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264B1 -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 - Google Patents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5264B1 KR101475264B1 KR20140082371A KR20140082371A KR101475264B1 KR 101475264 B1 KR101475264 B1 KR 101475264B1 KR 20140082371 A KR20140082371 A KR 20140082371A KR 20140082371 A KR20140082371 A KR 20140082371A KR 101475264 B1 KR101475264 B1 KR 1014752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vating
- distribution line
- fixed
- electric pole
- li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4—Arrangements or devices for relieving mechanical ten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의 양 변에 세워진 전주 사이에 도로변을 따라 도로변 가공배전선을 지지함과 아울러 도로 양 변에 세워진 전주 사이에 도로를 횡단하여 차도횡단 가공배전선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도로변 가공배전선을 애자를 통해 전주에 지지하기 위한 완철과; 상기 차도횡단 가공배전선을 애자를 통해 지지하기 위한 전주에 지지하기 위한 완철과; 상기 완철을 승강시키는 가공배전선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적재 높이가 높은 차량이 해당 구간을 통과할 때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가공배전선을 상승시켜 차도횡단 가공배전선이 적재물에 대하여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함으로써 해당 구간에 대한 단전 조치나 장시간에 걸친 교통통제 없이 조립식 보도육교를 당일에 신속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케이블에 대한 가공배전선을 전주에 절연상태로 지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로의 양측에 세워진 전주 사이에 도로를 횡단하여 지지되는 차도횡단 가공배전선을 승강시킴으로써 육교를 구성하는 반조립 육교구조물이나 대형 선박 등이 적재되어 적재높이가 높은 차량이 통과할 수 있게 하여 해당 구간의 단전이나 장시간의 교통통제 없이 조립식 육교를 당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대전력은 송전탑 등의 송전선로를 통해 고압의 전력으로 각 변전소로 송전된 다음, 각 변전소에서는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쳐 각 가정 또는 사업장 등의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케이블을 이용하여 각 지역으로 공급하게 되는 배전과정을 거치게 된다.
배전과정의 최종 단계인 각 수용가에 대한 전력공급을 위하여 도로의 양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전신주가 세워지며, 각 전신주에는 절연 완철을 설치하여 인접하는 전신주의 절연 완철에 고정되는 애자에 가공배전선의 양단을 연결하고, 전신주의 양측에 연결된 가공배전선을 점퍼선에 의하여 연결한다.
또한 전력수용가의 분포와 도로의 상황에 따라서는 도로의 양측에 세워진 전주 사이에 도로를 횡단하여 지지되는 차도횡단 가공배전선이 설치되기도 한다.
차도횡단 가공배전선은 적재높이가 매우 높은 차량이 해당 구간을 통과하는 데에 지장을 주게 된다.
최근 보도육교를 설치함에 있어서 당일 설치가 가능하여 교통통제 시간을 줄이는 등 공사로 인한 불편을 최소화하는 보도육교의 당일 설치기술이 개발 및 시공되고 있었다.
