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566B1 -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566B1
KR102259566B1 KR1020190066329A KR20190066329A KR102259566B1 KR 102259566 B1 KR102259566 B1 KR 102259566B1 KR 1020190066329 A KR1020190066329 A KR 1020190066329A KR 20190066329 A KR20190066329 A KR 20190066329A KR 102259566 B1 KR102259566 B1 KR 102259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ripper
electric wire
cap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9886A (ko
Inventor
유정훈
김동섭
김동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066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566B1/ko
Publication of KR20200139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8Devices affording mechanical protection in the event of breakage of a line or cable, e.g. net for catching broken lines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선에 장착되는 전선그리퍼와, 전선그리퍼에 결합되고, 전선과 압접되어 전선그리퍼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장치와, 구조물에 장착되는 구조물장착구와, 전선그리퍼와 구조물장착구를 연결하는 그리퍼연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PREVENTING FALLING OF CABLE}
본 발명은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의 단선 발생 시 전선이 추락함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고압 가공전선로 상에 개폐기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리드선을 이용해 개폐기와 기설치된 전력선을 연결하고 있으며, 내장주 또는 인류장주(이하 '내장주'로 통칭)에서 현수애자로 지지된 전력선을 점퍼하기 위해서는 점퍼선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개폐기용 리드선, 내장주용 점퍼선 등의 전선은 부식으로 인한 열화, 까치집, 이물접촉, 강풍에 의해 단선될 수 있고, 전선이 하부로 추락할 경우 중성선 및 기타 다른 금구류와 접촉하여 섬락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불꽃섬락으로 인해 주변에 화재가 발생될 수 있으며, 지락으로 인한 전선로의 고장의 발생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전주와 접촉할 경우 안전사고의 우려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31669호(2019.03.27 공개, 발명의 명칭: 전선낙하 방지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선의 단선 시 전선의 추락, 처짐으로 인해 2차사고 및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는, 전선에 장착되는 전선그리퍼; 상기 전선그리퍼에 결합되고, 상기 전선과 압접되어 상기 전선그리퍼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장치; 구조물에 장착되는 구조물장착구; 및 상기 전선그리퍼와 상기 구조물장착구를 연결하는 그리퍼연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선그리퍼는, 전선이 인입되는 개방부와, 전선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그리퍼하우징; 및 전선이 상기 수용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를 폐쇄하며 상기 그리퍼하우징에 나사체결되는 그리퍼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리퍼하우징은, 상기 개방부와 상기 수용부가 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하우징본체부; 상기 하우징본체부의 둘레부에 형성되고, 상기 그리퍼캡이 나사체결되는 수나사부; 및 상기 하우징본체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그리퍼연결장치가 결합되는 제1연결선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리퍼캡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는 캡본체부; 및 상기 캡본체부의 내경부에 형성되고, 상기 그리퍼하우징과 나사체결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리퍼캡은, 상기 캡본체부의 회전중심부에 함몰 또는 돌출되게 형성되고, 공구가 계합되는 공구계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리퍼캡은, 상기 캡본체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장치가 공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방지장치는, 상기 그리퍼캡에 공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부; 상기 회전축부와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로 인입되어 전선과 접하는 전선밀착부; 및 상기 그리퍼캡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부를 전선측으로 탄성가압하는 풀림방지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부의 내측단부와 상기 전선밀착부의 단부는, 전선의 둘레에 대응되는 반원형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조물장착구는, 상기 전선그리퍼와 상기 유동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기설치된 다른 전선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조물장착구는, 완철의 완철홀부에 삽입되고, 상기 완철홀부의 내면부에 압접되는 완철고정부; 상기 완철고정부에 나사체결되는 고정볼트부; 및 상기 고정볼트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그리퍼연결장치가 결합되는 제2연결선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철고정부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단부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축소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완철홀부에 삽입되는 압접본체부; 및 상기 압접본체부 상에 삽입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압접본체부에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너비가 축소 변형되는 가변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리퍼연결장치는, 상기 전선그리퍼와 상기 구조물장착구에 단부가 결합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선그리퍼와 상기 구조물장착구에 상기 와이어를 결속시키고, 상기 와이어의 유효길이를 조정, 유지하는 와이어결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는, 내장주용 점퍼선이나 내장주용 점퍼선 등의 전선이 단선되더라도, 전선이 전선그리퍼에 의해 기설전선, 완철 등의 구조물에 매달려 있게 되므로, 전선의 단선 발생 시 전선의 단부가 추락되어 아래로 처짐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이 추락되지 않게 구조물에 결속, 구속함으로써, 하향된 전선의 단부가 아래로 처지거나, 상하좌우로 횡진됨으로 인해 기설전선, 전주, 완금, 암타이 및 수평지선 등의 타설비와 접촉, 혼촉됨에 따른 섬락, 화재 등의 2차사고 발생 및 지락으로 인한 전선로의 고장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투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를 전선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로 단선된 리드선을 공중에 홀딩한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투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로 단선된 리드선을 공중에 홀딩한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1)는 전선그리퍼(10), 유동방지장치(20), 구조물장착구(30), 그리퍼연결장치(40)를 포함한다.
