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2324A - 익스텐션암 및, 이를 활용한 송전탑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익스텐션암 및, 이를 활용한 송전탑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2324A
KR20180102324A KR1020170028786A KR20170028786A KR20180102324A KR 20180102324 A KR20180102324 A KR 20180102324A KR 1020170028786 A KR1020170028786 A KR 1020170028786A KR 20170028786 A KR20170028786 A KR 20170028786A KR 20180102324 A KR20180102324 A KR 20180102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existing
frame
power line
n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1205B1 (ko
Inventor
류호경
손홍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028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20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2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4Arrangements for erecting or lowering towers, masts, poles, chimney stack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송전탑의 기존암에서 외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익스텐션암이고, 외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방향 프레임; 상기 길이방향 프레임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고, 전력선의 설치부를 제공하는 현수프레임; 및, 상기 길이방향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폭방향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 프레임 및, 상기 폭방향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상기 기존암과의 결합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텐션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익스텐션암 및, 이를 활용한 송전탑의 시공방법{EXTENSION ARM AND CONSTRUCTION METHOD OF TRANSMISSION TOWER}
별도의 용지에 임시선로용 송전탑의 설치가 필요하지 않은 익스텐션암 및, 이를 활용한 송전탑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종래에 건설된 송전선로는 명확한 지상고 기준이 정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송전선로를 건설함으로써 저지상고의 송전탑이 다수 건설되면서, 수목성장이나 송전선 주변 지역의 개발에 따른 건조물 신·증축 등 시설물 개발에 의하여 안전 이격 거리가 미달되는 송전탑의 개소가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 도시화에 따른 도심의 확장 및 장비의 대형화에 따라 가공 송전선로의 저지상고 개소는 늘어 가고 외물 접촉에 대한 위험성 또한 높아져 가고 있으며, 전력사용자의 전기품질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고장발생에 따른 민원 등의 보상요구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으로 송전공사 시공품질 향상을 통한 양질의 전력공급을 위하여 안전 이격 거리 확보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 공법은 임시선로 구성을 위하여 별도의 용지에 임시송전탑 및 철주를 설치하여 전선이설 후 신설송전탑을 세워 임시선로를 본선로로 다시 옮기는 방법으로 작업이 진행되었다.
임시선로용 송전탑이나 신설송전탑을 세우기 위해서는 용지확보가 필수인데 토지소유주들의 과다한 보상비 요구 및 송전탑철거 등의 민원이 계속적으로 발생되므로 공사진행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임시송전탑 사용시 송전탑의 설치 및 철거로 많은 비용이 발생되며 또한 기초작업이 수반되므로 대관인허가를 위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매년 안전이격 거리 확보공사에 수백억원의 예산이 책정되지만 기존 안전이격확보공법은 용지확보가 어려워 예산이 회수되거나 공사비 과다로 대상개소가 많지 않아 효과가 미비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임시선로용 송전탑이나 신설송전탑을 세우기 위해서 용지확보의 필요가 없고, 시공비용 및, 시공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송전탑의 시공방법의 확보가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신설 송전탑 시공시 임시선로의 설치 및, 추가용지의 확보가 필요가 없고, 공사비용 및,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익스텐션암 및, 이를 활용한 송전탑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신설송전탑의 시공시 간이한 방식에 의해 작업자가 충전부로부터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발생을 저감되고, 시공기간이 단축될 수 있는 익스텐션암 및, 이를 활용한 송전탑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기존송전탑의 기존암에서 외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익스텐션암이고, 외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방향 프레임; 상기 길이방향 프레임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고, 전력선의 설치부를 제공하는 현수프레임; 및, 상기 길이방향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폭방향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 프레임 및, 상기 폭방향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상기 기존암과의 결합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텐션암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길이방향 프레임은,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기 현수프레임에 설치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길이방향 프레임은, 상기 폭방향 프레임의 양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롯홀에 결합위치가 조절되면서 상기 길이방향 프레임의 설치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길이방향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폭방향 프레임의 결합부를 제공하되, 상기 폭방향 프레임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폭방향 프레임은, 상기 기존암과의 결합부를 제공하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롯홀 상에서 상기 기존암의 결합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텐션암.
