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128B1 -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프 - Google Patents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4128B1 KR101664128B1 KR1020160033612A KR20160033612A KR101664128B1 KR 101664128 B1 KR101664128 B1 KR 101664128B1 KR 1020160033612 A KR1020160033612 A KR 1020160033612A KR 20160033612 A KR20160033612 A KR 20160033612A KR 101664128 B1 KR101664128 B1 KR 1016641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clamp
- electric wire
- plate
- pressure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6—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02G7/056—Dead-end clamp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의 전류가 흐르는 배전선로에 임시로 설치하는 압축슬리브의 단점을 개선하여 스패너와 같은 간단한 공구를 이용하여 연결클램프에 형성된 고정볼트를 조이면 전선 접속이 이루어지고, 풀면 전선 접속을 해제할 수 있는 간편성과 신속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연결클램프 자체를 일회성으로 사용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 이득을 제공할 수 있는 한편, 클램프본체에 형성된 삽입부로의 전선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전선로 전선교체용 연결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전기술 분야 중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의 전류가 흐르는 배전선로에 임시로 설치하는 압축슬리브의 단점을 개선하여 스패너와 같은 간단한 공구를 이용하며 연결클램프에 형성된 고정볼트를 조이면 전선 접속이 이루어지고, 풀면 전선 접속을 해제할 수 있는 간편성과 신속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연결클램프 자체를 일회성으로 사용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 이득을 제공할 수 있는 한편, 클램프본체에 형성된 삽입부로의 전선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전선로 전선교체용 연결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전력수요의 급증에 따라 이에 대응한 전력설비가 계속 확충되고 있으며, 전력사용자의 전기품질에 대한 요구수준이 높아지면서 순간의 정전도 민원의 대상이 되어 보상청구 등의 전기 사용자의 집단행동과 소송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써, 배전공사시에 양질의 전력공급을 위해 전력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사가 이루어지는 무정전 공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무정전 공법을 위해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하여 전주내에서 신구 교체 및 이설 전선간의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가며 신구 전선간의 전기의 분리연결에 의해 별도의 바이패스 케이블(30)을 사용하여 전기가 끊기지 않는 무정전으로 신구 전선을 교체 및 이설할 수 있는 공법을 제공하여 전력부하 절체작업 없이 2회선 이상의 상단 배전선로의 무정전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전력품질의 향상을 도모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배전선로의 본선과 임시선을 연결하는 접속 개소는 압축슬리브를 이용하여 접속하는데, 이는 압축기를 사용하여 접속하는 공정으로 인한 비용이 과다하고,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있다.
또한, 케이블 교체 후 임시선에서 다시 본선으로 배선할 때는 사용했던 압축슬리브에 접속된 케이블 전후는 절단 후 본선과 압축슬리브 작업을 다시 해야 하기 때문에 전선과 압축슬리브의 추가 사용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의 전류가 흐르는 배전선로에 임시로 설치하는 압축슬리브의 단점을 개선하여 스패너와 같은 간단한 공구를 이용하여 연결클램프에 형성된 고정볼트를 조이면 전선 접속이 이루어지고, 풀면 전선 접속을 해제할 수 있는 간편성과 신속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연결클램프 자체를 일회성으로 사용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 이득을 제공할 수 있는 한편, 클램프본체에 형성된 삽입부로의 전선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전선로 전선교체용 연결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 동합금, 알루미늄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전,후단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어느 한 전선과 다른 한 전선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고정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볼트공과 전선지지수단의 지지부를 삽입하기 위한 지지부공이 형성되는 클램프본체; 상기 클램프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볼트공에 삽입되어 삽입부에 형성된 어느 한 전선과 다른 한 전선을 클램프본체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고정볼트; 및 상기 지지부공에 하부가 삽입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어느 한 전선과 다른 한 전선에 평행하게 연결되며 반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볼트의 끝부분과 접촉되는 전선접촉부 및 상기 지지부에 탄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전선지지수단을 포함하는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프로써, 상기 두 개의 전선 중 어느 한 전선이 상기 삽입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다른 한 전선이 그 삽입부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선삽입유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선삽입유도부는, 상기 클램프본체의 양측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삽입부로 삽입되는 어느 한 전선을 가압 결속하면서 다른 한 전선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삽입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한 쌍의 결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본체는, 양측에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와 연통되고 상기 한 쌍의 결속수단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결속수단은, 각각 상기 삽입부에 위치되는 내부가압판; 상기 클램프본체의 외측에 위치되는 외부가압판; 