전선그리퍼(10)는 단선 시 추락이 예상되는 전선(2), 즉 홀딩하고자 하는 전선(2)을 그립(grip)하는 구조로 장착된다. 전선(2)으로는 개폐기(7)용 리드선, 내장주용 점퍼선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 상에는 개폐기용 리드선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설치상태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유동방지장치(20)는 전선그리퍼(10)에 결합되고, 전선(2)의 외면부에 탄성적으로 압접되어 전선그리퍼(10)의 유동을 방지한다. 전선(2)은 전선그리퍼(10)에 결속된 상태에서 유동방지장치(20)와 압접된다. 이에 따라, 전선그리퍼(10)가 전선(2)의 연장방향을 따라 임의로 유동되지 않고, 전선(2)의 연장방향 중 설정된 정위치에 결합, 고정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구조물장착구(30)는 기설전선(4), 완철(5), 전주(8) 등 기설치된 구조물(3)에 장착되는 장치부로, 장착대상이 되는 구조물(3)의 형상, 구조 등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로 적용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장착구(30)는 전선그리퍼(10)와 유동방지장치(20)를 포함하는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기설치된 다른 기설전선(4)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1)에 의하면, 전선그리퍼(10)와 유동방지장치(2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는 구조물장착구(30)을 이용해, 전선(2)과 같이 선형의 구조를 가지는 구조물(3)에 안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퍼연결장치(40)는 와이어(41)를 구비하여 전선그리퍼(10)와 구조물장착구(30)를 상호 연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투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를 전선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그리퍼(10)는 그리퍼하우징(11)과 그리퍼캡(15)을 포함한다.
그리퍼하우징(11)은 전선(2)의 외면부 중 일측부와 접하게 되는 장치부로, 전선(2)이 인입되는 개방부(121)와, 전선(2)이 수용되는 수용부(122)가 연통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리퍼하우징(11)은 하우징본체부(12), 수나사부(13), 제1연결선결합부(14)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3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 좌우방향을 설정하여 그 위치와 방향 등을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본체부(12)는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U'자 단면 형상을 가지고, 전선(2)의 하부에 접한다. 하우징본체부(12) 상에는 개방부(121)와 수용부(122)가 전선(2)의 연장방향인 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전선(2)은 하우징본체부(12)의 상단부에 형성된 개방부(121)를 통해 수용부(122)로 인입되고, 그 하부가 수용부(122)의 내측단부, 즉 하단부와 접한다.
