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196B1 -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 - Google Patents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196B1
KR102388196B1 KR1020200062922A KR20200062922A KR102388196B1 KR 102388196 B1 KR102388196 B1 KR 102388196B1 KR 1020200062922 A KR1020200062922 A KR 1020200062922A KR 20200062922 A KR20200062922 A KR 20200062922A KR 102388196 B1 KR102388196 B1 KR 102388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branch line
line
main line
dissimilar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5990A (ko
Inventor
이호찬
김락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62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196B1/ko
Publication of KR20210145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성이 향상되면서도 분기선 빠짐 등의 현상이 억제되는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본선과 분기선을 연결하는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본선에 결합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측이 개구된 본선 체결부(100); 상기 본선 체결부(100)의 외주면에서 상기 본선 체결부(10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분기선이 수용되는 분기선 체결부(200); 상기 본선 체결부(100)의 내주면 또는 상기 분기선 체결부(200)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이질금속 접속판(310); 상기 분기선 체결부(200)에 마련되어 상기 분기선 체결부(200)에 삽입된 분기선을 가압하는 체결부재(400); 를 포함하는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를 제공하여, 미세간극에서 이질 금속의 접촉에 의한 전해 부식 문제가 해소되며, 이로 인해 산화 피막 형성이 억제될 수 있고, 경계면으로 수분, 습기 또는 이물질이 침투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Bimetal Bolt type Branch Sleeves for Low Voltage}
본 발명은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성이 향상되면서도 분기선 빠짐 등의 현상이 억제되는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분기슬리브는 전주의 중성선과 인입선간의 접속 시 사용되는 부품이다.
분기슬리브는 유압식 전선 압축기와 같은 압축공구를 사용하여 시공함이 원칙이다.
분기슬리브를 설치할 때 바켓트럭을 활용하지 않고 승주하여 작업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그러나, 유압식 전선 압축기는 무겁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승주하여 플라이어로만 압축하거나 바인드선 테이프로 묶어 두기만 하는 시공불량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공불량은 시간이 경과하며 전선 빠짐에 의한 결상이나 핀홀의 발생, 그리고 전식에 의한 단선으로 인한 고장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다시말해, 분기 슬리브는 압착에 의해 견고하게 밀착된다고 하더라도 알루미늄과 구리가 이질 접속되기 때문에 접촉부에서 아주 미세한 간극이 존재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미세간극에서 이질 금속의 접촉에 의한 전해 부식 문제로 인해 산화 피막이 형성될 수 있고, 경계면으로 수분, 습기 또는 이물질이 침투하는 문제점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저압용 분기슬리브의 경우 자재 크기가 작기 때문에 시공불량건을 지상에서 육안으로 확인하기 곤란한 문제도 있다.
그리고, 종래 저압용 분기슬리브의 작업은 작업자가 직접 승주하여 불편한 자세로 작업을 진행하게되어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가 있었다.
도 1(a)은 종래의 저압 이질금속 분기슬리브의 정면도이며, 도 1(b)는 종래의 저압 이질금속 분기슬리브의 측면도다.
종래의 저압 이질금속 분기슬리브는 상부(11)에 형성된 상부 체결부(12)에 본선이 결합되고, 하부(13)에 마련된 하부 체결부(14)에 분기선이 결합된다.
본선이 구리 재질로 형성되고, 분기선이 알루미늄 재질인 경우에 있어서, 종래의 저압 이질금속 분기슬리브는 상부(11)에 형성된 상부 체결부(12)에 구리 재질의 금속판(21)이 삽입되고 있다.
도 2(a)은 종래의 저압 이질금속 분기슬리브의 정면도이며, 도 2(b)는 종래의 저압 이질금속 분기슬리브의 측면도다.