바람직하게, 현수프레임 및, 상기 길이방향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일측과 기존송전탑 사이에 설치되어, 인장력에 의해 추가적인 지지력을 제공하는 긴장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기존철탑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하단의 기존암 주변까지 신설철탑의 시공하는 제1 단계; 상기 기존철탑의 제1 기존암에 설치된 제1 전력선을 1회 휴전하고, 제1 기존암에서 외측으로 연장하여 익스텐션암을 설치하는 제2 단계; 제1 기존암에서 상기 익스텐션암으로 제1 전력선을 이동시켜 설치하는 제3 단계; 제1 전력선을 송전하고 제2 전력선을 1회 휴전하고, 기존철탑의 외부에 신설철탑 및, 제2 신설암을 설치하는 제4 단계; 제2 기존암에서 제2 신설암으로 제2 전력선을 이동시켜 설치하는 제5 단계; 제2 전력선을 송전하고 제1 전력선을 2회 휴전하고, 신설철탑에 제1 신설암을 설치하는 제6 단계; 및, 익스텐션암에 설치된 제1 전력선을 제1 신설암으로 이동시켜 설치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익스텐션암을 활용한 송전탑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제5 단계와, 상기 제6 단계의 사이에 제2 기존암을 철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7 단계 이후에 제1 기존암 및, 익스텐션암을 철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단계는, 아래의 식(1)을 만족하도록 상기 익스텐션암을 설치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 식(1)
(여기서, D1 = 충전부 근접한계거리, D2 = 신설철탑의 작업자 돌출폭, D3 = 신설철탑의 확장폭, D4 = 기존암의 길이, D5 = 익스텐션암에 의한 확장길이)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설 송전탑 시공시 임시선로의 설치 및, 추가용지의 확보가 필요가 없고, 공사비용 및,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신설송전탑의 시공시 간이한 방식에 의해 작업자가 충전부로부터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발생을 저감되고, 시공기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스텐션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기존송접탑의 기존암에 본 발명의 익스텐션암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는 기존송접탑의 기존암에 본 발명의 익스텐션암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기존철탑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하단의 기존암 주변까지 신설철탑의 시공하고, 기존철탑의 제1 기존암에 설치된 제1 전력선을 1회 휴전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 기존암에서 외측으로 연장하여 익스텐션암을 설치하고, 제1 기존암에서 상기 익스텐션암으로 제1 전력선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 전력선을 송전하고 제2 전력선을 1회 휴전하고, 기존철탑의 외부에 신설철탑 및, 제2 신설암을 설치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2 기존암에서 제2 신설암으로 제2 전력선을 이동시켜 설치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2 전력선을 송전하고 제1 전력선을 2회 휴전하고, 신설철탑에 제1 신설암을 설치하고, 익스텐션암에 설치된 제1 전력선을 제1 신설암으로 이동시켜 설치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1 전력선을 송전 및, 신설철탑의 내부의 기존철탑을 철거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a)는 익스텐션암이 활용되지 않은 송전탑의 시공방법이 적용된 경우의 충전부의 근접한계거리가 확보되는지 여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의(b)는 본 발명이 익스텐션암을 활용한 송전탑의 시공방법이 적용된 경우의 충전부 근접한계거리가 확보되는지 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스텐션암(10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스텐션암(100)은 길이방향 프레임(110), 현수프레임(130) 및, 폭방향 프레임(1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송전탑(10)의 기존암(13)에서 외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익스텐션암(100)이고, 외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방향 프레임(110)과, 상기 길이방향 프레임(110)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고, 전력선의 설치부를 제공하는 현수프레임(130) 및, 상기 길이방향 프레임(110)의 사이에 설치되는 폭방향 프레임(150)을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 프레임(110) 및, 상기 폭방향 프레임(150)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상기 기존암(13)과의 결합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익스텐션암(100)은 기존송전탑(10)의 기존암(13)에서 외측으로 연장 설치되어, 충전부와의 한계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익스텐션암(100)은 기존송전탑(1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신설송전탑(20)을 설치하여 송전선로의 지상고를 높이는 송전탑의 시공방법에 활용될 수 있다.
익스텐션암(100)은 기존송전탑(10)의 기존암(13)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송전선로의 지상고를 높이는 송전탑의 시공방법에서 반복적이고,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충전부는 기존송전탑(10)에서 전력선이나 전기기기가 노출되어 작업자가 감전의 위험이 있는 부분이다.
작업자의 감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충전부에서 작업자가 이격되어야 하는 최소한의 한계안전거리가 확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기존암(13)에 익스텐션암(100)을 설치함으로써, 신설철탑(21)의 설치를 위해 신설철탑(21)에서 작업자가 돌출되는 영역에서 익스텐션암(100)에 설치된 전력선(충전부)까지의 거리를 한계안전거리(일례로 1.7m) 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기존암(13)에 설치된 전력선을 휴전하고, 기존암(13)에서 외측으로 연장하여 익스텐션암(100)을 설치하고 기존암(13)에서 익스텐션암(100)으로 전력선이 이동시켜 설치한 후, 전력선을 송전한 상태에서 신설철탑(21)을 설치할 수 있다.
