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3757A - 조직 폐쇄 장치 - Google Patents

조직 폐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3757A
KR20080063757A KR1020087007499A KR20087007499A KR20080063757A KR 20080063757 A KR20080063757 A KR 20080063757A KR 1020087007499 A KR1020087007499 A KR 1020087007499A KR 20087007499 A KR20087007499 A KR 20087007499A KR 20080063757 A KR20080063757 A KR 20080063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sing
tissue
seal
closur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7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지 마루야마
마사까쯔 가와우라
료오 나가모또
Original Assignee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3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61B2017/00575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for closure at remote site, e.g. closing atrial septum de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61B2017/00575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for closure at remote site, e.g. closing atrial septum defects
    • A61B2017/00606Implements H-shaped in cross-section, i.e. with occluders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61B2017/00575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for closure at remote site, e.g. closing atrial septum defects
    • A61B2017/00619Locking means for locking the implement in expanded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61B2017/00575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for closure at remote site, e.g. closing atrial septum defects
    • A61B2017/00623Introducing or retriev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61B2017/0475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using sutures having a slip kn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2017/049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for tensioning su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조직 폐쇄 장치는 그 말단부가 생체 내막을 관통하는 구멍(예를 들면 상처 구멍)을 관통할 수 있고 그 기단 측에 취급부를 가지는 배열 장치 및 배열 장치의 말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고 개구를 폐쇄하는 클립을 포함한다. 배열 장치는 클립을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고 클립을 기단 방향으로 당기는 유지 부재(예를 들면, 실), 커버 튜브 및 고정 튜브를 포함한다. 취급부는 제1 탄성 부재(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을 가진다. 코일 스프링을 변형 상태(즉, 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규제가 해제되면, 클립이 고정 튜브의 말단부에 로크된 상태에서 실이 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고, 클립이 실에 의해 축 방향으로 당겨짐으로써, 변형부가 변형된다.
Figure P1020087007499
조직 폐쇄 장치, 배열 장치, 클립, 유지 부재, 코일 스프링

Description

조직 폐쇄 장치 {TISSUE CLOSING DEVI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조직 폐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생체 조직 폐쇄 장치를 포함한다.
카테터(catheter)와 같은 진단 또는 치료용 장치를 혈관 또는 몇몇 다른 조직 내부로 삽입함으로써 실행되는 저침습 수술이 널리 알려져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심장의 관상 동맥의 협착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협착에 대한 치료를 행하기 위해 카테터와 같은 장치를 혈관 내부로 삽입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혈관 내부로의 카테터와 같은 기구의 삽입은 통상 대퇴부를 절개 또는 천자(puncturing)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구멍을 통해 행해진다. 치료 처치가 종료된 후에, 구멍을 통한 출혈을 정지시키기 위해 지혈 시술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대퇴 동맥으로부터의 출혈시 혈압(출혈 혈압)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의료 행위에 관여하고 있는 사람이 그들 손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비교적 장시간 동안 그 부위를 압박할 필요가 종종 있다.
최근 들어, 지혈을 더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하기 위해서, 상처 구멍을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혈관에 형성된 개방부를 폐쇄시키는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5,282,827호는 실이 스프링으로 억제되는 볼에 의해 장치의 기단부에 유지되고, 장치가 인발될 때, 일정한 실의 장력을 유지하면서 실이 미끄러져서 장치가 인발되도록 구성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앵커(혈관내 로크 부재)가 혈관에 형성된 구멍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부직포 직물 플러그(밀봉 부재)가 실을 당기면서(실로 압축하면서) 밀어넣기(pushing-in) 파이프(패킹 부재)로서 압박되어, 플러그를 평평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혈관에 형성된 구멍이 폐쇄부에 의해 폐쇄된다.
그러나, 전술된 특허에 개시된 장치에 있어서, 시술자는 실을 당기면서 밀어넣기 파이프로 플러그를 압박함으로써 플러그를 평평하게 하는 시술을 수작업으로 행하여야만 하여, 시술에 노동과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특히 익숙하지 않은 시술자의 경우, 시술의 확실성에 대한 불안이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생체 조직을 관통하는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조직 폐쇄 장치는 생체 강의 벽의 일측으로부터 개구와 개구 주변을 덮도록 구성되는 시일부 및 변형 가능한 변형부를 구비하는,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부 그리고 폐쇄부를 개구에 근접한 위치에 배열시키도록 폐쇄부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배열 장치를 포함한다. 배열 장치는 개구를 통해 통과하여 폐쇄부의 적어도 일부를 유지 상태로 로크시키는 것이 가능한 긴 형상을 가지는 로크 부재 및 로크 부재의 기단 측에 제공되는 취급부를 포함한다. 취급부는 폐쇄부 및 로크 부재를 서로에 대해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 및 작동 부재를 작동시키는 트리거 수단을 포함한다. 작동 수단이 트리거 수단에 의해 작동되면, 폐쇄부가 로크 부재에 의해 로크된 상태에서 폐쇄부 및 로크 부재가 서로에 대해 이동됨으로써, 변형부는 변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 부재(제1 탄성 부재)를 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규제가 해제 되면(작동 부재가 활성화되는 경우), 폐쇄부가 로크 부재에 로크된 상태에서, 폐쇄부 및 로크 부재가 제1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되고 폐쇄부의 변형부가 자동으로 변형되어서, 시술자가 폐쇄부의 변형부를 변형시키는 시술을 수작업으로 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혈관벽과 같은 생체내 조직막에 형성된 상처 구멍에 대한 지혈 작업이 신속 용이하고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상처 구멍이 신속 용이하고 확실하게 폐쇄(봉합)될 수 있고, 완전한 지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1의 (a) 및 도1의 (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 내의 폐쇄부의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 내의 폐쇄부의 매듭의 일예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4는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 내의 폐쇄부의 매듭의 다른 예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5는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확대 사시도[부재(부품)]이다.
도6의 (a) 및 도6의 (b)는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말단부의 사시도이다.
도7은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에서의 실 지지부, 핀 및 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의 (a) 내지 도8의 (d)는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작동(조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9는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작동(조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10은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작동(조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11은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작동(조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12는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작동(조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13은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작동(조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14는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작동(조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15의 (a) 및 도15의 (b)는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작동(조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16의 (a) 및 도16의 (b)는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작동(조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17의 (a) 및 도17의 (b)는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작동(조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18은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작동(조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19는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작동(조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20은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작동(조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21는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작동(조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22는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작동(조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23는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작동(조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24는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작동(조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25는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작동(조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2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직 폐쇄 장치의 제2 실시예(로크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27은 도26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취급부의 말단측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8은 조직 폐쇄 장치의 제2 실시예(로크 해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9는 도28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취급부의 말단측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직 폐쇄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1은 도30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확대 사시도[부재(부품)]이다.
도32의 (a) 및 도32의 (b)는 도30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에서의 실 지지부, 핀 및 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3의 (a) 및 도33의 (b)는 도30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작동(조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4의 (a) 및 도34의 (b)는 도30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작동(조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5의 (a) 및 도35의 (b)는 도30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작동(조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6의 (a) 및 도36의 (b)는 도30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작동(조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7의 (a) 및 도37의 (b)는 도30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작동(조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8의 (a) 및 도38의 (b)는 도30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작동(조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9의 (a) 및 도39의 (b)는 도30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작동(조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지금부터, 조직 폐쇄 장치가 첨부 도면에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를 기초로 이후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
도1은 조직 폐쇄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1의 (a)는 전체 사시도이고, 도1의 (b)는 케이싱의 상부 반부의 내부 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 내의 폐쇄부의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 내의 폐쇄부의 매듭의 일예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4는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 내의 폐쇄부의 매듭의 다른 예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5는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확대 사시도[부재(부품)]이다. 도6은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말단부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6의 (a)는 외관도이고, 도6의 (b)는 사시도(커버 튜브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함)이다. 도7은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에서의 실 지지부, 핀 및 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 내지 도10은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개별 작동(조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11 및 도12는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개별 작동(조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13 및 도14는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개별 작동(조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15 내지 도17은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개별 작동(조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15의 (a), 도16의 (a) 및 도17의 (a)는 측방의 단면도이고 도15의 (b), 도16의 (b) 및 도17의 (b)는 상향의 단면도이다. 도18은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작동(조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19 및 도20은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개별 작동(조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21 내지 도25는 도1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개별 작동(조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부수적으로,도1 및 도5에 있어서,케이싱은 수직 방향으로 이등분되고, 고정 튜브 지지 부재의 측방 쪽의 대략적인 일반부는 생략된다. 또한, 도1에 있어서,파선의 원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내의 커버 튜브 내부 및 고정 튜브 내부는 확대해서 도시된다. 그밖에, 도9, 도13, 도18, 도21, 도23 및 도24에서는 케이싱의 수직 방향의 상부 반부가 생략되고, 고정 튜브 지지 부재의 측방 쪽의 대략적인 일반부가 생략된다. 또한, 도7에서는 실의 전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그밖에, 도8에 있어서는 고정 튜브(7)가 파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설명의 편의상, 도1의 (a), 도5 내지 도7 및 도9 내지 도25에 있어서, 도면 중 화살표(A)의 방향을 "말단"으로, 화살표(B)의 방향(손 조작측)을 "기단"으로, 화살표(C)의 방향을 "상향"으로, 그리고 화살표(D)의 방향을 "하향"으로 칭할 것이다. 또한, 도2 내지 도4 및 도8에 있어서, 도면 중 상부측을 "기단"으로, 하부측을 "말단"으로 칭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1)는 예를 들어, 혈관과 같은 생체 내강, 생체의 내부 기관 또는 생체 내부 조직과 같은 생체내 조직막에 형성되는 경피 관통 개구(즉, 생체 조직막을 관통하는 상처 구멍)를 폐쇄(봉합)하는 장치이다.
도1, 도2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직 폐쇄 장치(1)는 생체내 조직막을 관통하는 상처 구멍을 관통할 수 있는 말단부를 가지고, 기단 측에 취급부(9)를 갖는 긴 모양의 배열 장치(3, 이송 및 변형 수단) 및 배열 장치(3)의 말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유지(연결)되어 생체내 조직막을 관통하는 상처 구멍을 폐쇄하는 폐쇄부(조직 폐쇄부)로서 기능하는 클립(4)을 포함한다.
클립(4)은 클립 본체(40, 폐쇄부 본체) 및 고정부로서 기능하는 실(46, 제1 실형 부재)을 가지고,클립 본체(40)는 시일부(41), 변형 가능한 변형부(42) 및 시일부(41)와 변형부(4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44)로 구성된다. 또한, 실(46)은 매듭(461) 및 루프(462)를 가진다. 부수적으로,클립(4)은 이후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배열 장치(3)는 상처 구멍을 관통하는 말단부를 가지고 그 중심부에 축 방향으로 이를 관통하는 관통 루멘(51)이 제공되는 외피(5, 긴 모양의 튜브 부재) 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 즉, 외피(5)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이용된다(도9 참조). 외피(5) 및 배열 장치(3)는 긴 모양의 본체부(2)를 구성한다. 지혈 작업(상처 구멍을 폐쇄하는 작업)시, 외피(5)와 배열 장치(3)의 말단부 및 클립(4)은 상처 구멍을 관통한다. 즉, 이들은 상처 구멍을 통해 혈관과 같은 생체의 내강(생체 내강) 내부로 삽입된다.
외피(5)는 대략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그 기단부에 허브(52)를 가진다. 또한, 지혈 밸브(도시 생략)가 허브(52)의 내주연측에 배치된다.
외피(5)로서는, 예를 들어, 카테터를 이용하는 치료[예를 들면, PCI; 관상 동맥 중재줄(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또는 진단[예를 들면, CAG; 관상동맥 조영술(Coronary AngioGraphy)] 과정 후 내재되어 남겨져 있는 외피[유도관(introducer sheath)]가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조직 폐쇄 장치 전용의 외피일 수도 있다.
부수적으로,본 실시예에서는 외피(5)가 본체부(2)의 구성 요소에 포함되어 있지만, 외피(5)는 본체부(2)의 구성 요소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1, 도2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 장치(3)는 클립(4)[클립(4)의 실(46)]에 연결되고, 클립(4)[클립(4)의 실(46)]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유지 수단)인 실(8, 제2 실형 부재), 상처 구멍을 관통 가능한 말단부를 가지는 긴 모양의 제1 관형 부재(관형상 부재)인 커버 튜브(6, 커버 부재, 커버 수단), 상처 구멍을 관통 가능한 말단부를 가지는 긴 모양의 제2 관형 부재(관형상 부재)인 고정 튜브(7, 로크 부재, 로크 수단) 및 취급부(9)를 포함한다. 클립(4)[클립(4)의 실(46)]은 실(8)에 의해 배열 장치(3)의 말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유지된다. 이 경우, 실(8)은 시일부(41)의 반대측(말단측)인 클립(4)의 변형부(42) 부분이 시일부(41)측(기부측)인 변형부(42) 부분에 대해 이동(변위)되는 방식으로 클립(4)을 유지한다.
또한,고정 튜브(7)는 커버 튜브(6)의 루멘 내(내측)에 동심원으로 배치(삽입)되고, 커버 튜브(6)는 고정 튜브(7)에 대해 이들의 축 방향으로 이동(미끄럼)될 수 있다. 그 밖에, 실(8)은 고정 튜브(7)의 루멘 내(내측)에 배치(삽입)되어, 고정 튜브(7)에 대하여 고정 튜브(7)의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취급부(9)는 고정 튜브(7) 및 커버 튜브(6)의 기단측에 제공된다.
여기서, 커버 튜브(6)의 기단부는 취급부(9)의 커버 튜브 지지부(14, 커버 부재 지지 튜브)의 말단부에 고정(지지)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4)의 변형부(42)는 커버 튜브(6)의 말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삽입)된다. 이 경우, 클립(4)의 변형부(42)가 커버 튜브(6)의 말단부의 루멘 내에 삽입 유지됨으로써, 클립(4)은 커버 튜브(6)의 종방향으로 변형부(42)의 긴 형태(즉, 절첩 형태)를 유지하면서 장착된다.
또한,배열 장치[3, 커버 튜브(6)]가 외피(5)의 기단측으로부터 외피(5)의 관통 루멘(51) 내부로 삽입되어, 외피(5)에 장착되는 경우, 커버 튜브(6)의 말단부는 외피(5)의 말단으로부터 노출된다[외피의 말단이 커버 튜브(6)의 말단부에 대해 기단측에 위치하게 됨].
커버 튜브(6)에 의해 고정 튜브(7)의 외부면이 덮여지고, 그 말단부에 있어서, 클립(4)의 적어도 일부[즉, 본 실시예에서는 변형부(42)]가 덮여진다.
고정 튜브(7)는 비교적 딱딱한 구성 재료로 형성되고, 그 기단부에 허브(72)를 가진다. 허브(72)는 취급부(9)의 후술될 실 지지부(15) 및 리프터(16)의 내측(프레임 내)에 위치되고, 후술될 고정 튜브 지지부(12, 블록 부재 지지부)에 고정(지지)된다.
또한, 배열 장치[3, 고정 튜브(7)]가 외피(5)의 기단측으로부터 외피(5)의 관통 루멘(51) 내부로 삽입되어 외피(5)에 장착되는 경우, 외피(5)의 말단이 고정 튜브(7)의 말단에 대해 기단측에 위치되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튜브(7)의 말단이 커버 튜브(6)의 말단에 대해 기단측에 위치된다.
