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337B1 -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 Google Patents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337B1
KR101626337B1 KR1020150115024A KR20150115024A KR101626337B1 KR 101626337 B1 KR101626337 B1 KR 101626337B1 KR 1020150115024 A KR1020150115024 A KR 1020150115024A KR 20150115024 A KR20150115024 A KR 20150115024A KR 101626337 B1 KR101626337 B1 KR 101626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line
fixed
fixing
jump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구
Original Assignee
임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구 filed Critical 임정구
Priority to KR1020150115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8Devices affording mechanical protection in the event of breakage of a line or cable, e.g. net for catching broken line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점퍼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악천후에 의해 배전선이 파단될 때 배전선이 지면이나 주변 나무 등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여 누전에 의한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배전선로 구조를 갖춘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선이 악천후에 의해 파단되더라도 지면이나 물이 고여있는 곳 혹은 나무가지 등에 접촉되지 않게 함으로써 누전에 따른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A structure that improves the distribution of the distribution line safety}
본 발명은 배전분야 중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점퍼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악천후에 의해 배전선이 파단될 때 배전선이 지면이나 주변 나무 등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여 누전에 의한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배전선로 구조를 갖춘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승압과정을 거쳐 송전선 및 배전선을 통해 일반수용가로 공급된다.
배전선은 고압의 전기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지상으로부터 높은 위치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일반적으로 전주의 상단에 설치된 완철에 고정된 절연애자를 통해 고정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배전선은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비교적 안전하게 관리되나 크레인, 굴삭기, 사다리차 등을 이용한 작업시 작업부주의로 인해 배전선에 직접적인 충격을 가할 수 있다.
배전선은 절연애자를 매개로 완철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은 강한 충격이 배전선에 가해질 경우 절연애자와 배전선과의 결합이 해제되어 배전선이 추락하거나 심한 경우 배전선이 끊어지게 되어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절연애자와 완철과의 결합이 해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절연애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73746호(2008.12.5)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를 비롯해 다수가 공개되어 있다.
한편, 전신주에는 다수의 애자에 의해 지지되는 점퍼선이 마련된다.
그런데, 전신주에 새가 둥지를 틀 경우 점퍼선이 새 둥지에 의해 누전될 수 있고, 또한 단순 설치된 점퍼선의 경우에는 강풍에 심하게 흔들리면서 전신주와 충돌하면서 손상되는 문제도 야기된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83090호(2007.02.08) "배전선로 내의 점퍼선 지지구조"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악천후시 배전선이 파단되는 문제가 발생했을 때 배전선을 붙잡아둘 수 있는 구성이 없어 파단된 배전선이 주변 나무나 지면에 흐르는 물에 잠기도록 떨어질 경우 주변을 지나는 행인 등이 감전사고를 당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방안은 제시되지 못하였다.
특히, 최근 기상이변에 의해 초속 수십미터의 강풍이 많이 불고 있고, 국지적인 호우가 빈번하고 있어 만약 강풍에 의해 배전선이 낙하하여 지면에 접지될 경우 심각한 감전사고를 초래할 우려가 매우 높기 때문에 이 부분은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73746호(2008.12.5)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83090호(2007.02.08) "배전선로 내의 점퍼선 지지구조"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배전선이 과도한 장력에 의해 파단되더라도 하방향으로 처지거나 낙하되어 나무나 물이 고여있는 지면에 접촉되지 못하게 하여 누전 등에 의한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주(5100), 전주에 고정되는 완철(5200), 완철(5200)에 고정되며 배전선(5500)을 절연된 상태로 결속하는 애자(5700), 완철(5200) 사이에서 배전선(5500)이 통전되도록 점핑시키는 하향 점퍼선(5600)을 포함하는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로서,
