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289A - 엘보접속재 탈착장치 - Google Patents

엘보접속재 탈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1289A
KR20180111289A KR1020170042024A KR20170042024A KR20180111289A KR 20180111289 A KR20180111289 A KR 20180111289A KR 1020170042024 A KR1020170042024 A KR 1020170042024A KR 20170042024 A KR20170042024 A KR 20170042024A KR 20180111289 A KR20180111289 A KR 20180111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lbow
rod
elastic
press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2787B1 (ko
Inventor
김성곤
이현병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042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787B1/ko
Publication of KR20180111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03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6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변압기의 부싱에 엘보접속재를 탈착시키는 엘보접속재 탈착장치이고, 상기 엘보접속재를 클램프하거나 클램프 상태를 해제 가능한 클램프수단; 및, 상기 클램프수단에 제공되어, 복수 개의 탄성부재의 조합에 의해 제공된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클램프수단을 진퇴시키는 분리구동수단;를 포함하는 엘보접속재 탈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엘보접속재 탈착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NNECTING ELBOW CONNECTOR FOR TRANSFORMER}
엘보접속재 분리구간 무정전 공사시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보접속재 탈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일반적으로 지중 배전선로에는 가정이나 산업용 각종 설비 등에 전력 공급시에 발전소로부터 송전선을 통해 공급되는 22.9 kV의 특고압에서 가정이나 산업용 각종 설비에 적합한 220/380V의 저압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전압을 강하하는 수단으로 지상변압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상변압기는 노후화나 과부하에 의하여 변압기에 이상(고장)이 발생하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변압기로 교체하여야 하는데, 상기 변압기를 교체하는 경우에 무정전 변압기 교체 차량을 이용하여 전원을 활선 상태로 연결하여 가정이나 사무실, 공장 등과 같은 수용가에 계속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무정전 공법으로 행하거나, 개폐기와 개폐기 사이에 있는 변압기를 모두 정전시킨 후에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변압기로 교체하는 방식으로 행하게 된다.
무정전 공법은 변압기의 특고압측 케이블과 저압측 케이블을 각각 분리하여 이동용 변압기차에 활선상태로 연결하여 전원을 계속 공급하면서 변압기를 교체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변압기(10)의 부싱(20)에는 지중에 배선된 케이블이 연결된 복수 개의 엘보접속재(3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정전 변압기 교체방식에 있어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지상변압기(10)의 부싱(20)에 접속하고 있는 엘보접속재(30)를 활선 상태로 분리하고, 새로운 지상변압기(30)로 접합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엘보접속재의 개폐는 활선상태에서 핫스틱(hot stick)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분리 및 접속을 시도하였으나, 이러한 수작업 방식은 엘보접속재의 개방시에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작업자에게 피해를 주는 안전사고는 물론 정전, 아크지락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작업자의 안전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기술로 다양한 엘보접속재 분리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장치가 과대하게 크고 중량이 무거워 운반 및, 사용이 불편하고, 엘보접속재 분리장치의 설치 및, 분리 및, 이를 활용한 엘보접속재의 분리 및, 설치과정에서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공사비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례로, 2016년 지상변압기 엘보접속재 활선분리 공사개소 222개소 중 부하전류가 있는 구간이 75개소이고, 부하전류가 없는 무부하구간이 147 개소였다.