고정 튜브(7)는 클립(4)의 실(46)이 실(8)에 의해 기단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클립(4)의 실(46) 매듭(461)이 고정 튜브(7)의 말단부(71)에 로크되고, 추가로 변형부(42)가 매듭(461)을 통해 로크(간접 로크)됨으로써, 매듭(461)이 상대적으로 말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실(46)을 죄어서 변형부(42)를 변형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1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급부(9)는 케이싱(11, 본체), 고정 튜브(7)를 지지하는 고정 튜브 지지부(12, 로크 부재 지지부), 스프링 홀더(13, 제2 탄성 부재 지지부), 커버 튜브(6)를 지지하는 커버 튜브 지지부(14, 커버 부재 지지부), 실(8)을 지지하는 실 지지부(15, 유지 부재 지지부), 실 지지부(15)에 삽입되고 실(8)을 실 지지부(15)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핀(17, 커넥터), 핀(17)을 지지하는 핀 지지부인 리프터(16, 커넥터 지지부), 실 지지부(15)를 로크하는 정지부인 한 쌍의 핀(18, 규제부), 핀(19), 장전 부재(21, 장전 수단), 제1 탄성 부재 (작동 부재)인 코일 스프링(22, 스프링), 제2 탄성 부재인 코일 스프링(23, 스프링) 및 코일 스프링(24, 스프링)을 포함한다.
부수적으로,도1 및 도5에서는 케이싱이 수직 방향으로 이등분되어 있지만, 실제로 이들은 서로 접합되어 있다.
케이싱(11)은 외관 형상이 대략 직방체 형상인 관형(다각 관형) 형상을 가진다. 측방향으로 돌출하고 조작 시에 손가락 후크부로서 기능하는 한 쌍의 돌출부(111)가 케이싱(11)의 중심부 부근에 있어서의 측부에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돌출부(111)에는 케이싱(11)의 내측과 연통하는 바닥 구멍부(112)가 제공된다.
그밖에,케이싱(11)의 말단부의 상부에는 핀(19)이 삽입되는 바닥 구멍부(113)가 제공된다.
또한,4개의 돌기(114)가 케이싱(11)의 내측의 기단부에 제공되고, 한 쌍의 돌기(119)가 도1의 (b)에 있어서 한 쌍의 돌기(114)의 상측의 측방향 쪽에 제공된다. 그밖에, 한 쌍의 계단부(116, 결합부)가 케이싱(11) 내측의 한 쌍의 돌출부(111)의 말단 쪽에 제공된다.
케이싱(11)의 내측에는, 고정 튜브 지지부(12) 및 스프링 홀더(13)가 배열 장치(3)의 종방향으로 개별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고정 튜브 지지부(12)는 외관 형상이 대략 직방체 형상인 상자형이다. 고정 튜브 지지부(12)에는 그 말단부에 외피(5)의 허브(52)에 끼워 맞춤되는 커넥터(121)가 제공된다. 커넥터(121)는 허브(52)와 결합 가능한 4개의 갈고리를 가지고, 케이싱(11) 말단부의 말단 쪽에 위치된다.
또한,고정 튜브 지지부(12)에는 그 기단부에 기단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122)가 제공된다. 돌기(126)가 돌출부(122) 기단부의 상부에 개별적으로 제공된다.
그밖에,고정 튜브 지지부(12)의 중심부 부근의 측부에는, 한 쌍의 슬롯(123)이 배열 장치(3)의 종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한 쌍의 핀(18)이 삽입되게 되는 한 쌍의 구멍부(124)가 고정 튜브 지지부(12)의 기단부의 측부, 즉, 슬롯(123)에 비해 기단 쪽의 측부에 제공된다.
돌출부(122), 슬롯(123) 및 구멍부(124)는 대략 동일한 직선 상에 배열된다.
그밖에,핀(19)이 삽입되게 되는 구멍부(125)가 고정 튜브 지지부(12)의 말단부의 상부에 제공된다.
또한,고정 튜브 지지부(12)에는 그 말단부에 노-플러시(no-flush) 챔버(25)가 제공된다. 노-플로시 챔버(25)는 관형의 혈액 유입 포트(251) 및 혈액 유입 포트(251)의 루멘(253)과 연통하는 루멘(254)을 가지는 혈액 유출 포트(252)로 구성된다. 혈액 유입 포트(251)는 고정 튜브 지지부(12)의 말단 방향으로 돌출되고, 케이싱(11)의 말단부로부터 말단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밖에, 혈액 유출 포트(252)는 고정 튜브 지지부(12)의 측방향 쪽을 향해 돌출된다.
또한,혈액 유출 포트(252)의 루멘(254)은 혈액 유출 포트(252)의 측방 쪽의 단부 기단에 대해 개방된다. 즉, 루멘(254)과 연통하는 개구(255)는 혈액 유출 포트(252)의 측방 쪽의 단부 기단에 제공된다. 개구(255)는 혈액 유출 포트(252)의 측방 쪽의 단부 기단에서 케이싱(11)의 말단부의 단부면(115)과의 접합에 의해 폐 쇄되어 있지만, 케이싱(11)이 고정 튜브 지지부(12)에 대해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면, 단부면(115)이 이격되어 개구(225)는 개방된다.
전술한 커버 튜브(6) 및 고정 튜브(7)는 혈액 유출 포트(252)의 루멘(254)을 통해 통과된다.
스프링 홀더(13)는 고정 튜브 지지부(12)의 기단 쪽, 구체적으로는 케이싱(11) 내의 기단부에 위치된다.
스프링 홀더(13)는 기단부(131)의 4개의 코너로부터 말단 방향으로 돌출되는 4개의 돌출부(132)를 가진다. 돌출부(132)에는 만곡 볼록면을 가지고 케이싱(11)의 돌기(114)와 결합될 수 있는 돌기(133)가 개별적으로 제공된다. 또한, 기단부(131)에는 돌출부(132)에 대응하는 위치에 케이싱(11)의 돌기(114)와 결합될 수 있는 돌기(134)가 제공된다.
도1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홀더(13)는 고정 튜브 지지부(12)의 돌출부(122)가 상하 한 쌍의 돌출부(132) 사이에 각각 체결되고, 돌출부(132)의 돌기(133)가 케이싱(11)의 돌기(114)와 결합되도록 배치된다. 이는 스프링 홀더(13)가 케이싱(11)에 대해 말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시킨다.
또한,도1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23)의 기단부는 스프링 홀더(13)의 기단부(131)에 고정되고, 코일 스프링(23)의 말단부는 고정 튜브 지지부(12)의 기단부에 고정된다. 코일 스프링(23)은 자연 상태로부터 약간 신장된 상태로 배치된다.
커버 튜브 지지부(14), 실 지지부(15), 리프터(16) 및 장전 부재(21)는 고정 튜브 지지부(12) 내부에서 개별적으로 배열 장치(3)의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 지지부(15)는 프레임형 형상을 가지고, 그 말단부에는 이를 통해 고정 튜브(7)가 통과되는 구멍부(151)가 제공된다. 또한, 실 지지부(15)에는 그 기단부에 그 안으로 핀(17)이 삽입되는 구멍부(152) 및 구멍부(152)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이를 통해 실(8)이 관통될 수 있는 구멍부(153)가 제공된다. 그밖에, 만곡 볼록면이 실 지지부(15)의 기단부의 양측부에 형성된다. 부수적으로,예를 들어, 경사면이 만곡 볼록면 대신에 제공될 수도 있다.
실(8)은 1개의 실(실형 부재)이 되돌아 절곡되어 절곡부(81)가 그 일단부를 이루는 이중 실(이중 실형 부재)로 구성된다. 또한, 실(8)은 1개의 실 상태인 실(8)이 실 지지부(15)의 기단부에 형성되는 구멍부(154)를 통과하고, 이어서 그 양 단부가 서로 묶어지게 되는 방식에 의해 실 지지부(15)에 부착된다.
실(8)은 클립[4, 클립(4)의 실(46)의 루프(462)]을 관통하여 배열 장치(3)의 말단부에서 되돌아 절곡되어, 실(8)이 클립(4)을 유지한 상태에서, 핀(17)이 절곡부(81)의 루프를 통해 통과되어, 절곡부(81)는 핀(17)에 의해 실 지지부(15)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타단부[절곡부(81)의 반대측 단부]는 실 지지부(15)에 부착된다.
부수적으로,핀(17)을 실(8)의 절곡부(81)의 루프를 통해 통과시킬 때, 절곡부(81)는 구멍부(153)로부터 외부로 인출되고, 핀(17)은 구멍부(152) 내부로 삽입 된다.
또한,도1 및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핀(18)이 고정 튜브 지지부(12) 내의 한 쌍의 구멍부(124)를 통해 통과되어, 실 지지부(15)는 핀(18)의 팁 단부에서 로크된다. 그밖에, 각각의 핀(18)의 머리부는 핀(18)이 구멍부(124) 밖으로 빠지지(이동하지) 않도록 케이싱(11)의 내부면과 접촉한다. 이는 실 지지부(15)가 고정 튜브 지지부(12)에 대하여 기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1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튜브 지지부(14)는 실 지지부(15)의 말단측 그리고 노-플러시 챔버(25)의 기단측에 위치된다. 리프터(16)는 커버 튜브 지지부(14) 및 실 지지부(15)의 상측에 장착되어, 상향으로 이동 가능(변위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리프터(16)는 프레임 형상을 가지고, 평면도에 있어서 핀(17)을 내부에 삽입하는 구멍부(152)가 프레임 내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핀(17)이 구멍부(152) 내로 삽입되는 경우, 핀(17)이 리프터(16)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리프터(16)에는 4개의 돌기(161, 제1 돌기)가 제공된다. 각각의 돌기(161)는 리프터(16)의 측부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한다.
한편,커버 튜브 지지부(14)에는 대응하는 돌기(161)에 접촉함으로써 리프터(16)를 상향으로 이동(변위)시키는 변위부인 4개의 돌기(141, 제2 돌기)가 제공된다. 각각의 돌기(141)는 커버 튜브 지지부(14)의 상부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한다.
그 밖에,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142, 결합부)는 커버 튜브 지지부(14)의 기단부의 측부에 제공된다. 각각의 돌출부(142)는 고정 튜브 지지부(12)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케이싱(11)의 계단부(116)와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 튜브 지지부(12)의 슬롯(123)을 통과할 수 있다.
장전 부재(21)는 프레임 형상을 가지고, 커버 튜브 지지부(14)의 말단부 및 노-플러시 챔버(25)가 프레임 내측에 위치되도록 고정 튜브 지지부(12)의 말단부에 배치된다.
장전 부재(21)에는 그 말단부에 이를 통해 커버 튜브(6) 및 고정 튜브(7)를 통과시키는 구멍부(211)가 제공되고 및 그 기단부에 이를 통해 고정 튜브(7)를 통과시키는 구멍부(212)가 제공된다. 또한, 장전 부재(21)에는 그 상부에 핀(19)을 삽입하는 오목부(213)가 제공된다.
그밖에, 코일 스프링(22)은 자연 상태에서 고정 튜브 지지부(12) 내의 장전 부재(21)의 기단부와 실 지지부(15)의 말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도1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19) 및 코일 스프링(24)은 고정 튜브 지지부(12)의 구멍부(125) 내에 삽입(배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4)은 수축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 핀(19)은 코일 스프링(24)의 복원력(탄성력)에 의해 하향으로 바이어스된다. 핀(19)의 팁 단부는 케이싱(11)의 구멍부(113) 내에 삽입되어, 핀(19)의 머리부는 핀(19)이 구멍부(113) 밖으로 빠지지 않도록 장전 부재(21)의 상부면에 접촉한다. 이는 고정 튜브 지지부(12)가 케이싱(11)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클립(4)이 설명될 것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4, 폐쇄부)은 클립 본체(40, 폐쇄부 본체) 및 고정부인 실(46, 제1 실형 부재)을 포함한다.
클립 본체(40)는 시일부(41), 변형 가능한 변형부(42) 및 시일부(41)와 변형부(4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44)로 구성된다. 양호하게는, 시일부(41), 변형부(42) 및 연결부(44), 즉 클립 본체(40)는 동일한 재료로 일체로 형성된다.
시일부(41)는 생체내 조직막의 일면(내부면) 측으로부터 상처 구멍의 주연부(상처 구멍을 포함하는 생체내 조직막 부분)와 근접 접촉함으로써 상처 구멍 및 상처 구멍의 주연부를 덮는 평면부(412, 평면) 갖는 부재이며, 판 형상을 가진다.
시일부(41) 중, 변형부(42, 후술됨)가 연결되는 표면(도2에 있어서 상부측 표면)은 실질적으로 평면이다.
변형부(42)는 팬터그래프 형상(즉, 대략 마름모꼴 프레임형 본체)을 가지고, 연결부(44)를 통해서 시일부(41)의 평면부(412)의 대략적인 중심에 링크된다.
구체적으로, 변형부(42)는 시일부(41)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신장되고 시일부(41)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수축되는 제1 형태와 시일부(41)에 대하여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수축되고 시일부(41)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확장되는 제2 형태 사이에서 변형되는 것이 가능한 프레임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변형부(42)는 도2에 도시된 기본 형태(기본 형상)로부터, 제1 형태 및 제2 형태, 예를 들어 상처 구멍을 통한 통과를 허용하는 형태 및 다른 면(외부면)측으로부터 생체내 조직막을 시일부(41)와 변형부(42) 사이에 고정시킴으로써 상처 구멍의 폐 쇄가 가능한 형태 사이의 임의의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생체내 조직막이 혈관 벽(생체 내강벽)인 경우, 일면은 체표(피부)로부터 말단인 면, 즉 혈관 벽(생체 내강 벽)의 내부면이며, 다른 면은 체표(피부)에 기단인 면, 즉 혈관 벽(생체 내강 벽)의 외부면이다.
여기서, 제1 실시예에서는 변형부(42)는 벨트형 부재를 4회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사각형 고리 형상(벨트형 부재를 복수회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되는 다각형 고리 형상)을 가지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변형부(42)는 서로 일체식으로 결합되는 4개의 링크를 가지고 힌지형 방식으로 절곡되는 것이 가능한 4개의 코너부를 가지는 사각형 형상(사각형 프레임 형상)을 가진다. 도2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대각 위치로 있는 2개의 코너부(421, 422) 중, 도2에 있어서 하부측[시일부(41)측] 상의 코너부(422)는 연결부(44)를 통해 시일부(41)의 평면부(412)의 대략적인 중심 영역에 연결되어, 연결부(44) 중 도2에 있어서 상부측 단부에 대해 이동 불가능한 부동부로서 기능한다.
이는 변형부(42)가 코너부(421) 및 코너부(422)가 서로 접근 및 이격되도록 변형될 수 있게, 즉 서로 직교하는 2 방향으로 신축 변형되고, 단일 평면에서 시일부(41)에 대해 피봇식으로 요동될 수 있게 한다.
또한,도2에 있어서 상부측[시일부(41) 반대측] 상의 코너부(421)는 만곡 볼록면 형상인 상부면[423, 시일부(41) 반대측 표면]을 가진다. 변형부(42)의 코너부(421)에는 그 중심 근처에 두 개의 구멍[425, 428(관통 구멍)]이 제공되고, 코너부(422)에는 그 중심 근처에 두 개의 구멍[426, 427(관통 구멍)]이 제공된다.