수나사부(13)는 그리퍼캡(15)이 나사체결되는 장치부로, 하우징본체부(12)의 둘레부에 형성된다. 수나사부(13)를 형성하기 위해 그리퍼하우징(11)의 외면부는, 전체적으로 원주 형상을 가지거나, 적어도 일부가 원주 형상을 가진다. 제1연결선결합부(14)는 그리퍼연결장치(40)의 와이어(41)가 결합되는 장치부로, 하우징본체부(12)의 하부에 와이어(41)를 끼우거나 걸 수 있는 고리 또는 관통홀부의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퍼캡(15)은 전선(2)이 수용부(122)에 끼워진 상태에서 개방부(121)를 폐쇄하며 그리퍼하우징(11)에 나사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그리퍼캡(15)을 그리퍼하우징(11)에 체결함으로써, 그리퍼하우징(11)과 그리퍼캡(15)의 사이에 전선(2)을 결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리퍼캡(15)은 캡본체부(16), 암나사부(17), 공구계합부(18), 회전체결합부(19)를 포함한다.
캡본체부(16)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을, 보다 구체적으로는 캡(cap) 형상을 가진다. 그리퍼캡(15)을 그리퍼하우징(11)에 체결한 상태에서, 캡본체부(16)는 전선그리퍼(10)의 상부와 유동방지방치(20)를 커버하게 된다. 암나사부(17)는 그리퍼하우징(11)의 수나사부(13)와 나사체결되는 장치부로, 캡본체부(16)의 내경부에 형성된다.
캡본체부(16)를 하우징본체부(12)의 상부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캡본체부(16)에 회전조작력을 가함으로써, 암나사부(17)와 수나사부(13)를 상호 나사체결할 수 있고, 전선(2)을 사이에 두고 그리퍼하우징(11)과 그리퍼캡(15)을 상호 결속시킬 수 있다.
공구계합부(18)는 캡본체부(16)에 회전조작력을 가하기 위한 공구(미도시)가 계합되는 장치부로, 캡본체부(16)의 상부 중 회전중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 또는 돌출되게 형성된다. 공구계합부(18)를 형성함으로써, 작업자의 악력에만 의존하지 않고, 드라이버, 전동공구 등을 이용해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그리퍼캡(15)을 그리퍼하우징(11)에 체결할 수 있다.
회전체결합부(19)는 유동방지장치(20)가 공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치부로, 캡본체부(16) 중 수용부(122)와 마주하는 내면부 상에 형성되되, 캡본체부(16)의 회전중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유동방지장치(20)의 상부는 회전체결합부(19)에 삽입되고, 유동방지장치(20)의 하부는 회전체결합부(19)의 외부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용부(122)의 내측단부측으로 하향 연장되어 전선(2)과 접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장치(20)는 회전축부(21), 전선밀착부(22), 풀림방지가압부재(23)를 포함한다.
회전축부(21)는 그리퍼캡(15)의 회전체결합부(19)에 공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전선밀착부(22)는 전선(2)을 그리퍼하우징(11)측으로 가압하는 장치부로, 상부가 회전축부(21)와 연결되고, 하부가 회전체결합부(19)의 외부로 연장된다. 전선밀착부(22)의 하부는 수용부(122)로 인입되어 전선(2)의 상부와 접한다.
수용부(122)의 내측단부는 하측으로 오목한 반원형 단면형상을 가지고, 전선밀착부(22)의 하단부는 상측으로 오목한 반원형 단면형상을 가진다. 즉, 수용부(122)의 하단부와 전선밀착부(22)의 하단부는 전선(2)의 둘레에 대응되는 반원형 단면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전선(2)의 둘레부 중 일측부에 가압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선(2)의 외면부 전반에 걸쳐 마찰접촉될 수 있어 유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풀림방지가압부재(23)는 회전축부(21)와 전선밀착부(22)를 전선(2)측으로 탄성가압하기 위한 장치부로, 회전체결합부(19)의 내부에 회전축부(21)와 접하게 설치된다. 풀림방지가압부재(23)로는 스프링 와셔,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풀림방지가압부재(23)에 의해 전선밀착부(22)가 전선(2)에 탄성적으로 압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선(2)의 연장방향을 따라 전선그리퍼(1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풀림방지가압부재(23)에 의해 그리퍼캡(15)과 유동방지장치(20)가 유격 없이 상시 탄성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리퍼캡(15), 그리퍼하우징(11), 전선(2)이 유동방지장치(20)를 매개로 하여 유격 없이 탄성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유격에 의해 그리퍼캡(15)의 그리퍼하우징(11)으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리퍼연결장치(40)는 와이어(41)와 와이어결속구(44)를 포함한다.