보도육교의 당일 설치기술은 육교 구조물을 공장에서 몇 개의 반조립 육교구조물로 제작하고, 트레일러로 설치 현장에 운반하여 조립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보도육교의 당일 설치기술은 반조립 육교구조물이 적재된 트레일러의 적재높이가 매우 높기 때문에 반조립 육교구조물이 차도횡단 가공배전선에 걸릴 수 있어 차도횡단 가공배전선의 단선, 애자 등의 파손, 그리고 심한 경우 전주의 전도 등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보도육교 당일 설치기술을 시행함에 있어서는 반조립 육교구조물이 적재된 차량이 통과할 수 있도록 차도횡단 가공배전선을 미리 탈거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하여 주변 전력수용가에 대한 단전이 불가피하게 되어 또 다른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과 관련한 선행기술로서는 상면에 임의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배치되는 스토퍼를 갖추고서, 전주의 상부에 설치고정되는 장착대와; 길이방향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결속재를 매개로 제1송전선과 제2송전선을 각각 고정하는 애자와,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갖추고서, 장착대의 가이드레일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설치바와; 한 쌍의 설치바 사이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설치바를 일 방향으로 탄발 지지하는 한 쌍의 스프링과; 내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제1송전선과 제2송전선이 각각 내부로 인입되는 송전선삽입홀과, 길이방향의 외면에 형성되어 고정용볼트가 결합되는 체결공이 구비된 절연재질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송전선삽입홀 중간에 배치되어 제1송전선과 제2송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금속관을 갖춘 전선연결장치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제1송전선과 제2송전선을 전선연결장치를 통해 상호 연결시켜 줌으로서, 제1송전선과 제2송전선의 연결부분을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착대에 설치바와 스프링을 설치하여 줌으로서, 온도변화에 따른 가공전선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가공전선이 애자에서 이탈되거나 끊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비교적 구성이 간단하고, 조립이 손쉬워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가공송전선용 송전선의 인입용 커넥터"가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093593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가공송전선용 송전선의 인입용 커넥터는 기온 변환에 따른 송전선의 신축 변화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보상하는 것일 뿐 차도횡단 가공배전선이 있는 구간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는 일측에 수평하게 관통되며, 관통된 내주면에 돌부가 마련된 가이드홈을 갖추고서, 전주의 외면에 밴드부재를 매개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가이드부재를 매개로 한 쌍의 지지대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랙과; 내주면에 상호 대향되는 좌나사탭과 우나사탭을 갖추고서, 한 쌍의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어 랙과 맞물려 회전되는 제1피니언과; 가공배전선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애자와,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좌나선 또는 우나선을 갖는 나사부를 갖추고서, 가이드홈의 돌부에 삽입되어 제1피니언과 체결되며, 제1피니언의 정역회전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부재와; 한 쌍의 지지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주변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온도 값을 출력하는 온도센서와; 온도센서로부터 온도 값을 입력받아 구동모터로 정역회전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랙과 맞물리는 제2피니언을 갖추고서, 한 쌍의 지지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제어부로부터 정역회전신호를 입력받아 제2피니언을 정역으로 강제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가공배전선이 온도변화에 의해 처지거나 또는 수축되어 애자로부터 이탈되거나 끊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변화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길이조절 완철"이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0980389호(2010.08.31.)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종래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관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지면에 수직하게 입설되는 지주와; 일측에 수평하게 관통되며 관통된 내주면에 돌부가 마련된 가이드홈을 갖추고서, 지주의 외면에 밴드부재를 매개로 설치되는 한 쌍의 완철과; 가이드부재를 매개로 한 쌍의 완철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랙과; 내주면에 상호 대향되는 좌나사탭과 우나사탭을 갖추고서, 완철의 가이드홈 사이에 배치되어 랙과 맞물려 회전되는 제1피니언과; 제1가공배전선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애자와,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좌나선 또는 우나선을 갖는 나사부를 갖추고서, 가이드홈의 돌부에 삽입되어 제1피니언과 체결되며, 제1피니언의 정역회전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부재와; 한 쌍의 완철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주변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온도 