상기 내,외부가압판을 연결하며, 상기 가이드공을 통과하면서 그 가이드공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바; 및 상기 외부가압판과 상기 클램프본체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바의 외측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본체는, 상기 삽입부를 이루는 내주면에 상기 내부가압판이 인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클램프본체로부터 상기 외부가압판을 외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내부가압판이 상기 삽입홈으로 인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외부가압판을 가압함에 따라 수축되면서 상기 내부가압판이 다른 한 전선과 접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외부가압판으로의 가압해제에 따라 이완되면서 상기 내부가압판이 원위치로 회귀되도록 하되, 상기 코일스프링의 수축 정도는, 상기 외부가압판을 상기 가이드공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할 때 그 진행이 가능한 정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압의 전류가 흐르는 배전선로에 임시로 설치하는 압축슬리브의 단점을 개선하여 스패너와 같은 간단한 공구를 이용하여 연결클램프에 형성된 고정볼트를 조이면 전선 접속이 이루어지고, 풀면 전선 접속을 간단하게 해제할 수 있는 간편성과 신속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연결클램프 자체를 일회성으로 사용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클램프본체에 형성된 삽입부로의 전선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프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프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프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프에서 전선삽입유도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프에서 전선삽입유도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프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프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프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프에서 전선삽입유도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프에서 전선삽입유도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165991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165991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165991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클램프본체에 형성되는 삽입부로의 전선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165991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전선교체용 연결클램프는 내부에 어느 한 전선과 다른 한 전선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110)가 형성되며, 상측에 고정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볼트공(120)과 전선지지수단의 지지부를 삽입하기 위한 지지부공(130)이 형성되는 클램프본체(100), 상기 볼트공(120)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부(110)에 형성된 어느 한 전선과 다른 한 전선을 상기 클램프본체(100)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고정볼트(200) 및 상기 지지부공(130)에 하부가 삽입되는 지지부(310)와 상기 지지부(310)의 하부에 어느 한 전선과 다른 한 전선에 평행하게 연결되며, 상기 고정볼트(200)의 끝부분과 접촉되는 전선접촉부(320)를 구비하는 전선지지수단(300)을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본체(100)는 양단부가 개방되면서 내부에 어느 한 전선과 다른 한 전선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110)가 형성되는데, 기존에 설치된 전선 용량 부족으로 새롭게 설치 예정인 전선은 기존 것보다 직경이 커질 수 밖에 없으므로 직경이 다른 전선들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된 것이다.
또한, 직경이 같더라도 두 개의 전선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본체(100)는 양단부가 전후 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95sq의 전선 직경에 부합된 공간과 160sq의 전선 직경에 부합된 공간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삽입부에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본체(100)는 상측에 고정볼트(200)를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볼트공(120)과 전선지지수단(300)의 지지부(310)를 삽입하기 위한 지지부공(130)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310)는 하부가 상기 클램프본체(100)를 관통하며 상부가 상기 클램프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고정볼트(200)는 상기 클램프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볼트공(120)에 삽입되어 삽입부(110)에 형성된 어느 한 전선과 다른 한 전선을 클램프본체(100)에 고정시키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200)의 하부 즉, 끝부분이 상기 전선접촉부(32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부터 상기 고정볼트를 돌리면(시계방향), 상기 전선접촉부(320)가 안쪽으로 이동되어 어느 한 전선과 다른 한 전선을 접속시킨다.
상기 고정볼트(200)를 풀면(반시계방향), 상기 전선접촉부(320)가 바깥쪽으로 이동되면서 어느 한 전선과 다른 한 전선의 접속을 해제한다.
상기 전선접촉부(320)는 상기 지지부(3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어느 한 전선 및 다른 한 전선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지지부(310)는 하부가 상기 클램프본체(100)에 형성된 상기 지지부공(130)로 삽입되어 상기 전선접촉부(320)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전선지지수단(300)은 상기 지지부(310)에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330)이 구비된 상태로부터 상기 고정볼트(200)를 돌리면, 상기 지지부(310)가 안쪽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스프링(330)은 압축된다.
상기 고정볼트(200)를 풀면, 상기 지지부(310)의 둘레로 형성된 상기 스프링(330)의 복원력에 의해 별도의 조작 없이 상기 지지부(310)가 상측으로 이동되고, 그 지지부(310)와 연결된 상기 전선접촉부(320)가 상측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된다.
