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444B1 -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 Google Patents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444B1
KR102433444B1 KR1020210156295A KR20210156295A KR102433444B1 KR 102433444 B1 KR102433444 B1 KR 102433444B1 KR 1020210156295 A KR1020210156295 A KR 1020210156295A KR 20210156295 A KR20210156295 A KR 20210156295A KR 102433444 B1 KR102433444 B1 KR 102433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insulator
overhead distribution
shackle
jump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주현
Original Assignee
창성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성전력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창성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6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4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02G7/056Dead-end cl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P)를 사이에 두고 전주(P)의 상단부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완금(100); 완금(100)에 설치되어 가공배전선(L)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게 절연하고, 가공배전선(L)과 점퍼선(J)을 고정하는 라인픽스어셈블리(200); 완금(100) 및 가공배전선(L)을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J)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점퍼선(J)의 과도한 횡진을 제한하는 점퍼선 지지기구(300); 점퍼선 지지기구(300)의 베이스(310)에 설치되어 누전시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주변으로 알려주는 누전감지유닛(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누전감지유닛을 매개로 누전을 감지할 수 있어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Overhead distribution facility for stable connection between overhead distribution lines}
본 발명은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을 전주에 지지하기 위해서 완금에 설치되는 절연성능을 가진 폴리머(polymer) 현수애자를 사용하고 있으며, 현수애자는 초고압송전선로나 배전선과 같은 가공전선로 상에서 선로가 늘어지지 않도록 지탱해주는 전기기구로서, 선로가 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여야 함에 따라 높은 인장강도와 함께 양호한 절연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현수애자는 통상 아이쇄클(eye shackle)을 매개로 완금과 연결되며, 아이쇄클은 코터핀(cotter pin)을 매개로 완금에 설치된다.
현수애자를 이용하는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5696호가 있으며, 여기에는 완철에 설치된 볼쇄클의 처짐을 방지하고, 코터핀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전단하중을 완철로 분산시켜서 지지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종래에는 가공전선을 절연하는 현수애자에 문제가 생겨 완금으로 전류가 흐르더라도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으며, 이로 인해 작업자를 감전의 위험에 노출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5696호
본 발명은 누전시 이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어 감전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고, 점퍼선의 과도한 횡진을 제한하여 가공배전선 간의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도움을 주며, 현장여건에 따라 라인픽스어셈블리를 가동식 또는 고정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주를 사이에 두고 전주의 상단부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완금;
정면에서 보았을 때‘⊂’형상을 이루고, 꼭지점에 결합공이 마련되며, 양단부가 완금에 제1코터핀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쇄클바디, 쇄클바디의 결합공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핀결합부, 결합공과 제1핀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며 쇄클바디의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함몰된 보강리브, 제1핀결합부와 보강리브 사이에 형성되며 절연체를 향해 돌출된 걸림턱로 이루어진 아이쇄클과,
가공배전선과 완금 사이를 절연하는 절연체,
절연체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며 말단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봉과, 아이쇄클에 상하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연결봉의 말단부에 체결되어 아이쇄클과 절연체를 상호 연결하는 T볼트와, T볼트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가압너트를 갖춘 쇄클연결부,
절연체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된 클램프연결부로 이루어진 애자유닛과,
클램프연결부와 제2코터핀을 매개로 상호연결되며 가공배전선 및 점퍼선을 고정하는 연결클램프와,
아이쇄클의 내측으로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밀착판과, 밀착판으로부터 나란하게 연장되어 제1핀결합부를 관통하는 핀볼트를 매개로 아이쇄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핀결합부로 구성되어 완금에 맞대어져 아이쇄클이 제1코터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1고정유닛과,
T볼트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부시와, 부시를 사이에 두고 부시로부터 아이쇄클을 향해 연장되어 말단이 보강리브와 걸림턱 사이로 인입되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되어 가압너트에 의한 부시의 이동에 의해 판스프링이 탄성변형되면서 애자유닛의 회동을 제한하는 제2고정유닛으로 구성된 라인픽스어셈블리;