값을 출력하는 온도센서와; 온도센서로부터 온도 값을 입력받아 구동모터로 정역회전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랙과 맞물리는 제2피니언을 갖추고서, 한 쌍의 완철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제어부로부터 정역회전신호를 입력받아 제2피니언을 정역으로 강제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지주의 외면에 감착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1탄성패드와, 제1탄성패드의 외면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 제1가공배전선으로부터 인출되어 지중으로 매립되게 설치되는 제2가공배전선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지지돌부가 구비된 가공배전선고정부, 제1탄성패드의 외면에 고정되어 제2가공배전선을 억류하고 있는 제1탄성패드의 지지돌부를 감착하면서 외력으로부터 제2가공배전선을 보호할 수 있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2탄성패드가 구비된 가공배전선보호부를 갖춘 감전방지용 보호부재를 포함하여 제1가공배전선이 온도변화에 의해 처지거나 또는 수축되어 애자로부터 이탈되거나 끊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 조립이 쉽고 간편하며, 수리 및 교체가 상당히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감전사고방지를 위한 가공배전선 지주전주"가 특허 등록 제10-0987424호(2010.10.06.)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종래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과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지면에 수직하게 입설되는 전주와; 일측에 수평하게 관통되며 관통된 내주면에 돌부가 마련된 가이드홈을 갖추고서, 전주의 외면에 밴드부재를 매개로 설치되는 한 쌍의 완철과; 가이드부재를 매개로 한 쌍의 완철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랙과; 내주면에 상호 대향되는 좌나사탭과 우나사탭을 갖추고서, 완철의 가이드홈 사이에 배치되어 랙과 맞물려 회전되는 제1피니언과; 제1가공배전선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애자와,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좌나선 또는 우나선을 갖는 나사부를 갖추고서, 가이드홈의 돌부에 삽입되어 제1피니언과 체결되며, 제1피니언의 정역회전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부재와; 한 쌍의 완철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주변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온도 값을 출력하는 온도센서와; 온도센서로부터 온도 값을 입력받아 구동모터로 정역회전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랙과 맞물리는 제2피니언을 갖추고서, 한 쌍의 완철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제어부로부터 정역회전신호를 입력받아 제2피니언을 정역으로 강제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전주의 외면에 감착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1탄성패드와, 제1탄성패드의 외면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 제1가공배전선으로부터 인출되어 지중으로 매립되게 설치되는 제2가공배전선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지지돌부가 구비된 가공배전선고정부와, 제1탄성패드의 외면에 고정되어 제2가공배전선을 억류하고 있는 제1탄성패드의 지지돌부를 감착하면서 외력으로부터 제2가공배전선을 보호할 수 있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2탄성패드가 구비된 가공배전선보호부를 갖춘 감전방지용 보호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전주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전주의 상단부 일측면에는 소켓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2가공배전선의 단부에는 탄성접속 가능한 접속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구멍이 형성된 부위의 전주 내경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연부재가 고정되며, 상기 절연부재의 노출면에는 도전판이 고정되고, 상기 도전판의 상단에는 상기 소켓구멍과 일치되는 지점에 상기 접속단자를 탄성고정하는 제1소켓이 마련되며, 상기 도전판의 하단은 분기되어 상기 전주를 고정하기 위해 지중에 매립되는 콘크리트블록을 관통하여 외부단자 접속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소켓과 동일한 구조의 제2소켓에 연결되고, 상기 도전판의 하단 중 분기된 다른 단부는 상기 콘크리트블록을 관통하여 지중에 노출되는 접지선으로 사용되어 가공배전선으로부터 점퍼된 옥내 인입용 인출배전선이 전주를 통해 안전하게 배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침수시 혹은 우천 시에도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체"가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1355102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등록들에서는 기온변화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처짐 또는 신축에 대한 보상이 가능하게 되는 것일 뿐 차도횡단 가공배전선이 있는 구간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공배전선을 전주에 절연상태로 지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로의 양측에 세워진 전주 사이에 도로를 횡단하여 지지되는 차도횡단 가공배전선을 승강시킴으로써 육교를 구성하는 반조립 육교구조물이나 대형 선박 등이 적재되어 적재높이가 높은 차량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에 대한 가공배전선을 전주에 절연상태로 지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로의 양측에 세워진 전주 사이에 도로를 횡단하여 지지되는 차도횡단 가공배전선을 승강시킴으로써 육교를 구성하는 반조립 육교구조물이나 대형 선박 등이 적재되어 적재높이가 높은 차량이 통과할 수 있게 하여 해당 구간의 단전이나 장시간의 