즉, 상기 고정볼트(200)를 돌려 상기 전선접촉부(320)에 의해 어느 한 전선과 다른 한 전선을 서로 접속시키며, 상기 고정볼트(200)를 풀어 상기 전선접촉부(320)가 어느 한 전선과 다른 한 전선과 멀어지면서 두 전선 간의 접속을 해제한다.
상기 고정볼트(200)를 풀 경우, 상기 스프링(3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전선접촉부(320)가 어느 한 전선과 다른 한 전선과 멀어져 어느 한 전선과 다른 한 전선의 접속을 해제한다.
부연 설명하자면, 상기 전선접촉부(320)가 내려오면 상기 삽입부(110)의 공간이 축소되어 전선 삽입시 원활한 삽입이 불가능하므로 상기 스프링(33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되어 상기 삽입부(110) 공간이 확보된 상태에서 전선을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선접촉부(320)는 반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상기 전선접촉부(320)가 전선 외경을 눌러주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전선접속부위를 늘려주어 전도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전선 외형과 비슷한 반원형의 형상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클램프본체(100)는 동, 동합금, 알루미늄 재질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데 이 또한 전도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선교체용 연결클램프를 적용한 것으로써, 종래에는 철거하기 위한 전선에는 기존 리드선에 연결된 압축슬리브(J)가 존재하게 되며, 바이패스케이블(30)을 압축슬리브 작업하여 연결하게 된다.
이후, 기존 전선을 철거한 후, 새로운 전선에 압축슬리브 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바이패스케이블과 압축슬리브는 철거하게 된다.
반면에 본 발명의 경우에는 철거하기 위한 전선에는 기존 리드선에 연결된 압축슬리브(J)가 존재한 상태에서 바이패스케이블(30)을 연결클램프(100)로 연결한 후, 기존 리드선에 연결된 압축슬리브와 기존 전선을 철거하게 된다.
이후, 철거된 부위에 새로운 전선(20)을 깔고 압축슬리브 작업을 하여 새로운 전선을 연결시키게 된다.
이후, 바이패스케이블과 연결클램프를 분리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시공이 간단하고 신속하며 경제적인 신기술 시공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상기와 같은 연결크램프를 이용하게 되면, 전선을 절단하지 않아 연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연결클램프 자체도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막대한 이득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시공 방법 또한 스패너 같은 간단한 공구를 사용하여 고정볼트를 조이기만하면 어느 한 전선과 다른 한 전선 접속이 이루어져 배전선로 교체 작업환경을 크게 개선할 수 있어 간편하고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10)로의 전선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선삽입유도부(4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상기 전선삽입유도부(400)는 상기 삽입부(110)로 삽입되는 두 개의 전선 중 어느 한 전선을 상기 삽입부(110)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선삽입유도부(400)는 상기 클램프본체(100)의 양측면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삽입부(110)로 삽입되는 전선을 가압 결속하면서 인위적인 가압에 따른 진행에 따라 전선을 상기 삽입부(110)로 삽입되도록 하는 한 쌍의 결속수단(410)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결속수단(410)은 두 개의 전선 중 어느 한 전선이 상기 삽입부(110)로 삽입된 상태에서 다른 한 전선이 그 삽입부(110)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한 쌍의 결속수단(410)은 어느 한 전선이 상기 삽입부(110)로 삽입된 상태에서 다른 한 전선이 상기 삽입부(110)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어느 한 전선과의 접촉에 따른 마찰 등에 의해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클램프본체(100)는 양측에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110)와 연통되고 상기 한 쌍의 결속수단(410)이 양단부 즉,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가이드공(140)이 형성된다.
상기 결속수단(410)은 상기 삽입부(110)에 위치되는 내부가압판(411), 상기 클램프본체(100)의 외측에 위치되는 외부가압판(412), 상기 내,외부가압판(411,412)을 연결하며 상기 가이드공(14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바(413) 및 상기 외부가압판(412)과 상기 클램프본체(100)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바(413)의 외측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414)을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본체(100)는 상기 삽입부(110)를 이루는 내주면에 상기 내부가압판(411)이 인입되는 삽입홈(15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가압판(411)은 상기 삽입부(110)를 이루는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됨이 없이 위치되면서 상기 삽입부(110)로 삽입되는 다른 한 전선의 삽입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상기 코일스프링(414)은 상기 클램프본체(100)로부터 상기 외부가압판(412)을 외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내부가압판(411)이 상기 삽입홈(150)으로 인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코일스프링(414)은 상기 외부가압판(412)을 내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수축되면서 상기 내부가압판(411)이 다른 한 전선과 접하도록 하며, 그 외부가압판(412)으로의 가압해제에 따라 이완되면서 상기 내부가압판(411)이 원위치로 회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코일스프링(414)의 수축 정도는 상기 외부가압판(412)을 상기 가이드공(140)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할 때 그 진행이 가능한 정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코일스프링(414)의 수축 정도는 상기 외부가압판(412)을 상기 가이드공(140)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할 때 그 진행이 가능한 정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 한 쌍의 결속수단(410)은 상기 내부가압판(411)이 상기 삽입부(110)를 이루는 내주면에 매립된 상태로부터 상기 외부가압판(412)을 상기 삽입부(110)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다른 한 전선을 가압 결속하며, 그 가압 결속한 상태로부터 어느 한 전선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그 방향으로 진행되면서 다른 한 전선을 상기 삽입부(110)로 삽입한다.