나란하게 돌출되어 완금의 말단 내측으로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장착테를 매개로 완금과 상호 결합되는 베이스와, 장착테 사이에 배치되게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가 하방으로 개방된 볼케이스, 볼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형상의 볼로 이루어진 피봇과, 볼로부터 연장된 막대와, 막대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가공배전선을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을 가압고정하는 전선클램프로 구성된 점퍼선 지지기구;
베이스에 설치되어 누전을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와, 누전감지센서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광부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빛을 발산하는 경광부로 구성된 누전감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누전을 누전감지센서가 감지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는 신호를 전달받아 경광부를 동작제어하여 주변으로 불빛을 방출함에 따라 작업자는 직감적으로 누전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점퍼선 지지기구를 매개로 점퍼선을 탄성 가압해 고정함에 따라 점퍼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과도한 횡진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공배전선 간의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제1고정유닛과 제2고정유닛의 작용에 따라 아이쇄클의 회동만 제어하거나, 아이쇄클과 애자유닛 간의 유동만 제어하거나, 마지막으로 아이쇄클의 회동과 아이쇄클과 애자유닛 간의 유동 모두를 현장(주변) 여건(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에서 일부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의 일부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에서 점퍼선 지지기구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부분단면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에서 가동식을 고정식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에서 일부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의 일부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에서 점퍼선 지지기구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는 완금(100)과 라인픽스어셈블리(200), 점퍼선 지지기구(300) 및 누전감지유닛(40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누전시 이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어 감전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고, 가공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해 주는 점퍼선(J)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가공배전선(L) 간의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해주며, 현장여건에 따라 라인픽스어셈블리(200)를 가동식 또는 고정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상기 완금(100)은 사각관 형상의 금속재질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전주(P)를 사이에 두고 밴드(미도시)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전주(P)의 상단부에 나란하게 설치고정된다.
이렇게 설치된 완금(100)의 일단부에는 라인픽스어셈블리(200)가 제1코터핀(MP1)과 제1분할핀(SP1)을 매개로 설치되며, 제1코터핀(MP1)이 관통되게 끼워질 수 있게 완금(100)의 일단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코터핀설치부(11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완금(100)의 말단에는 점퍼선 지지기구(30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가공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점퍼선(J)을 지지한다.
상기 라인픽스어셈블리(200)는 아이쇄클(210)과 애자유닛(220), 연결클램프(230), 제1고정유닛(240) 및 제2고정유닛(25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완금(100)에 설치되어 가공배전선(L)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게 절연하고, 가공배전선(L)과 점퍼선(J)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아이쇄클(210)은 쇄클바디(211)와 제1핀결합부(212), 보강리브(213) 및 걸림턱(214)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애자유닛(220)과 완금(100)을 상호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쇄클바디(211)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형상을 이루는 금속재질의 부재로, 꼭지점에는 가공배전선(L)의 가설경로의 방향으로 관통된 결합공(211a)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쇄클바디(211)의 각 말단부에는 완금(100)의 코터핀설치부(110)와 상호 연통되는 구멍이 일체로 형성되며, 코터핀설치부(110)와 이 구멍을 관통하는 제1코터핀(MP1)을 매개로 쇄클바디(211)는 완금(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1코터핀(MP1)에는 제1분할핀(SP1)이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제1코터핀(MP1)의 이탈을 제한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쇄클바디(211)는 제1코터핀(MP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1핀결합부(212)는 결합공(211a)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쇄클바디(211)의 직선구간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핀결합부(212)는 핀볼트(B)가 관통되게 끼워지는 구멍이며, 이후에 설명되는 제2핀결합부(242)와 상호 연통된 상태에서 관통되게 끼워지는 핀볼트(B)를 매개로 상호 연결된다.
