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7208B1 -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의 절연손잡이 구조체 - Google Patents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의 절연손잡이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7208B1
KR102387208B1 KR1020200055923A KR20200055923A KR102387208B1 KR 102387208 B1 KR102387208 B1 KR 102387208B1 KR 1020200055923 A KR1020200055923 A KR 1020200055923A KR 20200055923 A KR20200055923 A KR 20200055923A KR 102387208 B1 KR102387208 B1 KR 102387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insulating block
screw
insula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7714A (ko
Inventor
정경윤
고상식
전대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55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208B1/ko
Publication of KR20210137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P)의 좌우 한 쌍의 암타이 래크밴드(10)에 볼트(12)와 너트(14)의 결합체를 매개로 고정되는 절연블록(20)과, 상기 절연블록(20)의 일측에 제2 볼트(32)를 매개로 설치되는 절연손잡이(40)를 구비한 구조이기 때문에 고객 인입선 및 노후설비 교체시 절연손잡이(40)를 붙잡고 안전한 자세로 안전로프 체결 작업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전력선과 신체접촉 또는 우천시 빗물에 의한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종료후 안전로프를 분리할 때 절연손잡이(40)를 잡을 수 있으므로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의 절연손잡이 구조체{Structure for Insulation Pot Handle of arm-tie rack band of electric pole}
본 발명은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의 절연손잡이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주의 암타이 래크밴드에 절연손잡이를 설치하여 감전사고 및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의 절연손잡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암타이 및 래크는 밴드로 전주(pole tie)에 고정되어 가공선로의 전선을 지지한다.
일반적으로 전주에 완금이나 완목이 위아래로 움직이는 것을 고정하기 위해 암타이 및 밴드를 사용하고, 저압가공선로에 있어서는 래크 및 밴드를 사용해 전선을 수직으로 배선한다.
종래의 암타이 및 래크의 밴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주(1)의 소정높이에 좌우 한쌍의 체결볼트(13)와 너트(14)를 이용하여 한쌍의 밴드(16)가 높이차를 두고 설치되고, 전주(1)의 상단에는 완금(20)이 설치되며, 한 쌍의 밴드(10) 중 하나의 밴드(16)의 일측과 완금(20)의 일측에 암타이(30)가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부재(17)에 의해 양단이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전주의 다른 하나의 밴드(16)에는 래크(40)가 설치되고 이 래크(40)에 저압전류 애자(50)가 설치된다.
상기 암타이(30) 및 래크(40)를 전주(1)에 고정시키는 밴드(10)는, 전주(1)에 체결볼트(13)와 너트(14)에 의해 고정되도록 양측에 직선부(11)가 각각 형성되고, 그 중앙은 전주(1)의 외주에 밀착되도록 반원형의 곡선부(15)로 되며, 곡선부(15)의 외측 중앙에는 암타이(30)나 래크(40)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하나의(1방) 체결부재(17)가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밴드(10)는 전주의 외경 규격이 다양한 종류가 구비되어 있지만, 전주 승주작업시 작업자가 안전하게 붙잡을 수 있는 절연 손잡이가 없기 때문에 고객 인입선 및 노후설비로 인해 불안전한 자세로 안전로프 체결 작업시 다수의 전력선과 신체접촉으로 인하여 감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될 뿐만 아니라 작업 종료후 안전로프를 분리할 때 추락사고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9-0133513호(2019.12.03.)