이와 같이, 엘보접속재 활선분리 작업구간 중 무부하구간이 전체의 66% 정도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없는 무부하구간에서도 종래의 과대하게 크고 중량이 무거운 엘보접속재 분리장치를 활용하여 부하전류가 있는 구간과 부하전류가 없는 무부하구간에서 동일한 작업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작업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지면서 공사비용이 과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작업방식을 적용할 경우 소요되는 작업시간은 지상변압기의 외함문분리와 하부판넬분리(5분), 지상변압기에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설치(15분), 지상변압기에 엘보접속재 분리장치로 엘보접속재 분리시간(5~10분), 지상변압기에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철거(약15분)의 과정에 대략 40~45분의 작업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무부하구간에서 지상변압기에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설치 및 철거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엘보접속재 탈착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엘보접속재 분리구간 무정전 공사시 업무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보접속재 탈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무부하구간에서 간이한 방법에 의해 신속정확하게 엘보접속재를 탈착할 있는 엘보접속재 탈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지상변압기의 부싱에 엘보접속재를 탈착시키는 엘보접속재 탈착장치이고, 상기 엘보접속재를 클램프하거나 클램프 상태를 해제 가능한 클램프수단; 및, 상기 클램프수단에 제공되어, 복수 개의 탄성부재의 조합에 의해 제공된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클램프수단을 진퇴시키는 분리구동수단;를 포함하는 엘보접속재 탈착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분리구동수단은,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클램프수단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서 진퇴 가능하게 제공되는 가압로드;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수용되어, 상기 가압로드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수용되어, 상기 가압로드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압로드는, 상기 클램프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에서 진퇴되는 이동로드; 상기 이동로드에 제공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슬라이드되는 가압이동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압로드는, 상기 가압이동부재에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걸림홈에 고정되는 걸림로드;를 더 구비하는 엘보접속재 탈착장치.
바람직하게, 하우징은, 상기 가압이동부재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우징본체; 상기 하우징본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로드가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홈; 및, 상기 슬라이드홈의 양측 단부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로드가 고정되는 걸림홈;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드홈의 일측 단부영역에 적어도 2 이상의 걸림홈이 이격 형성되어,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탄성력과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조절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분리구동수단은, 상기 가압로드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상에서 상기 가압로드를 진퇴시 작업자가 잡는 부분을 제공하는 그립부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엘보접속재 활선분리 작업구간 중 부하전류가 없는 무부하구간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부하구간에서 간이한 방법에 의해 신속정확하게 교체대상의 변압기에 접속된 상기 엘보접속재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활선 상태로 분리하고 새로운 변압기에 접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부하구간에서 간이한 방법에 의해 신속정확하게 엘보접속재를 탈착할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지상변압기에 엘보접속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지상변압기의 부싱에서 엘보접속재가 탈착 전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보접속재 탈착장치의 분리구동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지상변압기의 부싱에 결합된 엘보접속재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보접속재 탈착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보접속재 탈착장치를 작동시켜 엘보접속재를 부싱에서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지상변압기의 부싱에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보접속재 탈착장치를 근접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보접속재 탈착장치를 작동시켜 엘보접속재를 부싱에서 장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보접속재 탈착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보접속재 탈착장치는 클램프수단(100) 및, 분리구동수단(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상변압기(10)의 부싱(20)에 결합된 엘보접속재(30)를 탈착시키는 엘보접속재 탈착장치가다.
엘보접속재 탈착장치는 지상변압기(10)의 부싱(20)에 결합된 엘보접속재(3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보접속재 탈착장치는 지상변압기(10)의 부싱(20)에 탈착되는 엘보접속재(30)를 클램프하거나 클램프 상태를 해제하는 클램프수단(100) 및, 상기 클램프수단(100)에 제공되어, 복수 개의 탄성부재의 조합에 의해 제공된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클램프수단(100)을 진퇴시키는 분리구동수단(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수단(100)은 엘보접속재(30)를 클램프하거나 클램프 상태를 해제하는 부재이다.
일례로, 클램프수단(100)은 힌지부재(130)를 매개로 결합되고, 엘보접속재(30)의 후단을 클램프하는 한 쌍의 클램프부재(110) 및, 엘보접속재(30)를 클램프한 상태에서 한 쌍의 클램프부재(110)를 고정하는 결합핀(1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클램프수단(100)은 상기한 구성에 의해 한정되지는 것은 아니고, 엘보접속재(30)를 클램프하거나 클램프 상태를 해할 수 있다면 어떠한 클램프수단(100)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구동수단(200)은 클램프수단(100)에 제공되어, 복수 개의 탄성부재의 조합에 의해 제공된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클램프수단(100)을 진퇴시키는 부재이다.