상기 보강리브(213)는 쇄클바디(211)의 구조적인 강성을 강화시켜 주기 위하여 쇄클바디(211)의 일부를 함몰시켜 형성한 것으로, 결합공(211a)과 제1핀결합부(212) 사이(만곡구간)에 형성되며 결합공(211a)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보강리브(213)의 함몰된 홈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판스프링(252)의 말단부가 삽입된다.
상기 걸림턱(214)은 제1핀결합부(212)와 보강리브(213) 사이에 형성되며 결합공(211a)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걸림턱(214)은 쇄클바디(211)로부터 절연체(221)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후에 설명되는 판스프링(252)의 탄성변형시 판스프링(252)이 보강리브(213)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애자유닛(220)은 절연체(221)와 쇄클연결부(222) 및 클램프연결부(223)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아이쇄클(210)과 연결클램프(230)을 상호 연결해주면서 아이쇄클(210)과 연결클램프(230) 사이를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연체(221)는 통상의 애자로, 양단에는 쇄클연결부(222)와 클램프연결부(22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쇄클연결부(222)는 연결봉(222a)과 T볼트(222b) 및 가압너트(222c)로 구성되어 절연체(221)와 아이쇄클(210)을 상호 연결해주며, 아이쇄클(210)의 결합공(211a)에 상하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연결봉(222a)은 일단부가 절연체(211)에 내설되고, 타단부가 절연체(211)로부터 돌출된 금속재질의 봉으로, 말단부 내주면에는 T볼트(222b)와 상호 체결될 수 있게 나사산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T볼트(222b)는 아이쇄클(210)에 상하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연결봉(222a)의 말단부에 체결됨으로서 연결봉(222a)과 일체형을 이룬다.
상기 가압너트(222c)는 T볼트(222b)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이후에 설명되는 부시(251)를 아이쇄클(210)을 향해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클램프(230)는 가공배전선(L)과 점퍼선(J)을 전기적으로 연결 및 고정해주는 통상의 인류클램프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절연체(221)의 클램프연결부(223)와 제2코터핀(MP2)을 매개로 상호연결되며, 제2코터핀(MP2)에는 제2분할핀(SP2)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제2코터핀(MP2)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제1고정유닛(240)은 밀착판(241)과 제2핀결합부(242)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완금(100)에 맞대어져 아이쇄클(210)의 회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밀착판(241)은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상의 플레이트이다. 이러한 밀착판(241)의 상단과 하단에는 나란하게 수평으로 연장된 제2핀결합부(242)가 일체로 형성되며, 제1고정유닛(240)은 핀볼트(B)와 너트(N)를 매개로 아이쇄클(210)에 고정된다.
일 예로, 상기 제1고정유닛(240)을 완금(100)과 맞닿지 않게 아이쇄클(210)의 내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핀볼트(B)을 매개로 고정하게 되면 아이쇄클(210)은 제1코터핀(MP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지만, 제1고정유닛(240)을 완금(100)에 맞대어지게 아이쇄클(210)의 내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핀볼트(B)을 매개로 고정하게 되면 아이쇄클(210)은 제1고정유닛(24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제1고정유닛(240)의 배치에 따라 아이쇄클(210)의 작동(회전) 여부를 현장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고정유닛(250)은 부시(251)와 한 쌍의 판스프링(252)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T볼트(222b)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쇄클연결부(222)의 움직임(회동)을 견고하게 고정하면서 쇄클연결부(22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부시(251)와 한 쌍의 판스프링(252)은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부시(251)는 내부가 관통된 관으로, T볼트(222b)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렇게 끼워진 부시(251)는 판스프링(252)에 의해 가압너트(222c)에 맞대어진다.