그밖에,연결부(44)는 판 형상을 가지고, 그 중심 근처에 구멍(441, 관통 구멍)이 제공된다. 연결부(44)에 의해, 시일부(41) 및 변형부(42)의 코너부(422)는 소정 거리만큼 서로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실(46)은 실(46)이 클립 본체(40)에 부착되도록 시일부(41) 반대측인 변형부(42)의 단부측 및 시일부(41)측인 변형부(42)의 단부측에 걸리게 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실(46)은 변형부(42)의 코너부(421) 및 연결부(44)를 관통한 상태에서, 변형부(42)의 코너부[421, 시일부(41) 반대측의 단부] 및 연결부(44)에 걸리게 된다. 구체적으로, 실(46)은 도2에 있어서 상부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변형부(42)의 코너부(421) 내의 구멍(425), 코너부(422) 내의 구멍(426), 연결부(44) 내의 구멍(441), 코너부(422) 내의 구멍(427) 및 코너부(421) 내의 구멍(428)을 통과(관통)하여, 코너부(421)측[변형부(42)의 외측] 상에 도3 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매듭(461)을 형성한다. 이러한 매듭은 꽈베기 매듭(clinch knot)으로 칭해진다. 또한, 실(8)을 통과시키는 루프(462)는 매듭(461)의, 도2에 있어서 상부측에 형성된다.
매듭(461)은 말단 방향, 즉, 도2에 있어서 하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매듭이다. 실(46)을 체결하기 위해 매듭(461)을 실(46) 상에서 말단 방향으로 이동시킨 것에 의해, 변형부(42)는 제1 형태와 제2 형태 사이의 원하는 형태로 변형되어, 이러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실(46)이 변형부(42)가 원하는 형태가 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매듭(461)은 변형부(42)의 시일부(41)과 반대측의 단부, 즉 코너부(421)에 위치하게 된다. 실(46) 상에서의 강한 장력에 기인하여,매 듭(461)은 강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기단 방향으로 자연적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매듭(461)은 고정 튜브(7)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루프(462)는 고정 튜브(7)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는 고정 튜브(7)에 의해 클립(4)의 실(46)의 매듭(461)을 이동시키고 실(46)을 체결하여 변형부(42)를 변형시킬 때, 루프(462)가 고정 튜브(7)의 루멘 내부로 들어갈 수 있게 하고, 매듭(461)이 고정 튜브(7)의 루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하여서,매듭(461)이 확실하게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46)은 변형부(42)에 대한 고정부로서 기능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실(8)은 실(46)의 루프(462)를 통해 통과하고 있는 상태에서 고정 튜브(7)의 루멘을 통해 통과된다.
부수적으로,실(46) 및 실(8)은 동일 실(즉, 1개의 실)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변형부(42)가 실(46)에 의해 고정된 후, 실(46)이 가위 등에 의해 매듭(461)에 대해 기단측에서 절단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또한,실(46)은 1개의 실(실형 부재)가 되돌아 절곡되어 절곡부가 일단부를 이루는 이중 실(이중 실형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고, 루프(462)가 절곡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양호하게는, 클립(4)의 클립 본체(40)의 적어도 일부는 생체 흡수성 재료로 형성된다. 특히, 클립 본체(40)의 주요 부분(대부분)은 전체가 일체적으로 생체 흡수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클립 본체(40)의 주요 부분이 소 정 기간 후에 생체에 흡수되어, 최종적으로는 생체 내에 남지 않게 함으로써, 인체에 대한 클립 본체(40)의 영향이 감소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실(46)도 역시 생체 흡수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전체 클립(4, 폐쇄부)이 생체 흡수성 재료(들)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될 수 있는 생체 흡수성 재료의 예로서는 단독으로 사용되는 폴리유산, 폴리글리콜산, 폴리옥사논 및 그 복합체를 포함한다.
부수적으로, 클립(4)의 클립 본체(40)를 구성하는 재료는 생체 흡수성 재료에 제한되지 않고, 수지, 금속 등과 같은 생체 적합성 재료일 수도 있다. 또한, 실(46)을 구성하는 재료도 생체 흡수성 재료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밖에,클립(4)의 클립 본체(40)에 요구되는, 특히 변형부(42)의 변형 기능에 요구되는 물리적 성질으로서는 우수한 힌지 특성을 가지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250 내지 500(kg/cm2)의 항장력, 150 내지 800%의 신장, 8 내지 20(× 103kg/cm2)의 인장 탄성률 및 300 내지 700(kg/cm2)의 굽힘 강도를 가지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물리적 성질 값을 만족시킴으로써, 클립 본체(40)는 힌지 특성에 있어 우수할 수 있게 되고 변형부(42)의 요구되는 변형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4)의 변형부(42)가 커버 튜브(6)의 말단부로부터 이탈되어서 변형부(42)가 변형될 수 있는 상태에서, 클립(4)의 실(46)이 실(8)에 의해 기단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클립(4)의 실(46)의 매듭(461)이 고정 튜브(7)의 말단부(71)에 로크되고, 변형부(42)가 매듭(461)을 통해 로크(간접적으로 로크)됨으로써, 매듭(461)은 말단 방향으로 이동되고, 실(46)은 죄여지며, 변형부(42)는 변형된다.
이러한 경우, 클립(4)이 커버 튜브(6)에 장착되는 경우, 클립(4)의 변형부(42)는 도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일부(41)에 대하여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신장되고 시일부(41)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수축된 형태가 된다. 매듭(461)이 말단 방향으로 이동해서 실(46)을 죄여짐에 따라, 변형부(42)의 코너부(421)는 도8에 있어서 하향으로 점진적으로 이동되어, 변형부(42)는 도8의 (a)에 도시된 형태로부터 도8의 (b)에 도시된 형태에 이어서 도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일부(41)와 변형부(42) 사이에 생체내 조직막을 끼움으로써 상처 구멍을 폐쇄하는 것이 가능한 형태로 연속적으로 변형된다. 즉, 변형부(42)는 시일부(41)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수축되고 시일부(41)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확장된다.
또한,전술된 바와 같이 매듭(461)은 강한 힘이 가해진 경우에만 말단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매듭이기 때문에, 변형부(42)가 소정 형태인 상태는 실(46)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클립(4)에 의하면, 변형부(42)의 변형 정도는 연속적으로 규제(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개의 코너 부(421, 422) 사이의 거리는 연속적으로 규제(조정)될 수 있다. 즉, 변형부(42)가 원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는 생체내 조직막(예를 들면, 혈관 벽)이 두꺼운 사람, 생체내 조 직막이 얇은 사람, 생체내 조직막이 딱딱한 사람, 생체내 조직막이 부드러운 사람 등과 같이 다양한 케이스에 대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다양한 생체내 조직막 상태(상황)에 대응].
부수적으로,본 발명에 있어서, 클립(폐쇄부)의 구성은 시일부 및 변형부를 갖고 있는 것이면 전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있어서, 클립의 변형부의 형상은 사각형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다각형 또는 원형 고리 형상 및 타원 고리 형상과 같은 모서리가 없는 프레임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클립의 변형부는 예를 들어, 콜라겐과 같은 생분해성 재료(생분해성 합성 수지 재료)를 주로 포함하는 스폰지 다공체(다공 재료), 섬유 집합체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밖에, 클립의 고정부는 실에 제한되지 않는다.
지금부터, 조직 폐쇄 장치(1)의 사용에 의해 수행되는 지혈 작업 과정 및 조직 폐쇄 장치(1)의 작동이 설명될 것이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를 사용하는 치료(PCI) 또는 진단(CAG) 시술 후, 외피(5)가 내재되어 남겨지고 외피(5)가 지혈 작업용으로 사용된다. 외피(5)의 말단부는 상처 구멍을 관통하여, 혈관 내에 삽입되어 있다.
먼저,시술자는 배열 장치(3)를 외피(5)의 기단측으로부터 외피(5)의 관통 루멘(51) 내부로 점진적으로 삽입하여 배열 장치(3)의 커넥터(121) 및 외피(5)의 허브(52)를 서로 끼워 맞춘다. 이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튜브(6)의 말 단부가 외피(5)의 말단부로부터 돌출하고, 클립(4)의 시일부(41)가 돌출되어 혈관 내에 삽입되는 결과를 낳는다. 또한, 노-플러시 챔버(25)의 혈액 유입 포트(251)는 외피(5)의 허브(52)의 지혈 밸브를 통해 외피(5) 내부로 삽입되어, 혈액 유입 포트(251)의 루멘(253) 및 외피(5)의 관통 루멘(51)은 서로 연통되게 된다.
또한,배열 장치(3)의 커넥터(121)와 외피(5)의 허브(52)를 서로 끼워 맞출 때, 외피(5)의 허브(52)는 배열 장치(3)의 장전 부재(21)의 말단부에 대해 압박되고, 장전 부재(21)는 기단 방향으로 밀려진다. 이에 의해,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전 부재(21)는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고, 코일 스프링(22)은 장전 부재(21)와 실 지지부(15) 사이에 끼워지면서 점진적으로 수축(변형, 활성화, 장전)된다.
이어서,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전 부재(21)의 오목부(213)가 핀(19)의 아래쪽에 위치될 때까지 장전 부재(21)가 이동되면, 핀(19)은 코일 스프링(24)의 복원력(탄성력)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된다. 즉, 핀(19)은 케이싱(11)의 구멍부(113)로부터 빠져서, 장전 부재(21)의 오목부(213) 내로 삽입된다.
그 결과로서, 케이싱(11)은 고정 튜브 지지부(12)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또한, 장전 부재(21)는 고정 튜브 지지부(12)에 대하여 이동 불능이 된다. 구체적으로, 장전 부재(21)와 고정 튜브 지지부(12) 사이의 위치 관계는 고정된다. 반면에,실 지지부(15)는 한 쌍의 핀(18)에 의해 고정 튜브 지지부(12)에 대한 기단 방향으로의 이동이 로크됨으로써, 코일 스프링(22)은 수축 상태(변형 상태, 활성 상태)로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핀(18)은 실 지지부(15)를 로크하여 실 지지부(15)와 고정 튜브 지지부(12)가 서로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즉, 클립(4)과 고정 튜브(7)가 서로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 코일 스프링(22)은 변형 상태(활성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실 지지부(15)는 코일 스프링(24)의 복원력에 의해 기단 방향으로 바이어스(밀림)되어서, 실 지지부(15)와 고정 튜브 지지부(12) 사이의 위치 관계는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를 내부 구조물인 고정 튜브 지지부(12) 및 실 지지부(15)가 케이싱(11) 내측의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인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취급부(9)의 케이싱(11)이 손가락에 의해 파지되고, 취급부(9), 즉, 본체부[2, 배열 장치(3)]가 일방향, 즉, 상처 구멍으로부터 당겨져서 빠져나오는 방향(기단 방향)으로 천천히 이동됨으로써, 본체부(2)는 상처 구멍으로부터 당겨 나오게 된다. 이에 의해, 모든 조작(동작)이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행해짐으로써, 상처 구멍은 클립(4)으로 폐쇄되고, 클립(4)은 생체 내에 배치(내재)된다. 지금부터, 이러한 경우의 과정 및 작동이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먼저,도13 및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급부(9)의 케이싱(11)은 손가락에 의해 파지되고, 취급부[9, 케이싱(11)]는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고,상처 구멍 및 상처 구멍의 주연부가 혈관 벽의 내측으로부터 클립(4)의 시일부(41)로 덮여지는 경우[시일부(41)가 위치 설정됨], 클립(4)의 변형부(42)는 혈관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전술된 바와 같이, 케이싱(11)은 고정 튜브 지지부(12)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반면, 스프링 홀더(13)는 케이싱(11)에 대하여 말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클립(4)의 시일부(41)가 혈관 벽의 내부면(신체 피부면으 로부터 말단의 표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취급부[9, 케이싱(11)]가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면,케이싱(11)은 고정 튜브 지지부(12)에 대하여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고, 코일 스프링(23)은 확장되고, 고정 튜브 지지부(12)는 코일 스프링(23)의 복원력(탄성력)에 의해 기단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이러한 경우, 고정 튜브 지지부(12)와 실 지지부(15) 사이의 위치 관계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 지지부(15)가 코일 스프링(23)의 복원력에 의해 기단 방향으로 바이어스됨으로써[고정 튜브 지지부(12)를 통해서 기단 방향으로 바이어스됨], 클립(4)은 실(8)을 통해서 기단 방향으로 바이어스(당겨짐)된다. 이에 의해, 시일부(41)는 상처 구멍 및 주변 조직과 확실하게 접촉될 수 있다.
그밖에,시일부(41)가 상처 구멍 및 주변 조직과 확실하게 접촉하기 전에 클립(4)이 혈관 내에 약간 걸린 경우에도, 클립(4)이 코일 스프링(23)의 복원력이 미리 정한 값을 초과하는 전에 벗어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클립(4)이 상처 구멍까지 이동될 수 있어서 시일부(41)를 상처 구멍 및 주변 조직과 접촉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술된 바와 같이 케이싱(11)이 고정 튜브 지지부(12)에 대하여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면,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홀더(13)의 상하 한 쌍의 돌출부(132)의 돌기(133) 사이에 위치되고 있는 고정 튜브 지지부(12)의 돌출부(122)는 스프링 홀더(13) 및 케이싱(11)에 대하여 말단 방향으로 이동되고, 도13 및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돌출부(132)의 돌기(133)로부터 해제된다[이 때, 돌출부(122)의 돌기(126)는 돌기(119)를 타고 넘음). 돌출부(122)가 한 쌍의 돌출부(132)의 돌기(133)로부터 해제되기 직전에, 코일 스프링(23)의 바이어싱력은 미리 정한 값(허용 가능한 최대값)에 도달한다. 이어서, 돌출부(122)가 한 쌍의 돌출부(132)의 돌기(133)로부터 해제되면, 한 쌍의 돌출부(132)는 서로를 향하여 변형됨(휨)이 가능하게 되고,코일 스프링(23)의 바이어싱력은 돌출부(132)의 돌기(133)가 케이싱(11)의 돌기(114)를 타고 넘게 하고, 스프링 홀더(13)는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에 대하여 말단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코일 스프링(23)의 바이어싱력은 감소되거나 사라진다. 한편,스프링 홀더(13)의 각 돌기(134)가 케이싱(11)의 돌기(114)와 결합됨으로써, 스프링 홀더(13)는 케이싱(11)에 대하여 말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클립(4)을 통해 코일 스프링(23)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기단측으로 당겨지던 혈관벽에 가해지는 장력이 저하되어, 클립(4)으로 상처 구멍을 폐쇄하는데 적합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를 내부 구조물인 고정 튜브 지지부(12) 및 실 지지부(15)가 케이싱(11) 내측의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인 것으로 한다.
스프링 홀더(13)가 케이싱(11)에 대하여 말단 방향으로 이동된 후, 코일 스프링(22)을 수축 상태(변형 상태, 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규제의 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코일 스프링(22)을 수축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규제의 해제는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 튜브 지지부(12)에 대한 케이싱(11)의 이동량[코일 스프링(23)의 신장량], 즉, 코일 스프링(23)의 바이어싱력이 소정의 임계값(미리 정한 값)을 초과하게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코일 스프링(23)의 바이어싱력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면, 전술된 바와 같이 스프링 홀더(13)가 말단 방향으로 이 동함으로써, 바이어싱력은 감소되거나 사라진다.