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전주 승주작업시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 종료후 안전로프를 분리할 때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의 절연손잡이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의 절연손잡이 구조체는, 전주에 볼트와 너트의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좌우 한 쌍의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의 절연손잡이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암타이 래크밴드가 결합될 때 상기 볼트가 관통되도록 상기 좌우 한 쌍의 암타이 래크밴드의 사이에 결합되는 절연블록과, 상기 볼트로부터 상기 절연블록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절연블록의 하부 측면을 수평으로 관통되면서 체결되는 제1 볼트와, 절연손잡이가 외주 일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절연블록의 상부 측면을 수평으로 관통되면서 체결되는 제2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절연블록은 직육면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볼트가 상기 절연블록의 정면과 후면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상기 절연블록의 중간 높이에서 하면과 정면 및 후면 중앙 3 방향으로 개방된 역 유(U)자 형태로 형성된 절개홈과, 상기 제1 볼트의 나사면이 체결되도록 상기 절연블록의 하부 좌측면에서 절연블록을 수평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절개홈의 중간 높이를 통과하는 제1 결합홀과, 상기 제2 볼트의 나사면이 체결되도록 상기 절연블록의 상부 좌측면에서 절연블록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제2 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결합홀은, 상기 제1 볼트의 나사면이 나사 결합되면서 통과하도록 상기 절연블록의 하부 좌측면에서 상기 절개홈까지 형성된 나사홀과, 상기 나사홀을 통과한 상기 제1 볼트의 나사면 끝단과 제1 절연캡너트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절연블록의 하부 우측면에서 상기 절개홈까지 형성된 캡너트삽입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2 결합홀은, 상기 제2 볼트의 나사면이 나사 결합되면서 통과하도록 상기 절연블록의 상부 좌측면에서 일정 깊이까지 형성된 나사홀과, 상기 나사홀을 통과한 상기 제2 볼트의 나사면 끝단과 제2 절연캡너트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절연블록의 상부 우측면에서 일정 깊이까지 형성된 캡너트삽입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볼트는, 나사면 중 상기 절연블록의 제1 결합홀측 나사홀을 통과한 나사면 끝단은 제1 결합홀측 캡너트삽입홀내에서 상기 제1 절연캡너트와 나사결합에 의해 절연되고, 나사면 중 상기 제1 결합홀을 통과하지 않은 나사면은 상기 절연블록의 좌측면에 밀착되는 제1 너트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2 볼트는, 나사면 중 상기 절연블록의 제2 결합홀측 나사홀을 통과한 나사면 끝단은 제2 결합홀측 캡너트삽입홀내에서 상기 제2 절연캡너트와 나사결합에 의해 절연되고, 나사면 중 상기 제2 결합홀을 통과하지 않은 나사면은 상기 절연블록의 좌측면에 밀착되는 제2 너트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절연손잡이는 상기 제2 볼트의 외주면에 대해 나사면을 통해 머리부까지 끼워져 비나사면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파이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절연손잡이는 야광도료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주의 좌우 한 쌍의 암타이 래크밴드에 볼트와 너트의 결합체를 매개로 고정되는 절연블록과, 상기 절연블록의 일측에 제2 볼트를 매개로 설치되는 절연손잡이를 구비한 구조이기 때문에 고객 인입선 및 노후설비 교체시 절연손잡이를 붙잡고 안전한 자세로 안전로프 체결 작업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전력선과 신체접촉 또는 우천시 빗물에 의한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종료후 안전로프를 분리할 때 절연손잡이를 잡을 수 있으므로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암타이 래크밴드에 