70)는 고정 서포트(30)의 나사홀(32a)을 통해 전신주 베이스(50)의 고정홈(51) 및 고정 서포트(30)의 나사홀(32a) 내측에 걸치는 상태로 삽입되어 고정 서포트(30)를 전신주 베이스(50)의 상부에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서포트 결합수단(80)은 승하강 서포트(20)와 고정 서포트(30)를 결합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서포트 결합수단(80)은 상술한 제1 고정볼트 내지 제2 고정볼트를 이용한 고정 방식처럼 승하강 서포트 및 고정 서포트에 각각 나사홀을 형성하여 볼트 결합하는 방식 또는 결속 및 고정 기능의 스트랩을 이용하는 결합 방식 등 공지된 기술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바,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였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승하강 서포트(20) 및 전신주 본체(10)에 대한 상승 외력이 고정 서포트(30)의 외향 플랜지부(32)보다 바깥쪽에 위치되는 승하강 서포트(20)의 하면 둘레를 통해 가해지고, 승하강 서포트(20)의 하면 및 고정 서포트(30)의 외향 플랜지부(32) 사이에 설치되는 높이 조정 유닛(40)의 설치 개수에 따라 전신주 본체(10)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게 된다.
장력 감지 센서(91)는 전신주 본체(10)의 상부에 가설되는 배전선(미도시)의 장력을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장력 감지 센서(91)는 공지된 기술을 통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바,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였다.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92)은 장력 감지 센서(91)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를 전송받아 이어서 설명되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93)에 무선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93)은 고정 서포트(30)의 외향 플랜지부(32)에 설치되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92)로부터 수신되는 장력 감지 센서(91)의 신호를 이어서 설명되는 제어부(94)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94)는 고정 서포트(30)의 외향 플랜지부(32)에 설치되며, 전신주 본체(10)에 가설된 배전선의 장력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임계장력 및 임계시간이 설정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94)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93)을 통해 전송되는 장력 감지 센서(91)의 신호가 기설정된 상기 임계장력의 범위를 벗어나는 동시에 이렇게 임계장력의 범위를 벗어나는 장력 감지 센서(91)의 신호가 상기 임계시간을 초과하여 지속될 경우, 해당 배전선의 장력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배전선의 장력 이상을 알리기 위한 이상신호를 생성 후 이어서 설명되는 무선통신모듈(95)에 전송한다.
무선통신모듈(95)은 제어부(94)를 통해 전송되는 배전선의 장력 이상신호를 배전선로를 통합 관리하는 통합관제센터 내지 해당 관리자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등에 무선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해당 배전선에 장력 이상이 발생된 원인을 확인하고, 그 원인이 지반 침하에 따른 것이면, 높이 조정 유닛(40)의 높이 조정 기능을 통해 전신주 본체(10)의 높이를 조정하여 해당 배전선의 장력 이상을 해소시키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의 사용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유압실린더(1000) 내지 공압실린더를 통해 승하강 서포트(20)에 상승 외력을 가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승하강 서포트(20)의 하면 둘레에 상승 외력을 가하여 승하강 서포트(20) 및 전신주 본체(10)를 승강시켜 일정 시간 유지시킬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의 실시 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는, 지반 침하에 따른 전신주의 높이 변화로 인해 해당 전신주 및 그에 가설된 배전선에 장력 이상이 발생된 경우, 해당 전신주의 지면에 대한 고정 상태는 그대로 유지되면서 해당 전신주의 지면과 인접한 하부 지점에서 높이가 조정되어 해당 전신주 및 그에 가설된 배전선의 장력 이상이 해소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전신주 본체 11 : 고정홈
20 : 승하강 서포트 21 : 제1 인입홈
22 : 나사홀 23 : 제2 인입홈
24 : 결합홈 30 : 고정 포스트
31 : 결합돌기 32 : 외향 플랜지부
32a : 나사홀 40 : 높이 조정 유닛
41 : 제1 클램프 부재 41a : 본체
41b : 결합 플랜지 42 : 제2 클램프 부재
42b : 결합 플랜지 43 : 조임볼트
44 : 조임너트 50 : 전신주 베이스
51 : 고정홈 60 : 제1 고정볼트
70 : 제2 고정볼트 80 : 서포트 결합수단
91 : 장력 감지 센서 92 :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93 :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94 : 제어부
95 : 무선통신모듈 1000 : 유압실린더

Claims (1)

  1. 하부에 둘레를 따라 복수의 고정홈(11)이 형성되는 전신주 본체(10);