교통통제 없이 조립식 육교를 당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로의 양 변에 세워진 전주 사이에 도로변을 따라 도로변 가공배전선을 지지함과 아울러 도로 양 변에 세워진 전주 사이에 도로를 횡단하여 차도횡단 가공배전선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도로변 가공배전선을 애자를 통해 전주에 지지하기 위한 완철과; 상기 차도횡단 가공배전선을 애자를 통해 지지하기 위한 전주에 지지하기 위한 완철과; 상기 완철을 승강시키는 가공배전선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완철은 상기 애자를 연결하기 위한 애자연결편이 구비하여 애자의 일단에 구비된 연결고리를 삽입하고 연결볼트와 이에 체결되는 연결너트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가공배전선 승강수단은 상기 전주의 차도측과 인도측에 고정되는 승강안내관과, 상기 승강안내관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전주에 고정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모터축이 상방을 향하는 승강구동모터와, 상기 승강안내관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어 승강안내관의 상단에서 돌출되며 상단에 상기 완철이 고정되는 승강관과, 상기 모터축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관의 상단까지 연장되는 승강구동스크루와, 상기 승강관의 내부 상단과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구동스크루에 맞물리는 승강구동너트와, 상기 모터축에 고정된 구동기어와, 상기 승강구동스크루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리는 종동기어 및, 상기 케이싱의 하방에서 상기 전주에 고정되는 스위치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승강안내관은 중단부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하프조임밴드와 상기 하프조임밴드의 양단에 절곡 형성된 절곡부를 관통하는 조임볼트와 상기 조임볼트에 체결되는 조임너트에 의하여 전주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싱은 개폐판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며, 개폐판에 형성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에 삽입되는 한 쌍의 하프조임밴드와 상기 하프조임밴드의 양단에 절곡 형성된 절곡부에 관통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는 고정너트에 의하여 전주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승강관의 상단에는 마감플럭을 삽입되고,
상기 승강관은 상기 전주의 외주면을 감싸며 승강관의 상단에 고정되는 하프연결밴드와 하프연결밴드의 양단에 절곡된 절곡부를 관통하는 연결볼트 및 연결볼트에 체결되는 연결너트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박스는 개폐판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며, 개폐판에 형성된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에 삽입되는 한 쌍의 하프조임밴드와 상기 하프조임밴드의 양단에 절곡 형성된 절곡편에 관통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는 고정너트에 의하여 전주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의 양 변에 세워진 전주 사이에 도로변을 따라 도로변 가공배전선을 지지함과 아울러 도로 양 변에 세워진 전주 사이에 도로를 횡단하여 차도횡단 가공배전선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도로변 가공배전선을 애자를 통해 전주에 지지하기 위한 완철과; 상기 차도횡단 가공배전선을 애자를 통해 지지하기 위한 전주에 지지하기 위한 완철과; 상기 완철을 승강시키는 가공배전선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적재 높이가 높은 차량이 해당 구간을 통과할 때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가공배전선을 상승시켜 차도횡단 가공배전선이 적재물에 대하여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함으로써 해당 구간에 대한 단전 조치나 장시간에 걸친 교통통제 없이 조립식 보도육교를 당일에 신속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사시도,
도 2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작동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은 사시도,
도 2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작동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가공송전용 송전선의 인입용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종 볼트가 관통되는 볼트관통공과 각종 볼트가 체결되는 볼트체결공은 도면에 도시하되 이에 대한 도면 부호 및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의 양 변에 세워진 전주(10) 사이에 도로변을 따라 도로변 가공배전선(L1)을 지지함과 아울러 도로 양 변에 세워진 전주(10) 사이에 도로를 횡단하여 차도횡단 가공배전선(L2)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도로변 가공배전선(L1)을 애자(3)를 통해 전주(10)에 지지하기 위한 완철(20)과; 상기 차도횡단 가공배전선(L2)을 애자(4)를 통해 지지하기 위한 전주(10)에 지지하기 위한 완철(30)과; 상기 완철(20)(30)을 승강시키는 가공배전선 승강수단(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완철(20)(30)은 상기 애자(1)(2)를 연결하기 위한 애자연결편(21)(31)이 구비한다. 상기 애자연결편(21)(31)은 완철(20)(30)에 용접이나 볼트/너트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시예에서는 애자연결편(21)(31)을 완철(20)(30)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한 예를 들고 있다.
상기 애자연결편(21)(31)은 각각 한 쌍씩 형성하여 애자(1)(2)의 일단에 구비된 연결고리(1a)(2a)를 삽입하고 연결볼트(22)(32)와 연결너트(23)(33)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도로변 가공배전선(L1)과 차도횡단 가공배전선(L2)은 접속구(3)(4)를 통해 점퍼선(L3)으로 연결된다.