즉, 기존암(13)에서 익스텐션암(100)이 연장됨에 따라, 익스텐션암(100)에 설치된 송전상태의 전력선에서 신설철탑(21)에서 작업자가 돌출되는 영역까지의 거리가 한계안전거리 이상으로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익스텐션암(100)에 설치된 전력선에 송전상태를 유지하면서 신설철탑(21)의 설치작업을 할 수 있어, 종래와는 달리 장시간의 휴전이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프레임(110)은 현수프레임(130)에 현수애자 등을 매개로 설치되는 전력선을 외측 방향으로 추가적으로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현수프레임(130)에는 현수애자 등을 매개로 전력선이 설치될 수 있다.
폭방향 프레임(150)은 길이방향 프레임(110)의 사이에 설치되고, 기존암(13)과의 결합부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폭방향 프레임(150)과 기존암(13)이 결합되고, 길이방향 프레임(110)의 적어도 일부와 기존암(13)과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길이방향 프레임(110), 현수프레임(130), 폭방향 프레임(150), 기존암(13)은 볼트부재(미도시)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보다 명확한 도시를 위해, 길이방향 프레임(110), 현수프레임(130) 및, 폭방향 프레임(150) 등의 구성요소 간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재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각의 구성요소의 결합을 위해 볼트부재(미도시) 등의 다양한 체결부재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길이방향 프레임(110)은 복수 개로 마련되어 현수프레임(130)에 설치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프레임(110)은, 폭방향 프레임(150)의 양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롯홀(S) 상에서 상기 길이방향 프레임(110)의 결합위치가 조절되면서 상기 길이방향 프레임(110)의 설치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길이방향 프레임(110)의 설치각도가 조절되면서 익스텐션암(100)의 폭이 설정될 수 있다.
길이방향 프레임(110)의 설치각도가 작아질 경우 익스텐션암(100)의 폭은 좁아지고, 길이방향 프레임(110)의 설치각도가 커질 경우 익스텐션암(100)의 폭은 넓어진다.
일례로, 2개의 길이방향 프레임(110)의 외측 단부가 현수프레임(130)에 고정되고, 길이방향 프레임(110)의 설치각도가 조절되면서 2개의 길이방향 프레임(110) 사이의 거리, 즉 익스텐션암(100)의 폭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폭방향 프레임(150)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폭방향 프레임(150)의 길이방향으로 슬롯홀(S)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홀(S)에서 상기 폭방향 프레임(150)과 상기 길이방향 프레임(110)의 결합위치가 조절되면서 복수 개의 상기 길이방향 프레임(110)의 설치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슬롯홀(S)은 폭방향 프레임(15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폭방향 프레임(150)의 양단부에 슬롯홀(S)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폭방향 프레임(150)의 일측 단부에는 일반적인 볼트홀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만 슬롯홀(S)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일반적인 볼트홀에 볼트부재(미도시)가 체결되면서 폭방향 프레임(150)과 길이방향 프레임(110)이 고정되고, 타측의 슬롯홀(S)에서 폭방향 프레임(150)과 길이방향 프레임(110)의 결합위치가 조절되면서 복수 개의 길이방향 프레임(11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익스텐션암(100)은 길이방향 프레임(110)에 설치되고 상기 폭방향 프레임(150)의 결합부를 제공하되, 상기 폭방향 프레임(150)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브라켓(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브라켓(120)은 길이방향 프레임(110)에 설치되고, 상기 폭방향 프레임(150)이 길이방향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부재이다.
조절브라켓(120)은 길이방향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브라켓본체(121)와, 상기 브라켓본체(121)에 형성되고 상기 폭방향 프레임(150)이 상기 길이방향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슬롯홀(122)을 구비할 수 있다.
폭방향 프레임(150)이 길이방향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폭방향 프레임(150)에 설치되는 기존암(13)의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브라켓(120)은 상기 길이방향 프레임(1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조절슬롯홀(122)을 구비할 수 있다.