상기 하향 점퍼선(5600)을 감싸주는 속이 빈 원통형상의 점퍼선 지지부재(100) 한 쌍이 간격을 두고 구비되며, 상기 점퍼선 지지부재(100)는 두 개의 경사 애자부재(200)를 통해 완철(5200)에 고정되고, 한 쌍의 점퍼선 지지부재(100) 사이에는 중간 지지부재(500)가 설치되어 하향 점퍼선(5600)을 중간에서 지지하며, 상기 점퍼선 지지부재(100) 및 중간 지지부재(500)는 각 외주면이 결속와이어(560)를 통해 묶이도록 구성되고, 상기 완철(5200)의 하단부에는 배전선(5500) 파단시 지상으로 떨어지지 못하게 하는 배전선 파지유닛(6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배전선 파지유닛(600)은 고정브라켓(610), 고정대(620), 파지하우징(630) 및 스토퍼(6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브라켓(610)은 '∪'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완철(5200)의 하단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브라켓(610)의 고정을 위해 상기 고정브라켓(610)의 상방향을 향해 수직절곡된 형태의 양단부에는 그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612)이 형성되며,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는 단면 중앙을 관통하여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립구멍(614)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612)과 대응되게 상기 완철(5200)의 일부에는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볼트공(5210)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브라켓(610)이 상기 완철(5200)의 하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볼트(BT)로 체결공(612), 볼트공(5210)을 관통시켜 볼트 체결되고; 상기 고정대(620)는 '역ㄴ' 형상의 바 형(Bar Type) 부재로서, 수평한 선단에는 상기 조립구멍(614)에 체결될 수 있는 나사체결부(622)가 형성되고, 수직 절곡된 후단면에는 고정봉(632)이 결속되며, 상기 고정봉(632)의 상단에는 파지하우징(630)이 고정되고; 상기 파지하우징(630)은 상기 파지하우징(630)은 일측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개방부(OPEN)의 상측인 천정면은 길이 중앙을 중심으로 'V'형태의 절개부(636)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OPEN)의 반대단면에는 상기 스토퍼(640)가 끼워질 수 있는 스토퍼홈(638)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OPEN)에는 유동블럭(MB)이 일부 끼워진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유동블럭(MB)의 일측면은 일직선상으로 이루어지고 타측면은 상기 절개부(636)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개면(SF)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블럭(MB)의 후단과 개방부(OPEN)의 내벽면 사이에는 완충스프링(SP)이 개재되며, 상기 절개면(SF)에는 서로 마주보고 간격을 두고 각각 래크기어(LG)를 갖는 한 쌍의 래크판(LKP)이 돌출되고, 상기 파지하우징(630)의 상부에는 커버(CV)가 마련되며, 상기 커버(CV)에는 상기 래크판(LKP) 사이의 거리 중심과 일치되는 수직선상의 위치에 관통공(HP)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HP)에는 기어축(GH)이 끼워지며, 기어축(GH)의 하단에는 상기 래크기어(LG)중 어느 한 쪽하고만 기어결합하도록 일부에만 기어가 형성된 피니언기어(PG)가 고정되며, 상기 기어축(GH)은 분절된 형태로 상호 나사체결되는 구조이고, 분절된 상단 축에는 상기 기어축(GH)보다 상대적으로 큰 원판(CK)이 고정되며, 상기 기어축(GH)에는 배전선(5500)이 감긴 후 애자(5700)에 결속되고;
상기 고정대(620)의 수직 절곡된 후단면에는 일정깊이 요입된 스플라인홈(624)이 더 형성되며, 상기 스플라인홈(624)에는 스플라인돌기(634)가 삽입되고, 상기 스플라인돌기(634)는 고정봉(632)의 하단에서 돌출되며, 상기 스플라인돌기(634)가 스플라인홈(624)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플라인홈(624)과 직교되게 관통하여 고정핀(PIN)이 꽂아져 상호 결속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원판(CK)의 하단면 일부에는 걸림턱(DT)이 더 돌출되어 배전선(5500) 풀림시 2차 걸림에 의한 차단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선이 악천후에 의해 파단되더라도 지면이나 물이 고여있는 곳 혹은 나무가지 등에 접촉되지 않게 함으로써 누전에 따른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점퍼선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점퍼선 설치예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점퍼선 설치예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점퍼선 지지부재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배전선 고정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배전선 파지유닛을 구성하는 파지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배전선 파지유닛을 구성하는 파지하우징의 일부 조립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주(5100), 전주에 고정되는 완철(5200), 완철(5200)에 고정되며 배전선(5500)을 절연된 상태로 결속하는 애자(5700), 완철(5200) 사이에서 배전선(5500)이 통전되도록 점핑시키는 하향 점퍼선(56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점퍼선 지지부재(100), 경사 애자부재(200), 중간 지지부재(500)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점퍼선 지지부재(100)는 간격을 두고 한 쌍이 구비되며, 배전선(5500)이 애자(5700)를 경유하여 지나가게 되는 전주(5100)상의 하향 점퍼선(5600)을 감싸주는 속이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애자(5700)는 전주(5100)에 고정되는 완철(5200)에 고정되고, 상기 점퍼선 지지부재(100)는 두 개의 경사 애자부재(200)를 통해 완철(520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중간 지지부재(500)는 한 쌍의 점퍼선 지지부재(100) 사이에 위치되며, 하향 점퍼선(5600)을 