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839U - 경완철용 아이쇄클 - Google Patents

경완철용 아이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839U
KR20140003839U KR2020120011763U KR20120011763U KR20140003839U KR 20140003839 U KR20140003839 U KR 20140003839U KR 2020120011763 U KR2020120011763 U KR 2020120011763U KR 20120011763 U KR20120011763 U KR 20120011763U KR 20140003839 U KR20140003839 U KR 201400038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iron
connecting rod
coupled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7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부
조성대
김영배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1200117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839U/ko
Publication of KR201400038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83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중앙에 톱니 형상의 톱니끼움부가 형성된 바디부 및 바디부를 관통하고 끝단에 톱니 형상의 톱니부가 형성된 연결봉을 포함하고, 톱니끼움부와 상기 톱니부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완철용 아이쇄클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내측에 톱니부를 형성하고 있는 바디부와, 아이쇄클의 톱니부에 연결되는 연결봉을 포함하여 전선이 제 위치를 유지함과 동시에 점퍼선이 횡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완철 및 점퍼선간의 혼촉 발생을 방지하고 전선간 접촉하여 발생하는 선로고장을 방지하여 고장 예방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경완철용 아이쇄클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Description

경완철용 아이쇄클{I-SHACKLE FOR SQUARE TYPE CROSSARM}
본 고안은 경완철용 아이쇄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완철을 감싸면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에 톱니모양을 형성하고 있는 경완철용 아이쇄클을 제공함으로써, 전선이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점퍼선이 돌아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경완철용 아이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을 전주에 지지하기 위해서는 절연성능을 가진 폴리머 애자 등을 이용하여 전선을 장악하고, 이러한 애자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경완철을 전주에 설치한다.
종래에는 경완철과 폴리머 애자와의 결합을 위하여 아이쇄클을 사용하였다. 다만, 종래의 아이쇄클을 사용하여 폴리머 애자 결합시에, 점퍼선이 횡진하여 완철 또는 다른 점퍼선에 접촉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고압 정전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점퍼선의 횡진으로 인한 고압 정전을 방지할 수 있는 아이쇄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011140호는 지선 그립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완철 지선용 쇄클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더라도 점퍼선의 횡진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내측에 톱니부를 형성하고 있는 바디부와, 아이쇄클의 톱니부에 연결되는 연결봉을 포함하여 전선이 제 위치를 유지함과 동시에 점퍼선이 횡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완철 및 점퍼선간의 혼촉 발생을 방지하고 전선간 접촉하여 발생하는 선로고장을 방지하여 고장 예방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경완철용 아이쇄클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경완철용 아이쇄클은,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중앙에 톱니 형상의 톱니끼움부가 형성된 바디부 및 바디부를 관통하고 끝단에 톱니 형상의 톱니부가 형성된 연결봉을 포함하고, 톱니끼움부와 상기 톱니부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경완철용 아이쇄클의 바디부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집게부재, 한 쌍의 집게부재 각각의 일단에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절곡부재 및 한 쌍의 절곡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봉 관통부를 포함하고, 톱니끼움부는 연결봉 관통부의 내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경완철용 아이쇄클의 연결봉은 기둥 형상의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일단에 결합된 고리부를 포함하고, 톱니부는 기둥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경완철용 아이쇄클의 바디부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경완철용 아이쇄클의 한 쌍의 집게부재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뚫려있는 한 쌍의 경완철 결합부가 형성되어, 한 쌍의 경완철 결합부에 경완철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경완철용 아이쇄클의 연결봉은 기둥부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경완철용 아이쇄클의 고리부의 중앙에는 원형의 구멍 형상의 애자결합부가 형성되어, 애자 결합부에 애자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경완철용 아이쇄클의 바디부와 경완철은 경완철 고정나사를 통해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경완철용 아이쇄클을 통하여 폴리머 애자 결합시 점퍼선이 횡진하여 완철 또는 다른 점퍼선과 접촉하여 발생될 수 있는 고압 정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완철용 아이쇄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완철용 아이쇄클의 바디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완철용 아이쇄클의 연결봉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완철용 아이쇄클의 전선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완철용 아이쇄클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완철용 아이쇄클의 분리 및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완철용 아이쇄클은 집게형상의 바디부(100)와 바디부(100)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봉(20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는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집게부재(110), 한 쌍의 집게부재(110)에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절곡부재(120) 및 한 쌍의 절곡부재(120)를 연결하는 연결봉 관통부(13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집게부재(110)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집게부재(11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한 쌍의 집게부재(110)의 일단에는 절곡부재(120)가 연결되며, 타단에는 경완철 결합부(111)가 형성된다. 한 쌍의 경완철 결합부(111)에는 경완철의 일부가 관통하도록 끼워져 경완철과 경완철용 아이쇄클이 결합되어, 서로 고정된다.