본선이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분기선이 구리 재질인 경우에 있어서, 종래의 저압 이질금속 분기슬리브는 하부(13)에 형성된 하부 체결부(14)에 구리 재질의 금속판(22)이 삽입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저압 이질금속 분기슬리브(10)는 전술한 것과 같이 체결의 결함이 존재할 수 있고, 이는 도 3(a)처럼 분기선 빠짐 현상이나, 도 3(b)과 같은 핀홀이 발생되는 문제를 야기한다.
KR 2003-0029721 A1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성이 향상되면서도 분기선 빠짐 등의 현상이 억제되는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선과 분기선을 연결하는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본선에 결합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측이 개구된 본선 체결부(100); 상기 본선 체결부(100)의 외주면에서 상기 본선 체결부(10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분기선이 수용되는 원통형상의 분기선 체결부(200); 상기 본선 체결부(100)의 내주면 또는 상기 분기선 체결부(200)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원통형의 이질금속 접속판(310); 상기 분기선 체결부(200)에 마련되어 상기 분기선 체결부(200)에 삽입된 분기선을 가압하는 체결부재(400);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이질금속 접속판과 같은 재질의 금속팁부가 마련되고, 상기 금속팁부의 표면은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시공불량이 개선되므로 인입선 보수공사 비용이 줄어들어 경제성이 향상된다.
둘째, 전식 등에 의한 전선단성에 의한 지장전력의 감소 및 전력판매량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셋째, 결상에 의한 이상전압 유입이 차단되어 피해가 예방되는 이점이 있다.
넷째, 분기선 고정이 볼트 조임만으로 간단하고 견고하게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 향상 및 분기선 빠짐 현상이 개선될 수 있게 된다.
다섯 째, 미세간극에서 이질 금속의 접촉에 의한 전해 부식 문제가 해소되며, 이로 인해 산화 피막 형성이 억제될 수 있고, 경계면으로 수분, 습기 또는 이물질이 침투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게 된다.
도 1(a)은 종래의 저압 이질금속 분기슬리브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저압 이질금속 분기슬리브의 측면도다.
도 2(a)은 종래의 저압 이질금속 분기슬리브의 정면도이며, 도 2(b)는 종래의 저압 이질금속 분기슬리브의 측면도다.
도 3(a)는 종래 분기선 빠짐 현상이며, 도 3(b)는 종래 핀홀이 발생되는 모습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의 설치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본선 거치단계(S1)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압축단계(S2)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기선 거치단계(S3)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볼트체결단계(S4)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는 본선 체결부(100), 분기선 체결부(200), 이질금속 접속판(310) 및 체결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선 체결부(100)는 본선(500)에 결합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측이 개구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선 체결부(100)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본선 체결 개구부(130)를 갖고, 내부에는 본선 삽입부(140)가 마련된다.
본선(500)은 본선 체결 개구부(130)를 지나 본선 삽입부(140)에 삽입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제1 단부(110) 및 제2 단부(120) 사이에는 본선 체결 개구부(130)가 형성되고 있다.
본선 체결 개구부(130)는 본선(500)이 본선 체결부(100) 내부로 수용될 수 있을 만큼 너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선 체결부(100)는 전체적으로 외주면의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있으며, 내부는 전체적으로 원통형 기둥 형상이다.
분기선 체결부(200)는 본선 체결부(100)의 외주면에서 본선 체결부(10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분기선(600)이 수용된다.
다시 말해, 분기선 체결부(200)에는 분기선 삽입부(210)가 형성되며 분기선(600)은 분기선 삽입부(210)로 삽입될 수 있다.