상기 내부가압판(411)은 다른 한 전선의 양측을 감쌀 수 있도록 내측에서 외측으로 함목되는 곡면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속수단(410)은 상기 내부가압판(411)에 구비되는 미끄럼방지부재(4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재(415)는 공지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선과의 접촉에 따른 미끄러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전선으로의 가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두 개의 전선 중 어느 한 전선이 상기 삽입부(110)로 삽입된 상태에서 다른 한 전선이 그 삽입부(110)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100 : 클램프본체 110 : 삽입부
120 : 볼트공 130 : 지지부공
140 : 가이드공 150 : 삽입홈
200 : 고정볼트 300 : 전선지지수단
310 : 지지부 320 : 전선접촉부
330 : 스프링 400 : 전선삽입유도부
410 : 결속수단 411 : 내부가압판
412 : 외부가압판 413 : 가이드바
414 : 코일스프링 415 : 미끄럼방지부재
120 : 볼트공 130 : 지지부공
140 : 가이드공 150 : 삽입홈
200 : 고정볼트 300 : 전선지지수단
310 : 지지부 320 : 전선접촉부
330 : 스프링 400 : 전선삽입유도부
410 : 결속수단 411 : 내부가압판
412 : 외부가압판 413 : 가이드바
414 : 코일스프링 415 : 미끄럼방지부재
Claims (1)
- 동, 동합금, 알루미늄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전,후단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어느 한 전선과 다른 한 전선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고정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볼트공과 전선지지수단의 지지부를 삽입하기 위한 지지부공이 형성되는 클램프본체;
상기 클램프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볼트공에 삽입되어 삽입부에 형성된 어느 한 전선과 다른 한 전선을 클램프본체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고정볼트; 및
상기 지지부공에 하부가 삽입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어느 한 전선과 다른 한 전선에 평행하게 연결되며 반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볼트의 끝부분과 접촉되는 전선접촉부 및 상기 지지부에 탄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전선지지수단을 포함하는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프로써,
상기 두 개의 전선 중 어느 한 전선이 상기 삽입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다른 한 전선이 그 삽입부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선삽입유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선삽입유도부는,
상기 클램프본체의 양측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삽입부로 삽입되는 어느 한 전선을 가압 결속하면서 다른 한 전선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삽입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한 쌍의 결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본체는,
양측에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와 연통되고 상기 한 쌍의 결속수단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결속수단은,
각각 상기 삽입부에 위치되는 내부가압판;
상기 클램프본체의 외측에 위치되는 외부가압판;
상기 내,외부가압판을 연결하며, 상기 가이드공을 통과하면서 그 가이드공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바; 및
상기 외부가압판과 상기 클램프본체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바의 외측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본체는,
상기 삽입부를 이루는 내주면에 상기 내부가압판이 인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클램프본체로부터 상기 외부가압판을 외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내부가압판이 상기 삽입홈으로 인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외부가압판을 가압함에 따라 수축되면서 상기 내부가압판이 다른 한 전선과 접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외부가압판으로의 가압해제에 따라 이완되면서 상기 내부가압판이 원위치로 회귀되도록 하되,
상기 코일스프링의 수축 정도는,
상기 외부가압판을 상기 가이드공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할 때 그 진행이 가능한 정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3612A KR101664128B1 (ko) | 2016-03-21 | 2016-03-21 |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3612A KR101664128B1 (ko) | 2016-03-21 | 2016-03-21 |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64128B1 true KR101664128B1 (ko) | 2016-10-24 |
Family
ID=57256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3612A KR101664128B1 (ko) | 2016-03-21 | 2016-03-21 |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4128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4294B1 (ko) * | 2018-06-15 | 2019-06-11 | (주) 인곡기술사사무소 | 배선용 가공선로 피복구조 |