중간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점퍼선을 하향 설치한 하향 점퍼선(5600)이기 때문에 배치 구조상 상기 완철(5200) 위에 새가 둥지를 틀더라도 상기 하향 점퍼선(5600)은 새 둥지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점퍼선 지지부재(100)는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몸체부(101)와, 상기 몸체부(101)의 외부 표면에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두 개의 애자고리부(120)와, 상기 애자고리부(120)와 거리를 두고 몸체부(101)의 외표면 상에 고정된 제1연결고리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애자고리부(120)는 상기 경사 애자부재(20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이고, 상기 제1연결고리부(150)는 결속와이어(560)를 묶기 위한 수단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점퍼선 지지부재(100)와 중간 지지부재(500)가 결속와이어(560)에 의해 묶여 있고, 또한 점퍼선 지지부재(100)는 경사 애자부재(200)를 통해 완철(5200) 상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악천후 등에 의해 점퍼선이 끊어지더라도 끊어진 점퍼선이 지상으로 낙하하지 못하게 되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중간 지지부재(500)도 원통형상의 지지부몸체(501, 도 2 참고)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몸체(501)의 외주면에도 도 4에서와 같이, 제1연결고리부(150)와 대응되는 제2연결고리부(550)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결속와이어(560)를 묶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점퍼선 외에 악천후시 배전선(5500)도 파단될 위험이 있고, 파단시 별도이 수단이 없기 때문에 곧바로 지상으로 낙하하여 주변을 지나가는 행인 등이 불측의 사고, 이를 테면 감전사고 등이 유발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선(5500)이 파단되더라도 지상으로 낙하되지 못하도록 하는 배전선 파지유닛(600)을 더 포함한다. 다만,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완철(5200)의 일부만 따로 떼어 도시하였다.
상기 배전선 파지유닛(600)은 고정브라켓(610), 고정대(620), 파지하우징(630) 및 스토퍼(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고정브라켓(610)은 대략 '∪'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완철(5200)의 하단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고정브라켓(610)이 상기 완철(5200)에 끼워졌을 때 상기 애자(5700)와 간섭되지 않도록 위치를 적절하게 선정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610)의 고정을 위해 상기 고정브라켓(610)의 상방향을 향해 수직절곡된 형태의 양단부에는 그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612)이 형성되며,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는 단면 중앙을 관통하여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립구멍(614)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체결공(612)과 대응되게 상기 완철(5200)의 일부에는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볼트공(52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610)이 상기 완철(5200)의 하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볼트(BT)로 체결공(612), 볼트공(5210)을 관통시켜 볼트 체결함으로써 상기 고정브라켓(610)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대(620)는 대략 '역ㄴ' 형상(ㄴ자를 좌우반전시킨 형상)의 바 형(Bar Type) 부재로서, 수평한 선단에는 상기 조립구멍(614)에 체결될 수 있는 나사체결부(622)가 형성되고, 수직 절곡된 후단면에는 일정깊이 요입된 스플라인홈(624)이 형성된다.
상기 스플라인홈(624)은 체결강도를 높이고 피삽물이 쉽게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안정성 및 체결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스플라인홈(624)에는 스플라인돌기(634)가 삽입되는데, 상기 스플라인돌기(634)는 고정봉(632)의 하단에서 돌출되며, 둘레를 따라 다수의 스플라인(Spline)이 요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스플라인돌기(634)가 스플라인홈(624)에 끼워진 후에는 이들을 관통하여 고정핀(PIN)이 꽂아져 상호 결속시킴으로써 고정안정성을 더욱 더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봉(632)의 상단에는 파지하우징(630)이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파지하우징(630)은 일측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의 부재로서, 개방된 개방부(OPEN)의 상측인 천정면은 길이 중앙을 중심으로 'V'형태의 절개부(636)를 형성하는데, 이는 후술되는 피니언기어(PG)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파지하우징(630)의 일측단면, 더 정확하게는 개방부(OPEN)의 반대단면에는 상기 스토퍼(640)가 끼워질 수 있는 스토퍼홈(638)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홈(638)은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테이퍼가 끝나는 부분에서는 수평하게 사각홈으로 일정길이 더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
이것은 배전선(5500)이 끊어졌을 때 배전선(5500)이 장력에 의해 당겨지면서 파지하우징(630)의 상단에 구비된 기어축(GH)을 휘돌아 나가면서 빠질 때 스토퍼(640)가 스토퍼홈(640)에 걸리도록 하여 배전선(5500)이 더 이상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1차 걸림수단이다.