상기 한 쌍의 판스프링(252)은 부시(251)를 사이에 두고 아이쇄클(210)을 향해 연장된다. 이렇게 연장된 판스프링(252)의 말단은 보강리브(213)와 걸림턱(214) 사이로 삽입된다. 여기서 판스프링(252)은 부시(251)의 이동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쇄클연결부(222)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면서 쇄클연결부(22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상기 가압너트(222c)를 아이쇄클(210)를 향해 조여주게 되면, 가압너트(222c)에 의해 부시(251)가 아이쇄클(210)을 향해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 판스프링(252)은 자연스럽게 탄성변형된다. 상기와 같이 판스프링(252)이 탄성변형됨에 따라 판스프링(252)에 작용하는 복원력에 의해 아이쇄클(210)과 애자유닛(22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리게 되므로 아이쇄클(210)과 애자유닛(220) 간에는 움직임 억제된 상태 즉,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고정유닛(250)을 매개로 아이쇄클(210)과 애자유닛(220) 간의 유동여부를 현장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1고정유닛(240)과 제2고정유닛(250)의 작용에 따라 아이쇄클(210)의 회동만 제어하거나, 아이쇄클(210)과 애자유닛(220) 간의 유동만 제어하거나, 마지막으로 아이쇄클(210)의 회동과 아이쇄클(210)과 애자유닛(220) 간의 유동 모두를 현장(주변) 여건(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점퍼선 지지기구(300)는 베이스(310)와 피봇(320), 막대(330) 및 전선클램프(34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완금(100) 및 가공배전선(L)을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J)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점퍼선(J)의 과도한 횡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310)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상의 금속재질의 플레이트로, 일면으로부터 나란하게 돌출된 장착테(311)를 매개로 완금(100)의 말단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장착테(311)는 사각관형상의 부재이며, 완금(100)의 말단 내측으로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완금(100)과 베이스(310)를 상호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피봇(320)은 장착테(311) 사이에 배치되게 베이스(310)의 일면(장착테가 형성된 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가 하방으로 개방된 볼케이스(321)와, 볼케이스(3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 형상의 볼(322)로 이루어진다.
상기 막대(330)는 볼(322)로부터 연장된 부재로, 볼(322)과 전선클램프(340)를 상호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선클램프(340)는 외주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탄성을 갖는 부재로, 본 실시 예의 경우 내측으로 인입된 점퍼선(J)을 탄성 가압해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점퍼선 지지기구(300)를 구성하는 베이스(310)가 완금(100)의 말단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전선클램프(340)를 매개로 점퍼선(J)을 탄성 가압해 고정함에 따라 점퍼선(J)을 쉽고 간편하게 고정해 줄 수 있음은 물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가공배전선(L) 간의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누전감지유닛(400)은 누전감지센서(410)와 제어부(420) 및 경광부(43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점퍼선 지지기구(300)의 베이스(310)에 설치되어 누전시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주변으로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누전감지센서(410)는 전도성이면서 금속재질인 베이스(310)에 설치되어 베이스(310)로 전류가 흐를 경우 이 누전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42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420)는 누전감지센서(41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광부(430)를 동작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광부(430)는 제어부(42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빛을 발산하며, 작업자는 빛을 발산하는 경광부(430)를 통해 누전이 발생하고 있음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감전의 위험을 피할 수 있으면서 신속하게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누전을 누전감지센서(410)가 감지하여 제어부(420)로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420)는 신호를 전달받아 경광부(430)를 동작제어하여 주변으로 불빛을 방출함에 따라 작업자는 직감적으로 누전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반적인 방식(가동방식)에 대한 사용상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주(P)의 상단부에 밴드(미도시)를 매개로 한 쌍의 완금(100)을 설치해 준다.
그리고 설치된 완금(100)에 라인픽스어셈블리(200)를 설치한 다음, 라인픽스어셈블리(200)에 가공배전선(L)과 점퍼선(J)을 고정해 준다.
상기 라인픽스어셈블리(200)의 조립과정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면, 아이쇄클(210)의 결합공(211a)을 T볼트(222b)를 관통되게 끼워준다.