조절브라켓(120)은 볼트부재(미도시) 등을 매개로 길이방향 프레임(1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길이방향 프레임(110) 및, 조절브라켓(120)에는 볼트부재(미도시)가 설치되는 볼트홀이 관통 형성되고, 길이방향 프레임(110)에는 조절브라켓(120)이 설치되는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볼트홀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조절브라켓(120)은 길이방향 프레임(110)에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2곳에서 볼트부재(미도시)로 체결되면서 고정되고, 길이방향 프레임(110)에는 조절브라켓(120)이 설치되는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3곳 이상의 볼트홀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절슬롯홀(122)은 길이방향 프레임(110)의 길이방향과 반드시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길이방향 프레임(1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과는 일정한 각도(20도 이하)를 이루면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 프레임(150)은, 상기 기존암(13)과의 결합부를 제공하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롯홀(S) 상에서 상기 기존암(13)의 결합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폭방향 프레임(150)은 양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슬롯홀(S)이 형성되어 상기 폭방향 프레임(150)에 결합되는 상기 기존암(13)의 결합위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폭방향 프레임(150)은 길이방향으로 슬롯홀(S)이 형성되어 상기 기존암(13)의 규격(폭)에 따라 상기 기존암(13)과 상기 폭방향 프레임(150)의 결합위치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폭방향 프레임(150)과 상기 기존암(13)은 기계적 체결방식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기계적 체결방식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양한 체결방식이 적용될 수 있고, 일 예로 볼트체결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슬롯홀(S)은 폭방향 프레임(15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볼트부재(미도시)가 장공 형태의 슬롯홀(S) 상에서 슬라이드되면서 폭방향 프레임(150)과 기존암(13)의 결합위치가 조절되면서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 프레임(150)은 길이방향으로 긴 장공 형태의 슬롯홀(S)이 형성되고, 슬롯홀(S)은 폭방향 프레임(150)의 두께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될 수 있다.
폭방향 프레임(150)의 두께 방향으로 복수 개의 슬롯홀(S)이 이격 형성될 수 있고, 뚜게방향으로 이격된 슬롯홀(S)에 기존암(13)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면서 폭방향으로 이격된 슬롯홀(S)의 거리만큼 익스텐션암(100)에 의한 확장길이가 미세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 프레임(150)은 두께방향으로 겹쳐지게 설치된 보조프레임(151)을 구비하고, 폭방향 프레임(150)에 형성된 제1 슬롯홀(S1)과, 보조프레임(151)에 형성된 제2 슬롯홀(S2)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익스텐션암(100)은 상기 길이방향 프레임(110)의 사이에 경사방향으로 설치되는 보강프레임(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프레임(190)은 현수프레임(130)이 설치되는 길이방향 프레임(110)의 단부영역에 설치되어 길이방향 프레임(110)의 사이에 보강하여 지지할 수 있다.
현수프레임(130)이 설치되는 길이방향 프레임(110)의 단부영역은 길이방향 프레임(11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바, 보강프레임(190)을 수평방향으로 프레임을 설치할 경우 충분한 보강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어, 보강프레임(190)을 경사방향으로 설치하여 길이방향 프레임(110) 단부영역을 충분히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폭방향 프레임(150)은, 길이방향 프레임(110)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보강프레임(190)은 길이방향 프레임(110)의 사이에 경사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익스텐션암(100)은 현수프레임(130) 및, 상기 길이방향 프레임(110) 중 적어도 어느 일측과 기존송전탑(10) 사이에 설치되어, 인장력에 의해 추가적인 지지력을 제공하는 긴장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긴장부재(170)는 익스텐션암(100)을 기존철탑(11)에 고정하고, 인장력에 의해 추가적으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긴장부재(170)는 익스텐션암(10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어느 하나와 기존철탑(11)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익스텐션암(100)의 외측 단부영역에 긴장부재(17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긴장부재(170)는 익스텐션암(100)의 외측 단부측에 배치되는 현수프레임(130) 또는 길이방향 프레임(110)의 단부영역 중 적어도 어느 일측과 기존철탑(11)을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장부재(170)는 길이방향 프레임(110) 또는 