그밖에,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튜브 지지부(12)의 돌출부(122)의 돌기(126)가 케이싱(11)의 상부의 내부면 상에 형성된 돌기[119, 도1의 (b) 참조]와 접촉하는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접촉 중인 부분 사이의 마찰(마찰 저항)에 기인하여, 취급부[9, 케이싱(11)]를 기단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당김 저항)은 급격하게 최대까지 증가 된다. 이는 시술자가 돌출부(122)가 한 쌍의 돌출부(132)의 돌기(133)로부터 막 해제되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또한,시술자는 이때에 혈액이 노-플러시 챔버(25)의 혈액 유출 포트(252)로부터 유출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시일부(41)가 상처 구멍 및 주변 조직에 접촉(표면 접촉)하고 시일부(41)의 위치 설정이 완료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케이싱(11)이 고정 튜브 지지부(12)에 대하여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었기 때문에, 혈액 유출 포트(252)의 개구(255)는 케이싱(11)의 단부면(115)으로부터 이격되어 개방된다. 예를 들어, 클립(4)이 혈관 내측에서 걸리게(고착) 되는 경우, 외피(5)의 말단이 혈관 내측에 위치되어서, 혈액은 외피(5)의 말단으로부터 유입하여, 외피(5)의 내주연면과 커버 튜브(6)의 외주연면에 의해 정의(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흐르고, 노-플러시 챔버(25)의 혈액 유입 포트(251)의 루멘(253)과 혈액 유출 포트(252)의 루멘(254)을 통해 흘러서, 개구(255)를 통해 유출한다. 시일부(41)가 상처 구멍 및 주변 조직에 접촉하는 경우, 외피(5)의 말단은 혈관의 외측에 위치되어서, 혈액은 혈액 유출 포트(252)로부터 유출되지 않게 된다.
이어서, 클립(4)의 시일부(41)가 혈관 벽의 내부면에 접촉한 상태 하에서, 취급부[(9, 케이싱(11)]가 기단 방향으로 추가로 이동되는 경우,케이싱(11)이 고정 튜브 지지부(12)에 대하여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고, 코일 스프링(23)이 다시 신장되어서,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클립(4)은 실(8)을 통해서 코일 스프링(23)의 복원력에 의해 기단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그 결과, 클립(4)은 상처 구멍을 폐쇄하기에 더 적합한 상태가 된다.
또한,케이싱(11)은 고정 튜브 지지부(12)에 대하여 기단 방향으로 이동하고, 케이싱(11)의 한 쌍의 계단부(116) 및 커버 튜브 지지부(14)의 한 쌍의 돌출부(142)는 서로 결합되고, 커버 튜브 지지부(14)는 케이싱(11)과 함께 고정 튜브 지지부(12)에 대하여 기단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커버 튜브(6)가 커버 튜브 지지부(14)와 함께 클립의 변형부(42)에 대하여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고, 변형부(42)가 커버 튜브(6)의 말단부로부터 해제되어서, 결과적으로 변형부(42)는 변형될 수 있게 된다.
부수적으로,커버 튜브(6)의 말단부로부터 변형부(42)의 해제 작동 및 케이싱(11)에 대해 말단 방향으로의 스프링 홀더(13)의 이동 작동은 시간적으로 반대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고,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클립(4)의 시일부(41)가 혈관 벽의 내부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취급부[9, 케이싱(11)]가 기단 방향으로 추가로 이동되는 경우,케이싱(11)은 고정 튜브 지지부(12)에 대하여 기단 방향으로 더 이동된다.
이어서, 케이싱(11)이 소정 위치, 즉 한 쌍의 핀(18)이 케이싱(11)의 한 쌍 의 구멍부(112)에 위치될 때까지 고정 튜브 지지부(12)에 대하여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핀(18)은 고정 튜브 지지부(12)의 구멍부(124)로부터 빠지는 것이 가능해지고,코일 스프링(22)의 복원력에 의해 기단 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는 실 지지부(15)로부터 측방향 힘을 수용함으로써 측방으로 이동되어서, 핀(18)은 구멍부(124)로부터 빠져나오고, 구멍부(112) 내부로 배출(수납)된다. 이러한 상태를 내부 구조물인 고정 튜브 지지부(12)가 케이싱(11) 내 제3 위치에 배치된 상태인 것으로 한다.
그 결과, 한 쌍의 핀(18)에 의한 실 지지부(15)의 로크가 해제되어, 실 지지부(15)는 고정 튜브 지지부(12)에 대하여 기단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즉, 한 쌍의 핀(18)에 의한 실 지지부(15)의 로크를 해제하는 것에 의해, 실 지지부(15) 및 고정 튜브 지지부(12)의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클립(4)과 고정 튜브(7)의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코일 스프링(22)을 변형 상태(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규제가 해제된다.
이에 의해,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 지지부(15)는 코일 스프링(22)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 튜브 지지부(12)에 대하여 기단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한 쌍의 핀(18) 및 케이싱(11)의 한 쌍의 구멍부(112)는 코일 스프링(22)을 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규제를 해제함으로써 코일 스프링(22)을 작동시키는 트리거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실 지지부(15)를 로크하는 한 쌍의 핀(18)을 측방향으로(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동(트리거 작동)은 취급부(9)를 기단측으로 당겨 빼내는(이동시키는) 시술자의 시술 및 코일 스프링(22)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자동 적으로 수행된다.
실 지지부(15)가 고정 튜브 지지부(12)에 대하여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면, 도21 및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8)이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고, 클립(4)의 실(46)이 실(8)에 의해 기단 방향으로 당겨져서, 클립(4)의 실(46)의 매듭(461)이 고정 튜브(7)의 말단부(71)에 로크되고, 또한 변형부(42)가 매듭(461)을 통해 로크(간접적으로 로크)됨으로써, 매듭(461)은 말단 방향으로 이동되고, 실(46)은 조여지며, 변형부(42)는 변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정 튜브 지지부(12, 내부 구조물)가 케이싱(11) 내측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클립(4)이 미리 정해진 장력에 도달되거나 초과되는 경우에도 벗어나지 않을 만큼 생체내 조직에 확실하게 끼워지게 되어서, 작동 부재(제1 탄성 부재)인 코일 스프링(22)은 트리거될 수 있다. 또한, 고정 튜브 지지부(12, 내부 구조물)가 케이싱(11) 내측의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트리거 수단의 트리거(규제부의 해제)가 실행됨으로써, 고정 튜브 지지부(12) 및 실 지지부(15)는 서로에 대해 이동되고, 변형부(42)는 변형된다. 이러한 작동은 클립(4)이 생체내 조직에 고정된 상태에서 케이싱(11)을 당겨 빼내는 작동만으로 전부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그 결과, 변형부(42)가 혈관 벽의 외측으로부터 상처 구멍 및 상처 구멍의 주연부를 덮고, 시일부(41)가 혈관 벽의 내측으로부터 상처 구멍 및 상처 구멍의 주연부를 덮고, 혈관 벽이 시일부(41)와 변형부(42)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상처 구멍은 폐쇄된다. 이어서, 변형부(42)가 전술된 형태에 놓여지는 상태가 실(46)에 의해 유지(고정)된다.
그밖에,한 쌍의 핀(18)에 의한 실 지지부(15)의 로크가 해제[코일 스프링(22)을 변형 상태로 유지하는 규제가 해제]된 후, 즉 클립(4)의 변형부(42)의 변형이 완료된 후,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4)의 시일부(41)가 혈관 벽의 내측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취급부[9, 케이싱(11)]가 기단 방향으로 추가로 이동되는 경우,케이싱(11)은 고정 튜브 지지부(12)에 대하여 기단 방향으로 더 이동되고, 커버 튜브 지지부(14)는 케이싱(11)과 함께 고정 튜브 지지부(12) 및 실 지지부(15)에 대하여 기단 방향으로 더 이동된다.
이어서,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튜브 지지부(14)의 돌기(141)가 리프터(16)의 돌기(161) 위치까지 이동되면, 돌기(161)가 돌기(141)에 의해 상향으로 밀리고 리프터(16)가 상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핀(17)은 상향[실 지지부(15)로부터 빠져 나오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핀(17)에 의한 실(8)과 실 지지부(15) 사이의 연결이 해제됨으로써, 실(8)과 클립(4)의 실(46) 사이의 연결은 해제 된다[실(8)에 의한 클립(4)의 유지 상태가 해제된다]. 실(8)의 절곡부(81)가 핀(17)으로부터 빠져 나와서, 그 결과 실(8)은 클립(4)의 실(46)의 루프(462)로부터 당겨 나오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해제 수단 및 유지 상태 해제 수단은 리프터(16), 돌기(161) 및 돌기(141)로 구성된다.
이어서, 취급부[9, 케이싱(11)]가 기단 방향으로 추가로 이동되고 본체부(2)가 당겨 제거되면, 클립(4)은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 내에 배치(내재)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조직 폐쇄 장치(1)에 따르면, 취급부[9, 케이싱(11)]를 기단 방향(일방향)으로 단순히 이동시키는 작동에 의해, 모든 작동(동작)은 사용자의 조작이 필요 없이 행해지고, 상처 구멍은 클립(4)에 의해 폐쇄되고, 클립(4)은 생체 내에 배치(내재)될 수 있다. 따라서, 조직 폐쇄 장치(1)는 한손만으로도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고,혈관 벽과 같은 생체내 조직막에 형성된 상처 구멍에 대한 지혈 작업은 용이하면서도 신속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상처 구멍은 용이하면서도 신속 확실하게 폐쇄될 수 있고, 완전한 지혈이 달성될 수 있다.
특히, 클립(4)의 변형부(42)가 코일 스프링(22)의 복원력에 의해 변형되기 때문에, 시술자에 의한 클립(4)의 변형부(42)의 수동 변형 조작이 제거될 수 있으므로, 상처 구멍을 지극히 용이하면서도 신속 확실하게 폐쇄할 수 있다.
또한,클립(4)의 변형부(42)가 제1 형태와 제2 형태 사이의 원하는 형태인 상태에서, 실(46)에 의해 그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생체내 조직막의 상태(상황)에 대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2 실시예>
지금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직 폐쇄 장치의 제2 실시예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2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직 폐쇄 장치의 제2 실시예(로크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7은 도26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에 있어서 취급부의 말단측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2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직 폐쇄 장치의 제2 실시예(로크 해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9는 도28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에 있어서 취급부의 말단측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다.
부수적으로, 설명의 편의상, 이어지는 설명에 있어서, 도26 내지 도29 중 화살표(A)의 방향을 "말단"으로, 화살표(B)의 방향(손 측)을 "기단"으로, 화살표(C)의 방향을 "상향"으로, 그리고 화살표(D)의 방향을 "하향"으로 칭할 것이다.
지금부터,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직 폐쇄 장치(1)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며, 그 설명은 전술된 제1 실시예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앞선 사항과 동일한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직 폐쇄 장치(1)에 있어서,고정 튜브 지지부(12)와 케이싱(11)의 상대적인 이동이 방지되는 상태(로크 상태)와 고정 튜브 지지부(12)와 케이싱(11)의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크 해제 상태) 사이를 절환하기 위한 조작부(조작 부재)로서, 레버(26, 손잡이)가 취급부(9)의 말단부에 제공된다.
도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연부에 나사(271)가 제공되는 로크 핀(27)은 레버(26)의 하부에 제공된다.
또한,그 안으로 로크 핀(27)을 삽입하는 구멍부(117)는 케이싱(11)의 말단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구멍부(117)의 내주연면에는 로크 핀(27)의 나사(271)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118)가 제공된다.
그밖에,구멍부(117)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그 안에 로크 핀(27)을 삽입하는 바닥 구멍부(127)가 고정 튜브 지지부(12)의 말단부의 상부에 형성된다.
도26 및 도27에 도시된 로크 상태에 있어서,로크 핀(27)은 고정 튜브 지지 부(12)의 구멍부(127) 내에 삽입된다. 이는 고정 튜브 지지부(12)가 케이싱(11)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도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 장치(3)가 외피(5)의 기단측으로부터 외피(5)의 관통 루멘(51) 내부로 점진적으로 삽입되고 배열 장치(3)의 커넥터(121)가 외피(5)의 허브(52)에 끼워지면,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장전 부재(21)는 기단 방향으로 이동하여 코일 스프링(22)을 수축시킨다. 또한, 커넥터(121)와 허브(52) 사이의 끼움에 의해, 장전 부재(21)는 고정 튜브 지지부(12)에 대하여 로크되어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장전 부재(21) 및 고정 튜브 지지부(12) 사이의 위치 관계가 고정됨]. 이에 의해, 코일 스프링(22)은 수축 상태(변형 상태, 활성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으로, 도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6)가 전술된 로크 상태로부터 시작하여 소정 방향(도시된 예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도시된 예에서는 약 90°) 만큼 회전(회전 조작)되는 경우, 도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핀(27)은 상향으로 이동되어 고정 튜브 지지부(12)의 구멍부(127)로부터 빠져나온다. 그 결과, 케이싱(11)은 고정 튜브 지지부(12)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된다. 즉, 로크 해제 상태가 획득된다. 이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취급부(9)의 케이싱(11)이 손가락에 의해 파지되고 취급부(9), 즉 본체부[2, 배치 장치(3)]가 일방향, 즉 상처 구멍으로부터 당겨져 나오는 방향(기단 방향)으로 천천히 이동되고 이에 의해 본체부(2)를 상처 구멍으로부터 당겨 빼내게 되면, 모든 조작(동작)이 순차적으로 연속해서 행해지게 되어, 클립(4)이 상처 구멍을 폐쇄하고 클립(4) 이 생체 내에 배치(내재)되게 된다.
부수적으로,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6)가 전술된 로크 해제 상태로부터 시작하여 앞에서와는 반대 방향(도시 예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도시 예에서는 약 90°)만큼 회전되면,도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핀(27)은 하향으로 이동되어 고정 튜브 지지부(12)의 구멍부(127) 내부로 삽입된다. 이에 대한 결과로서, 고정 튜브 지지부(12)는 케이싱(11)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즉, 로크 상태가 다시 획득된다.
본 조직 폐쇄 장치(1)에 따르면, 전술된 제1 실시예에서의 조직 폐쇄 장치(1)의 것과 동일한 효과가 획득될 수 있다.
본 조직 폐쇄 장치(1)에 있어서,로크 상태와 로크 해제 상태 사이의 절환은 사용자의 결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서, 장치가 실수로 작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3 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조직 폐쇄 장치의 제3 실시예가 이후 설명될 것이다.
도30은 본 발명에 따른 조직 폐쇄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1은 도30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확대 사시도[부재(구성 부품) 도시]이고, 도32의 (a) 및 도32의 (b)는 도30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 내의 실 지지부, 핀 및 실을 도시하고, 도32의 (a)는 사시도이고, 도32의 (b)는 개략 평면도이다. 그밖에, 도32의 (a) 내지 도39의 (b)는 도30에 도시된 조직 폐쇄 장치의 작동(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각 도면에서 도32의 (a), 도33의 (a), 도34의 (a), 도35의 (a), 도36의 (a), 도37의 (a), 도38의 (a) 및 도39의 (a)는 취급부 측을 도시하고, 도32의 (b), 도33의 (b), 도34의 (b), 도35의 (b), 도36의 (b), 도37의 (b), 도38의 (b) 및 도39의 (b)는 말단부 측을 도시한다.
부수적으로, 도30 및 도33의 (a) 내지 도39의 (a)에 있어서,케이싱의 상부 커버는 내부 구조를 표시하기 위해 도시가 생략된다. 한쪽[화살표(F)측] 레일에 대해서는, 그 내부가 도시된다.
또한, 도30에서는 파선의 원에 의해 둘러싸인 커버 튜브의 내측 및 고정 튜브의 내측이 확대 도시된다.
그밖에,도33의 (a) 내지 도39의 (a)에서는 도면이 복잡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그 일부를 제외하여, 실이 도시 생략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30 내지 도39의 (b)에 있어서, 화살표(A)의 방향을 "말단(측)"으로, 화살표(B)의 방향(손 조작측)을 "기단(측)"으로, 화살표(C)의 방향을 "상향(측)"으로, 그리고 화살표(D)의 방향을 "하향(측)"으로 칭할 것이다.