그 다음 아이쇄클(210)의 내측으로 제1고정유닛(240)을 삽입한 다음 핀볼트(B)와 너트(N)를 매개로 아이쇄클(210)과 제1고정유닛(240)을 상호 결합하며, 이렇게 제1고정유닛(240)의 설치해 줌으로서 T볼트(222b)는 결합공(211a)으로부터의 이탈이 제한된다.
그 다음 T볼트(222b)에 제2고정유닛(250)을 끼워주고 가압너트(222c)를 순차적으로 체결한 후, T볼트(222b)의 말단부를 연결봉(222a)의 말단부에 체결하여 상호 이음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절연체(221)와 쇄클연결부(222)가 일체형을 이루게 됨은 물론 아이쇄클(210)과 애자유닛(220)이 일체형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연결클램프(230)를 애자유닛(220)의 클램프연결부(223)와 제2코터핀(MP2)을 매개로 상호 연결한 다음, 제2코터핀(MP2)으로 제2분할핀(SP2)을 삽입하여 분리를 방지토록 한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라인픽스어셈블리(200)를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이렇게 조립된 라인픽스어셈블리(200)를 완금(100)에 연결해 주고, 가공배전선(L)과 점퍼선(J)을 설치해 주면 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작업 이후에는 점퍼선 지지기구(300)를 구성하는 베이스(310)가 완금(100)의 말단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전선클램프(340)를 매개로 점퍼선(J)을 탄성 가압해 고정하며, 이를 도 1과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이 점퍼선 지지기구(300)를 매개로 점퍼선(J)을 탄성 가압해 고정함에 따라 점퍼선(J)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과도한 횡진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공배전선(L) 간의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실시 예는 아이쇄클(210)과 애자유닛(220)이 구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유롭게 유동 및 회동이 가능한 가동식 구조의 실시 예인데, 현장 여건에 따라 아이쇄클(210)과 애자유닛(220)을 구속시켜 유동 및 회동이 불가능한 고정식 구조로 전환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에서가동식을 고정식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를 참조하면, 우선 제1고정유닛(240)을 아이쇄클(210)로부터 인출할 수 있게 핀볼트(B)를 아이쇄클(210)로부터 분리시켜준다.
상기와 같이 제1고정유닛(240)이 인출되면, 제1고정유닛(240)의 제2핀결합부(242)가 애자유닛(220)을 향하도록 뒤집어준 상태에서 제1고정유닛(240)을 아이쇄클(210)의 내측으로 삽입하며, 이때 제1고정유닛(240)의 밀착판(241)이 완금(100)에 밀착되도록 배치한다.
상기와 같이 제1고정유닛(240)이 배치되면 분리했던 핀볼트(B)를 매개로 아이쇄클(210)과 제1고정유닛(240)을 고정해준다.
상기와 같이 제1고정유닛(240)이 완금(100)에 밀착된 상태(도 6b 참조)에서 아이쇄클(210)과 상호 결합됨에 따라 아이쇄클(210)은 제1고정유닛(240)으로 인해 제1코터핀(MP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해지며, 이를 통해 아이쇄클(210)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아이쇄클(210)의 유동을 제한 것과는 별개로 아이쇄클(210)과 애자유닛(220) 간의 유동도 제한해 줄 수 있는데, 이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너트(222c)를 아이쇄클(210)을 향해 조여주게 되면, 가압너트(222c)의 조임에 의해 부시(251)가 T볼트(222b)를 따라 이동되고, 이 과정에 판스프링(252)은 자연스럽게 탄성변형된다.
