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7064B1 - 조가선 고정용 밴드 - Google Patents

조가선 고정용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7064B1
KR100577064B1 KR1020040018553A KR20040018553A KR100577064B1 KR 100577064 B1 KR100577064 B1 KR 100577064B1 KR 1020040018553 A KR1020040018553 A KR 1020040018553A KR 20040018553 A KR20040018553 A KR 20040018553A KR 100577064 B1 KR100577064 B1 KR 100577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bed wire
fastening
band
wire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3282A (ko
Inventor
김명제
Original Assignee
한보니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보니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보니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8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7064B1/ko
Publication of KR20050093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7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7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가선에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조가선이 조가선 고정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개선된 조가선 고정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조가선(30)에 연결되는 체결용 볼트의 헤드가 위치하도록 굴곡진 원호부(61)에 클램프 체결부(64)가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클램프 체결부(64)의 내측에 체결용 볼트가 삽입되는 체결구멍(65)이 형성되고, 클램프 체결부(64)의 주위에 응력 집중이 발생되는 하나 이상의 절취구멍(66) 또는 절취 슬롯(69, 7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60)는 대형 덤프 트럭 또는 크레인 차량이 주행과정에서 조가선(30)에 부딪치더라도, 클램프 체결부(64)가 절취되면서 조가선(30)이 연결되는 체결용 볼트가 분리됨으로써, 조가선(30)을 통해 전달되는 외부 충격이 전주(10)에 전달되지 않아서, 전력선 손상으로 인한 정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전주(10)의 손상으로 인한 재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조가선 고정용 밴드{Messenger Wire Ban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조가선이 설치된 전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가선을 전주에 고정하는 조가선 고정구들을 각각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가선을 전주에 고정하는 조가선 고정구의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조가선 고정구에서 전주에 밀착 고정되는 조가선 고정용 밴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가선 고정용 밴드의 클램프 체결부에 일부 구성요소를 부가하여 확대한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조가선 고정용 밴드에서 다른 형태로 구성된 클램프 체결부를 확대하여 각각 나타낸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주 20 : 전력선
30 : 조가선 40, 50 : 조가선 고정구
41, 60 : 조가선 고정용 밴드 42, 52 : 제1 볼트
43, 53 : 제1 너트 45, 55 : 제2 볼트
48, 64 : 클램프 체결부 66 : 절취구멍
67, 68 : 절취홈 69, 70 : 슬롯
본 발명은 조가선을 전주에 고정하는 조가선 고정구에 관한 것이며, 특히, 조가선에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조가선이 조가선 고정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개선된 조가선 고정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조가선(messenger wire)은 통상적으로 통신선이나 유선방송 케이블 등이 전주와 같은 시설물에 설치되는 경우에 인장강도가 낮은 통신선이나 유선방송 케이블 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통신선이나 유선방송 케이블과 같이 설치되는 강선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조가선(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가선 고정구(40)에 의해 전주에 설치 고정되고, 통신선 또는 유선방송 케이블은 와이어에 의해 조가선(30)과 함께 설치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조가선이 설치된 전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가선을 전주에 고정하는 조가선 고정구들을 각각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조가선 고정구(40)는 직선 개소 방식으로 한 쌍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41)가 체결용 제1 볼트(42)와 제1 너트(43)에 의해 전주(10)의 외면에 밀착 고정된다. 이 때, 조가선 고정용 밴드(41)는 전주(1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그 원호부가 굴곡지게 형성되고, 그 양 끝단부가 절곡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 중에서 그 일측 조가선 고정용 밴드(41)에는 클램프(44)가 체결용 제2 볼트(45)와 제2 너트(46)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클램프(44)에 의해 고정되는 조가선(30)이 전주(10)의 측부에 설치된다. 이 때, 조가선 고정용 밴드(41)는 체결용 볼트(45)의 헤드가 위치할 수 있도록 클램프 체결부(48)가 돌출 형성되고, 이런 클램프 체결부(48)에는 제2 볼트(45)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조가선 고정구(40)는 종단 개소 방식으로서 도 2에 도시된 직선 개소 방식의 조가선 고정구와 달리 조가선(30)이 시작하거나 끝나는 전주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종단 개소 방식에 사용되는 조가선 고정구(40)는 직선 개소 방식에서와 동일한 형상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41)가 체결용 제1 볼트(42)와 제1 너트(43)에 의해 전주(10)의 외면에 밀착 고정되고, 체결용 제1 볼트(42)에 연결 드럼(47)이 결합됨으로써, 연결 드럼(47)에 연결되는 조가선(30)이 설치된다.