지금부터, 제3 실시예에 따른 조직 폐쇄 장치(1)가 전술된 제1 실시예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될 것이고, 앞서와 동일한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30 및 도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조직 폐쇄 장치(1)에 있어서,배열 장치(3)의 취급부(9)는 케이싱(11, 주요 본체), 커버 튜브(6)를 지지하는 커버 튜브 지지부(14, 커버 부재 지지부), 실(8)을 지지하는 실 지지부(15, 유지 부재 지지부), 실 지지부(15)에 턴(turn) 가능하게 배치되고 실(8)을 실 지지 부(15)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핀(170, 연결 수단), 제1 장전 부재(32), 제2 장전 부재(33), 실 지지부(15)와 제2 장전 부재(33)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슬라이드 연결 부재(34, 연결 수단), 탄성 부재(작동 부재)인 한 쌍의 코일 스프링(22, 스프링), 한 쌍의 가이드 바아(37), 레버(28, 손잡이), 레버(28)의 하측에 접합되는 로크부(29) 및 정지부(35)를 가진다.
여기서, 제3 실시예의 조직 폐쇄 장치(1)는 고정 튜브 지지부(12, 로크 부재 지지부)를 가지지 않는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2 장전 부재(33) 및 슬라이드 연결 부재(34)가 고정 튜브 지지부(로크 수단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이는 구조를 간단하게 한다.
또한,코일 스프링(33, 제2 탄성 부재)은 제공되지 않는다. 대신에, 정지부(35)가 제공된다.
그밖에,제1 장전 부재(32) 및 제2 장전 부재(33)는 장전 수단을 구성한다.
또한,한 쌍의 코일 스프링(22)은 청구 범위에 있어서 제1 탄성 부재(작동 부재)에 대응한다.
지금부터, 구성 요소가 순서대로 설명될 것이다.
케이싱(11)은 상부 측에 위치되는 상부 커버(11a) 및 하부 측에 위치되고 상부 커버(11a)에 접합되는 하부 커버(11b)를 가진다. 케이싱(11)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 관형(각이진 통형) 외관을 가지고, 그 기단측이 둥글다.
케이싱(11)의 말단부에는, 외피(5)의 허브(52)가 장착(끼워 맞춤)되는 커넥터(31)가 외피(5)를 배열 장치[3, 케이싱(11)]에 장착하는 외피 장착 기구로서 제 공된다. 커넥터(31)는 그 안에 허브(52)가 삽입되는 내부 튜브부(311) 및 주연 방향으로 턴 가능(회전 가능)하도록 내부 튜브부(311)의 외주연에 배치되는 외부 튜브부(312)로 구성된다.
내부 튜브부(311)의 주연 벽에는 말단으로 개방하는 직선의 슬롯(313)이 제공되고, 외부 튜브부(312)의 주연 벽에는 말단으로 개방하는 나선형 슬롯(314)이 제공된다. 외부 튜브부(312)는 외부 튜브부(312) 내의 슬롯(314)의 말단부가 내부 튜브부(311)의 슬롯(313)의 말단부와 일치할 때까지 내부 튜브부(311)에 대하여 소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외부 튜브부(312)는 슬롯(314)의 기단부가 슬롯(313)의 기단부와 일치할 때까지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외부 튜브부(312)의 외주연면 상에는, 외피(5)를 장착하는 조작 시에 손가락 후크부로서 기능하는 복수(도시예에서는 4개)의 리브(315)가 등간격(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한편,외피(5)의 허브(52)의 측부에는, 관통 루멘(51)과 연통하는 루멘(유로)을 가지는 포트부(53, 돌기)가 형성된다.
외피(5)를 배열 장치(3)에 장착할 때, 내부 튜브부(311) 내의 슬롯(313)의 말단부의 위치가 외부 튜브부(312)의 슬롯(314)의 말단부의 위치와 일치한 상태에서, 허브(52)의 기단부는 외피(5)의 허브(52)의 포트부(53)가 내부 튜브부(311) 내의 슬롯(313)의 말단부 및 외부 튜브부(312) 내의 슬롯(314)의 말단부에 위치되도록 내부 튜브부(311) 내부로 삽입되고, 외부 튜브부(312)는 소정 방향(도시예에서는 말단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 해, 포트부(53)는 외부 튜브부(312)의 슬롯(314)에 면하는 에지부에 의해 기단 방향 측을 향해 밀려서, 내부 튜브부(311) 내의 슬롯(313)을 따라 기단 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이동된다. 간단히 말해, 외피(5)의 허브(52)는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내부 튜브부(311) 내에 삽입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외피(5)는 배열 장치(3) 상에 장착된다.
또한,케이싱(11)의 중심부이며 상부 커버(11a)의 내측 및 하부 커버(11b)의 내측에는, 후술될 제1 장전 부재(32)에 대응하는 막대형 요소(322)의 기단부(325)가 그 안에 삽입되는 홈(91)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열 장치[3, 케이싱(11)]의 종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밖에,케이싱(11)의 기단부이며 하부 커버(11b)의 내측에는, 리브(92)가 배열 장치[3, 케이싱(11)]의 종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계단부(921)가 리브(92)의 말단부의 말단측에 형성된다.
또한,케이싱(11)의 말단부이며 하부 커버(11b)의 내측에는, 한 쌍의 돌기(93)가 형성된다. 후술될 제1 장전 부재(32)의 기부(321)의 기단부가 한 쌍의 돌기(93)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제1 장전 부재(32)는 돌기(93)를 넘어 기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밖에,케이싱(11) 내측의 중심부에는 가이드 바아 지지부(38)가 제공(고정)되고, 케이싱(11) 내측의 기단부에는 가이드 바아 지지부(39)가 제공(고정)된다.
한 쌍의 가이드 바아(37)는 가이드 바아 지지부(38)와 가이드 바아 지지 부(39) 사이에 배치된다. 가이드 바아(37)에 있어서, 말단부는 가이드 바아 지지부(38)에 의해 유지(지지)되고, 기단부는 가이드 바아 지지부(39)에 의해 유지(지지)된다. 그밖에, 가이드 바아(37)는 배열 장치[3, 케이싱(11)]의 종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이들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된다.
부수적으로,도시예에서는 가이드 바아(37)가 각각 파이프(파이프 부재)로 구성되지만, 이러한 구성에 제한되지 않으며 속이 비지않을 수도 있다.
또한,케이싱(11) 내의 측부에는, 한 쌍의 레일(36)이 가이드 바아 지지부(38)로부터 가이드 바아 지지부(39)에 이르는 영역에 걸쳐 제공(고정)된다. 레일(36)은 배열 장치[3, 케이싱(11)]의 종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이들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된다.
각각의 레일(36)에는 그 종방향(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홈(361)이 제공된다. 홈(361)은 서로 대향하도록 레일(36)의 내측에 형성된다.
또한,레일(36)의 홈(361)에는 그 바닥부(측벽)에 한 쌍의 코일 스프링(22, 후술됨)이 작동(복원)할 때 슬라이드 연결 부재(34, 후술됨)에 대응하는 막대형 요소(342)의 기단부(347)가 삽입되는 구멍부(362)가 제공된다. 각각의 구멍부(362)는 레일(36)의 중심부 부근에 위치된다.
그밖에,제1 장전 부재(32), 제2 장전 부재(33), 가이드 바아 지지부(38), 슬라이드 연결 부재(34) 및 실 지지부(15)는 케이싱(11)에 대하여 배열 장치[3, 케이싱(11)]의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케이싱(11)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 제1 장전 부재(32), 제2 장전 부재(33), 슬라이드 연결 부 재(34) 및 실 지지부(15)는 말단측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배치된다. 제2 장전 부재(33)는 가이드 바아 지지부(38)가 그 말단부와 기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또한,커버 튜브 지지부(14)는 가이드 바아 지지부(38)와 제2 장전 부재(33)의 기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그밖에,제1 장전 부재(32)의 기부(321)는 커넥터(31)에 비해 말단측에 위치된다.
슬라이드 연결 부재(34)는 기부(341) 및 기부(341)의 양 측부로부터 기단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막대형 요소(342)로 구성된다.
막대형 요소(342)의 기단부(347) 상에는, 서로 대면하고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갈고리(343)가 직립으로 제공된다.
또한,기부(341)에는 이를 통해 한 쌍의 가이드 바아(37)를 통과시키는 구멍부(344)가 제공된다.
그밖에, 기부(341)에는 그 중심부에 이를 통해 실(8)을 통과시키는 구멍부(345)가 제공된다.
또한,기부(341)에는 로크부(29)의 돌출부(291)에 로크되도록 상향으로 돌출하는 돌기(346)가 제공된다.
도30 내지 도3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 지지부(15)의 말단부의 양 측부에는, 슬라이드 연결 부재(34)의 대응하는 갈고리(343)와 결합하는 돌기(155)가 형성된다.
또한,실 지지부(15)에는 그 말단부에 비해 기단측에 상향 및 기단으로 개방되는 오목부(150)가 제공된다.
그밖에,실 지지부(15)에는 그 말단부에 이를 통해 실(8)을 통과시키는 한 쌍의 구멍부(156)가 제공된다. 또한, 실 지지부(15)의 말단부에는 한 쌍의 구멍부(156) 사이에 이를 통해 실(8)을 통과시키는 구멍부(157)가 제공된다.
또한,실 지지부(15)의 말단부에는 이를 통해 한 쌍의 가이드 바아(37)를 통과시키는 한 쌍의 구멍부(158)가 제공된다.
핀(170)은 기부(171) 및 기부(171)의 중심부에 직립으로 제공되는 돌기(172)로 구성된다.
핀(170)은 그 기부(171)에 있어서 실 지지부(15)에 대하여 턴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돌기[172, 핀(170)]가 직립한 직립 상태 및 돌기[172, 핀(170)]가 넘어진 쓰러진 상태를 취할 수 있다. 핀(170)은 케이싱(11)의 리브(92)의 상부면 과의 기부(171)의 바닥면(이면)의 접촉에 의해 직립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핀(170)은 실 지지부(15)의 오목부(150) 내에 배치된다.
정지부(35)는 말단측에 간극이 형성되는(말단측이 개방됨) C자형 정지부 본체(351) 및 정지부 본체(351)를 지지하는 지지부(352)로 구성되고, 지지부(352)는 가이드 바아 지지부(39) 상에 배치(고정)된다. 핀(170)의 돌기(172)는 정지부(35)의 정지부 본체(351) 내부로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은 실 지지부(15)가 정지부(35)에 의해 핀(170)을 통해 유지(로크)됨으로써 실 지지부(15)가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핀(170) 및 실 지지부(15)는 정지부(35)에 의해 케이 싱(11)에 대하여 말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정지부(35) 중 적어도 정지부 본체(351)는 적절한 경도를 가지고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정지부 본체(351)의 말단측의 간극의 길이(간극 거리)는 핀(170)의 돌기(172)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된다.
앞선 구성은 실(8)을 통해서 실 지지부[15, 핀(170)]에 가해지는 힘, 즉 실 지지부(15)가 실(8)을 통해서 말단 방향으로 당겨지는 힘(당김력)이 소정 임계값(미리 정한 값)을 초과할 때까지는 실 지지부(15)가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그러나, 힘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핀(170)의 돌기(172)가 정지부 본체(351)의 간극으로부터 빠짐으로써, 실 지지부(15)가 케이싱(11)에 대하여 말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후술되는 바와 같이, 실 지지부[15: 실 지지부(15), 슬라이드 연결 부재(34) 및 제2 장전 부재(33)]가 말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됨으로써, 코일 스프링(22)을 수축 상태(변형 상태, 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규제의 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코일 스프링(22)을 수축 상태로 유지하는 규제의 해제는 실 지지부(15)에 가해지는 힘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조건에서 가능하게 된다.
임계값은 약 150 내지 15,000 gf가 바람직하며, 약 200 내지 1,000 gf가 더 바람직하다.
이는 클립(4)의 시일부(41)가 상처 구멍 및 주변 조직에 확실하게 접촉하게 되기 이전에 클립(4)이 혈관 등의 내측에서 다소 걸린 경우에도, 핀(170)이 정지부(35)로부터 미끄러져 나오기(로크 해제됨) 이전에 클립(4)이 해제되는 것이 기대 될 수 있으므로, 클립(4)은 상처 구멍까지 이동될 수 있고 시일부(41)는 상처 구멍 및 주변 조직과 접촉하게 될 수 있다. 또한, 클립(4)에 의해 상처 구멍 및 주변 조직이 기단 방향에 과도하게 당겨지기 이전에, 핀(170)이 정지부(35)로부터 미끄러져 나오는(로크 해제됨) 것이 기대될 수 있다. 따라서, 시일부(41)는 안전하고 확실하게 상처 구멍 및 주변 조직에 접촉하게 될 수 있다.
실(8)은 실(실형 부재)이 절첩되어 그 일단부가 절곡부(81)가 되는 이중 실(이중 실형 부재)로 구성된다. 또한, 실(8)은 1개의 실 상태에서 실 지지부(15) 내의 구멍부(156)를 통해 통과되고 이어서 실 지지부(15)의 말단부에 1회 둘러 감겨진다. 이후, 실(8)의 양단부는 실 지지부(15)에 부착되기 이전에 서로 묶이게 된다.
실(8)은 클립[4, 클립(4)의 실(46)의 루프 (462)]을 통해 통과되고, 배열 장치(3)의 말단부에서 절첩되어 클립(4)을 유지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실(8)은 실 지지부(15)의 구멍부(157)를 통해 통과된다. 또한, 실(8)의 절곡부(81)는 핀(170)의 돌기(172)에 걸려서, 결과적으로 절곡부(81)는 핀(170)에 의해 실 지지부(15)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실(8)의 타단부[절곡부(81) 반대측의 단부]는 실 지지부(15)에 부착된다.
제2 장전 부재(33)는 대략 4각 기둥(직방체)의 전체 외형을 가지는 바구니형(프레임형) 형태이다.
제2 장전 부재(33)에는 그 말단부에 이를 통해 커버 튜브(6)를 통과시키는 구멍부(331)가 제공된다.
또한,제2 장전 부재(33)에는 그 기단부에 이를 통해 한 쌍의 가이드 바아(37)를 통과시키는 한 쌍의 구멍부(333)가 제공된다. 또한, 이를 통해 고정 튜브(7)를 통과시키는 구멍부(332)는 제2 장전 부재(33)의 기단부에 있어서 한 쌍의 구멍부(333) 사이에 형성된다.
그밖에,제2 장전 부재(33)의 기단부에는, 기단부의 상부 및 하부로부터 기단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334)가 직립으로 제공된다. 돌출부(334)의 기단부에는, 서로 대면하고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갈고리(335)가 직립으로 제공된다. 한 쌍의 갈고리(335)는 슬라이드 연결 부재(34)의 기부(341)에 결합된다.
또한,제2 장전 부재(33)의 말단부에는 그 상부 및 하부에 한 쌍의 오목부(336)가 제공된다.
제1 장전 부재(32)는 기부(321) 및 기부(321)의 기단부의 상부 및 하부로부터 기단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막대형 요소(322)로 구성된다.
막대형 요소(322)의 기단부(325)에는 서로 대면하고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323)가 직립으로 제공된다. 한 쌍의 돌출부(323)는 제2 장전 부재(33)의 말단부에서 한 쌍의 오목부(336)와 결합된다.
또한,제1 장전 부재(32)의 기부(321)에는 그 중심부에 이를 통해 커버 튜브(6)를 통과시키는 구멍부(324)가 제공된다.
커버 튜브 지지부(14)에는 이를 통해 한 쌍의 가이드 바아(37)를 통과시키는 한 쌍의 구멍부(143)가 제공되고, 커버 튜브(6)의 기단부는 커버 튜브 지지부(14)에 있어서 한 쌍의 구멍부(143) 사이에 고정(지지)된다.