현수프레임(130)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171)에 U자형 샤클(172)을 매개로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철탑에 고정되는 와이어(173) 또는 강선(173)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긴장부재(170)는 와이이 또는 강선(173)에 연결되는 장력조절부재(17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장력조절부재(174)는 와이이 또는 강선(173)에 결합되는 스크류볼트(175)와, 회전되면서 스크류볼트(175)를 이동시켜 와이어(173) 또는 강선(173)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너트(176)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조절너트(176)의 일측은 와이어(173) 또는 강선(173)에 스크류볼트(175)를 매개로 연결되고, 조절너트(176)의 타측은 고정브라켓(171)에 설치된 샤클(17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장부재(170)가 철탑에 고정되는 위치는 기존암(13)이 철탑에 고정되는 위치에서 상측으로 이격 형성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익스텐션암(100)에 현수되는 전력선의 자중과 전력선이 받는 풍압에 의한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물론, 현수프레임(130), 상기 길이방향 프레임(110) 및, 폭방향 프레임(150) 중 적어도 어느 일측과 기존철탑(11) 사이에 설치되어, 인장력에 의해 추가적인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익스텐션암(100)을 활용한 송전탑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익스텐션암(100)을 활용한 송전탑의 시공방법은 신설철탑(21)의 기초를 시공하고, 기존철탑(11)의 외측에 신설철탑(21)을 시공하되 하단의 기존암(13) 주변까지 신설철탑(21)을 시공하는 제1 단계와, 상기 기존철탑(11)의 제1 기존암(13-1)에 설치된 제1 전력선(P1)을 1회 휴전하고, 제1 기존암(13-1)에서 외측으로 연장하여 익스텐션암(100)을 설치하는 제2 단계와, 제1 기존암(13-1)에서 상기 익스텐션암(100)으로 제1 전력선(P1)을 이동시켜 설치하는 제3 단계와, 제1 전력선(P1)을 송전하고 제2 전력선(P2)을 1회 휴전하고, 기존철탑(11)의 외부에 신설철탑(21) 및, 제2 신설암(23-2)을 설치하는 제4 단계와, 제2 기존암(13-2)에서 제2 신설암(23-2)으로 제2 전력선(P2)을 이동시켜 설치하는 제5 단계와, 제2 전력선(P2)을 송전하고 제1 전력선(P1)을 2회 휴전하고, 신설철탑(21)에 제1 신설암(23-1)을 설치하는 제6 단계 및, 익스텐션암(100)에 설치된 제1 전력선(P1)을 제1 신설암(23-1)으로 이동시켜 설치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송전탑 시공방법은 기존송전탑(1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신설송전탑(20)을 설치하여 송전선로의 지상고를 높일 수 있다.
기존송전탑(10)은 높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기존철탑(11)과, 기존철탑(11)에서 연장 형성되는 기존암(13)을 포함한다.
신설송전탑(20)은 높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신설철탑(21)과, 신설철탑(21)에서 연장 형성되는 신설암을 포함한다.
이때, 신설철탑(21)에 설치된 신설암은 기존철탑(11)에 설치된 기존암(13)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송전선로인 전력선의 지상고를 높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계는 기존철탑(11)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하단의 기존암(13) 주변까지 신설철탑(21)의 시공하는 단계이다.
제1 단계는 신설철탑(21)의 기초를 시공하고, 기존철탑(11)의 외측에 신설철탑(21)을 시공하되 하단의 기존암(13) 주변까지 신설철탑(21)의 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계는 기존철탑(11)에 형성된 제1 기존암(13-1)에 설치된 제1 전력선(P1)과, 제2 기존암(13-2)에 설치된 제2 전력선(P2)이 송전상태에서 기존철탑(11)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신설철탑(21)을 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신설철탑(21)은 기존철탑(11)의 외면에서 0.4m 이상을 이격시켜 설치할 수 있다.
하단의 기존암(13) 주변까지 신설철탑(21)의 시공한 다음에는 제1 전력선(P1)을 1회 휴전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계는 상기 기존철탑(11)의 제1 기존암(13-1)에 설치된 제1 전력선(P1)을 1회 휴전하고, 제1 기존암(13-1)에서 외측으로 연장하여 익스텐션암(100)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익스텐션암(100)은 제1 기존암(13-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기존암(13-1)에 설치된 제1 전력선(P1)은 휴전상태에서 기존송전탑(10)에 고정되고, 기존송전탑(10)의 우측에 설치된 제1 기존암(13-1)에 익스텐션암(100)을 설치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단계는 제1 기존암(13-1)에서 상기 익스텐션암(100)으로 제1 전력선(P1)을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다.
기존송전탑(10)에 고정된 상태의 제1 전력선(P1)을 익스텐션암(100)으로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단계는 제1 전력선(P1)을 송전하고 제2 전력선(P2)을 1회 휴전하고, 기존철탑(11)의 외부에 신설철탑(21) 및, 제2 신설암(23-2)을 설치할 수 있다.
제1 단계에서 시공된 신설철탑(21)의 상측으로 나머지 신설철탑(21)을 시공하고, 신설철탑(21)에 제2 신설암(23-2)을 설치한다.