이때, 걸림 작용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해 스토퍼홈(640)의 입구는 크고 내측으로 갈수록 작아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개방부(OPEN)에는 유동블럭(MB)이 일부 끼워진 상태로 구비되는데, 상기 유동블럭(MB)의 일측면은 일직선상으로 이루어지고 타측면은 상기 절개부(636)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개면(SF)이 형성된다.
특히, 유동블럭(MB)의 후단과 개방부(OPEN)의 내벽면 사이에는 완충스프링(SP)이 개재되어 상기 유동블럭(MB)이 탄성유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개면(SF)에는 서로 마주보고 간격을 둔 한 쌍의 래크판(LKP)이 돌출되고, 상기 래크판(LKP)의 마주보는 면에는 래크기어(LG)가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파지하우징(630) 및 유동블럭(MB)에 형성된 절개부(636) 및 절개면(SF)에 의해 빈 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커버(CV)가 마련되는데, 상기 커버(CV)에는 상기 래크판(LKP) 사이의 거리 중심과 일치되는 수직선상의 위치에 관통공(HP)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기어축(GH)의 피니언기어(PG) 상측에 간격을 두고 하부스냅링(SNP1)을 끼운 상태에서 기어축(GH)을 커버(CV) 하부에서 상부로 끼워 넣은 후 다시 기어축(GH)의 커버(CV) 상측에서 상부스냅링(SNP2)을 끼워 넣어 기어축(GH)을 고정하는데, 이를 위해 기어축(GH)은 분절된 형태이며, 상호 나사체결되는 구조이고, 분절된 상단 축에는 상기 기어축(GH)보다 상대적으로 현저히 큰 원판(CK)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원판(CK)은 상기 기어축(GH)에 감긴 배전선(5500)이 기어축(GH) 상부로 분리 이탈되지 못하게 차단하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피니언기어(PG)는 둘레 일부에만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며, 상기 래크기어(LG)와 치결합될 때 상기 한 쌍의 래크기어(LG)중 하나는 상기 피니언기어(PG)에 기어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피니언기어(PG)의 민자부, 즉 기어치형이 없는 곳에 위치되기 때문에 하나는 헛돌게 되어 있다.
따라서, 피니언기어(PG)와 접촉하는 래크기어(LP)만 움직이게 되어 있다.
삭제
이에 따라, 배전선(5500)에 장력이 걸려 당겨질 때는 우측 래크기어와 결합되어 동작하므로 유동블럭(MB)이 개방부(OPEN) 속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완충스프링(SP)을 탄성 압축하고, 반대로 배전선(5500)이 늘어질 때는 좌측 래크기어와 결합되어 동작하므로 유동블럭(MB)이 개방부(OPEN)로부터 바깥으로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완충스프링(SP)을 신장시키게 되며, 그 과정에서 완충동작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CV)는 상기 파지하우징(630)의 상단면 양측에 견고히 볼트 고정된다.
또한, 상기 원판(CK)의 하단면 일부는 걸림턱(DT)이 돌출되어 배전선(5500) 풀림시 2차 걸림에 의한 차단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배전선(5500)은 상기 기어축(GH)에 적어도 1회 이상 감긴 후 애자(5700)에 결속됨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배전선(5500)이 상기 기어축(GH)에 적어도 1회 이상 감긴 후 다시 상기 파지하우징(630)을 상하로 관통한 다음 배선되도록 하여 풀어짐 방지 기능을 더욱 더 확실하게 구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강풍에 의해 배전선(5500)이 파단되어 애자(5700)로부터 분리되게 되면 배전선(5500)에 걸려 있는 장력 때문에 배전선(5500)은 강한 힘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에 따라, 배전선(5500)이 풀려 나가려고 하는데, 이때 기어축(GH)에 감겨 있기 때문에 기어축(GH)을 회전시킨다.