그밖에,커버 튜브(6) 내에 삽입되는 고정 튜브(7)의 기단부는 제2 장전 부재(33)의 기단부와 슬라이드 연결 부재(34)의 기부(341) 사이에 위치된다.
고정 튜브(7)의 기단부의 외경은 제2 장전 부재(33)의 기단부에 있어서 구멍부(332)의 내경 및 슬라이드 연결 부재(34)의 기부(341)에 있어서 구멍부(345)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된다. 이는 고정 튜브(7)의 기단부가 제2 장전 부재(33)의 구멍부(332) 및 슬라이드 연결 부재(34)의 구멍부(345)로부터 미끄러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 결과, 제2 장전 부재(33)의 한 쌍의 갈고리(335)가 슬라이드 연결 부재(34)의 기부(341)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 튜브(7)의 기단부가 제2 장전 부재(33)의 기단부와 슬라이드 연결 부재(34)의 기부(341) 사이에 유지됨으로써, 고정 튜브(7)는 제2 장전 부재(33) 및 슬라이드 연결 부재(34)에 의해 지지(대략 고정)된다. 따라서, 제2 장전 부재(33) 및 슬라이드 연결 부재(34)는 고정 튜브(7)를 지지하는 고정 튜브 지지부(로크 부재 지지부)를 구성한다.
한 쌍의 가이드 바아(37)는 제2 장전 부재(33) 내의 한 쌍의 구멍부(333), 커버 튜브 지지부(14) 내의 한 쌍의 구멍부(143), 슬라이드 연결 부재(34) 내의 한 쌍의 구멍부(344) 및 실 지지부(15) 내의 한 쌍의 구멍부(158)를 통해 통과된다. 또한, 커버 튜브 지지부(14)의 양측부 및 슬라이드 연결 부재(34)의 한 쌍의 막대형 요소(342)는 한 쌍의 레일(36) 내의 홈(361) 안으로 삽입된다.
이는 제2 장전 부재(33) 및 실 지지부(15)가 가이드 바아(37)에 의해 가이드 바아(37)의 종방향(축 방향)을 따라 안내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커버 튜브 지지부(14) 및 슬라이드 연결 부재(34)는 가이드 바아(37) 및 레일(36)에 의해 가이드 바아(37) 및 레일(36)의 종 방향(축 방향)을 따라 안내된다.
여기서, 도30에 도시된 초기 상태(조립시 상태)에 있어서, 제1 장전 부재(32)의 한 쌍의 돌출부(323)는 제2 장전 부재(33)의 말단부에 있어서의 한 쌍의 오목부(336)와 결합된다. 이는 제1 장전 부재(32) 및 제2 장전 부재(33)가 일체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보장한다.
그밖에,초기 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드 연결 부재(34)의 한 쌍의 갈고리(343)는 실 지지부(15)의 말단부 상의 한 쌍의 돌기(155)와 결합된다. 이는 슬라이드 연결 부재(34) 및 실 지지부(15)가 일체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보장한다. 그러나, 엄격하게는 슬라이드 연결 부재(34) 및 실 지지부(15)의 이동은 정지부(35) 및 로크부(29)에 의해 방지되고 있다.
또한,초기 상태에 있어서, 제2 장전 부재(33) 및 슬라이드 연결 부재(34)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다. 이는 제1 장전 부재(32) 및 제2 장전 부재(33)가 슬라이드 연결 부재(34) 및 실 지지부(15)와 분리되어 이동되는 것을 보장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도33 및 도34에 도시된 사용 시의 장전 상태[코일 스프링(22)이 수축 상태, 즉 활성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제2 장전 부재(33)의 한 쌍의 갈고리(335)는 슬라이드 연결 부재(34)의 기부(341)와 결합된다. 동시에, 제2 장전 부재(33)의 말단부에 있어서의 한 쌍의 오목부(336) 및 제1 장전 부재(32)의 한 쌍의 돌출부(323)는 서로 결합 해제된다. 이는 제2 장전 부재(33), 슬라이드 연결 부재(34), 실 지지부(15) 및 고정 튜브(7)가 일체적으로 이동되고, 실 지지부(15)가 고정 튜브(7)에 대하여 이동(기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클립(4), 실 지지부(15) 및 케이싱(11)을 배열 장치(3)의 종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부재는 스프링과 같이 배열 장치(3)의 종방향으로 연장 및 수축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장전 상태에 있어서, 실(8)을 통해서 실 지지부(15)에 가해지는 힘이 전술된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할 때까지는 클립(4)과 케이싱(11) 사이의 거리는 대략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밖에,한 쌍의 코일 스프링(22)은 한 쌍의 가이드 바아(37)의 외주연에 개별적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코일 스프링(22)은 슬라이드 연결 부재(34) 내의 구멍부(344)를 통해 통과되고, 제2 장전 부재(33)의 기단부와 실 지지부(15)의 말단부 사이에 위치된다. 각각의 코일 스프링(22)의 말단은 제2 장전 부재(33)의 기단부와 접촉하고, 각각의 코일 스프링(22)의 기단은 실 지지부(15)의 말단부에 접촉한다. 부수적으로,초기 상태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22)은 각각 자연 상태 또는 약간 수축한 상태이다.
레버(28)는 이에 의해 로크 상태 및 로크 해제 상태가 일 상태로부터 다른 상태로 절환되는 조작부(조작 부재)이다. 초기 상태에 있어서, 로크 상태는 케이싱(11)에 대한 슬라이드 연결 부재(34) 및 실 지지부(15)의 상대 이동이 방지되는 상태이고, 로크 해제 상태는 이러한 상대 이동이 허용되는 상태이다. 장전 상태에 있어서, 로크 상태는 케이싱(11)에 대한 제2 장전 부재(33), 슬라이드 연결 부 재(34), 실 지지부(15), 고정 튜브(7) 및 한 쌍의 코일 스프링(22)의 상대 이동이 방지되는 상태이고, 로크 해제 상태는 이러한 이동이 허용되는 상태이다.
레버(28)는 도30 및 도31에 도시된 화살표 "a" 및 "b"의 방향으로 이동(슬라이드) 가능한 방식으로 케이싱(11)의 상부 커버(11a)의 외측의 상부면 상에 배치된다.
로크부(29)는 레버(28)의 하측에 접합되어서 레버(28) 및 로크부(29)는 일체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로크부(29)는 케이싱(11)의 상부 커버(11a)의 내측에 위치된다. 또한, 로크부(29) 상에는, 하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91)가 직립으로 제공된다.
레버(28)가 도30 및 도31에 도시된 로크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로크부(29)의 돌출부(291)가 슬라이드 연결 부재(34)의 돌기(346)의 말단측에 접촉하여서, 돌기(346)가 돌출부(291)에 로크됨으로써, 슬라이드 연결 부재(34)는 말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슬라이드 연결 부재(34)가 로크부(29)에 의해 로크되어, 초기 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드 연결 부재(34) 및 실 지지부(15)가 말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장전 상태에 있어서, 제2 장전 부재(33), 슬라이드 연결 부재(34), 실 지지부(15), 고정 튜브(7) 및 코일 스프링(22)이 말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코일 스프링(22)이 작동되게 하는 작동은 방지된다.
한편, 레버(28)가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이동되면(로크 해제 위치로 위치됨), 로크부(29)의 돌출부(291)가 슬라이드 연결 부재(34)의 돌기(346)에 비해 측방 쪽[돌기(346)가 없는 위치]으로 이동(퇴피)함으로써, 돌기(346)는 돌출부(291) 로부터 로크 해제된다. 그 결과, 슬라이드 연결 부재(34)의 말단 방향으로의 이동은 실 지지부(15)가 정지부(35)에 의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상태가 해제(로크 해제)되는 조건에서 허용된다. 즉, 로크부(29)에 의한 슬라이드 연결 부재(34)의 로크는 해제된다. 장전 상태에 있어서, 제2 장전 부재(33), 슬라이드 연결 부재(34), 실 지지부(15), 고정 튜브(7) 및 코일 스프링(22)의 말단 방향으로의 이동이 실 지지부(15)가 정지부(35)에 의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상태가 해제되는 조건에서 허용됨으로써, 코일 스프링(22)이 작동하게 하는 작동이 허용된다.
부수적으로,레버(28) 및 로크부(29)는 한 쌍의 코일 스프링(22, 작동 부재)이 트리거 수단에 의해 작동되게 하는 작동이 방지되는 로크 상태와 이러한 작동이 허용되는 로크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절환하는 절환 수단을 구성한다.
지금부터, 조직 폐쇄 장치(1)를 사용하여 지혈 작업의 수행하는 과정 및 조직 폐쇄 장치(1)의 작동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3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를 이용하는 치료(PCI) 또는 진단(CAG)의 과정 후, 외피(5)가 내재되고 있어서, 외피(5)는 지혈 작업을 위해 사용된다. 외피(5)의 말단부는 상처 구멍을 통과하여 혈관 내에 삽입된다.
도30 및 도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 있어서, 레버(28)가 로크 위치에 위치되고, 로크부(29)의 돌출부(291)가 슬라이드 연결 부재(34)의 돌기(346)의 말단 측에 접촉하고, 돌기(346)가 돌출부(291)에 의해 로크됨으로써, 슬라이드 연결 부재(34)는 말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우선,도33의 (a) 및 도3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사용자)는 배 열 장치(3)를 외피(5)의 기단측으로부터 외피(5) 내의 관통 루멘(51) 내부로 점진적으로 삽입시킨다. 이어서, 커넥터(31)의 내부 튜브부(311) 내의 슬롯(313)의 말단부의 위치가 외부 튜브부(312) 내의 슬롯(314)의 말단부의 위치와 일치하는 상태에서, 외피(5)의 허브(52)는 제1 장전 부재(32)의 기부(321)에 대해 압박된다. 제1 장전 부재(32)를 기단 방향으로 밀어 움직이면서, 허브(52)의 기단부는 외피(5)의 허브(52)의 포트부(53)가 내부 튜브부(311) 내의 슬롯(313)의 말단부 및 외부 튜브부(312) 내의 슬롯(314)의 말단부에 위치하게 되도록 내부 튜브부(311) 내부로 삽입된다. 이에 대한 결과로서, 외피(5)는 배열 장치[3, 케이싱(11)]에 임시로 장착된다.
또한, 임시 장착시, 제2 장전 부재(33)가 제1 장전 부재(32)와 함께 기단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코일 스프링(22)은 제2 장전 부재(33)와 실 지지부(15) 사이에 끼워지면서 점진적으로 수축(변형, 활성화, 장전)된다. 이어서, 제2 장전 부재(33)의 한 쌍의 갈고리(335)는 슬라이드 연결 부재(34)의 기부(341)에 결합되고, 이후에 제1 장전 부재(32)의 한 쌍의 막대형 요소(322)의 기단부(325)는 케이싱(11) 내의 한 쌍의 홈(91) 내부로 삽입되고(도31 참조), 막대형 요소(322)의 기단부(325) 사이의 간격은 확대되고(도31 참조), 제2 장전 부재(33)의 말단부 내의 한 쌍의 오목부(336)와 제1 장전 부재(32)의 한 쌍의 돌출부(323) 사이의 결합은 해제된다(도31 참조).
이로 인해 제2 장전 부재(33)는 슬라이드 연결 부재(34) 및 실 지지부(15)에 대하여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고, 코일 스프링(22)은 수축 상태(변형 상태, 활성 상 태)로 유지되고, 고정 튜브(7)는 제2 장전 부재(33) 및 슬라이드 연결 부재(34)에 의해 유지(대략 고정)된다[실 지지부(15)는 고정 튜브(7)에 대하여 기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됨]. 즉, 제2 장전 부재(33), 슬라이드 연결 부재(34), 실 지지부(15), 고정 튜브(7) 및 코일 스프링(22) 사이의 위치 관계는 고정되어, 이들은 일체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장전 상태로 칭해진다.
이와 같이 임시로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클립[4, 클립(4)의 시일부(41)]은 외피(5) 내의 관통 구멍(51, 루멘) 내에 수납된다. 따라서, 외피(5)의 허브(52)의 기단부를 내부 튜브부(311) 내부로 삽입하여 장전 상태를 이룰 때, 클립(4)은 혈관 벽에 상처를 입히지 않고, 따라서 매우 양호한 안정성이 보장된다.
다음으로, 도34의 (a) 및 도3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튜브부(312)는 소정 방향(도시 예에서는 말단 측으로부터 보아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포트부(53)가 외부 튜브부(312)의 슬롯(314)과 대면하는 에지부에 의해 기단 방향으로 밀려 움직여서, 내부 튜브부(311) 내의 슬롯(313)을 따라 기단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클립(4)의 시일부(41) 및 커버 튜브(6)는 외피(5)의 말단부로부터 서서히 돌출하게 된다. 즉, 외피(5)의 허브(52)는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내부 튜브부(311) 내에 삽입 고정된다. 그밖에,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제1 장전 부재(32)는 외피(5)에 의해 밀려 움직여 기단 방향으로 이동된다. 부수적으로, 제1 장전 부재(32)의 기부(321)가 돌기(93)에 접촉하기 때문에, 제1 장전 부재(32)는 케이싱(11)의 한 쌍의 돌기(93)를 넘어 기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1 장전 부재(32) 및 제2 장전 부재(33) 사이의 결합이 이미 해제되었기 때문에, 제2 장전 부재(33)는 이동되지 않는다.
그 결과, 외피(5)는 배열 장치(3)에 장착되고, 또한 커버 튜브(6)의 말단부는 외피(5)의 말단부로부터 돌출하고, 클립(4)의 시일부(41)도 돌출되어서 혈관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외피(5)의 허브(52)가 내부 튜브부(311) 내에 삽입된 임시 장착 상태에 있어서, 클립(4)은 외피(5) 내의 관통 루멘(51) 내에 수납된다. 그밖에, 외부 튜브부(312)가 임시 장착 상태로부터 시작하여 회전하도록 조작되는 경우, 외피(5)의 허브(52)가 기단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동되어 내부 튜브부(311) 내에 삽입되어서,클립(4)의 시일부(41)는 외피(5)의 말단으로부터 혈관 벽을 향해서 급격하게 돌출하게 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외피(5)는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고 안전하게 배열 장치(3)에 장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취급부(9)의 케이싱(11)이 손가락에 의해 파지되고, 취급부(9) 또는 본체부[2, 배치 장치(3)]가 일방향, 즉 상처 구멍으로부터 당겨 빼내는 방향(기단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되고, 결과로서 상처 구멍 및 주변 부위는 클립(4)의 시일부(41)에 의해 혈관벽의 내측으로부터 덮여진다[시일부(41)의 위치 설정이 이루어짐, 도35의 (b) 참조]. 클립(4)의 변형부(42)는 혈관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상처 구멍 및 주변 부위를 시일부(41)로 덮는 작업(조작)에 있어서는, 본체부(2)를 상처 구멍으로부터 당겨 빼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시술자는 상처 구멍 및 주변 조직으로의 시일부(41)의 접촉시 저항(면접촉 저항)을 감지하여, 시술자는 시일부(41)가 상처 구멍 및 주변 조직에 접촉(면접촉)하게 되었다고 판단한 다. 따라서, 시일부(41)의 위치 설정은 완료된다.
이 경우, 클립(4), 실 지지부(15) 및 케이싱(11)을 배열 장치(3)의 종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부재는 배열 장치(3)의 종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는 스프링과 같은 부재를 포함하지 않고, 클립(4)과 케이싱(11)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시술자는 그의 손가락을 통해 직접 클립(4)의 시일부(41)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상처 구멍 및 주변 조직으로의 클립(4)의 시일부(41)의 접촉시 저항은 정확하게 감지될 수 있다.