상기와 같이 판스프링(252)이 탄성변형됨에 따라 판스프링(252)에 작용하는 복원력에 의해 아이쇄클(210)과 애자유닛(22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리게 되므로 아이쇄클(210)과 애자유닛(220) 간에는 움직임 억제된 상태 즉,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고정유닛(250)을 매개로 아이쇄클(210)과 애자유닛(220) 간의 유동여부를 현장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1고정유닛(240)과 제2고정유닛(250)의 작용에 따라 아이쇄클(210)의 회동만 제어하거나, 아이쇄클(210)과 애자유닛(220) 간의 유동만 제어하거나, 마지막으로 아이쇄클(210)의 회동과 아이쇄클(210)과 애자유닛(220) 간의 유동 모두를 현장(주변) 여건(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완금 110: 코터핀설치부 200: 라인픽스어셈브리
210: 아이쇄클 211: 쇄클바디 211a: 결합공
212: 제1핀결합부 213: 보강리브 214: 걸림턱
220: 애자유닛 221: 절연체 222: 쇄클연결부
222a: 연결봉 222b: T볼트 222c: 가압너트
223: 클램프연결부 230: 연결클램프 240: 제1고정유닛
241: 밀착판 242: 제2핀결합부 250: 제2고정유닛
251: 부시 252: 판스프링 300: 점퍼선 지지기구
310: 베이스 311: 장착테 320: 피봇
321: 볼케이스 322: 볼 330: 막대
340: 전선클램프 400: 누전감지유닛 410: 누전감지센서
420: 제어부 430: 경광부

Claims (1)

  1. 전주(P)를 사이에 두고 전주(P)의 상단부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사각관형상의 완금(100);
    정면에서 보았을 때‘⊂’형상을 이루고, 꼭지점에 결합공(211a)이 마련되며, 양단부가 완금(100)에 제1코터핀(MP1)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쇄클바디(211), 쇄클바디(211)의 결합공(211a)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핀결합부(212), 결합공(211a)과 제1핀결합부(212) 사이에 배치되며 쇄클바디(211)의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함몰된 보강리브(213), 제1핀결합부(212)와 보강리브(213) 사이에 형성되며 절연체(221)를 향해 돌출된 걸림턱(214)로 이루어진 아이쇄클(210)과,
    가공배전선(L)과 완금(100) 사이를 절연하는 절연체(211),
    절연체(211)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며 말단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봉(222a)과, 아이쇄클(210)에 상하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연결봉(222a)의 말단부에 체결되어 아이쇄클(210)과 절연체(221)를 상호 연결하는 T볼트(222b)와, T볼트(222b)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가압너트(222c)를 갖춘 쇄클연결부(222),
    절연체(211)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된 클램프연결부(223)로 이루어진 애자유닛(220)과,
    클램프연결부(223)와 제2코터핀(MP2)을 매개로 상호연결되며 가공배전선(L) 및 점퍼선(J)을 고정하는 연결클램프(230)와,
    아이쇄클(210)의 내측으로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밀착판(241)과, 밀착판(241)으로부터 나란하게 연장되어 제1핀결합부(212)를 관통하는 핀볼트(B)를 매개로 아이쇄클(21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핀결합부(242)로 구성되어 완금(100)에 맞대어져 아이쇄클(210)이 제1코터핀(MP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1고정유닛(240)과,
    T볼트(222b)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부시(251)와, 부시(251)를 사이에 두고 부시(251)로부터 아이쇄클(210)을 향해 연장되어 말단이 보강리브(213)와 걸림턱(214) 사이로 인입되는 판스프링(252)으로 구성되어 가압너트(222c)에 의한 부시(251)의 이동에 의해 판스프링(252)이 탄성변형되면서 애자유닛(220)의 회동을 제한하는 제2고정유닛(250)으로 구성된 라인픽스어셈블리(200);
    나란하게 돌출되어 완금(100)의 말단 내측으로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장착테(311)를 매개로 완금(100)과 상호 결합되는 베이스(310)와, 장착테(311) 사이에 배치되게 베이스(310)에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가 하방으로 개방된 볼케이스(321), 볼케이스(3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형상의 볼(322)로 이루어진 피봇(320)과, 볼(322)로부터 연장된 막대(330)와, 막대(330)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가공배전선(L)을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J)을 가압고정하는 전선클램프(340)로 구성된 점퍼선 지지기구(300);