때문에, 기어축(GH)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유동블럭(MB)을 개방부(OPEN) 속으로 강하게 진입시켜 완충스프링(SP)이 개재된 상태로 완전히 끼워져 더 이상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된다.
그러면, 기어축(GH)이 회전하기 못하게 되므로 배전선(5500)은 더 이상 풀리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이 상태가 되었을 때 장력이 남아 있다면 배전선(5500)은 미끄러지면서 빠져나가려고 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스토퍼(640)가 스토퍼홈(638)에 끼워지면서 붙잡기 때문에 배전선(5500)은 더 이상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혹시, 스토퍼홈(638)에 끼워지지 않을 경우가 생기더라도 스토퍼(640)는 반드시 기어축(GH)을 회전한 후 풀려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걸림턱(DT)에 반드시 걸리게 되므로 배전선(5500)이 풀리지 못하도록 설치된 1중, 2중, 3중의 풀림방지구조로 인해 완벽하게 풀림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악천후 등에 의해 점퍼선 혹은 배전선이 파단되더라도 이들이 지상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원천 봉쇄함으로써 주변을 지나는 행인들이 불측의 감전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하는 안전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0: 점퍼선 지지부재 200: 경사 애자부재
500: 중간 지지부재

Claims (1)

  1. 전주(5100), 전주에 고정되는 완철(5200), 완철(5200)에 고정되며 배전선(5500)을 절연된 상태로 결속하는 애자(5700), 완철(5200) 사이에서 배전선(5500)이 통전되도록 점핑시키는 하향 점퍼선(5600)을 포함하는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로서,
    상기 하향 점퍼선(5600)을 감싸주는 속이 빈 원통형상의 점퍼선 지지부재(100) 한 쌍이 간격을 두고 구비되며, 상기 점퍼선 지지부재(100)는 두 개의 경사 애자부재(200)를 통해 완철(5200)에 고정되고, 한 쌍의 점퍼선 지지부재(100) 사이에는 중간 지지부재(500)가 설치되어 하향 점퍼선(5600)을 중간에서 지지하며, 상기 점퍼선 지지부재(100) 및 중간 지지부재(500)는 각 외주면이 결속와이어(560)를 통해 묶이도록 구성되고, 상기 완철(5200)의 하단부에는 배전선(5500) 파단시 지상으로 떨어지지 못하게 하는 배전선 파지유닛(6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배전선 파지유닛(600)은 고정브라켓(610), 고정대(620), 파지하우징(630) 및 스토퍼(6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브라켓(610)은 '∪'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완철(5200)의 하단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브라켓(610)의 고정을 위해 상기 고정브라켓(610)의 상방향을 향해 수직절곡된 형태의 양단부에는 그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612)이 형성되며,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는 단면 중앙을 관통하여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립구멍(614)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612)과 대응되게 상기 완철(5200)의 일부에는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볼트공(5210)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브라켓(610)이 상기 완철(5200)의 하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볼트(BT)로 체결공(612), 볼트공(5210)을 관통시켜 볼트 체결되고; 상기 고정대(620)는 '역ㄴ' 형상의 바 형(Bar Type) 부재로서, 수평한 선단에는 상기 조립구멍(614)에 체결될 수 있는 나사체결부(622)가 형성되고, 수직 절곡된 후단면에는 고정봉(632)이 결속되며, 상기 고정봉(632)의 상단에는 파지하우징(630)이 고정되고; 상기 파지하우징(630)은 상기 파지하우징(630)은 일측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개방부(OPEN)의 상측인 천정면은 길이 중앙을 중심으로 'V'형태의 절개부(636)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OPEN)의 반대단면에는 상기 스토퍼(640)가 끼워질 수 있는 스토퍼홈(638)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OPEN)에는 유동블럭(MB)이 일부 끼워진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유동블럭(MB)의 일측면은 일직선상으로 이루어지고 타측면은 상기 절개부(636)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개면(SF)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블럭(MB)의 후단과 개방부(OPEN)의 내벽면 사이에는 완충스프링(SP)이 개재되며, 상기 절개면(SF)에는 서로 마주보고 간격을 두고 각각 래크기어(LG)를 갖는 한 쌍의 래크판(LKP)이 돌출되고, 상기 파지하우징(630)의 상부에는 커버(CV)가 마련되며, 상기 커버(CV)에는 상기 래크판(LKP) 사이의 거리 중심과 일치되는 수직선상의 위치에 관통공(HP)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HP)에는 기어축(GH)이 끼워지며, 기어축(GH)의 하단에는 상기 래크기어(LG)중 어느 한 쪽하고만 기어결합하도록 일부에만 기어가 형성된 피니언기어(PG)가 고정되며, 상기 기어축(GH)은 분절된 형태로 상호 나사체결되는 구조이고, 분절된 상단 축에는 상기 기어축(GH)보다 상대적으로 큰 원판(CK)이 고정되며, 상기 기어축(GH)에는 배전선(5500)이 감긴 후 애자(5700)에 결속되고;