상기 가공배전선 승강수단(A)은 상기 전주(10)의 차도측과 인도측에 고정되는 승강안내관(110)(210)과, 상기 승강안내관(110)(210)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전주(10)에 고정되는 케이싱(120)(220)과, 상기 케이싱(120)(220)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모터축(131)(231)이 상방을 향하는 승강구동모터(130)(230)와, 상기 승강안내관(110)(21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어 승강안내관(110)(210)의 상단에서 돌출되며 상단에 상기 완철(20)(30)이 고정되는 승강관(140)(240)과, 상기 모터축(131)(231)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관(140)(240)의 상단까지 연장되는 승강구동스크루(150)(250)와, 상기 승강관(140)(240)의 내부 상단과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구동스크루(150)(250)에 맞물리는 승강구동너트(160)(260)와, 상기 모터축(131)(231)에 고정된 구동기어(170)(270)와, 상기 승강구동스크루(150)(250)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기어(170)(270)에 맞물리는 종동기어(180)(280) 및, 상기 케이싱(120)(220)의 하방에서 상기 전주(10)에 고정되는 스위치박스(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안내관(110)(210)은 중단부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하프조임밴드(111)와 상기 하프조임밴드(111)의 양단에 절곡 형성된 절곡부(112)를 관통하는 조임볼트(113)와 상기 조임볼트(113)에 체결되는 조임너트(114)에 의하여 전주(10)의 외주면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승강안내관(110)(210)과 하프조임밴드(111)는 용접이나 볼트/너트에 의하여 고정 결합할 수 있으며, 도시예는 용접에 의하여 고정 결합한 예를 보인 것이다.
상기 케이싱(120)(220)은 박스형태로 형성되며, 상면을 상기 승강안내관(110)(210)의 하단에 결합할 수 있다. 케이싱(120)(220)의 상면과 승강안내관(110)(210)의 하단은 용접이나 볼트/너트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도시예는 용접에 의하여 결합한 예를 보인 것이다.
상기 케이싱(120)(220)은 개폐판(121)(221)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며, 개폐판(121)(221)에 형성되는 결합편(122)(222)과 상기 결합편(122)(222)에 삽입되는 한 쌍의 하프조임밴드(123)와 상기 하프조임밴드(123)의 양단에 절곡 형성된 절곡부(124)에 관통되는 고정볼트(125)와 상기 고정볼트(125)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26)에 의하여 전주(10)의 외주면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20)(220)과 개폐판(121)(221)은 통상적인 나사못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승강구동모터(130)(230)는 통상적인 모터장착방법에 의하여 케이싱(120)(220) 내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승강안내관(110)(210)과 승강관(140)(240)은 사각파이프를 사용하여 별도의 직선승강안내수단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승강구동스크루(150)(250)와 승강구동너트(160)(260)의 나사작용에 의하여 승강관(140)(240)을 승강 구동할 때 승강관(140)(240)이 회전하지 않고 수직으로 승강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관(140)(240)에 대한 승강구동너트(160)(260)의 결합은 승강구동너트(160)(260)를 승강관(140)(240)의 하단에 억지끼움식으로 압입하고 셋 스크루(set screw)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승강관(140)(240)의 상단에는 마감플럭(141)(241)을 삽입하여, 빗물이나 이물질이 승강관(140)(240) 내에 침입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승강구동스크루(150)(250) 및 승강구동너트(160)(260)가 오염에 의하여 작동불능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관(140)(240)의 상단부는 자유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승강관(140)(240)이 상승하였을 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주(10)의 외주면을 감싸며 승강관(140)(240)의 상단에 고정되는 하프연결밴드(142)와 하프연결밴드(142)의 양단에 절곡된 절곡부(143)를 관통하는 연결볼트(144) 및 연결볼트(144)에 체결되는 연결너트(145)에 의하여 서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프연결밴드(142)는 승강관(140)(240)의 상단에 용접이나 볼트/너트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도시예에서는 하프연결밴드(142)를 승강관(140)(240)에 용접에 의하여 결합한 예를 보인 것이다.