의해 전주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암타이 래크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절연 손잡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절연 손잡이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절연 손잡이가 암타이 래크밴드에 의해 전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의 절연손잡이 구조체는, 전주(P)에 볼트(12)와 너트(14)의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좌우 한 쌍의 암타이 래크밴드(10)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암타이 래크밴드(10)가 결합될 때 상기 볼트(12)가 관통되도록 상기 좌우 한 쌍의 암타이 래크밴드(10)의 사이에 결합되는 절연블록(20)과, 상기 볼트(12)로부터 상기 절연블록(20)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절연블록(20)의 하부 측면을 수평으로 관통되면서 체결되는 제1 볼트(30)와, 상기 절연손잡이(40)가 외주 일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절연블록(20)의 상부 측면을 수평으로 관통되면서 체결되는 제2 볼트(3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절연블록(20)은 직육면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볼트(12)가 절연블록(20)의 정면과 후면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상기 절연블록(20)의 중간 높이에서 하면과 정면 및 후면 중앙 3 방향으로 개방된 역 유(U)자 형태로 형성된 절개홈(22)과, 상기 제1 볼트(30)의 나사면이 체결되도록 상기 절연블록(20)의 하부 좌측면에서 절연블록(20)을 수평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절개홈(22)의 중간 높이를 통과하는 제1 결합홀(24)과, 상기 제2 볼트(32)의 나사면이 체결되도록 상기 절연블록(20)의 상부 좌측면에서 절연블록(20)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제2 결합홀(26)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결합홀(24)은, 상기 제1 볼트(30)의 나사면이 나사 결합되면서 통과하도록 상기 절연블록(20)의 하부 좌측면에서 상기 절개홈(22)까지 형성된 나사홀(24a)과, 상기 나사홀(24a)을 통과한 상기 제1 볼트(30)의 나사면 끝단과 제1 절연캡너트(50)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절연블록(20)의 하부 우측면에서 상기 절개홈(22)까지 형성된 캡너트삽입홀(24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 결합홀(26)은, 상기 제2 볼트(32)의 나사면이 나사 결합되면서 통과하도록 상기 절연블록(20)의 상부 좌측면에서 일정 깊이까지 형성된 나사홀(26a)과, 상기 나사홀(26a)을 통과한 상기 제2 볼트(32)의 나사면 끝단과 제2 절연캡너트(52)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절연블록(20)의 상부 우측면에서 일정 깊이까지 형성된 캡너트삽입홀(26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 볼트(30)는 상기 절연블록(20)의 제1 결합홀(24)에 결합될 때 상기 절개홈(22)의 하면 통로를 폐쇄하여 절연블록(20)이 좌우 한 쌍의 암타이 래크밴드(10)의 볼트(1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것으로서, 제1 볼트(30)의 나사면 중 상기 절연블록(20)의 제1 결합홀(24)측 나사홀(24a)을 통과한 나사면 끝단은 제1 결합홀(24)측 캡너트삽입홀(24b)내에서 상기 제1 절연캡너트(50)와 나사결합에 의해 절연되고, 상기 제1 볼트(30)의 나사면 중 상기 제1 결합홀(24)을 통과하지 않은 나사면은 상기 절연블록(20)의 좌측면에 밀착되는 제1 너트(60)와 나사결합되어 제1 볼트(30)와 절연블록(20)의 체결력을 증대시켜 주게 된다.
상기 제2 볼트(32)는 그 외주에 상기 절연손잡이(40)가 끼워진 채로 나사면이 상기 절연블록(20)의 제2 결합홀(26)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제2 볼트(32)의 나사면 중 상기 절연블록(20)의 제2 결합홀(26)측 나사홀(26a)을 통과한 나사면 끝단은 제2 결합홀(26)측 캡너트삽입홀(26b)내에서 상기 제2 절연캡너트(52)와 나사결합에 의해 절연되고, 상기 제2 볼트(32)의 나사면 중 상기 제2 결합홀(26)을 통과하지 않은 나사면은 상기 절연블록(20)의 좌측면에 밀착되는 제2 너트(62)와 나사결합되어 제2 볼트(32)와 절연블록(20)의 체결력을 증대시켜 주게 된다.