    상기 전신주 본체(10)의 하부가 삽입되는 제1 인입홈(21)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신주 본체(10)의 하부가 상기 제1 인입홈(21)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전신주 본체(10)의 고정홈(11)들과 개별적으로 대응되어 해당 고정홈(11)과 연결되는 복수의 나사홀(22)이 상측 측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하부에 제2 인입홈(23)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인입홈(23)의 상면 둘레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홈(24)이 상기 제2 인입홈(23)의 상면 둘레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승하강 서포트(20);
    상기 승하강 서포트(20)의 상기 나사홀(22)을 통해 상기 전신주 본체(10)의 상기 고정홈(11) 및 상기 나사홀(22)의 내측에 걸치는 상태로 삽입되어 상기 승하강 서포트(20)를 상기 전신주 본체(10)의 하부에 고정하는 복수의 제1 고정볼트(60);
    상기 승하강 서포트(20)의 상기 결합홈(24)들과 개별 대응되는 복수의 결합돌기(31)가 상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각각의 결합돌기(31)가 그에 대응되는 상기 결합홈(24)에 삽입되는 상태로 상부가 상기 승하강 서포트(20)의 제2 인입홈(23)에 삽입되며, 상기 승하강 서포트(20)의 하단과 소정 거리 이격된 하단에는 외향 플랜지부(32)가 형성되되, 상기 외향 플랜지부(32)는 그 둘레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나사홀(32a)이 그 둘레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지름이 상기 승하강 서포트(20)의 하면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며, 하부를 개방한 중공형의 고정 서포트(30);
    상기 승하강 서포트(20)의 하면 및 상기 고정 서포트(30)의 외향 플랜지부(32) 사이에 상기 고정 서포트(3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하나 또는 둘 이상 적층 설치되어 상기 전신주 본체(10)의 높이를 조정하며, 각각은 반원형의 본체(41a) 및 상기 본체(41a)의 길이방향 양단에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결합 플랜지(41b)가 각각 형성되는 제1 클램프 부재(41)와, 상기 제1 클램프 부재(41)와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2 클램프 부재(42)와, 상기 제1 클램프 부재(41) 및 제2 클램프 부재(42)를 상기 제1 클램프 부재(41) 및 제2 클램프 부재(42)의 상기 결합 플랜지(41b,42b)를 통해 상호 결합시키는 조임볼트(43)와 조임너트(44)를 포함하는 복수의 높이 조정 유닛(40);
    상기 고정 서포트(3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부가 상기 고정 서포트(30)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 서포트(30)의 내측에 상부가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 서포트(30)의 상기 나사홀(32a)들과 개별적으로 대응되어 해당 나사홀(32a)과 연결되는 복수의 고정홈(51)이 상측 측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하부가 지면에 고정되는 전신주 베이스(50);
    상기 고정 서포트(30)의 상기 나사홀(32a)을 통해 상기 전신주 베이스(50)의 고정홈(51) 및 상기 고정 서포트(30)의 나사홀(32a) 내측에 걸치는 상태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 서포트(30)를 상기 전신주 베이스(50)의 상부에 고정하는 복수의 제2 고정볼트(70); 및
    상기 승하강 서포트(20)와 고정 서포트(30)를 결합하는 서포트 결합수단(80);
    상기 전신주 본체(10)의 상부에 가설되는 배전선(미도시)의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 감지 센서(91);
    상기 장력 감지 센서(91)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를 전송받아 외부의 수신 대상에 무선 전송하는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92);
    상기 고정 서포트(30)의 외향 플랜지부(32)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92)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장력 감지 센서(91)의 신호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93);
    상기 고정 서포트(30)의 외향 플랜지부(32)에 설치되며, 상기 전신주 본체(10)의 상부에 가설된 배전선의 장력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임계장력 및 임계시간이 설정되고,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93)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장력 감지 센서(91)의 신호가 기설정된 상기 임계장력의 범위를 벗어나는 동시에 이렇게 임계장력의 범위를 벗어나는 상기 장력 감지 센서(91)의 신호가 상기 임계시간을 초과하여 지속될 경우, 해당 배전선의 장력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배전선의 장력 이상을 알리기 위한 이상신호를 생성 후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제어부(94); 및
    상기 제어부(94)를 통해 전송되는 배전선의 장력 이상신호를 배전선로를 통합 관리하는 통합관제센터 내지 해당 관리자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에 무선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95)을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 서포트(20) 및 전신주 본체(10)에 대한 상승 외력이 상기 고정 서포트(30)의 외향 플랜지부(32)보다 바깥쪽에 위치되는 상기 승하강 서포트(20)의 하면 둘레를 통해 가해져 상기 승하강 서포트(20) 및 전신주 본체(10)의 승강 상태가 일정 시간 유지되면서 상기 승하강 서포트(20)의 하면 및 상기 고정 서포트(30)의 외향 플랜지부(32)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높이 조정 유닛(40)의 설치 개수에 따라 상기 전신주 본체(10)의 높이가 조정되는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