상기 모터축(131)(231)에 대한 구동기어(170, 270)의 결합과 승강구동스크루(150)(250)에 대한 종동기어(180)(280)의 결합은 키(key)를 이용한 결합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모터축(131)(231)에 대한 승강구동스크루(150)(250)의 결합은 통상적인 샤프트 커플링(shaft coupling)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모터축(131)(231)의 상단과 승강구동스크루(150)(250)의 하단은 상기 케이싱(120)(220)의 내부에 축받이(미도시)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축받이에는 통상적인 메탈 부싱이나 래디얼 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박스(190)에는 승강구동모터(130)(23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기 위한 스위치(미도시)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박스(190)는 개폐판(191)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며, 개폐판(191)에 형성된 결합편(192)과 상기 결합편(192)에 삽입되는 한 쌍의 하프조임밴드(193)와 상기 하프조임밴드(193)의 양단에 절곡 형성된 절곡편(194)에 관통되는 고정볼트(195)와 상기 고정볼트(195)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96)에 의하여 전주(10)의 외주면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박스(190)와 개폐판(191)은 통상적인 나사못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위치박스(190)는 관리자 외에 보행자가 일반인들이 임의로 조작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한 높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하여 가공배전선(L1)(L2)을 승강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의 실선표시는 평상시 가공배전선(L1)(L2)과 점퍼선(L3)이 최대한으로 하강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 상태에서 관리자가 스위치박스(190)에 구비된 스위치(190)를 조작하여 승강구동모터(130)(230)가 평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면, 모터축(131)(231)에 결합된 구동기어(170)(270)가 평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기어(170)(270)에 맞물려 있는 종동기어(180)(280)가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종동기어(180)(280)에 결합되어 있는 승강구동스크루(150)(2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승강구동스크루(150)(250)와 이에 맞물려 있는 승강구동너트(160)(260)의 나사(오른나사) 작용에 의하여 승강구동너트(160)(260)가 상승하게 되며, 승강구동너트(160)(260)에 결합되어 있는 승강관(140)(240)이 상승하게 되고, 승강관(140)(240)의 상단에 결합된 완철(20)(30)과 애자(1)(2)를 통해 완철(20)(30)에 지지되어 있는 가공배전선(L1)(L2)과 가공배전선(L1)(L2)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점퍼선(L3)이 모두 상승하게 된다(도 3의 가상선 표시 참조).
상기 승강관(140)(240)의 상단은 전주(10)의 외주면을 감싸며 승강관(140)(240)의 상단에 고정되는 하프연결밴드(142)와 하프연결밴드(142)의 양단에 절곡된 절곡부(143)를 관통하는 연결볼트(144) 및 연결볼트(144)에 체결되는 연결너트(145)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승강관(140)(240)이 상승한 상태에서도 흔들이는 일이 없이 완철(20)(30)과 이에 연결된 가공배전선(L1)(L2) 등을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완철(20)(30), 애자(1)(2), 가공배전선(L1)(L2), 점퍼선(L3)이 모두 상승한 상태에서 적재 높이가 높은 차량이 해당 구간을 통과할 때 차도횡단 가공배전선(L2)이 적재물에 대하여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되므로 반조립 육교구조물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하는 보도육교를 당일 설치함에 있어서 해당 구간의 단전 조치를 하지 않고 교통통제 시간을 최소화하면서 신속하게 조립식 육교를 당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적재높이가 높은 차량이 해당 구간을 통과한 후에는 관리자가 스위치박스(190)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승강구동모터(130)(230)가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면, 모터축(131))(231)에 결합된 구동기어(170)(270)가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기어(170)(270)에 맞물려 있는 종동기어(180)(28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종동기어(180)(280)에 결합되어 있는 승강구동스크루(150)(2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승강구동스크루(150)(250)와 이에 맞물려 있는 승강구동너트(160)(260)의 나사(오른나사) 작용에 의하여 승강구동너트(160)(260)가 하강하게 되며, 승강구동너트(160)(260)에 결합되어 있는 승강관(140)(240)이 하강하게 되고, 승강관(140)(240)의 상단에 결합된 완철(20)(30)과 애자(1)(2)를 통해 완철(20)(30)에 지지되어 있는 가공배전선(L1)(L2)과 가공배전선(L1)(L2)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점퍼선(L3)이 모두 하강하게 된다(도 3의 실선표시 참조).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L1, L2 : 가공배전선 L3 : 점퍼선