또한,제2 장전 부재(33), 슬라이드 연결 부재(34), 실 지지부(15), 고정 튜브(7) 및 코일 스프링(22)이 로크부(29)에 의해 말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코일 스프링(22)은 시일부(41)의 위치 설정이 완료되기 이전에 작동하게 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이는 클립(4)의 시일부(41)의 위치 설정이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되는 것을 보장한다.
다음으로, 도35의 (a) 및 도3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8)는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로크 해제 위치에 위치되게 된다. 그 결과, 로크부(29)는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그 돌출부(291)는 슬라이드 연결 부재(34)의 돌기(346)에 대해 측방향 쪽[돌기(346)가 없는 위치]으로 이동(퇴피)되고, 돌기(346)는 돌출부(291)로부터 로크 해제된다. 이는 제2 장전 부재(33), 슬라이드 연결 부재(34), 실 지지부(15), 고정 튜브(7) 및 코일 스프링(22)의 이동이 정지부(35)에 의한 실 지지부(15)의 이동 방지가 해제되는 조건에서 허용되게 됨을 보장한다.
다음으로, 주요 본체부[2, 배치 장치(3)]는 상처 구멍으로부터 당겨 빼내는 방향(기단 방향)으로 천천히 이동되어, 주요 본체부(2)는 상처 구멍으로부터 당겨 빠지게 된다. 이에 의해, 모든 조작(동작)이 순차적으로 연속해서 행해지게 됨으로써, 상처 구멍은 클립(4)으로 폐쇄되고, 클립(4)은 생체 내에 배치(내재)된다. 지금부터, 이러한 경우의 과정 및 작동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먼저,도36의 (a) 및 도3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급부[9, 케이싱(11)]가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면,클립(4)의 시일부(41)가 혈관벽의 내면(체표면으로 먼 표면)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실 지지부(15)는 실(8)을 통해 말단 방향에 당겨진다. 실(8)을 통해 실 지지부(15)에 가해지는 힘(당김력)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면, 핀(170)의 돌기(172)는 정지부(35)의 정지부 본체(351) 내의 간극으로부터 빠져나오고, 제2 장전 부재(33), 슬라이드 연결 부재(34), 실 지지부(15), 고정 튜브(7) 및 코일 스프링(22)은 일체적으로 케이싱(11)에 대하여 말단 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슬라이드 연결 부재(34)가 로크부(29)에 의해 말단 방향으로의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 상태에서의 시일부(41)의 위치 설정에 있어서, 예를 들어 클립(4)이 혈관 내에서 걸려 있기 때문에 위치 설정이 불완전한 경우에도, 핀(170)이 정지부(35)로부터 빠져 나오기(로크 해제) 이전에 클립(4)이 해제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클립(4)은 상처 구멍까지 이동될 수 있고 그 시일부(41)는 상처 구멍 및 주변 조직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클립(4)의 시일부(41)의 위치 설정 조작 이 2중으로 수행되므로, 시일부(41)는 상처 구멍 및 주변 조직에 확실하게 접촉하게 될 수 있다.
제2 장전 부재(33), 슬라이드 연결 부재(34), 실 지지부(15), 고정 튜브(7) 및 코일 스프링(22)이 케이싱(11)에 대하여 말단 방향으로 이동되면, 클립(4)의 변형부(42)가 고정 튜브(7)와 함께 커버 튜브(6)에 대하여 말단 방향으로 이동되고, 변형부(42)가 커버 튜브(6)의 말단부로부터 빠져나오게 되어서, 결과적으로 변형부(42)는 변형될 수 있게 된다.
도37의 (a) 및 도3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연결 부재(34)의 한 쌍의 막대형 요소(342)의 기단부(347)가 한 쌍의 레일(36) 내의 구멍부(362)에 위치될 때까지 이동되면, 막대형 요소(342)의 기단부(347)는 측방향[화살표(E, F)의 방향]으로 이동(변위) 가능하게 된다. 한편,슬라이드 연결 부재(34)는 코일 스프링(22)의 복원력에 의해 실 지지부(15)에 대하여 말단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따라서, 바이어싱력에 의해, 막대형 요소(342)의 기단부(347)는 돌기(155)를 따라 대략 측방향으로 이동되어서 구멍부(362) 내부로 삽입(퇴피)되고, 막대형 요소(342)의 갈고리(343)는 실 지지부(15)의 돌기(155)로부터 빠져나온다.
그 결과, 슬라이드 연결 부재(34)에 의한 실 지지부(15)와 제2 장전 부재(33)의 연결은 해제되어, 실 지지부(15)가 제2 장전 부재(33), 슬라이드 연결 부재(34) 및 고정 튜브(7)에 대하여 기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슬라이드 연결 부재(34)에 의한 실 지지부(15)와 제2 장전 부재(33)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에 의해, 실 지지부(15), 제2 장전 부재(33), 슬라이드 연결 부 재(34) 및 고정 튜브(7)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은 허용되고, 코일 스프링(22)을 변형 상태(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규제가 해제된다.
그 결과, 실 지지부(15)는 코일 스프링(22)의 복원력에 의해 제2 장전 부재(33), 슬라이드 연결 부재(34) 및 고정 튜브(7)에 대하여 기단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슬라이드 연결 부재(34), 실 지지부(15)의 한 쌍의 돌기(155), 제2 장전 부재(33)의 한 쌍의 돌출부(334) 및 한 쌍의 레일(36)의 구멍부(362)는 코일 스프링(22)을 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규제를 해제함으로써 코일 스프링(22)을 작동시키는 트리거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슬라이드 연결 부재(34), 실 지지부(15)의 한 쌍의 돌기(155) 및 제2 장전 부재(33)의 한 쌍의 돌출부(334)는 코일 스프링(22)을 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규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실 지지부(15)와 제2 장전 부재(33)를 연결하는 슬라이드 연결 부재(34)의 막대형 요소(342)의 기단부(347)를 측방향[막대형 요소(342)의 갈고리(343)가 실 지지부(15)의 돌기(155)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트리거 작동)은 취급부(9)를 기단 방향으로 당겨 빼내는(이동시키는) 시술자의 동작 및 코일 스프링(22)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실 지지부(15)가 고정 튜브(7)에 대하여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면, 도37의 (b) 및 제1 실시예의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8)은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고, 클립(4)의 실(46)은 실(8)에 의해 기단 방향으로 당겨지며, 클립(4)의 실(46)의 매듭(461)은 고정 튜브(7)의 말단부(71)에 의해 로크된다. 또한, 변형부(42)가 매듭(461)을 통해 로크(간접 로크)됨으로써, 매듭(461)은 말단 방향으로 이동되고, 실(46)은 죄여지며, 변형부(42)는 변형된다.
그 결과, 변형부(42)가 혈관 벽의 외측으로부터 상처 구멍 및 주변 부위를 덮고, 시일부(41)가 혈관 벽의 내측으로부터 상처 구멍 및 주변 부위를 덮고, 혈관 벽이 시일부(41)와 변형부(42)에 의해 끼워짐으로써, 상처 구멍은 폐쇄된다. 이어서, 변형부(42)가 전술된 형태를 취하는 상태가 실(46)에 의해 유지(고정)된다.
또한,슬라이드 연결 부재(34)에 의한 실 지지부(15)와 제2 장전 부재(33) 사이의 연결이 해제된 후[코일 스프링(22)을 변형 상태로 유지하는 규제가 해제], 즉, 클립(4)의 변형부(42)의 변형이 완료된 후, 도38의 (a) 및 도3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4)의 시일부(41)가 혈관 벽의 내측면과 접촉한 상태 하에서 취급부[9, 케이싱(11)]가 기단 방향으로 더 이동되면,케이싱(11)은 실 지지부(15)에 대하여 기단 방향으로 더 이동된다. 실 지지부(15)는 케이싱(11)에 대하여 말단 방향으로 더 이동된다.
실 지지부(15)에 제공되는 핀(170)이 케이싱(11)의 리브(92)의 말단부에 비해 말단 측으로 위치될 때까지 이동되면, 핀(170)은 계단부(921)에서 턴이 이루어지고 그 돌기(172)는 평평하게 넘어진다.
이에 대한 결과로서, 핀(170)에 의한 실(8)과 실 지지부(15) 사이의 연결이 해제됨으로써, 실(8)과 클립(4)의 실(46) 사이의 연결은 해제 된다[클립(4)이 실(8)에 의해 유지되는 상태가 해제됨]. 구체적으로, 실(8)의 절곡부(81)가 핀(170)의 돌기(172)로부터 해제되고, 결과로서 실(8)은 실(46)의 루프(462)로부터 당겨 빼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계단부(921)는 연결 해제 수단 및 유지 상태 해 제 수단을 구성한다.
취급부[9, 케이싱(11)]가 계속하여 기단 방향으로 더 이동되면,먼저 주요 본체부(2)만 [외피(5), 커버 튜브(6) 및 고정 튜브(7)의 말단부까지] 환자로부터 제거된다. 이 단계에서는,도3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8)의 절곡부(81)는 클립(4)의 실(46)의 루프(462)로부터 당겨져 나오지 않고 환자의 신체 외부에 위치되고, 클립(4)은 실(8)에 의해 유지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조직 폐쇄 장치(1)에 있어서, 실(8)의 길이는 구조 및 기구에 기초하여 비교적 길게 설정되므로,환자로부터의 주요 본체부(2)의 제거 직후의 단계에서는, 실(8)의 절곡부(81)는 클립(4)의 실(46)의 루프(462)로부터 아직 당겨 빠져 있지 않고, 클립(4)은 실(8)에 의해 유지되고, 실(8)의 절곡부(81)는 환자 신체 외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주요 본체부(2) 및 실(8)의 절곡부(81)가 시술자에 의해 파지되고 있는 것으로, 클립(4)이 실(8)을 통해 유지(고정)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양한 상황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매우 높은 안정성이 실현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시술자는 혈관 내에 존재하는 클립(4)을 실(8)을 통해 유지하면서 시술로서 취출할 수 있다.
문제가 없으면, 도39의 (a) 및 도3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급부[9, 케이싱(11)]는 기단 방향으로 더 이동되고, 실(8)은 환자로부터 제거된다. 그 결과, 클립(4)은 생체 내에 배치(내재)된다.
이러한 조직 폐쇄 장치(1)에 따르면, 전술된 제1 실시예에서의 조직 폐쇄 장치(1)와 동일한 효과가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직 폐쇄 장치(1)에 따르면,제1 실시예에 비교해서 간단한 구조가 구현되고, 전술된 바와 동일한 효과가 획득될 수 있다.
조직 폐쇄 장치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구성 요소의 구성은 동일 또는 등가의 기능을 가지는 임의의 구성에 의해 대체될 수도 있다. 그밖에, 다른 임의의 구성 요소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부가될 수도 있다.
또한,본 발명의 구성은 전술된 실시예의 임의의 두 가지 이상의 구성의 조합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레버(28) 및 로크부(29)에 대응하는 부재, 즉 트리거 수단에 의한 코일 스프링(22, 제1 탄성 부재, 작동 부재)을 작동시키는 작동이 방지되는 로크 상태와 이러한 작동이 허용되는 로크 해제 상태 사이의 절환을 위한 절환 수단이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의 커넥터(121)가 제3 실시예에서의 커넥터(31)로 대체될 수도 있고, 제3 실시예에서의 커넥터(31)가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의 커넥터(121)로 대체될 수도 있다.
그밖에,전술된 실시예에서는 실(8)의 2개의 단부 중 하나가 취급부(9)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가 연결 해제되었지만, 양 단부가 연결 해제되는 구성이 본 발명에서 채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실(8)은 클립(4)에 연결된 상태에서 생체 측에 남겨 진다. 그 후에 실(8)은 시술자의 시술에 의해 자유롭게 제거될 수 있다.

Claims (35)

  1. 생체 조직을 관통하는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조직 폐쇄 장치이며,
    생체 강의 벽의 일측으로부터 개구와 개구 주변을 덮도록 구성되는 시일부 및 변형 가능한 변형부를 구비하는,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부와,
    폐쇄부를 개구에 근접한 위치에 배열시키도록 폐쇄부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시키는 배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열 장치는,
    개구를 통해 통과하여 폐쇄부의 적어도 일부를 유지 상태로 로크시키는 것이 가능한 긴 형상을 가지는 로크 부재와,
    로크 부재의 기단 측에 제공되는 취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취급부는 폐쇄부 및 로크 부재를 서로에 대해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 및 작동 부재를 작동시키는 트리거 수단을 구비하고, 작동 수단이 트리거 수단에 의해 작동되면, 폐쇄부가 로크 부재에 의해 로크된 상태에서 상기 폐쇄부 및 로크 부재가 서로에 대해 이동됨으로써, 상기 변형부가 변형되는 조직 폐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는 제1 탄성 부재이고, 상기 트리거 수단은 제1 탄성 부재를 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규제부를 가지고 제1 탄성 부재를 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규제부의 규제를 해제시키는 조직 폐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 장치는 상기 변형부의 시일부 반대 측 폐쇄부 부분이 변형부의 시일부 측 부분에 대해 이동될 수 있도록 폐쇄부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를 가지는 조직 폐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수단이 제1 탄성 부재를 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규제부의 규제를 해제하면, 상기 폐쇄부의 변형부가 로크 부재의 말단부에 로크된 상태에서, 상기 유지 부재가 제1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유지 부재가 폐쇄부를 당기게 됨으로써, 변형부가 변형되는 조직 폐쇄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루멘을 가지고, 상기 유지 부재는 루멘 내에 삽입되는 조직 폐쇄 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급부는 상기 로크 부재를 지지하는 로크 부재 지지부와 로크 부재 지지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되어 상기 유지 부재를 지지하는 유지 부재 지지부를 포함하는 조직 폐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제1 탄성 부재의 상기 활성 상태는 수축 상태이고, 상기 트리거 수단이 제1 탄성 부재를 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규제부의 규제를 해제시키는 경우, 상기 유지 부재 지지부는 제1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로크 부재 지지부에 대해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는 조직 폐쇄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취급부는 케이싱을 가지고 상기 로크 부재 지지부는 케이싱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조직 폐쇄 장치.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가 피부면으로부터 말단 측인 생체 조직 표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취급부가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트리거 수단은 제1 탄성 부재를 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규제를 자동적으로 해제하는 조직 폐쇄 장치.
  10.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폐쇄부 및 로크 부재의 상대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제1 탄성 부재를 활성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트리거 수단은 폐쇄부 및 로크 부재의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1 탄성 부재를 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규제를 해제하는 조직 폐쇄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유지 부재 지지부를 로크하는 정지부를 가지고 유지 부재 지지부를 정지부로서 로크함으로써 제1 탄성 부재를 활성 상태로 유지하여서 유지 부재 지지부 및 로크 부재 지지부의 상대 이동을 방지하며,
    상기 시일부가 피부면으로부터 말단 측인 생체 조직의 표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이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케이싱은 로크 부재 지지부에 대해 이동되고, 상기 트리거 수단은 케이싱이 로크 부재 지지부에 대해 소정 위 치로 이동되는 경우 정지부의 로크를 해제하는 조직 폐쇄 장치.
  12. 제6항 내지 제8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급부는 상기 유지 부재 지지부와 로크 부재 지지부 사이의 위치 관계가 실질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유지 부재 지지부를 기단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조직 폐쇄 장치.