상기 절연손잡이(40)는 야건에 시인성을 높여주도록 야광도료가 코팅된 것으로서, 상기 제2 볼트(32)의 외주면에 대해 나사면을 통해 머리부까지 끼워져 비나사면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 처럼, 본 발명은 전주(P)의 좌우 한 쌍의 암타이 래크밴드(10)에 볼트(12)와 너트(14)의 결합체를 매개로 고정되는 절연블록(20)과, 상기 절연블록(20)의 일측에 제2 볼트(32)를 매개로 설치되는 절연손잡이(40)를 구비한 구조이기 때문에 고객 인입선 및 노후설비 교체시 절연손잡이(40)를 붙잡고 안전한 자세로 안전로프 체결 작업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전력선과 신체접촉 또는 우천시 빗물에 의한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종료후 안전로프를 분리할 때 절연손잡이(40)를 잡을 수 있으므로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절연손잡이(40)는 야광도료가 코팅되어 있으므로 야간에 시인성을 높여주기 때문에 야간 승주작업이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P : 전주 10 : 암타이 래크밴드
12 : 볼트 14 : 너트
20 : 절연블록 22 : 절개홈
24 : 제1 결합홀 24a : 나사홀
24b : 캡너트삽입홀 26 : 제2 결합홀
26a : 나사홀 26b : 캡너트삽입홀
30 : 제1 볼트 32 : 제2 볼트
40 : 절연손잡이 50 : 제1 절연캡너트
52 : 제2 절연캡너트 60 : 제1 너트
62 : 제2 너트

Claims (8)

  1. 전주(P)에 볼트(12)와 너트(14)의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좌우 한 쌍의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10)의 절연손잡이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암타이 래크밴드(10)가 결합될 때 상기 볼트(12)가 관통되도록 상기 좌우 한 쌍의 암타이 래크밴드(10)의 사이에 결합되는 절연블록(20)과,
    상기 볼트(12)로부터 상기 절연블록(20)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절연블록(20)의 하부 측면을 수평으로 관통되면서 체결되는 제1 볼트(30)와,
    절연손잡이(40)가 외주 일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절연블록(20)의 상부 측면을 수평으로 관통되면서 체결되는 제2 볼트(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의 절연손잡이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블록(20)은 직육면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볼트(12)가 상기 절연블록(20)의 정면과 후면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상기 절연블록(20)의 중간 높이에서 하면과 정면 및 후면 중앙 3 방향으로 개방된 역 유(U)자 형태로 형성된 절개홈(22)과,
    상기 제1 볼트(30)의 나사면이 체결되도록 상기 절연블록(20)의 하부 좌측면에서 절연블록(20)을 수평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절개홈(22)의 중간 높이를 통과하는 제1 결합홀(24)과,
    상기 제2 볼트(32)의 나사면이 체결되도록 상기 절연블록(20)의 상부 좌측면에서 절연블록(20)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제2 결합홀(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의 절연손잡이 구조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홀(24)은,
    상기 제1 볼트(30)의 나사면이 나사 결합되면서 통과하도록 상기 절연블록(20)의 하부 좌측면에서 상기 절개홈(22)까지 형성된 나사홀(24a)과,
    상기 나사홀(24a)을 통과한 상기 제1 볼트(30)의 나사면 끝단과 제1 절연캡너트(50)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절연블록(20)의 하부 우측면에서 상기 절개홈(22)까지 형성된 캡너트삽입홀(24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의 절연손잡이 구조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홀(26)은,
    상기 제2 볼트(32)의 나사면이 나사 결합되면서 통과하도록 상기 절연블록(20)의 상부 좌측면에서 일정 깊이까지 형성된 나사홀(26a)과,
    상기 나사홀(26a)을 통과한 상기 제2 볼트(32)의 나사면 끝단과 제2 절연캡너트(52)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절연블록(20)의 상부 우측면에서 일정 깊이까지 형성된 캡너트삽입홀(26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의 절연손잡이 구조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볼트(30)는,
    나사면 중 상기 절연블록(20)의 제1 결합홀(24)측 나사홀(24a)을 통과한 나사면 끝단은 제1 결합홀(24)측 캡너트삽입홀(24b)내에서 상기 제1 절연캡너트(50)와 나사결합에 의해 절연되고,
    나사면 중 상기 제1 결합홀(24)을 통과하지 않은 나사면은 상기 절연블록(20)의 좌측면에 밀착되는 제1 너트(60)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의 절연손잡이 구조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볼트(32)는,
    나사면 중 상기 절연블록(20)의 제2 결합홀(26)측 나사홀(26a)을 통과한 나사면 끝단은 제2 결합홀(26)측 캡너트삽입홀(26b)내에서 상기 제2 절연캡너트(52)와 나사결합에 의해 절연되고,
    나사면 중 상기 제2 결합홀(26)을 통과하지 않은 나사면은 상기 절연블록(20)의 좌측면에 밀착되는 제2 너트(62)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의 절연손잡이 구조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손잡이(40)는 상기 제2 볼트(32)의 외주면에 대해 나사면을 통해 머리부까지 끼워져 비나사면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파이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의 절연손잡이 구조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절연손잡이(40)는 야광도료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의 절연손잡이 구조체.