10 : 전주 20, 30 : 완철
A : 가공배전선 승강수단 110, 210 : 승강안내관
120, 220 : 케이싱 130, 230 : 승강구동모터
140, 240 : 승강관 150, 250 : 승강구동스크루
160, 260 : 승강구동너트 170, 270 : 구동기어
180, 280 : 종동기어 190 : 스위치박스
10 : 전주 20, 30 : 완철
A : 가공배전선 승강수단 110, 210 : 승강안내관
120, 220 : 케이싱 130, 230 : 승강구동모터
140, 240 : 승강관 150, 250 : 승강구동스크루
160, 260 : 승강구동너트 170, 270 : 구동기어
180, 280 : 종동기어 190 : 스위치박스
Claims (1)
- 도로의 양 변에 세워진 전주(10) 사이에 도로변을 따라 도로변 가공배전선(L1)을 지지함과 아울러 도로 양 변에 세워진 전주(10) 사이에 도로를 횡단하여 차도횡단 가공배전선(L2)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도로변 가공배전선(L1)을 애자(3)를 통해 전주(10)에 지지하기 위한 완철(20)과; 상기 차도횡단 가공배전선(L2)을 애자(4)를 통해 지지하기 위한 전주(10)에 지지하기 위한 완철(30)과; 상기 완철(20)(30)을 승강시키는 가공배전선 승강수단(A)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완철(20)(30)은 애자(1)(2)를 연결하기 위한 애자연결편(21)(31)이 구비하여 애자(1)(2)의 일단에 구비된 연결고리(1a)(2a)를 삽입하고 연결볼트(22)(32)와 이에 체결되는 연결너트(23)(33)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가공배전선 승강수단(A)은 상기 전주(10)의 차도측과 인도측에 고정되는 승강안내관(110)(210)과, 상기 승강안내관(110)(210)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전주(10)에 고정되는 케이싱(120)(220)과, 상기 케이싱(120)(220)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모터축(131)(231)이 상방을 향하는 승강구동모터(130)(230)와, 상기 승강안내관(110)(21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어 승강안내관(110)(210)의 상단에서 돌출되며 상단에 상기 완철(20)(30)이 고정되는 승강관(140)(240)과, 상기 모터축(131)(231)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관(140)(240)의 상단까지 연장되는 승강구동스크루(150)(250)와, 상기 승강관(140)(240)의 내부 상단과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구동스크루(150)(250)에 맞물리는 승강구동너트(160)(260)와, 상기 모터축(131)(231)에 고정된 구동기어(170)(270)와, 상기 승강구동스크루(150)(250)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기어(170)(270)에 맞물리는 종동기어(180)(280) 및, 상기 케이싱(120)(220)의 하방에서 상기 전주(10)에 고정되는 스위치박스(19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승강안내관(110)(210)은 중단부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하프조임밴드(111)와 상기 하프조임밴드(111)의 양단에 절곡 형성된 절곡부(112)를 관통하는 조임볼트(113)와 상기 조임볼트(113)에 체결되는 조임너트(114)에 의하여 전주(10)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싱(120)(220)은 개폐판(121)(221)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며, 개폐판(121)(221)에 형성되는 결합편(122)(222)과 상기 결합편(122)(222)에 삽입되는 한 쌍의 하프조임밴드(123)와 상기 하프조임밴드(123)의 양단에 절곡 형성된 절곡부(124)에 관통되는 고정볼트(125)와 상기 고정볼트(125)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26)에 의하여 전주(10)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승강관(140)(240)의 상단에는 마감플럭(141)(241)을 삽입되고,
상기 승강관(140)(240)은 상기 전주(10)의 외주면을 감싸며 승강관(140)(240)의 상단에 고정되는 하프연결밴드(142)와 하프연결밴드(142)의 양단에 절곡된 절곡부(143)를 관통하는 연결볼트(144) 및 연결볼트(144)에 체결되는 연결너트(145)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박스(190)는 개폐판(191)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며, 개폐판(191)에 형성된 결합편(192)과 상기 결합편(192)에 삽입되는 한 쌍의 하프조임밴드(193)와 상기 하프조임밴드(193)의 양단에 절곡 형성된 절곡편(194)에 관통되는 고정볼트(195)와 상기 고정볼트(195)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96)에 의하여 전주(1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82371A KR101475264B1 (ko) | 2014-07-02 | 2014-07-02 |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82371A KR101475264B1 (ko) | 2014-07-02 | 2014-07-02 |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75264B1 true KR101475264B1 (ko) | 2014-12-22 |