이때, 신설철탑(21)의 좌측에 설치된 제2 신설암(23-2)은 기존철탑(11)의 좌측에 설치된 제2 기존암(13-2)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단계는 제2 기존암(13-2)에서 제2 신설암(23-2)으로 제2 전력선(P2)을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단계는 제2 전력선(P2)을 송전하고 제1 전력선(P1)을 2회 휴전하고, 신설철탑(21)에 제1 신설암(23-1)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신설철탑(21)의 우측에 설치된 제1 신설암(23-1)은 기존철탑(11)의 우측에 설치된 제1 기존암(13-1)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 단계는 익스텐션암(100)에 설치된 제1 전력선(P1)을 제1 신설암(23-1)으로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다.
익스텐션암(100)에 설치된 제1 전력선(P1)은 상측에 배치된 제1 신설암(23-1)으로 공중이동되면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송전탑 시공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5 단계와, 상기 제6 단계의 사이에 제2 기존암(13-2)을 철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송전탑 시공방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7 단계 이후에 제1 기존암(13-1) 및, 익스텐션암(100)을 철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7 단계 이후에 신설철탑(21)의 내부의 기존철탑(11)을 철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신설철탑(21)의 내부의 기존철탑(11)을 철거하고, 제1 전력선(P1)을 송전할 수 있다.
다만, 제1 전력선(P1)은 안전이격거리가 확보된 제1 신설암(23-1)으로 이동 설치된 상태이므로, 제1 전력선(P1) 송전상태에서 기존철탑(11) 철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력선(P1) 송전 후 기존철탑(11) 철거하여 제1 전력선(P1) 휴전상태의 단축시켜 장기간의 휴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한 시공방법으로서 예시하는 것으로, 상술한 순서 이외에도 구체적인 현장상황에 따라 다른 순서에 따라 변형실시되거나 혹은 기타 부수적인 공정이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송전탑 시공방법에서 제2 단계는, 아래의 식(1)을 만족하도록 상기 익스텐션암(100)을 설치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 식(1)
여기서, D1 = 충전부 근접한계거리, D2 = 신설철탑(21)의 작업자 돌출폭, D3 = 신설철탑(21)의 확장폭, D4 = 기존암(13)의 길이, D5 = 익스텐션암(100)에 의한 확장길이이다.
이는,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의 기존암(13) 상측영역에 신설철탑(21)을 설치시, 충전부 근접한계거리 이내로 작업자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가 전력선이나 전기기기가 노출되어 작업자가 감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충전부는 기존송접탑에서 전력선이나 전기기기가 노출되어 작업자가 감전의 위험이 있는 부분이다.
작업자의 감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충전부에서 작업자가 이격되어야 하는 최소한의 한계안전거리가 확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송전탑의 시공방법은 기존송전탑(1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신설송전탑(20)을 설치하여 송전선로의 지상고를 높이는 송전탑의 시공방법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기존암(13)에 익스텐션암(100)을 연장하여 설치함으로써, 기존철탑(11)의 외부에 신설철탑(21)을 설치시 신설철탑(21)의 작업자 돌출폭에서 익스텐션암(100)에 설치된 전력선(충전부)까지의 거리가 한계안전거리(일례로, 1.7m)이상으로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한계안전거리가 사전에 확보된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어 충전부에 인접한 지역에서 작업시에 발생할 수 있는 심리적 부담감을 경감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의(a)는 익스텐션암(100)이 활용되지 않은 송전탑의 시공방법이 적용된 경우의 충전부의 근접한계거리가 확보되는지 여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의(b)는 본 발명이 익스텐션암(100)을 활용한 송전탑의 시공방법이 적용된 경우의 충전부 근접한계거리가 확보되는지 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D1 > D4 - D3 - D2 이어서, 기존암(13)에 설치된 전력선이 충전부 근접한계 거리 이내로 들어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존암(13)에 설치된 전력선을 휴전한 상태에서 신설철탑(21)을 시공할 수 밖에 없어서 장기간의 휴전이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다.
일례로, 기존철탑(11)의 외측에 신설철탑(21)을 설치시 작업자의 원활한 작업을 위해 신설철탑(21)의 작업자 돌출폭이 0.75m는 확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송전탑 시공방법이 적용되기 전의 경우, 신설철탑(21)의 확장폭이 0.4m, 기존철탑(11)에서 돌출되는 기존암(13)의 길이가 2m 일 경우 작업자의 한계안전거리가 확보되는지 여부를 확인해보면 아래와 같다.
기존암(13)에 설치된 전력선에서 신설철탑(21)의 작업자 돌출폭까지의 거리는 기존암(13)의 길이(2m) - 신설철탑(21)의 확장폭(0.4m) - 신설철탑(21)의 작업자 돌출폭(0.75m)이다.