KR1020200055923A 2020-05-11 2020-05-11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의 절연손잡이 구조체 KR102387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923A KR102387208B1 (ko) 2020-05-11 2020-05-11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의 절연손잡이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923A KR102387208B1 (ko) 2020-05-11 2020-05-11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의 절연손잡이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714A KR20210137714A (ko) 2021-11-18
KR102387208B1 true KR102387208B1 (ko) 2022-04-18

Family

ID=78717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923A KR102387208B1 (ko) 2020-05-11 2020-05-11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의 절연손잡이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72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6417A (ko) 2021-12-08 2023-06-15 한국전력공사 다회선 랙크밴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852B1 (ko) 2006-12-05 2007-05-28 동재감리 주식회사 배전형 변압기를 갖춘 전신주
KR100725774B1 (ko) 2007-02-26 2007-06-08 (주)미래엔지니어링 암타이랙크밴드의 체결부 보호장치
JP2007312482A (ja) 2006-05-17 2007-11-29 Kyowa Exeo Corp クロージャ取付金物およびクロージャ取付装置
KR200475830Y1 (ko) 2013-07-26 2015-01-07 (주)태진통신산업 전주용 훅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696B1 (ko) * 2017-09-27 2019-07-03 한국전력공사 암타이 랙크 밴드
KR102141041B1 (ko) 2018-05-23 2020-08-06 한국전력공사 암타이 및 래크 멀티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2482A (ja) 2006-05-17 2007-11-29 Kyowa Exeo Corp クロージャ取付金物およびクロージャ取付装置
KR100721852B1 (ko) 2006-12-05 2007-05-28 동재감리 주식회사 배전형 변압기를 갖춘 전신주
KR100725774B1 (ko) 2007-02-26 2007-06-08 (주)미래엔지니어링 암타이랙크밴드의 체결부 보호장치
KR200475830Y1 (ko) 2013-07-26 2015-01-07 (주)태진통신산업 전주용 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714A (ko)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77890A (zh) 一种孔径可调的悬挂线夹
KR102387208B1 (ko)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의 절연손잡이 구조체
KR20140003839U (ko) 경완철용 아이쇄클
KR101224847B1 (ko)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JPS6318804B2 (ko)
US2504360A (en) Clamp means
KR100677925B1 (ko) 전력선 이탈방지용 라인포스트애자 고정구조
KR101597610B1 (ko)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CN201000803Y (zh) 变压器抱杆螺纹接线夹
WO2011042127A1 (en) Junction box, particularly for lighting lines for tunnels
KR101744660B1 (ko) 컷아우트스위치의 상하 접속부 배전선로 연결체
KR200302452Y1 (ko) 임시걸이절연캡
KR101150438B1 (ko)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2533178B1 (ko) 병렬 클램프
KR101684313B1 (ko) 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CN201170983Y (zh) 变压器双紧抱杆螺纹接线夹
KR200445303Y1 (ko) 멀티형 분기 슬리브
KR200401403Y1 (ko) 전차선로용 직선클램프
KR101626337B1 (ko)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JP5197296B2 (ja) 電気鉄道用碍子
CN204793941U (zh) 一种输电线路铝合金快速线夹防退装置
RU2480873C2 (ru) Хомутный зажим
KR200176387Y1 (ko) 교체용 압축인류클램프
US1663011A (en) Line-conductor insulator
KR100244522B1 (ko) 전주용 연장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