분기선 체결부(200)의 길이는 본선 체결부(100)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이질금속 접속판(310)은 본선 체결부(100)의 내주면 또는 분기선 체결부(200)의 내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재(400)는 분기선 체결부(200)에 마련되어 분기선 체결부(200)에 삽입된 분기선(600)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체결부재(400)는 분기선 체결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소정 거리 이격된 채 마련된 동형의 제1 체결부재(410) 및 제2 체결부재(420)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410)는 조여질 때 본선 체결부(100)를 향해 전진 가능하며, 기둥부(411)는 분기선 체결부(200) 내주면에서 돌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둥부(411)는 조임시에 본선 체결 개구부(130)를 향해 전진하고, 풀림시에 본선 체결 개구부(130)로부터 후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선 체결 개구부(130)의 중앙부와 체결부재(400)는 일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질금속 접속판(310)은 본선(500)이 구리 재질인 경우 본선 체결부(100)의 내주면에 마련되고, 분기선(600)이 구리 재질인 경우에는 분기선 체결부(200)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때, 이질금속 접속판(310)은 설치되는 곳의 재질과 동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질금속 접속판(310)이 분기선 체결부(200)의 내주면에 마련될 때, 체결부재(400)의 단부에는 금속팁부(32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금속팁부(320)의 표면은 라운드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팁부(320)는 기둥부(411)의 단부에서 라운드진 형상을 하면서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금속팁부(320)는 이질금속 접속판(310)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때, 분기선 체결부(200)는 원통형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이질금속 접속판(310)은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의 설치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본선 거치단계(S1)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압축단계(S2)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기선 거치단계(S3)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볼트체결단계(S4)이다.
여기서는 본선(500)이 알루미늄 재질이고, 분기선(600)이 구리 재질인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반대로 본선(500)이 구리 재질이고, 분기선(600)이 알루미늄 재질인 경우에는 이질금속 접속판(310)이 분기선 체결부(200) 내주면에 위치하지 아니하고, 이질금속 접속판(310)이 본선 삽입부(140)에 위치되어 본선 체결부(100)의 내주면에 마련될 수 있음을 일러둔다.
이 경우, 이질금속 접속판(310)의 다른 실시 예로서 이질금속 접속판(310)의 일부분이 절개된 채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본선 체결 개구부(130)의 너비와 동일하게 개구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본선 거치단계(S1)는 본선 체결부(100)를 본선(500)에 설치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압축단계(S2)는 압축공구(700)를 사용하여 제1 단부(110) 및 제2 단부(120)가 서로 인접되는 방향으로 본선 체결부(100)를 압축하여 본선(500)에 밀착 및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이 때, 압축공구(700)는 유압식 전선 압축기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분기선 거치단계(S3)는 분기선 체결부(200)에 분기선(600)을 삽입하는 단계이다.
이 때, 제1 체결부재(410)는 본선 체결 개구부(130)로부터 후퇴되는 방향으로 풀림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볼트체결단계(S4)는 체결부재(400)로 분기선(600)을 가압시키는 단계다.
제1 체결부재(410)를 조여줌으로써 기둥부(411)가 본선 체결 개구부(130)방향을 향해 전진하게 되고, 금속팁부(320)는 분기선(600)이 이질금속 접속판(310)에 밀착되도록 가압시킨다.
이 때, 금속팁부(320)는 라운드져 형성되므로 분기선(600)에 손상을 주지 않을 수 있고, 금속팁부(320)의 재질이 이질금속 접속판(310)의 재질과 동질일 수 있기 때문에 접촉부에서의 미세 간극도 발생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미세간극에서 이질 금속의 접촉에 의한 전해 부식 문제가 해소되며, 이로 인해 산화 피막 형성이 억제될 수 있고, 경계면으로 수분, 습기 또는 이물질이 침투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분기선(600) 고정이 볼트 조임만으로 간단하고 견고하게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의 향상 및 분기선(600) 빠짐 현상이 개선될 수 있게 된다.