와이어(41)는 전선그리퍼(10)와 구조물장착구(30)의 제1연결선결합부(14)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된다. 와이어결속구(44)는 와이어(41)의 단부에 결합됨으로써, 전선그리퍼(10)에 와이어(41)의 일단부를, 구조물장착구(30)에 와이어(41)의 타단부를 각각 결속시킨다. 와이어결속구(44)를 이용해 와이어(41)의 단부의 이동을 구속함으로써, 와이어(41)는 그 연장 길이가 임의로 가변되지 않고, 목적한 전선그리퍼(10)와 구조물장착구(30)간의 이격거리에 해당되는 설정 유효 길이를 유지하게 된다.
와이어결속구(44)를 이용해 와이어(41)의 단부의 이동을 구속함으로써, 와이어(41)의 유효 길이를 조정, 유지할 수 있다. 와이어결속구(44)는 와이어(41)의 제1연장부(42)와 제2연장부(43)를 중첩시킨 상태로 결속, 고정시킨다. 와이어결속구(4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41)의 제1연장부(42)와 제1연결선결합부(14)를 통과한 제2연장부(43)를 중첩시킨 상태로 제1연장부(42)와 제2연장부(43)에 압접됨으로써, 와이어(41)의 단부를 제1연결선결합부(14)에 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어결속구(44)는 제1연결선결합부(14)의 홀부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고, 제1연결선결합부(14)를 관통한 와이어(41)의 단부에 결합됨으로써, 와이어(41)의 단부를 제1연결선결합부(14)에 결속시킬 수도 있다. 와이어결속구(44)는 와이어(41)의 단부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면, 공지기술을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므로, 그 구조와 형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로 단선된 리드선을 공중에 홀딩한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1)에 의하면, 전선(2), 즉 개폐기(7)용 리드선이 단선되더라도, 전선(2)이 아래로 추락하지 않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그리퍼(10)에 의해 기설전선(4)에 매달려 있게 되므로, 개폐기(7)용 리드선의 단부가 추락되어 아래로 처지고, 상하좌우로 횡진됨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치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투시 정면도이다.
이하에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1)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1)의 구성과 동일, 유사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의 중복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1)는 전선그리퍼(10)의 장착 대상이 되는 전선(2)으로서, 개폐기(7)용 리드선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는 것과 비교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1)는 전선그리퍼(10)의 장착 대상이 되는 전선(2)으로서, 내장주용 점퍼선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가진다. 도 8 상에는 내장주용 점퍼선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설치상태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1)와 마찬가지로, 전선그리퍼(10), 유동방지장치(20), 구조물장착구(30), 그리퍼연결장치(40)를 포함하되, 구조물장착구(30)가 완철(5)에 장착, 결합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장착구(30)는 완철고정부(31), 고정볼트부(34), 제2연결선결합부(35)를 포함한다.
완철고정부(31)는 완철(5)의 완철홀부(6)에 삽입되고, 완철홀부(6)의 내면부에 압접된다. 완철고정부(31)는 합성수지 등과 같이 절연성을 가지면서도,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완철고정부(31)는 완철홀부(6)의 직경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고 완철홀부(6)에 억지끼움되어 완철홀부(6)의 내면부에 마찰접촉됨으로써 완철(5)에 고정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완철고정부(31)는 압접본체부(32)와 가변홀부(33)를 포함한다.
압접본체부(32)는 단부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축소되는 형상을 가지고, 완철홀부(6)에 삽입된다. 압접본체부(32)의 일단부는 완철홀부(6)의 직경보다 축소된 너비를 가지며, 압접본체부(32)의 타단부는 완철홀부(6)의 직경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진다. 압접본체부(32)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변홀부(33)는 압접본체부(32) 상에 완철홀부(6) 내부로의 삽입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압접본체부(32)가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압접본체부(32)를 완철홀부(6)의 내부에 억지끼움 시 압접본체부(32)에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에 의해 너비가 축소 변형된다. 압접본체부(32)의 외면부는 탄성변형량, 즉 수축량에 대응되는 탄성복원력과 마찰력으로 완철홀부(6)의 내경부에 압접된다.