경완철 결합부(111)는 원형의 구멍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집게 부재 각각에 형성된 경완철 결합부(111)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한 쌍의 집게부재(110)의 각각의 일단에는 한 쌍의 절곡부재(120)가 각각 연결되며, 한 쌍의 절곡부재(120)는 한 쌍의 집게부재(110)에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다.
한 쌍의 절곡부재(120)는 한 쌍의 집게부재(110)의 간격보다 점점 좁아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한 쌍의 절곡부재(120)는 연결봉 관통부(130)로 연결되며, 연결봉 관통부(130)는 한 쌍의 절곡부재(120)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한 쌍의 절곡부재(120)의 각각의 일단에는 한 쌍의 바디부(100)가 각각 연장 형성되고, 한 쌍의 절곡부재(120)의 각각의 타단에는 연결봉 관통부(130)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연결부 관통부는 내측에 형성된 톱니 형상의 한 쌍의 톱니끼움부(131) 및 한 쌍의 톱니끼움부(131) 사이에 형성된 구멍인 연결봉 관통부(130)를 포함한다.
연결봉 관통부(130)는 내측에는 톱니끼움부(131)를 포함한다. 톱니끼움부(131)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각각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반원 형상의 톱니끼움부(131)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톱니홈이 형성된다.
톱니끼움부(131)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한 쌍의 톱니끼움부(131) 각각은 연결봉 관통부(130) 내측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된다.
한 쌍의 톱니끼움부(131) 사이에는 연결봉 관통홀(132)이 형성된다. 연결봉 관통홀(132)은 연결봉(200)이 관통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있는 형상이며, 연결봉 관통홀(132)은 사각형의 구멍일 수 있고, 그 외 기타 형상의 구멍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봉(200)은 기둥 형상의 기둥부(220), 기둥부(220)의 일단에 결합된 원형의 톱니부(210) 및 기둥부(220)의 타단에 결합된 고리부(230)를 포함한다.
기둥부(220)는 사각기둥, 삼각기둥 또는 기타 다른 형상의 기둥일 수 있으며, 바디부(100)의 연결봉 관통부(130)에 형성된 연결봉 관통홀(132)을 관통한다.
기둥부(220)의 일단에는 톱니부(210)가 결합된다. 톱니부(210)의 외측은 평평한 원형이며, 톱니부(210)의 내측에는 톱니홈이 형성된다. 톱니부(210)의 내측에 형성된 톱니홈은 톱니부(210) 내측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톱니부(210)의 내측에 형성된 톱니홈은 연결부 관통부에 형성된 톱니끼움부(131)에 정확하게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기둥부(220)의 타단에는 고리부(230)가 고리부(230)가 결합된다. 고리부(230)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기타 여러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리부(230)의 중앙에는 애자 결합부(231)가 형성된다. 애자 결합부(231)는 원형의 구멍이며, 애자의 끝단이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완철용 아이쇄클의 전선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애자(30)의 일단에는 전선 클램프(40)가 결합된다. 전선 클램프(40)는 전선(50)을 클램핑하여 고정한다.
애자(30)의 타단에는 연결봉(200)이 결합된다. 연결봉(200)의 끝단에 형성된 고리부(230)가 애자(30)의 타단과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리부(230)의 중앙에 형성된 애자 결합부(231)의 애자(30) 타단에 형성된 나사가 관통 결합되어 애자(30)의 타단에 연결봉(200)이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검토한 바와 같이, 연결봉(200)은 바디부(100)와 관통 결합된다.
바디부(100)에 내측에는 경완철(10)이 삽입되고, 경완철(10)과 바디부(100)는 경완철 고정나사(20)를 통하여 고정되어 결합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완철용 아이쇄클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연결봉(200)과 바디부(100)는 연결봉 관통홀(132)을 통하여 관통 결합된다.
바디부(100)의 톱니끼움부에 형성된 톱니와, 연결봉(200)의 끝단에 형성된 톱니부가 서로 정확하게 끼워져서 연결봉이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따라서, 연결봉에 연결된 애자나, 애자에 연결된 전선이 바람이나 전선의 늘어짐에 의해 회전하거나 당겨지더라도 연결봉(200)이 바디부(100)와 톱니결합됨으로써 연결봉(200)의 회전을 억제하여 점퍼선이 돌아가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경완철용 아이쇄클을 통하여 폴리머 애자 결합시 점퍼선이 횡진으로 인해 완철 및 점퍼선간 혼촉이 발생하여 고압 정전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횡진 발생시 상하단 선로나 분기선로의 접속부분의 리드선 횡진으로 전선간 접촉하면서 선로고장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점퍼선이 돌아가는 현상을 방지하고, 보수 공사시 순간적인 고장을 예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여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선의 유동력 또는 바람에 의한 점퍼선의 횡진을 방지하여 혼촉 방지 및 선로고장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시설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경완철 20: 경완철 고정나사
30: 애자 40: 전선 클램프
50: 전선 100: 바디부
110: 집게부재 111: 경완철 결합부
120: 절곡부재 130: 연결봉 관통부
131: 톱니끼움부 132: 연결봉 관통홀
200: 연결봉 210: 톱니부
220: 기둥부 230: 고리부
231: 애자 결합부