KR1020190043102A 2019-04-12 2019-04-12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 KR102029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102A KR102029360B1 (ko) 2019-04-12 2019-04-12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102A KR102029360B1 (ko) 2019-04-12 2019-04-12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360B1 true KR102029360B1 (ko) 2019-10-07

Family

ID=68422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102A KR102029360B1 (ko) 2019-04-12 2019-04-12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3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6770A (zh) * 2021-11-11 2022-03-08 安徽明诚电力设备安装有限公司 一种高位电力设备辅助维护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124B1 (ko) * 2008-01-31 2008-07-18 세정감리(주) 다단 조립식 송전 및 배전선로 전주
KR20090000410U (ko) * 2007-07-11 2009-01-15 부광기업(주) 가로등지주 연결부재
KR101666993B1 (ko) 2016-04-29 2016-10-17 주식회사 선화이앤씨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
KR101746371B1 (ko) 2016-12-01 2017-06-14 변석훈 배전선로 지지를 위한 지지기구
KR101869715B1 (ko) 2017-10-30 2018-06-21 (주)인곡기술사사무소 가공 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KR101926365B1 (ko) * 2017-04-05 2018-12-07 (주)혜광 특고압 배전선로의 인입주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410U (ko) * 2007-07-11 2009-01-15 부광기업(주) 가로등지주 연결부재
KR100847124B1 (ko) * 2008-01-31 2008-07-18 세정감리(주) 다단 조립식 송전 및 배전선로 전주
KR101666993B1 (ko) 2016-04-29 2016-10-17 주식회사 선화이앤씨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
KR101746371B1 (ko) 2016-12-01 2017-06-14 변석훈 배전선로 지지를 위한 지지기구
KR101926365B1 (ko) * 2017-04-05 2018-12-07 (주)혜광 특고압 배전선로의 인입주 장치
KR101869715B1 (ko) 2017-10-30 2018-06-21 (주)인곡기술사사무소 가공 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6770A (zh) * 2021-11-11 2022-03-08 安徽明诚电力设备安装有限公司 一种高位电力设备辅助维护装置
CN114156770B (zh) * 2021-11-11 2023-09-08 安徽明诚电力设备安装有限公司 一种高位电力设备辅助维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214B1 (ko) 전주의 가공선로 고정용 지지애자
KR101585222B1 (ko)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KR101651848B1 (ko) 공동주택 지중전력 케이블 방호장치
KR102160999B1 (ko)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 시스템
US8941502B2 (en) Catenary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1894913B1 (ko) 특별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지지대
KR102029360B1 (ko)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
KR102218220B1 (ko) 배전선로의 전력 감시 시스템
KR102536095B1 (ko) 가공배전선로의 선로간 간극 유지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101907B1 (ko) 스페이서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 선로 온도 감시 시스템
KR100933937B1 (ko) 특고압용 가공배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배전플레이트
CA2235240A1 (en) Transmission conduit and method of installation of same
KR101475264B1 (ko)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
KR102213565B1 (ko) 배전선로 무인 통합관리시스템
KR102178966B1 (ko)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
KR102618398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습도 감지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KR102386410B1 (ko) 변압기에 접속된 가공배전용 케이블 낙뢰방지 안정화 장치
US11619062B2 (en) Utility structure with retractable mast
KR200468964Y1 (ko) 케이블 장력 인장클램프 장치
KR20180102324A (ko) 익스텐션암 및, 이를 활용한 송전탑의 시공방법
EP2381550B1 (en) Cable conduit
KR101024898B1 (ko)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KR102561481B1 (ko) 배전용 전신주의 수평 유지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820121B1 (ko) 특고압 배전 가공전선의 연결 애자
KR102656000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배선 배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