100 : 본선 체결부
110 : 제1 단부
120 : 제2 단부
130 : 본선 체결 개구부
140 : 본선 삽입부
200 : 분기선 체결부
210 : 분기선 삽입부
310 : 이질금속 접속판
320 : 금속팁부
400 : 체결부재
410 : 제1 체결부재
420 : 제2 체결부재
411 : 기둥부
500 : 본선
600 : 분기선
700 : 압축공구

Claims (8)

  1. 본선과 분기선을 연결하는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본선에 결합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측이 개구된 본선 체결부;
    상기 본선 체결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본선 체결부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분기선이 수용되는 원통형상의 분기선 체결부;
    상기 본선 체결부의 내주면 또는 상기 분기선 체결부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원통형의 이질금속 접속판;
    상기 분기선 체결부에 마련되어 상기 분기선 체결부에 삽입된 분기선을 가압하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이질금속 접속판과 같은 재질의 금속팁부가 마련되고,
    상기 금속팁부의 표면은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062922A 2020-05-26 2020-05-26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 KR102388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922A KR102388196B1 (ko) 2020-05-26 2020-05-26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922A KR102388196B1 (ko) 2020-05-26 2020-05-26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990A KR20210145990A (ko) 2021-12-03
KR102388196B1 true KR102388196B1 (ko) 2022-04-19

Family

ID=78866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922A KR102388196B1 (ko) 2020-05-26 2020-05-26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1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812B1 (ko) * 2022-01-13 2022-11-01 주식회사 에이치디루체 다양한 각도 배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용 커넥팅 기구
CN115096920A (zh) * 2022-06-29 2022-09-23 西安理工大学 一种电场调控异质金属界面组织演变的原位可视化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132B1 (ko) * 2011-10-21 2012-01-19 강곤 전선 연결장치
KR101664128B1 (ko) * 2016-03-21 2016-10-24 (주)다솔엔지니어링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프
KR101869974B1 (ko) * 2017-12-08 2018-06-21 (주)세명엔지니어링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721A (ko) 2001-10-10 2003-04-16 한국전력공사 피뢰기용 이질금속 분기슬리브
KR20100004438U (ko) * 2008-10-22 2010-04-30 박종수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 슬리브
KR102565605B1 (ko) * 2018-02-14 2023-08-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132B1 (ko) * 2011-10-21 2012-01-19 강곤 전선 연결장치
KR101664128B1 (ko) * 2016-03-21 2016-10-24 (주)다솔엔지니어링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프
KR101869974B1 (ko) * 2017-12-08 2018-06-21 (주)세명엔지니어링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990A (ko) 2021-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196B1 (ko)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
US9076899B2 (en) Grounding element for solar panel mounting systems
DE102006019497B4 (de) Sensorvorrichtung für eine Starterbatterie in einem Kraftfahrzeug
JP5274693B1 (ja) 電力ケーブル用接続器
DE112017003154T5 (de) Elektrische leitungseinführungs-teilstruktur eines elektrischen kompressors und elektrischer kompressor und damit bereitgestellte elektrische abschirmleitung
JP2013257975A (ja) アース端子の組付構造
PL175306B1 (pl) Klinowe złącze uziemiające
JP2010049848A (ja) 自動車用アース取付構造
EP3564457A1 (en) Intermediate coupler for concrete reinforcement
CN109038434B (zh) 一种楔形直通耐张线夹
CN104937308A (zh) 钢丝绳安装单元
CN102255148A (zh) 涨紧连接线夹
US6670555B2 (en) Terminal
KR100897341B1 (ko) 판형 회전방지구가 적용된 부스 덕트 연결용 조인트 키트
CN105742835A (zh) 接线端子
KR100577064B1 (ko) 조가선 고정용 밴드
US7001226B2 (en) Connecting cable
EP1271696A1 (en) Clamp arrangement
JP3481475B2 (ja) 被覆ケーブルの中間部クランプ構造並びに中間部クランプ金具
US20070161299A1 (en) Structure for firmly combining cables with clamping element
JP5172396B2 (ja) 電力ケーブル用プーリングアイ
KR102533177B1 (ko) 병렬 클램프
JP5875187B2 (ja) 鉄線外装ケーブルの外装鉄線接続金具及び外装鉄線接続方法
JP2021145519A (ja) 等電位ボンディング金具
JP7321449B2 (ja) 万力型アー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