고정볼트부(34)는 상기와 같이 완철고정부(31)를 완철홀부(6)에 인입, 장착한 상태에서,완철고정부(31)에 나사체결된다. 고정볼트부(34) 상에는 와이어(41)의 단부가 공회전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는 중공의 제2연결선결합부(35)가 형성된다. 고정볼트부(34)는 제2연결선결합부(35)에 와이어(41)의 단부를 결속시킨 상태로, 회전조작력에 의해 완철고정부(31)에 나사체결된다.
완철고정부(31)를 완철홀부(6)에 인입, 장착한 상태에서, 고정볼트부(34)를 완철고정부(31)에 나사체결함으로써, 완철고정부(31)에는 완철홀부(6)와 압접됨에 따른 수축력뿐만이 아니라, 고정볼트부(34)와 압접됨에 따른 수축력이 추가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볼트부(34), 완철고정부(31), 완철홀부(6)는 이러한 수축력들을 합한 만큼의 세기로 견고하게 상호 압접,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로 단선된 리드선을 공중에 홀딩한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1)에 의하면, 전선(2), 즉 내장주용 점퍼선이 단선되더라도, 전선(2)이 아래로 추락하지 않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그리퍼(10)에 의해 완철(5)에 매달려 있게 되므로, 내장주용 점퍼선의 단부가 추락되어 아래로 처지고, 상하좌우로 횡진됨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1)에 의하면, 내장주용 점퍼선이나 내장주용 점퍼선 등의 전선(2)이 단선되더라도, 전선(2)이 전선그리퍼(10)에 의해 기설전선(4), 완철(5) 등의 구조물(3)에 매달려 있게 되므로, 전선(2)의 단선 발생 시 전선(2)의 단부가 추락되어 아래로 처짐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2)이 추락되지 않게 구조물에 결속, 구속함으로써, 하향된 전선(2)의 단부가 아래로 처지거나, 상하좌우로 횡진됨으로 인해 기설전선(4), 전주(8), 완금, 암타이 및 수평지선 등의 타설비와 접촉, 혼촉됨에 따른 섬락, 화재 등의 2차사고 발생 및 지락으로 인한 전선로의 고장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2 : 전선
3 : 구조물 4 : 기설전선
5 : 완철 6 : 완철홀부
10 : 전선그리퍼 11 : 그리퍼하우징
12 : 하우징본체부 13 : 수나사부
14 : 제1연결선결합부 15 : 그리퍼캡
16 : 캡본체부 17 : 암나사부
18 : 공구계합부 19 : 회전체결합부
20 : 유동방지장치 21 : 회전축부
22 : 전선밀착부 23 : 풀림방지가압부재
30 : 구조물장착구 31 : 완철고정부
32 : 압접본체부 33 : 가변홀부
34 : 고정볼트부 35 : 제2연결선결합부
40 : 그리퍼연결장치 41 : 와이어
42 : 제1연장부 43 : 제2연장부
44 : 와이어결속구 121 : 개방부
122 : 수용부

Claims (12)

  1. 전선에 장착되는 전선그리퍼;
    상기 전선그리퍼에 결합되고, 상기 전선과 압접되어 상기 전선그리퍼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장치;
    구조물에 장착되는 구조물장착구; 및
    상기 전선그리퍼와 상기 구조물장착구를 연결하는 그리퍼연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장착구는,
    완철의 완철홀부에 삽입되고, 상기 완철홀부의 내면부에 압접되는 완철고정부;
    상기 완철고정부에 나사체결되는 고정볼트부; 및
    상기 고정볼트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그리퍼연결장치가 결합되는 제2연결선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그리퍼는,
    전선이 인입되는 개방부와, 전선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그리퍼하우징; 및
    전선이 상기 수용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를 폐쇄하며 상기 그리퍼하우징에 나사체결되는 그리퍼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하우징은,
    상기 개방부와 상기 수용부가 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하우징본체부;
    상기 하우징본체부의 둘레부에 형성되고, 상기 그리퍼캡이 나사체결되는 수나사부; 및
    상기 하우징본체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그리퍼연결장치가 결합되는 제1연결선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캡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는 캡본체부; 및
    상기 캡본체부의 내경부에 형성되고, 상기 그리퍼하우징과 나사체결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캡은,
    상기 캡본체부의 회전중심부에 함몰 또는 돌출되게 형성되고, 공구가 계합되는 공구계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캡은,
    상기 캡본체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장치가 공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장치는,
    상기 그리퍼캡에 공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부;
    상기 회전축부와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로 인입되어 전선과 접하는 전선밀착부; 및
    상기 그리퍼캡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부를 전선측으로 탄성가압하는 풀림방지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측단부와 상기 전선밀착부의 단부는, 전선의 둘레에 대응되는 반원형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철고정부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단부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축소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완철홀부에 삽입되는 압접본체부; 및