이에 따라, 기존암(13)에 설치된 전력선에서 신설철탑(21)의 작업자 돌출폭까지의 거리는 0.85m에 불과하여 한계안전거리(1.7m) 보다 작아져 기존암(13)에 설치된 전력선을 휴전하거나 별도의 방호시설을 설치하는 추가작업이 것이 불가피한 상황임을 알 수 있다.
도 10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D1 ≤ D4 + D5 - D3 - D2 이어서, 익스텐션암(100)에 설치된 전력선이 충전부 근접한계 거리 밖에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익스텐션암(100)에 설치된 전력선을 휴전할 필요없이 신설철탑(21)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례로, 기존철탑(11)의 외측에 신설철탑(21)을 설치시 작업자의 원활한 작업을 위해 신설철탑(21)의 작업자 돌출폭이 0.75m는 확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송전탑 시공방법이 적용될 경우, 신설철탑(21)의 확장폭이 0.4m, 기존철탑(11)에서 돌출되는 기존암(13)의 길이가 2m, 익스텐션암(100)의 적용에 따른 익스텐션암(100)에 의한 확장길이가 1m일 경우 작업자의 한계안전거리가 확보되는지 여부를 확인해보면 아래와 같다.
익스텐션암(100)에 설치된 전력선에서 신설철탑(21)의 작업자 돌출폭까지의 거리는 기존암(13)의 길이(2m) + 익스텐션암(100) 연장길이(1m) - 신설철탑(21)의 확장폭(0.4m) - 신설철탑(21)의 작업자 돌출폭(0.75m)이다.
이에 따라, 익스텐션암(100)에 설치된 전력선에서 신설철탑(21)의 작업자 돌출폭까지의 거리는 1.85m로 한계안전거리(1.7m) 보다 커져 익스텐션암(100)에 설치된 전력선을 휴전하거나 별도의 방호시설을 설치하는 추가할 필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익스텐션암(100)을 활용한 시공방법에는 앞서 설명한바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익스텐션암(100)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서 활용되는 익스텐션암(100)의 길이방향 프레임(110), 현수프레임(130), 폭방향 프레임(150) 등의 구성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익스텐션암(100)의 구성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기존송전탑 11: 기존철탑
13: 기존암 13-1: 제1 기존암
13-2: 제2 기존암 20: 신설송전탑
21: 신설철탑 23-1: 제1 신설암
23-2: 제2 신설암
100: 익스텐션암 110: 길이방향 프레임
120: 조절브라켓 121: 브라켓본체
122: 조절슬롯홀 130: 현수프레임
150: 폭방향 프레임 151: 보조프레임
170: 긴장부재 171: 고정브라켓
172: 샤클 173: 와이어, 강선
174: 장력조절부재 175: 스크류볼트
176: 조절너트 190: 보강프레임
D1: 충전부 근접한계거리 D2: 신설철탑의 작업자 돌출폭
D3: 신설철탑의 확장폭 D4: 기존암의 길이
D5: 익스텐션암에 의한 확장길이
P1: 제1 전력선 P2: 제2 전력선
S: 슬롯홀 S1: 제1 슬롯홀
S2: 제2 슬롯홀

Claims (9)

  1. 기존송전탑의 기존암에서 외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익스텐션암이고,
    외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방향 프레임;
    상기 길이방향 프레임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고, 전력선의 설치부를 제공하는 현수프레임; 및,
    상기 길이방향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폭방향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 프레임 및, 상기 폭방향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상기 기존암과의 결합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텐션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프레임은,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기 현수프레임에 설치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텐션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프레임은,
    상기 폭방향 프레임의 양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롯홀에 결합위치가 조절되면서 상기 길이방향 프레임의 설치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텐션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폭방향 프레임의 결합부를 제공하되, 상기 폭방향 프레임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익스텐션암.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 프레임은,
    상기 기존암과의 결합부를 제공하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롯홀 상에서 상기 기존암의 결합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텐션암.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프레임 및, 상기 길이방향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일측과 기존송전탑 사이에 설치되어, 인장력에 의해 추가적인 지지력을 제공하는 긴장부재;를 더 포함하는 익스텐션암.