Family
ID=52679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82371A KR101475264B1 (ko) | 2014-07-02 | 2014-07-02 |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5264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8253B1 (ko) | 2015-05-12 | 2015-10-13 | (주) 미래이앤지 | 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
KR102155377B1 (ko) * | 2020-04-29 | 2020-09-11 | 박종희 | 가공 배전선로의 절연 애자구조 |
KR102308162B1 (ko) * | 2021-03-09 | 2021-10-01 | 청목플러스 주식회사 | 승하강 조절이 가능한 가공전선 고정과 배전용 애자를 갖춘 전주 |
CN115800099A (zh) * | 2022-12-08 | 2023-03-14 | 广州电缆厂有限公司 | 一种电缆长距离铺设架线支撑架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9886B1 (ko) * | 2006-12-28 | 2007-05-18 | (주)반석기술단 | 송배전탑의 전압장치 |
-
2014
- 2014-07-02 KR KR20140082371A patent/KR10147526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9886B1 (ko) * | 2006-12-28 | 2007-05-18 | (주)반석기술단 | 송배전탑의 전압장치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8253B1 (ko) | 2015-05-12 | 2015-10-13 | (주) 미래이앤지 | 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
KR102155377B1 (ko) * | 2020-04-29 | 2020-09-11 | 박종희 | 가공 배전선로의 절연 애자구조 |
KR102308162B1 (ko) * | 2021-03-09 | 2021-10-01 | 청목플러스 주식회사 | 승하강 조절이 가능한 가공전선 고정과 배전용 애자를 갖춘 전주 |
CN115800099A (zh) * | 2022-12-08 | 2023-03-14 | 广州电缆厂有限公司 | 一种电缆长距离铺设架线支撑架 |
CN115800099B (zh) * | 2022-12-08 | 2023-08-04 | 广州电缆厂有限公司 | 一种电缆长距离铺设架线支撑架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75264B1 (ko) |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 | |
KR101416847B1 (ko) |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체 | |
KR101757195B1 (ko) | 무정전 배전공사에 이용하는 고정식 가완목 장치 및 공법 | |
KR101651848B1 (ko) | 공동주택 지중전력 케이블 방호장치 | |
KR101626142B1 (ko) | 배전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장치 구조 | |
KR101422743B1 (ko) |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대 | |
KR101782937B1 (ko) | 가공 송배전 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 | |
KR102085352B1 (ko) | 배전 전주용 접지시설 | |
KR101894913B1 (ko) | 특별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지지대 | |
KR101485160B1 (ko) | 가공 배전선로의 배전반 지지완철 | |
KR101166307B1 (ko) | 전주용 피뢰기 설치구조 | |
KR101831428B1 (ko) | 송전전용 특고압 가공 전선의 철탑고정식 완철 | |
KR101455281B1 (ko) | 가공 송전선로용 복도체 고정장치 | |
KR102437261B1 (ko) |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 배전용 케이블 처짐방지 시스템 | |
KR102218391B1 (ko) | 전선체결 일체형 라인포스트 애자 장치 | |
KR101422740B1 (ko) | 가공송전용 송전선의 인입용 커넥터 | |
CA2701467A1 (en) | Holding device for an overhead line and overhead line arrangement | |
KR101600240B1 (ko) | 공작물 방호용 y형 지지물 | |
KR100355492B1 (ko) |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 |
KR101823663B1 (ko) | 특고압 배전가공전선의 연결애자구조 | |
CA2874903C (en) | By-pass system for overhead power lines | |
KR101206495B1 (ko) |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 |
KR20150138741A (ko) | 배전선로용 완철 | |
WO2007046121A1 (en) | Support post for light units complete with system for assembly and | |
KR100788048B1 (ko) | 송배전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