    베이스(310)에 설치되어 누전을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410)와, 누전감지센서(41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광부(43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420)와, 제어부(42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빛을 발산하는 경광부(430)로 구성된 누전감지유닛(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20210156295A 2021-11-15 2021-11-15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2433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295A KR102433444B1 (ko) 2021-11-15 2021-11-15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295A KR102433444B1 (ko) 2021-11-15 2021-11-15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444B1 true KR102433444B1 (ko) 2022-08-18

Family

ID=83112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295A KR102433444B1 (ko) 2021-11-15 2021-11-15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4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66659A (zh) * 2023-11-21 2023-12-22 河北东毅电力有限公司 一种供电线路横担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318U (ko) * 1997-09-13 1997-12-11 신종국 전주의 경완금용 볼쇄클
KR20140003839U (ko) * 2012-12-13 2014-06-23 한국전력공사 경완철용 아이쇄클
KR101615696B1 (ko) 2016-01-27 2016-04-26 주식회사 승원이엔지 배전용 전주의 현수애자 쇄클 연결장치
KR102233998B1 (ko) * 2020-08-11 2021-03-31 금양테크(주) 가공배전선로용 안전형 점퍼선 지지장치
KR102246338B1 (ko) * 2020-09-18 2021-04-29 주식회사 라이컨기술단 변압기로의 가공배전선 분기가 용이한 가공배전설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318U (ko) * 1997-09-13 1997-12-11 신종국 전주의 경완금용 볼쇄클
KR20140003839U (ko) * 2012-12-13 2014-06-23 한국전력공사 경완철용 아이쇄클
KR101615696B1 (ko) 2016-01-27 2016-04-26 주식회사 승원이엔지 배전용 전주의 현수애자 쇄클 연결장치
KR102233998B1 (ko) * 2020-08-11 2021-03-31 금양테크(주) 가공배전선로용 안전형 점퍼선 지지장치
KR102246338B1 (ko) * 2020-09-18 2021-04-29 주식회사 라이컨기술단 변압기로의 가공배전선 분기가 용이한 가공배전설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66659A (zh) * 2023-11-21 2023-12-22 河北东毅电力有限公司 一种供电线路横担
CN117266659B (zh) * 2023-11-21 2024-01-23 河北东毅电力有限公司 一种供电线路横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3446B1 (ko) 가공배전선 지지용 애자활용 고정기기
KR102434501B1 (ko) 모니터링이 가능한 가공배전라인 연결기기
KR102398546B1 (ko) 낙뢰피해방지형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KR102433444B1 (ko)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US7666024B2 (en) Spring loaded parallel pad clamp
US8979600B2 (en) Fuse holder and fuse clip assembly with dual directional bias element support
KR102343417B1 (ko) 전주 고정형 가공배전라인용 지지기구
KR102365477B1 (ko) 가공배전선 편의성 향상 고정기구
US4523054A (en) Line-past insulator support system, method of assembly thereof, and clamp for use therein
CA2483509C (en) Fuse cutout with improved dropout performance
KR102024668B1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
US20150357623A1 (en) Fusible link
US20120088394A1 (en) Electrical Connection Clamp
KR102433447B1 (ko) 가공배전선 간의 안정적 연결을 위한 가공배전설비
US6350074B1 (en) Spherical clevis assembly
US7485014B2 (en) Conductor connection
US20110080682A1 (en) Electrical protection assembly and system
CN107851909A (zh) 防御外物损坏的能自由平移的电连接装置
KR102259566B1 (ko)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US20060138921A1 (en) Connecting means for lamp elements
CN109789809A (zh) 用于滑触线的紧固装置以及滑触线系统
EP2239819B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rrangement for connecting at least two conductors
CA1081337A (en) Keyhole grounding clamp
US6227902B1 (en) Modified line lamp
KR102434500B1 (ko) 변압기로의 가공배전선 분기가 편리한 가공배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