  7. 기존철탑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하단의 기존암 주변까지 신설철탑의 시공하는 제1 단계;
    상기 기존철탑의 제1 기존암에 설치된 제1 전력선을 1회 휴전하고, 제1 기존암에서 외측으로 연장하여 익스텐션암을 설치하는 제2 단계;
    제1 기존암에서 상기 익스텐션암으로 제1 전력선을 이동시켜 설치하는 제3 단계;
    제1 전력선을 송전하고 제2 전력선을 1회 휴전하고, 기존철탑의 외부에 신설철탑 및, 제2 신설암을 설치하는 제4 단계;
    제2 기존암에서 제2 신설암으로 제2 전력선을 이동시켜 설치하는 제5 단계;
    제2 전력선을 송전하고 제1 전력선을 2회 휴전하고, 신설철탑에 제1 신설암을 설치하는 제6 단계; 및,
    익스텐션암에 설치된 제1 전력선을 제1 신설암으로 이동시켜 설치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익스텐션암을 활용한 송전탑의 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와, 상기 제6 단계의 사이에 제2 기존암을 철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7 단계 이후에 제1 기존암 및, 익스텐션암을 철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익스텐션암을 활용한 송전탑의 시공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아래의 식(1)을 만족하도록 상기 익스텐션암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텐션암을 활용한 송전탑의 시공방법.
    Figure pat00003
    ... 식(1)

    (여기서, D1 = 충전부 근접한계거리, D2 = 신설철탑의 작업자 돌출폭, D3 = 신설철탑의 확장폭, D4 = 기존암의 길이, D5 = 익스텐션암에 의한 확장길이)
KR1020170028786A 2017-03-07 2017-03-07 익스텐션암 및, 이를 활용한 송전탑의 시공방법 KR102281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786A KR102281205B1 (ko) 2017-03-07 2017-03-07 익스텐션암 및, 이를 활용한 송전탑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786A KR102281205B1 (ko) 2017-03-07 2017-03-07 익스텐션암 및, 이를 활용한 송전탑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324A true KR20180102324A (ko) 2018-09-17
KR102281205B1 KR102281205B1 (ko) 2021-07-26

Family

ID=63722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786A KR102281205B1 (ko) 2017-03-07 2017-03-07 익스텐션암 및, 이를 활용한 송전탑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2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04148A (zh) * 2022-03-31 2022-07-05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提高输电塔侧向承载力的网格加固结构及工作方法
KR20230106386A (ko) 2022-01-06 2023-07-13 한국전력공사 송전탑 인클로징 공법용 신설각재 설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819Y1 (ko) * 2004-04-02 2004-07-09 양희성 전력선 이선을 위한 고정장치
JP2013128357A (ja) * 2011-12-19 2013-06-27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架空送電線の鉄塔建て替え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819Y1 (ko) * 2004-04-02 2004-07-09 양희성 전력선 이선을 위한 고정장치
JP2013128357A (ja) * 2011-12-19 2013-06-27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架空送電線の鉄塔建て替え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6386A (ko) 2022-01-06 2023-07-13 한국전력공사 송전탑 인클로징 공법용 신설각재 설치장치
CN114704148A (zh) * 2022-03-31 2022-07-05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提高输电塔侧向承载力的网格加固结构及工作方法
CN114704148B (zh) * 2022-03-31 2024-01-26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提高输电塔侧向承载力的网格加固结构及工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205B1 (ko) 202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435979U (zh) 一种电力设施的安装保护装置
CN104846748B (zh) 一种保证空间扭曲曲线钢主塔安装线型的装置及方法
CN202500374U (zh) 一种电线杆用多功能固定支架
KR101689225B1 (ko) 변전소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설치/철거장치
CN105186370B (zh) 直线杆塔架空线路用收线装置
KR20180102324A (ko) 익스텐션암 및, 이를 활용한 송전탑의 시공방법
RU144483U1 (ru) Опора двой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CN102255261A (zh) 输电线路双回路带电作业转入装置
KR101475264B1 (ko)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
CN208078525U (zh) 用于配网带电作业立杆的三相导线撑开绝缘架
CN106450835A (zh) 一种用于制鞋厂的高压线接地装置
CN202252699U (zh) 升降转动式安装架
CN205488999U (zh) 一种防雷器引弧杆安装架
CN205070294U (zh) 直线杆塔架空线路用收线装置
JP3237305U (ja) 高圧受電装置
KR102397071B1 (ko) 송전 철탑의 전력 케이블 설치 장치
KR101038078B1 (ko) 송전철탑 인상을 위한 송전철탑 인상 장비
KR101600240B1 (ko) 공작물 방호용 y형 지지물
EP3134947B1 (en) Temporary transfer bus
CN201392761Y (zh) 一种杆上负荷开关防护遮蔽罩
CN204038917U (zh) 可拆卸外挂式操作平台
KR102029360B1 (ko)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
CN208589757U (zh) 一种组合式线缆支架
KR20160069089A (ko)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방법
KR101038077B1 (ko) 송전철탑 인상 장비를 이용한 송전철탑 인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