하지만, 조가선 고정구(40)에 의해 전주(10)에 설치되는 조가선(30)은 통상적으로 전력선(20)의 하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대형 덤프 트럭 또는 크레인 차량과 같은 차고가 높은 차량이 주행과정에서 부딪치거나 접촉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통신선 또는 유선방송 케이블을 지지하는 조가선(30)은 높은 인장강도로 인해 쉽게 절단되지 않아서, 전력선을 지지하는 전주(10)가 조가선(30)으로부터 전달되 는 충격에 의해서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할 때, 전주(10)가 손상된 경우에는 전주(10)의 재설치와 전력선(20)의 복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됨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조가선 고정구(40)는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에 통신선 또는 유선방송 케이블을 지지하는 조가선(30)만이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조가선에 일정 이상의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조가선만이 분리되도록, 조가선 고정구의 구성요소 중에서 돌출 형성된 클램프 체결부의 특정부위가 일정 이상의 외부 충격에 의해서 절취되도록 형성되는 조가선 고정용 밴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는 조가선이 전주에 설치 고정되도록, 전주의 외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조가선에 연결되는 체결용 볼트의 헤드가 위치하도록 굴곡진 원호부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그 내측에 상기 체결용 볼트가 삽입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돌출된 가장자리 부위에 하나 이상의 절취구멍 또는 절취 슬롯이 형성되는 클램프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가선 고정용 밴드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가선을 전주에 고정하는 조가선 고정구의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조가선 고정구에서 전주에 밀착 고정되는 조가선 고정용 밴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가선 고정용 밴드의 클램프 체결부에 일부 구성요소를 부가하여 확대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가선 고정구(50)는 한 쌍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60)가 제1 볼트(52)와 제1 너트(53)에 의해 전주(10)의 외면에 밀착 고정되며, 한 쌍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60)의 굴곡진 원호부(61)에 조가선(30)이 각각 연결되도록 클램프 체결부(64)에 연결 드럼(57)이 설치된다. 이를 위해, 조가선 고정용 밴드(60)의 클램프 체결부(64)에는 체결용 제2 볼트(55)가 삽입되고, 연결 드럼(57)과 결합된 체결판(54)이 제2 너트(56)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60)는 클램프 체결부(64)의 주위에 응력 집중이 발생되는 절취구멍(66)이 형성되거나 절취홈(67, 68)이 형성됨으로써, 조가선(30)에 일정 이상의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클램프 체결부(64)가 절취되어, 조가선(30)과 이런 조가선(30)을 고정하는 체결판이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60)가 설치된 전주(10)는 조가선(30)에 차고가 높은 대형 덤프 트럭 또는 크레인 차량이 부딪치더라도, 조가선(30)만이 분리되어서 전력선과 전주 자체가 손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조가선 고정용 밴드(60)는 전주(10)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원호부(61)가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원호부(61)의 양 끝단부(62)가 절곡된다. 그리고, 조가선 고정용 밴드(60)의 양 끝단부(62)에는 체결용 제1 볼트(52)가 삽입되도록 제1 체결구멍(63)이 형성되고, 조가선 고정용 밴드(60)의 원호부(61)에는 사각형상의 클램프 체결부(64)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렇게 돌출된 클램프 체결부(64)에 제2 체결구멍(65)이 형성된다.
이 때, 조가선 고정용 밴드(60)는 원호부(61)의 굴곡진 내측면이 전주(10)의 외면에 보다 밀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2 체결구멍(65)에 끼워지는 체결용 제2 볼트(55)의 헤드는 돌출된 클램프 체결부(64)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클램프 체결부(64)는 돌출된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하나 이상의 절취구멍(66) 또는 절취홈(67, 68)이 형성되어서, 어느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응력 집중 현상으로 인해 보다 쉽게 절취된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절취구멍(66)은 클램프 체결부(64)의 각 모서리 부위에 각각 하나씩 모두 4개가 형성되고, 제1 절취홈(67)은 제2 체결구멍(65)과 절취구멍(66) 사이에 각각 형성되며, 제2 절취홈(68)은 한 쌍의 절취구멍(66) 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6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력 집중이 발생되도록 다른 형태의 클램프 체결부(64)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클램프 체결부(64)에는 폭이 좁으면서도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하나 이상의 절취 슬롯(69, 70)이 돌출된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각각 형성된다. 