    상기 고정대(620)의 수직 절곡된 후단면에는 일정깊이 요입된 스플라인홈(624)이 더 형성되며, 상기 스플라인홈(624)에는 스플라인돌기(634)가 삽입되고, 상기 스플라인돌기(634)는 고정봉(632)의 하단에서 돌출되며, 상기 스플라인돌기(634)가 스플라인홈(624)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플라인홈(624)과 직교되게 관통하여 고정핀(PIN)이 꽂아져 상호 결속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원판(CK)의 하단면 일부에는 걸림턱(DT)이 더 돌출되어 배전선(5500) 풀림시 2차 걸림에 의한 차단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KR1020150115024A 2015-08-14 2015-08-14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KR101626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024A KR101626337B1 (ko) 2015-08-14 2015-08-14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024A KR101626337B1 (ko) 2015-08-14 2015-08-14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337B1 true KR101626337B1 (ko) 2016-06-01

Family

ID=56138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024A KR101626337B1 (ko) 2015-08-14 2015-08-14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3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090B1 (ko) 2006-11-02 2007-02-16 김대우 배전선로 내의 점퍼선 지지구조.
KR100873746B1 (ko) 2008-08-11 2008-12-18 (주)협동전기감리단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KR100911237B1 (ko) * 2008-12-23 2009-08-19 주식회사 이린 특고압 가공전선 고정식 완금설치대
KR101381354B1 (ko) * 2014-02-17 2014-04-04 경남전설감리(주)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090B1 (ko) 2006-11-02 2007-02-16 김대우 배전선로 내의 점퍼선 지지구조.
KR100873746B1 (ko) 2008-08-11 2008-12-18 (주)협동전기감리단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KR100911237B1 (ko) * 2008-12-23 2009-08-19 주식회사 이린 특고압 가공전선 고정식 완금설치대
KR101381354B1 (ko) * 2014-02-17 2014-04-04 경남전설감리(주)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514B1 (ko)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US20150027174A1 (en) Anti-theft assembly for inhibiting theft of cable from light poles
KR100904964B1 (ko) 송배전 전선의 처짐 방지 시설물
KR102348450B1 (ko) 철탑용 중장비 접근 방지 장치
KR101077083B1 (ko) 가공지선 겸용 중성선 설치 멀티캡
KR101626337B1 (ko)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KR101002393B1 (ko) 조류둥지 제거 겸용 컷아웃 스위치 조작봉
KR101597610B1 (ko)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KR20110039224A (ko) 배선용 차단기에 전선을 고정시키는 방법
KR102387208B1 (ko)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의 절연손잡이 구조체
KR102143127B1 (ko) 방호관 취부장치
KR102243282B1 (ko) 전신주용 뱀 오름 방지구
KR200446267Y1 (ko) 전선케이블 연결을 위한 경완금 연결장치
KR100865074B1 (ko)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20210135964A (ko) 압축 완철밴드
KR101112773B1 (ko) 피뢰기 내장형 라인포스트 애자
KR101931483B1 (ko) 케이블트레이용 케이블 정리부재
KR102485150B1 (ko) 전선 스페이서
KR102636834B1 (ko) Gis형 변전소 벽체의 송전선로 안전 취부 시스템
JP6069007B2 (ja) 破断配電線の垂下防止具
KR100577064B1 (ko) 조가선 고정용 밴드
CN212907320U (zh) 一种紧固装置易安装的干式变压器
CN208046039U (zh) Jp柜电力作业安全辅助装置
KR20190136745A (ko) 방호관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선 설비, 방호관 결합부를 구비하는 바인드리스 커버
CN217009907U (zh) 新型接地线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