KR102175212B1 (ko) | 2020-07-24 | 2020-11-05 | 남부솔루션(주) |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 클램프 |
CN112260186A (zh) * | 2020-11-18 | 2021-01-22 | 常州中科星龙线缆有限公司 | 电缆固定夹 |
KR20210145990A (ko) * | 2020-05-26 | 2021-12-03 | 한국전력공사 |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 |
KR102391556B1 (ko) * | 2021-11-10 | 2022-04-29 | 주식회사 한강기술 | 도심지역 배전선로의 교체 시스템 제공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13383A (ja) * | 1996-02-05 | 1997-08-15 | Sumitomo Wiring Syst Ltd |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を用いたワイヤハーネス |
KR100847019B1 (ko) * | 2008-02-15 | 2008-07-17 | (주)미가엔지니어링 |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 |
KR100958725B1 (ko) * | 2009-08-21 | 2010-05-18 | (주)동신이에이 | 배전반용 부스바 연결클램프 |
KR101165991B1 (ko) | 2011-11-16 | 2012-07-18 | 태형산업주식회사 | 배전선로 전선교체용 연결클램프 |
-
2016
- 2016-03-21 KR KR1020160033612A patent/KR10166412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13383A (ja) * | 1996-02-05 | 1997-08-15 | Sumitomo Wiring Syst Ltd |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を用いたワイヤハーネス |
KR100847019B1 (ko) * | 2008-02-15 | 2008-07-17 | (주)미가엔지니어링 |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 |
KR100958725B1 (ko) * | 2009-08-21 | 2010-05-18 | (주)동신이에이 | 배전반용 부스바 연결클램프 |
KR101165991B1 (ko) | 2011-11-16 | 2012-07-18 | 태형산업주식회사 | 배전선로 전선교체용 연결클램프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4294B1 (ko) * | 2018-06-15 | 2019-06-11 | (주) 인곡기술사사무소 | 배선용 가공선로 피복구조 |
KR20210145990A (ko) * | 2020-05-26 | 2021-12-03 | 한국전력공사 |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 |
KR102388196B1 (ko) * | 2020-05-26 | 2022-04-19 | 한국전력공사 |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 |
KR102175212B1 (ko) | 2020-07-24 | 2020-11-05 | 남부솔루션(주) |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 클램프 |
CN112260186A (zh) * | 2020-11-18 | 2021-01-22 | 常州中科星龙线缆有限公司 | 电缆固定夹 |
KR102391556B1 (ko) * | 2021-11-10 | 2022-04-29 | 주식회사 한강기술 | 도심지역 배전선로의 교체 시스템 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64128B1 (ko) |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프 | |
JP5237302B2 (ja) | 電気組継ぎ(splice)コネクタ | |
JP5789038B1 (ja) | 電線接続具 | |
KR101165991B1 (ko) | 배전선로 전선교체용 연결클램프 | |
KR101865851B1 (ko) | 활선작업기구 | |
US6855012B2 (en) | High capacity electrical terminal connection | |
KR101906580B1 (ko) |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 | |
CN204349083U (zh) | 导线快速连接端子及电气设备 | |
KR20180111289A (ko) | 엘보접속재 탈착장치 | |
CN207743442U (zh) | 一种便捷型接线端子 | |
JP5946892B2 (ja) | 架空配電線用絶縁カバー、及びアダプター | |
KR101573004B1 (ko) | 가공 배전선로의 지지형 애자 | |
KR100882790B1 (ko) |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집게형 접속장치 | |
KR20230107516A (ko) |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 및 그 설치방법 | |
JP5876514B2 (ja) | 電線接続用t形クランプ | |
KR100920337B1 (ko) |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집게 장치 | |
JP5382856B2 (ja) | 引留クランプおよび電線引留部の構造 | |
KR101595514B1 (ko) |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 | |
KR200428608Y1 (ko) | 무정전 공법에 의한 변압기 교체용 1차측 접속장치 | |
CN203722151U (zh) | 一种电缆护套 | |
KR100979942B1 (ko) | 지상형변압기의 케이블 분리용 집게형 접속장치 | |
KR101939067B1 (ko) | 접속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컷아웃 스위치 | |
JP2010184544A (ja) | バイパスジョイント線 | |
JP2002056942A (ja) | 間接活線作業用引下線コネクタ及び引下線の離接方法 | |
KR101777401B1 (ko) | 배전 선로 분기슬리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