    상기 압접본체부 상에 삽입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압접본체부에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너비가 축소 변형되는 가변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연결장치는,
    상기 전선그리퍼와 상기 구조물장착구에 단부가 결합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선그리퍼와 상기 구조물장착구에 상기 와이어를 결속시키고, 상기 와이어의 유효길이를 조정, 유지하는 와이어결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KR1020190066329A 2019-06-05 2019-06-05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KR102259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329A KR102259566B1 (ko) 2019-06-05 2019-06-05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329A KR102259566B1 (ko) 2019-06-05 2019-06-05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886A KR20200139886A (ko) 2020-12-15
KR102259566B1 true KR102259566B1 (ko) 2021-06-03

Family

ID=73780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329A KR102259566B1 (ko) 2019-06-05 2019-06-05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5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91581B (zh) * 2021-11-12 2023-12-22 北京京电博天电力工程有限公司 一种高空电线辅助维修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255B1 (ko) * 2011-05-19 2013-02-06 한국철도공사 드롭퍼 클램프
KR101895431B1 (ko) * 2018-05-14 2018-09-06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송전 특고압 전선의 철탑 고정형 홀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4803A (ko) * 2017-03-14 2018-09-27 (주)경진이엠씨 방수용 전기플로어 시스템박스
KR102001563B1 (ko) * 2017-09-18 2019-07-19 한국전력공사 전선낙하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255B1 (ko) * 2011-05-19 2013-02-06 한국철도공사 드롭퍼 클램프
KR101895431B1 (ko) * 2018-05-14 2018-09-06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송전 특고압 전선의 철탑 고정형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886A (ko)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0073B2 (en) Hinged bushing suspension clamp and method for using said clamp
KR101785014B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
US11721964B2 (en) Self-seating damper clamp
CN105977890A (zh) 一种孔径可调的悬挂线夹
CA2982817C (en) Bundle spacer and clamp assembly for conductors
KR102259566B1 (ko)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KR102433446B1 (ko) 가공배전선 지지용 애자활용 고정기기
KR101989555B1 (ko) 밀폐링 기밀구조를 갖는 전선관용 연결구
GB2274208A (en) Earthed cable gland
CN107240784B (zh) 接线装置及空调器
KR20130046859A (ko)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횡진 제한 장치
KR101801158B1 (ko) 송배전용 가공전선의 철탑내 고정구조
US3296361A (en) Universally self-adjusting fitting
KR100515970B1 (ko) 송전 가공 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CN107078491B (zh) 用于绝缘子的固定装置
KR101416849B1 (ko) 특고압 배전선의 전선라인 고정대
WO2009125167A1 (en) Cable retention bracket
KR102433444B1 (ko)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2166860B1 (ko)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
US3664620A (en) Vibration dampening clamp for electrical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s
CN109637912B (zh) 熔断器
CN106025612A (zh) 万向防脱落接地线夹
KR101785718B1 (ko) 배전용 케이블 클램핑장치
US20230022622A1 (en) Conductor latch for in-line disconnect switch
CA1037139A (en) Vibration isolator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