엘보접속재 탈착장치의 클램프수단(100)과 분리구동수단(200)은 일체로 연결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엘보접속재 탈착장치는 분리구동수단(200)의 작동시 동작의 정확성을 위해 클램프수단(100)과 분리구동수단(200)은 용접 접합 등의 방식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엘보접속재 탈착장치는 엘보접속재(30) 활선분리 작업구간 중 부하전류가 없는 무부하구간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엘보접속재(30) 활선분리 작업구간 중 부하전류가 있는 부하구간에서는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종래에 적용되던 엘보접속재(30) 분리장치를 활용하고, 엘보접속재(30) 활선분리 작업구간 중 부하전류가 없는 무부하구간에는 본 발명의 엘보접속재 탈착장치를 적용하여 간이한 설비에 의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작업을 수행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종래의 작업방식을 적용할 경우, 소요되는 작업시간은 지상변압기(10)의 외함문분리와 하부판넬분리(5분), 지상변압기(10)에 엘보접속재(30) 분리장치 설치(15분), 지상변압기(10)에 엘보접속재(30) 분리장치로 엘보접속재(30) 분리시간(5~10분), 지상변압기(10)에 엘보접속재(30) 분리장치 철거(약15분)의 과정에 대략 40~45분의 작업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엘보접속재 탈착장치를 적용할 경우, 무부하구간에서 지상변압기(10)에 엘보접속재(30) 분리장치 설치 및 철거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시간(10~15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구동수단(200)에 설치된 복수 개의 탄성부재의 조합에 의해 제공된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클램프수단(100)을 진퇴시켜, 무부하구간에서 간이한 방법에 의해 신속정확하게 교체대상의 지상변압기(10)에 접속된 상기 엘보접속재(30)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활선 상태로 분리하고 새로운 변압기에 접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교체대상의 지상변압기(10)의 부싱(20)에서 엘보접속재(30)를 분리할 때, 부싱(20)과 설치된 엘보접속재(30)의 고착으로 엘보접속재(30)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엘보접속재 탈착장치의 경우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의 탄성력의 조합에 의해 순간적으로 큰힘을 발휘하여 부싱(20)에 고착된 엘보접속재(3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지상변합기에 설치된 부싱(20)의 단부에 엘보접속재(30)를 거치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탄성부재의 탄성력의 조합에 의해 순간적으로 큰힘을 발휘하여 엘보접속재(30)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부싱(20)에 장착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분리구동수단(200)은 하우징(210), 가압로드(230), 제1 탄성부재(250) 및, 제2 탄성부재(270)를 구비할 수 있다.
분리구동수단(200)은, 가압로드(230)가 진퇴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210)과, 상기 클램프수단(100)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210)에서 진퇴 가능하게 제공되는 가압로드(230)와, 상기 하우징(210)의 전방에 수용되어, 상기 가압로드(23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 탄성부재(250) 및, 상기 하우징(210)의 후방에 수용되어, 상기 가압로드(23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 탄성부재(270)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가압로드(230)가 진퇴 가능한 내부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210)의 전방에는 가압로드(230)가 진퇴하는 전방홀이 형성되고, 하우징(210)의 후방에는 그립부재(290)의 연결로드가 진퇴하는 후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로드(230)는 클램프수단(100)에 결합되고, 상하우징(210)에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작업자가 하우징(210)을 잡은 상태에서 제1 탄성부재(250)와 제2 탄성부재(270)의 탄성력의 조합에 의해 가압로드(230)를 진퇴시켜 클램프수단(100)에 클램프된 엘보접속재(30)를 진퇴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엘보접속재 탈착장치의 크기를 줄이고, 무게를 경량화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엘보접속재(30)의 탈착작업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250)는 하우징(210)의 전방에 수용되어, 상기 가압로드(230)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250)의 일측은 하우징본체(211)의 전방 내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가압로드(230)의 가압이동부재(233)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270)는 하우징(210)의 후방에 수용되어, 상기 가압로드(230)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270)의 일측은 하우징본체(211)의 후방 내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가압로드(230)의 가압이동부재(233)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로드(230)는, 상기 클램프수단(100)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210)에서 진퇴되는 이동로드(231)와, 상기 이동로드(231)에 제공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250) 및, 상기 제2 탄성부재(27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210) 내에서 슬라이드되는 가압이동부재(233)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고, 가압이동부재(233)는 하우징(210)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원통형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가압로드(230)는 하우징(210)의 전방에 형성된 전방홀을 통해 하우징(210)의 내부와 외부로 진퇴될 수 있다.