Claims (8)

  1.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중앙에 톱니 형상의 톱니끼움부가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고 끝단에 톱니 형상의 톱니부가 형성된 연결봉을 포함하고,
    상기 톱니끼움부와 상기 톱니부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완철용 아이쇄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집게부재;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 각각의 일단에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절곡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절곡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봉 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톱니끼움부는 상기 연결봉 관통부의 내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완철용 아이쇄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기둥 형상의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일단에 결합된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톱니부는 상기 기둥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완철용 아이쇄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완철용 아이쇄클.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뚫려있는 한 쌍의 경완철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경완철 결합부에 경완철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완철용 아이쇄클.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상기 기둥부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완철용 아이쇄클.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에는 애자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애자 결합부에 애자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완철용 아이쇄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와 경완철은 경완철 고정나사를 통해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완철용 아이쇄클.
KR2020120011763U 2012-12-13 2012-12-13 경완철용 아이쇄클 KR201400038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763U KR20140003839U (ko) 2012-12-13 2012-12-13 경완철용 아이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763U KR20140003839U (ko) 2012-12-13 2012-12-13 경완철용 아이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839U true KR20140003839U (ko) 2014-06-23

Family

ID=52445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763U KR20140003839U (ko) 2012-12-13 2012-12-13 경완철용 아이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839U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936B1 (ko) * 2018-05-18 2019-08-08 한국전력공사 점퍼선 횡진방지용 아이쇄클 조립체
KR102008938B1 (ko) * 2018-05-16 2019-08-08 한국전력공사 회전방지용 아이쇄클 조립체
KR20210041377A (ko) * 2019-10-07 2021-04-15 한국전력공사 아이 섀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선 고정 장치
KR20210154039A (ko) * 2020-06-11 2021-12-20 한국전력공사 점퍼선의 회전 구속장치
KR102433444B1 (ko) * 2021-11-15 2022-08-18 창성전력기술 주식회사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2433446B1 (ko) * 2021-11-15 2022-08-18 창성전력기술 주식회사 가공배전선 지지용 애자활용 고정기기
KR102433447B1 (ko) * 2021-11-15 2022-08-18 창성전력기술 주식회사 가공배전선 간의 안정적 연결을 위한 가공배전설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938B1 (ko) * 2018-05-16 2019-08-08 한국전력공사 회전방지용 아이쇄클 조립체
KR102008936B1 (ko) * 2018-05-18 2019-08-08 한국전력공사 점퍼선 횡진방지용 아이쇄클 조립체
KR20210041377A (ko) * 2019-10-07 2021-04-15 한국전력공사 아이 섀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선 고정 장치
KR20210154039A (ko) * 2020-06-11 2021-12-20 한국전력공사 점퍼선의 회전 구속장치
KR102433444B1 (ko) * 2021-11-15 2022-08-18 창성전력기술 주식회사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2433446B1 (ko) * 2021-11-15 2022-08-18 창성전력기술 주식회사 가공배전선 지지용 애자활용 고정기기
KR102433447B1 (ko) * 2021-11-15 2022-08-18 창성전력기술 주식회사 가공배전선 간의 안정적 연결을 위한 가공배전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3839U (ko) 경완철용 아이쇄클
JP6756231B2 (ja) 架空電線分岐用治具およびこれを備えた架空電線分岐用装置
US10109932B2 (en) Electrical clamps
KR101666993B1 (ko)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
US8926246B2 (en) Bolt support structure
JP2016007098A (ja) 電線仮接続装置及び電線仮接続方法
CN106374410A (zh) 一种电缆固线器
CN208386092U (zh) 一种电缆线防断保护装置
US2504360A (en) Clamp means
KR20130031666A (ko) 탄성 클립을 이용한 볼트 체결형 접지 클램프
KR102387208B1 (ko)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의 절연손잡이 구조체
JP5960233B2 (ja)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及び間接活線工事用アダプタ
KR20130015952A (ko) 전주의 조가선 설치용 2단 밴드
DE102011117727B4 (de) Verschlussstopfen für eine Befestigungsöffnung einer Seilbefestigung
CN206135361U (zh) 电缆固线器
KR20100010954U (ko) 완철 접지 클램프
AU2017206168B2 (en) A Line Strainer
KR20140146404A (ko) 체결성을 증진시킨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
CN105071058A (zh) 一种野外高压设备用快速接地装置
KR20130039565A (ko)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KR20160094822A (ko) 전신주용 하향 현수애자의 전기케이블 지지 및 고정금구
JP5951736B2 (ja) 架空電線用スペーサ
KR101717361B1 (ko) 경완금 브라키트
KR102533178B1 (ko) 병렬 클램프
KR102212646B1 (ko) 가공송전선로의 점퍼 분리용 바이패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