  13. 제8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취급부는 케이싱 내에 상기 유지 부재 지지부와 로크 부재 지지부 사이의 위치 관계가 실질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유지 부재 지지부를 로크 부재 지지부를 통해 기단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시일부가 피부면으로부터 말단 측인 생체 조직 표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이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케이싱이 로크 부재 지지부에 대해 이동되고 제2 탄성 부재의 변형이 수반되고 로크 부재 지지부가 제2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기단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유지 부재 지지부가 기단 방향으로 가압되는 조직 폐쇄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수단에 의한 제1 탄성 부재를 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규제의 해제는 제2 탄성 부재의 가압력이 소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조건에서 허용되는 조직 폐쇄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가압력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가압력은 감소되거나 없어지는 조직 폐쇄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 장치는 로크 부재의 외부면을 덮고 커버 부재의 말단부에서 폐쇄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부의 변형부는 커버 부재가 변형부에 대해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면 커버 부재의 말단부를 벗어나는 조직 폐쇄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 장치는 폐쇄부의 유지 상태를 해제하는 유지 상태 해제 수단을 포함하는 조직 폐쇄 장치.
  18. 제6항 내지 제8항 또는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 장치는 로크 부재의 외부면을 덮고 커버 부재의 말단부에서 폐쇄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취급부는 로크 부재 지지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커버 부재를 지지하는 커버 부재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부의 변형부는 커버 부재 지지부가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면 커버 부재의 말단부를 벗어나는 조직 폐쇄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취급부는 유지 부재와 유지 부재 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및 유지 부재와 유지 부재 지지부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연결 해제 수단을 포함하고,
    유지 부재와 유지 부재 지지부 사이의 연결이 연결 해제 수단에 의해 해제되어서 유지 부재에 의한 폐쇄부의 유지 상태가 해제되는 조직 폐쇄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해제 수단은 커버 부재 지지부의 기단 방향으로의 이동을 통해 커넥터에 의한 유지 부재와 유지 부재 지지부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는 조직 폐쇄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해제 수단은 유지 부재 지지부에 대해 변위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커넥터를 지지하도록 작동하는 커넥터 지지부와,
    커버 부재 지지부에 제공되고 커넥터 지지부를 변위시키도록 작동하는 변위부를 포함하고,
    제1 탄성 부재를 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규제가 해제된 이후에 상기 커버 부재 지지부가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면, 커넥터 지지부가 변위부에 의해 변위됨으로써, 연결부에 의한 유지 부재와 유지 부재 지지부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는 조직 폐쇄 장치.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두 개의 단부를 가지는 실형 부재이고,
    실형 부재가 폐쇄부를 통해 관통되어 배열 장치의 말단부에서 절첩되어 폐쇄부를 유지한 상태에서, 실형 부재의 적어도 일단부는 커넥터에 의해 유지 부재 지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직 폐쇄 장치.
  23. 제3항 내지 제8항, 제11항 내지 제15항 또는 제18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는 변형부가 소정 형태인 상태에서 그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조직 폐쇄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이동 가능한 매듭을 가지는 실형 부재이고, 제1 탄성 부재를 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규제가 해제되는 경우, 유지 부재가 제1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매듭이 로크 부재의 말단부에 로크된 상태에서 유지 부재가 폐쇄부를 당기게 되고 매듭이 고정부의 실형 부재 상에서 이동됨으로써, 변형부는 소정 형태로 변형되고 변형된 상태가 유지되는 조직 폐쇄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매듭은 꽈베기 매듭인 조직 폐쇄 장치.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폐쇄부의 고 정부를 유지하는 조직 폐쇄 장치.
  27. 제2항 내지 제15항 또는 제18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급부는 제1 탄성 부재가 규제부에 의해 활성 상태로 유지되는 상태를 제공하도록 제1 탄성 부재를 변형시키는 장전 수단을 포함하는 조직 폐쇄 장치.
  28.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급부는 케이싱 및 케이싱 내에 제공되는 유지 부재를 지지하는 유지 부재 지지부를 포함하고, 트리거 수단에 의해 제1 탄성 부재를 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규제의 해제는 유지 부재를 통해 유지 부재 지지부에 가해지는 힘이 소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조건에서 가능하게 되는 조직 폐쇄 장치.
  29.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급부는,
    케이싱과,
    케이싱에 대해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케이싱 내에 제공되는, 유지 부재를 지지하는 유지 부재 지지부와,
    유지 부재를 통해 유지 부재 지지부에 가해지는 힘이 소정 임계값을 초과할 때까지 유지 부재 지지부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부를 포함하고,
    유지 부재를 통해 유지 부재 지지부에 가해지는 힘이 소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유지 부재 지지부가 이동 가능하게 됨으로써, 트리거 수단에 의해 제1 탄 성 부재를 활성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규제의 해제가 가능하게 되는 조직 폐쇄 장치.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제1 탄성 부재가 활성 상태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유지 부재를 통해 유지 부재 지지부에 가해지는 힘이 소정 임계값을 초과할 때까지 폐쇄부와 케이싱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조직 폐쇄 장치.
  31. 제1항 내지 제5항 또는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 폐쇄 장치는 배열 장치가 외피 내에 삽입되고 외피가 배열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되며,
    조직 폐쇄 장치는 외피를 배열 장치에 장착시키도록 외피를 배열 장치에 대해 이동시키는 외피 장착 기구를 포함하는 조직 폐쇄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의 배열 장치로의 장착에 있어서, 외피는 배열 장치에 임시로 장착되어서 폐쇄부가 외피 내에 수납된 상태에 놓이게 하고,
    상기 외피 장착 기구가 폐쇄부의 시일부가 외피의 말단부로부터 돌출하도록 외피를 임시로 장착된 상태로부터 배열 장치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외피를 배열 장치에 장착시키는 조직 폐쇄 장치.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취급부는 케이싱과 케이싱 내에 제공되는 외피 장착 기구를 포함하고, 외피는 외피 장착 기구에 의해 케이싱에 장착되는 조직 폐쇄 장치.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성 부재를 활성화되게 하는 트리거 수단의 작동이 방지되는 로크 상태와 상기 트리거 수단의 작동이 허용되는 로크 해제 상태 사이의 절환을 위한 절환 수단을 더 포함하는 조직 폐쇄 장치.
  35.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는 판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변형부는 시일부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신장되고 시일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수축되는 제1 형태와 시일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수축되고 시일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확장되는 제2 형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한 조직 폐쇄 장치.
KR1020087007499A 2005-09-29 2006-09-28 조직 폐쇄 장치 KR200800637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85402 2005-09-29
JPJP-P-2005-00285402 2005-09-29
JP2006192072A JP4955328B2 (ja) 2005-09-29 2006-07-12 生体内組織閉鎖装置
JPJP-P-2006-00192072 2006-07-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757A true KR20080063757A (ko) 2008-07-07

Family

ID=37607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7499A KR20080063757A (ko) 2005-09-29 2006-09-28 조직 폐쇄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945154B2 (ko)
EP (1) EP1942808B9 (ko)
JP (1) JP4955328B2 (ko)
KR (1) KR20080063757A (ko)
CN (1) CN101262823B (ko)
AU (1) AU2006295714B2 (ko)
BR (1) BRPI0616795A2 (ko)
CA (1) CA2624264C (ko)
WO (1) WO200703751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1289A (ko) * 2017-03-31 2018-10-11 한국전력공사 엘보접속재 탈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0192B2 (en) 1998-08-14 2010-09-07 Accessclosure,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sealing a vascular puncture
US6488689B1 (en) 1999-05-20 2002-12-03 Aaron V. Kapla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pericardial left atrial appendage closure
JP5074765B2 (ja) 2003-10-09 2012-11-14 センターハート・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組織の結紮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PL2142107T3 (pl) 2007-03-30 2013-06-28 Sentreheart Inc Urządzenia i układy do zamykania uszka lewego przedsionka
JP5290717B2 (ja) * 2008-02-21 2013-09-18 テルモ株式会社 生体内組織閉鎖装置
US8317824B2 (en) 2009-02-20 2012-11-2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issue puncture closure device
US8529598B2 (en) * 2009-02-20 2013-09-1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issue puncture closure device
JP5448533B2 (ja) * 2009-03-31 2014-03-19 テルモ株式会社 生体内組織閉鎖装置
CN104688284B9 (zh) 2009-04-01 2018-03-09 森特莱哈尔特公司 组织结扎装置及其控制器
JP5336270B2 (ja) * 2009-06-18 2013-11-06 テルモ株式会社 生体内組織閉鎖装置
WO2011129893A1 (en) 2010-04-13 2011-10-20 Sentreheart, Inc.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atrial fibrillation
CN103747751B (zh) 2011-06-08 2016-12-28 森特里心脏股份有限公司 组织结扎装置及其张紧装置
WO2013128461A1 (en) * 2012-02-29 2013-09-06 Cardiapex Ltd. Minimally invasive surgical techniques
US9757105B2 (en) 2012-03-23 2017-09-12 Accessclosure,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sealing a vascular puncture
US8721680B2 (en) 2012-03-23 2014-05-13 Accessclosure,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sealing a vascular puncture
EP3378416B1 (en) 2013-03-12 2020-07-29 Sentreheart, Inc. Tissue ligation devices
US10154835B2 (en) 2013-05-09 2018-12-18 Essential Medical, Inc. Vascular closure device with conforming plug member
EP3062711B1 (en) 2013-10-31 2023-06-21 AtriCure, Inc. Devices for left atrial appendage closure
JP6649899B2 (ja) * 2014-12-25 2020-02-19 株式会社カネカ 医療用クリップ装置および医療用クリップ装置の製造方法
CN107249475B (zh) * 2015-02-10 2020-06-12 泰利福生命科学有限公司 用于封闭脉管中的经皮开口的闭合装置
CN107530070B (zh) 2015-03-24 2021-09-28 森特里心脏股份有限公司 用于左心耳闭合的装置和方法
EP4285843A3 (en) 2015-03-24 2024-05-22 AtriCure, Inc. Tissue ligation devices
EP3419531B1 (en) 2016-02-26 2024-04-03 AtriCure, Inc. Devices for left atrial appendage closure
CN111315306B (zh) * 2017-12-26 2023-06-27 株式会社戈德曼 止血器具
CN111970978B (zh) * 2018-01-29 2024-05-17 通合公司 用于密封血管刺孔的设备和方法
WO2020157855A1 (ja) * 2019-01-30 2020-08-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クリップカートリッジ、医療機器、および医療機器の装着方法
CN109998617A (zh) * 2019-04-29 2019-07-12 上海博洽医疗器械有限公司 多用途的腔镜外科器械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7089A (en) * 1988-08-29 1990-04-17 Sideris Eleftherios B Buttoned device for the transvenous occlusion of intracardiac defects
US5021059A (en) * 1990-05-07 1991-06-04 Kensey Nash Corporation Plug device with pulley for sealing punctures in tissue and methods of use
CA2078530A1 (en) * 1991-09-23 1993-03-24 Jay Erlebacher Percutaneous arterial puncture seal device and insertion tool therefore
US5282827A (en) 1991-11-08 1994-02-01 Kensey Nash Corporation Hemostatic puncture closure system and method of use
US5304184A (en) * 1992-10-19 1994-04-19 Indiana University Found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ve closure of an internal tissue membrane opening
US5591196A (en) * 1994-02-10 1997-01-07 Endovascular Systems, Inc. Method for deployment of radially expandable stents
US5662681A (en) * 1996-04-23 1997-09-02 Kensey Nash Corporation Self locking closure for sealing percutaneous punctures
US5782860A (en) * 1997-02-11 1998-07-21 Biointerventional Corporation Closure device for percutaneous occlusion of puncture sites and tracts in the human body and method
US6860895B1 (en) * 1999-06-18 2005-03-01 Radi Medical Systems Ab Tool, a sealing device, a system and a method for closing a wound
US7341595B2 (en) * 1999-09-13 2008-03-11 Rex Medical, L.P Vascular hole closure device
US6780197B2 (en) * 2000-01-05 2004-08-24 Integrated Vascular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 vascular closure device to a body lumen
EP1192908A3 (en) * 2000-10-02 2004-05-26 Howmedica Osteonics Corp. System and method for spinal reconstruction
JP4267867B2 (ja) * 2001-05-03 2009-05-27 ラディ・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アクチェボラーグ 傷閉塞体要素の案内器具
US6695852B2 (en) * 2001-10-31 2004-02-24 Spineology, Inc. Tension tools for tension band clip
DE10161724A1 (de) * 2001-12-15 2003-07-10 Aesculap Ag & Co Kg Chirurgische Vorrichtung zum Zusammenschieben einer Fadenschlaufe
US6749621B2 (en) * 2002-02-21 2004-06-15 Integrated Vascular Systems, Inc. Sheath apparatu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 closure device
US7875043B1 (en) * 2003-12-09 2011-01-25 Sub-Q, Inc. Cinching loop
WO2005063133A1 (en) * 2003-12-26 2005-07-14 Terumo Kabushiki Kaisha Tissue closure and tissue closing device
US8469966B2 (en) * 2004-09-23 2013-06-25 Smith & Nephew,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ensioning an orthopedic surgical cable
JP4366306B2 (ja) 2004-12-17 2009-11-18 テルモ株式会社 生体内組織閉鎖具および生体内組織閉鎖装置
US7618438B2 (en) * 2005-05-17 2009-11-17 St. Jude Medical Puerto Rico Llc Tissue puncture closure device with disengagable automatic tamping system
JP4744191B2 (ja) 2005-05-18 2011-08-10 テルモ株式会社 生体内組織閉鎖装置
JP4843429B2 (ja) 2006-09-07 2011-12-21 テルモ株式会社 生体内組織閉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1289A (ko) * 2017-03-31 2018-10-11 한국전력공사 엘보접속재 탈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55328B2 (ja) 2012-06-20
EP1942808A2 (en) 2008-07-16
US20090270885A1 (en) 2009-10-29
AU2006295714A1 (en) 2007-04-05
EP1942808B1 (en) 2011-11-09
CN101262823A (zh) 2008-09-10
JP2007117716A (ja) 2007-05-17
BRPI0616795A2 (pt) 2011-07-05
WO2007037516A9 (en) 2007-05-31
EP1942808B9 (en) 2012-04-25
US8945154B2 (en) 2015-02-03
WO2007037516A2 (en) 2007-04-05
CA2624264C (en) 2014-12-02
CN101262823B (zh) 2011-12-14
AU2006295714B2 (en) 2012-01-12
WO2007037516A3 (en) 2007-11-15
CA2624264A1 (en) 200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3757A (ko) 조직 폐쇄 장치
JP4744191B2 (ja) 生体内組織閉鎖装置
JP5290717B2 (ja) 生体内組織閉鎖装置
US8241323B2 (en) Tissue closing device
JP4366306B2 (ja) 生体内組織閉鎖具および生体内組織閉鎖装置
JP5489234B2 (ja) 傷治療用医療デバイス
US6387114B2 (en) Gastrointestinal compression clips
KR101240150B1 (ko) 봉합 장치, 전개 장치 및 봉합 장치를 전개하기 위한 방법
US6099552A (en) Gastrointestinal copression clips
JP2009504317A (ja) 係止ハブを備えるドレナージカテーテル
JP2018529440A (ja) 血管閉鎖デバイス
KR20130105869A (ko) 봉합 장치, 봉합 장치 전개 장치, 및 봉합 장치 전개 방법
JP5448533B2 (ja) 生体内組織閉鎖装置
JP5336270B2 (ja) 生体内組織閉鎖装置
CN112423706A (zh) 用于放置和固定瓣环成形术带的装置
JP2010234001A (ja) 生体内組織閉鎖装置
JP4528534B2 (ja) 生体内組織閉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