가압이동부재(233)는 이동로드(231)에 비해 확경된 형태의 원통형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로드(230)는, 가압이동부재(233)에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210)에 형성된 걸림홈(215)에 고정되는 걸림로드(2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걸림로드(235)는 원통형의 가압이동부재(233)의 측면에 부착 설치될 수 있다.
걸림로드(235)는 하우징본체(211)의 슬라이드홈(213)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고, 슬라이드홈(213)의 양단부에 설치된 걸림홈(215)에 고정될 수 있다.
가압이동부재(233)의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우징본체(211)에 형성된 걸림홈(215)에 걸리면서 고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은, 상기 가압이동부재(233)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우징본체(211)와, 상기 하우징본체(211)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로드(235)가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홈(213) 및, 상기 슬라이드홈(213)의 양측 단부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로드(235)가 고정되는 걸림홈(215)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본체(211)에는 제1 탄성부재(250), 가압이동부재(233) 및, 제2 탄성부재(270)가 수용될 수 있다.
가압이동부재(233)는 하우징본체(211)의 내부에 수용되어 제1 탄성부재(250)와, 상기 제2 탄성부재(270)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우징(210)은 상기 슬라이드홈(213)의 일측 단부영역에 적어도 2 이상의 걸림홈(215)이 이격 형성되어, 상기 제1 탄성부재(250)의 탄성력과 상기 제2 탄성부재(270)의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슬라이드홈(213)의 양측 단부영역에 각각 적어도 2 이상의 걸림홈(215)이 이격 형성되어, 슬라이드홈(213)에는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적어도 4개 이상의 걸림홈(215)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클램프수단(100) 방향에 제1 걸림홈(215)과, 제1 걸림홈(215)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제2 걸림홈(215)이 형성되고, 그립부재(290) 방향에 제1 걸림홈(215)과 제2 걸림홈(21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구동수단(200)은, 상기 가압로드(230)의 후단에 제공되어, 상기 하우징(210) 상에서 상기 가압로드(230)를 진퇴시 작업자가 잡는 부분을 제공하는 그립부재(2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립부재(290)는 가압로드(230)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210) 상에서 상기 가압로드(230)를 진퇴시켜 상기 하우징(210)의 일측 걸림홈(215)에 고정시 작업자가 잡는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림수단은 가압로드(230)의 가압이동부재(233)와 연결되고, 하우징(210)의 후방에 형성된 후방홀을 통해 하우징(210)의 내부로 진퇴하는 연결로드 및, 연결로드의 후방에 연결되어 작업자가 잡는 부분을 제공하는 그립본체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립부재(290)는 원통형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그립부재(290)는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작업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엘보접속재 탈착장치에 의한 엘보접속재(30)의 탈착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5 및, 도 6은 엘보접속재(30)를 분리시키는 과정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지상변압기(10)의 부싱(20)에 결합된 엘보접속재(30)에 본 발명의 엘보접속재 탈착장치를 설치한 상태이고, 도 6은 도 5에서 본 발명의 엘보접속재 탈착장치를 작동시켜 엘보접속재(30)를 부싱(20)에서 분리시킨 상태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변압기(10)의 부싱(20)에 결합된 엘보접속재(30)에 본 발명의 엘보접속재 탈착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분리구동수단(200)은 제1 탄성부재(250)는 압축되고, 제2 탄성부재(270)는 이완된 상태로 가압로드(230)의 걸림로드(235)를 하우징(210)의 전방에 형성된 걸림홈(215)에 고정한 상태에서 클램프수단(100)에 의해 엘보접속재(30)를 클램프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보접속재 탈착장치를 작동시켜 엘보접속재(30)를 부싱(2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클램프수단(100)이 엘보접속재(30)를 클램프한 상태에서 분리구동수단(2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가압로드(230)의 걸림로드(235)를 하우징(210)의 전방에 형성된 걸림홈(215)에서 이탈시키면, 제1 탄성부재(250)의 압축력과 제2 탄성부재(270)의 인장력의 조합에 의해 가압로드(230)가 후퇴되면서 가압로드(230)에 연결된 클램프수단(100)에 의해 엘보접속재(30)가 부싱(20)에서 이탈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엘보접속재(30)를 장착시키는 과정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지상변압기(10)의 부싱(20)에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보접속재 탈착장치를 근접시킨 상태이고, 도 8은 도 7에서 본 발명의 엘보접속재 탈착장치를 작동시켜 엘보접속재(30)를 부싱(20)에서 장착시킨 상태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보접속재(30)에 본 발명의 엘보접속재 탈착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분리구동수단(200)은 제1 탄성부재(250)는 이완되고, 제2 탄성부재(270)는 압축된 상태로 가압로드(230)의 걸림로드(235)를 하우징(210)의 후방에 형성된 걸림홈(215)에 고정될 수 있다.