이로 인해, 클램프 체결부(64)는 일정 이상의 외부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에 절취 슬롯(69, 70)의 주위에 응력 집중이 발생되면서 절취된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조가선 고정용 밴드(60)는 비록 도면에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제2 체결구멍(65)과 절취 슬 롯(69, 70)의 사이 또는 한 쌍의 절취 슬롯(69, 70) 사이에 절취홈이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60)는 상기 단락들에서 사각형상의 클램프 체결부(64)를 기준으로 설명했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또는 다른 어떤 형상으로도 변경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본 발명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60)는 대형 덤프 트럭 또는 크레인 차량이 조가선(30)에 충돌하는 경우에 절취구멍(66) 또는 절취 슬롯(69, 70) 주위의 어느 한 부위에서 응력 집중 현상이 발생되면서, 절취되는 클램프 체결부(64)를 통해 체결용 볼트만이 분리되거나, 클램프 체결부(64)의 가장 자리를 따라 클램프 체결부(64)의 전체가 절취되면서 체결용 볼트와 같이 분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60)는 평상시의 다른 외적 조건하에선 조가선(30)을 견실하게 지지하면서도, 상기의 일례와 같이 일정 이상의 외부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에 조가선(30)이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는 대형 덤프 트럭 또는 크레인 차량이 주행과정에서 조가선에 부딪치더라도, 클램프 체결부가 절취되면서 조가선이 연결되는 체결용 볼트가 분리됨으로써, 조가선을 통해 전달되는 외부 충격이 전주에 전달되지 않아서, 전력선 손상으로 인한 정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전주의 손상으로 인한 재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6)

  1. 삭제
  2. 조가선에 연결되는 체결용 볼트의 헤드가 위치하도록 굴곡진 원호부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그 내측에 상기 체결용 볼트가 삽입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된 클램프 체결부를 구비한 조가선 고정용 밴드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체결부는 돌출된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절취구멍과, 상기 체결구멍과 상기 절취구멍의 사이에 형성된 제1 절취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고정용 밴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체결부는 상기 절취구멍과 인접한 다른 절취구멍의 사이에 형성된 제2 절취홈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고정용 밴드.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체결부는 사각형상으로 돌출되며, 상기 절취구멍을 각 모서리 부위에 각각 하나씩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고정용 밴드.
  5. 삭제
  6. 삭제
KR1020040018553A 2004-03-18 2004-03-18 조가선 고정용 밴드 KR100577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553A KR100577064B1 (ko) 2004-03-18 2004-03-18 조가선 고정용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553A KR100577064B1 (ko) 2004-03-18 2004-03-18 조가선 고정용 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282A KR20050093282A (ko) 2005-09-23
KR100577064B1 true KR100577064B1 (ko) 2006-05-10

Family

ID=37274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553A KR100577064B1 (ko) 2004-03-18 2004-03-18 조가선 고정용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70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386B1 (ko) 2015-04-15 2016-10-17 (주)태진에스티아이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KR20160123409A (ko) 2015-04-15 2016-10-26 (주)태진에스티아이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KR20160123408A (ko) 2015-04-15 2016-10-26 (주)태진에스티아이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701B1 (ko) * 2007-07-16 2008-10-10 주식회사 세화 전차선용 활차 보조 연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386B1 (ko) 2015-04-15 2016-10-17 (주)태진에스티아이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KR20160123409A (ko) 2015-04-15 2016-10-26 (주)태진에스티아이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KR20160123408A (ko) 2015-04-15 2016-10-26 (주)태진에스티아이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KR101721827B1 (ko) 2015-04-15 2017-04-03 (주)태진에스티아이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KR101721840B1 (ko) 2015-04-15 2017-04-04 (주)태진에스티아이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282A (ko) 200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7064B1 (ko) 조가선 고정용 밴드
KR102388196B1 (ko)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
KR101130080B1 (ko) 조가선 고정용 밴드
KR101069275B1 (ko) 이상 장력 이탈형 조가선 지지금구
KR200325264Y1 (ko) 배전 선로의 케이블 지지용 라인 포스트 애자
KR20180138443A (ko) 케이블 절단부용 고정장치 및 이를 사용한 케이블 정착부의 보수방법
US6670555B2 (en) Terminal
KR100858724B1 (ko) 링 터미널
KR101666386B1 (ko)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KR102088057B1 (ko) 전신주 고정밴드
KR20100010954U (ko) 완철 접지 클램프
KR200207464Y1 (ko) 특고압 수직 장주용 완금 장치
JP5528680B2 (ja) 電柱用補強カバー構造
JP2007207608A (ja) 変圧器絶縁支持スペーサ
KR102607229B1 (ko) 병렬 클램프
KR101246270B1 (ko) 정하중 이탈용 다방향 지지밴드
KR101721840B1 (ko)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KR20140146404A (ko) 체결성을 증진시킨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
CN214832043U (zh) 一种防眩板支座
KR101077224B1 (ko) 완철밴드 아답터
KR200340608Y1 (ko) 랙크밴드 체결구
KR200203639Y1 (ko) 특고압 수직 장주용 완금 장치
KR200156698Y1 (ko) 가공지선 지지대
KR200214748Y1 (ko) 애자용 전선 고정장치
JP2008245432A (ja) 腕金の補強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