클램프수단(100)이 엘보접속재(30)를 클램프한 상태에서 지상변압기(10)의 부싱(20)에 엘보접속재(30)를 근접시키고, 부싱(20)의 단부에 엘보접속재(30)를 거치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보접속재 탈착장치를 작동시켜 엘보접속재(30)를 부싱(20)에 장착시킬 수 있다.
클램프수단(100)이 엘보접속재(30)를 클램프한 상태에서 분리구동수단(2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부싱(20)의 단부에 엘보접속재(30)를 거치된 상태에서 가압로드(230)의 걸림로드(235)를 하우징(210)의 후방에 형성된 걸림홈(215)에서 이탈시키면, 제2 탄성부재(270)의 압축력과 제1 탄성부재(250)의 인장력의 조합에 의해 가압로드(230)가 전진되면서 가압로드(230)에 연결된 클램프수단(100)에 의해 엘보접속재(30)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부싱(2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지상변압기 20: 부싱
30: 엘보접속재 100: 클램프수단
110: 클램프부재 130: 힌지부재
150: 결합핀 200: 분리구동수단
210: 하우징 211: 하우징본체
213: 슬라이드홈 215: 걸림홈
230: 가압로드 231: 이동로드
233: 가압이동부재 235: 걸림로드
250: 제1 탄성부재 270: 제2 탄성부재
290: 그립부재

Claims (8)

  1. 지상변압기의 부싱에 엘보접속재를 탈착시키는 엘보접속재 탈착장치이고,
    상기 엘보접속재를 클램프하거나 클램프 상태를 해제 가능한 클램프수단; 및,
    상기 클램프수단에 제공되어, 복수 개의 탄성부재의 조합에 의해 제공된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클램프수단을 진퇴시키는 분리구동수단;를 포함하는 엘보접속재 탈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구동수단은,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클램프수단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서 진퇴 가능하게 제공되는 가압로드;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수용되어, 상기 가압로드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수용되어, 상기 가압로드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엘보접속재 탈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로드는,
    상기 클램프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에서 진퇴되는 이동로드; 및,
    상기 이동로드에 제공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슬라이드되는 가압이동부재;를 구비하는 엘보접속재 탈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로드는,
    상기 가압이동부재에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걸림홈에 고정되는 걸림로드;를 더 구비하는 엘보접속재 탈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압이동부재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우징본체;
    상기 하우징본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로드가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홈; 및,
    상기 슬라이드홈의 양측 단부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로드가 고정되는 걸림홈;을 구비하는 엘보접속재 탈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드홈의 일측 단부영역에 적어도 2 이상의 걸림홈이 이격 형성되어,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탄성력과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접속재 탈착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구동수단은,
    상기 가압로드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상에서 상기 가압로드를 진퇴시 작업자가 잡는 부분을 제공하는 그립부재;을 더 포함하는 엘보접속재 탈착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보접속재 활선분리 작업구간 중 부하전류가 없는 무부하구간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접속재 탈착장치.
KR1020170042024A 2017-03-31 2017-03-31 엘보접속재 탈착장치 KR102352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024A KR102352787B1 (ko) 2017-03-31 2017-03-31 엘보접속재 탈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024A KR102352787B1 (ko) 2017-03-31 2017-03-31 엘보접속재 탈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289A true KR20180111289A (ko) 2018-10-11
KR102352787B1 KR102352787B1 (ko) 2022-01-20

Family

ID=63865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024A KR102352787B1 (ko) 2017-03-31 2017-03-31 엘보접속재 탈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7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141B1 (ko) * 2019-07-19 2019-12-02 두원전력(주) 피뢰기 간편 자동 접지장치
KR102114657B1 (ko) * 2020-03-25 2020-05-25 (주)성문기술단 변전소의 특고압 제어시스템
KR102405565B1 (ko) * 2021-10-13 2022-06-07 주식회사 파워엔솔루션 지상변압기 엘보우 소호핀 체결공구
KR20240033477A (ko) * 2022-09-05 2024-03-12 한국전력공사 Aitc 계통 접속함의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엘보접속재 분리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3757A (ko) * 2005-09-29 2008-07-07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조직 폐쇄 장치
KR101613894B1 (ko) * 2015-09-30 2016-04-20 주식회사 평일 폴 타입 엘보접속재 투입 및 분리장치
KR101656805B1 (ko) 2016-04-08 2016-09-12 엔일렉트릭 주식회사 엘보 접속재 탈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3757A (ko) * 2005-09-29 2008-07-07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조직 폐쇄 장치
KR101613894B1 (ko) * 2015-09-30 2016-04-20 주식회사 평일 폴 타입 엘보접속재 투입 및 분리장치
KR101656805B1 (ko) 2016-04-08 2016-09-12 엔일렉트릭 주식회사 엘보 접속재 탈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141B1 (ko) * 2019-07-19 2019-12-02 두원전력(주) 피뢰기 간편 자동 접지장치
KR102114657B1 (ko) * 2020-03-25 2020-05-25 (주)성문기술단 변전소의 특고압 제어시스템
KR102405565B1 (ko) * 2021-10-13 2022-06-07 주식회사 파워엔솔루션 지상변압기 엘보우 소호핀 체결공구
KR20240033477A (ko) * 2022-09-05 2024-03-12 한국전력공사 Aitc 계통 접속함의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엘보접속재 분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2787B1 (ko)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1289A (ko) 엘보접속재 탈착장치
KR101984829B1 (ko)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웜 기어식 장선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가선 이도 조정 시공법
CN111052525B (zh) 带电作业用手动液压式多功能超高压绝缘齿轮夹钳棒及利用该钳棒的间接带电施工法
KR101873712B1 (ko)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KR102021001B1 (ko) 활선 작업용 수동 기계식 다기능 절연 기어 그립퍼 플라이어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공법
US7216850B2 (en) Electric wire changing device for wire replacing works on electric poles and power distributing method without cutting off power supply
CN101310424B (zh) 用于接合一对电缆的方法和设备
JP2506494B2 (ja) 高電圧コネクタ装置
KR102014049B1 (ko) 지상변압기용 엘보접속재 분리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상변압기용 엘보접속재 분리 및 연결방법
CN104092034A (zh) 一种导线快速连接装置及带电导线连接结构
KR101971405B1 (ko) 절단된 케이블을 즉시 파지하는 케이블 절단기
KR101835841B1 (ko) 배전용 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US1722816A (en) Cable connection for portable tools
KR101613894B1 (ko) 폴 타입 엘보접속재 투입 및 분리장치
CN117501565A (zh) 具有间接活线作业用双棘爪操作部的电动式绝缘旋转全握式线夹操作杆及利用其的间接活线工具操作方法
CN214755178U (zh) 一种旁路电缆与带电导线连接装置
KR100882790B1 (ko)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집게형 접속장치
JP2013172622A (ja) 電線切断・接続補助工具
KR102290560B1 (ko) 지상 변압기의 저압단자와 연결되는 터미널 탈거장치
KR101986564B1 (ko) 간접활선용 유압식 와이어 커팅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와이어 커팅 공법
US6922888B2 (en) Loadbreak elbow pulling tool apparatus
CN104246944A (zh) 紧急断开装置
CN210041069U (zh) 一种变电站绝缘隔套装拆装置
KR101696827B1 (ko) 클램핑 장치
CN111180222A (zh) 一种带简易机械手的令克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