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175B1 -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 - Google Patents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175B1
KR102221175B1 KR1020190061585A KR20190061585A KR102221175B1 KR 102221175 B1 KR102221175 B1 KR 102221175B1 KR 1020190061585 A KR1020190061585 A KR 1020190061585A KR 20190061585 A KR20190061585 A KR 20190061585A KR 102221175 B1 KR102221175 B1 KR 102221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replacement
low
terminal
voltag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5901A (ko
Inventor
김용규
Original Assignee
김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규 filed Critical 김용규
Priority to KR1020190061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175B1/ko
Publication of KR20200135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04Arrangements for interchanging inductances, transformers or co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교체하고자 하는 지상 변압기(교체 변압기)의 인근의 지상 변압기(인근 변압기)를 탐색하고, 그 탐색된 인근 변압기에서 교체 변압기에 연결된 수용가로 전기 공급의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탐색단계(S10);와, 교체 변압기의 저압 엘보에 형성되는 터미널에 연결된 저압 케이블과 교체 변압기에 연결된 수용가로 전기 공급이 가능한 인근 변압기의 저압 엘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연결 케이블의 일단은 저압 케이블이 연결된 상기 터미널에 연결하고 타단은 인근 변압기의 저압 엘보 측에 연결하는 저압 케이블 연결단계(S20);와, 상기 연결 케이블과 연결된 교체 변압기의 저압 엘보에 형성된 터미널을 탈거하여 상기 저압 케이블을 교체 변압기로부터 분리 이탈시키는 저압 케이블 탈거단계(S30);와, 상기 저압 케이블이 탈거된 교체 변압기로부터 고압 케이블을 탈거한 후에 전기적으로 연결이 해제된 교체 변압기를 회수한 후, 그 교체 변압기 위치로 새로운 지상 변압기(신설 변압기)를 배치하고, 그 배치된 신설 변압기로 탈거한 고압 케이블을 연결 고정하는 변압기 교체단계(S40);와, 상기 신설 변압기의 저압 엘보로 탈거된 터미널을 연결 부착한 후에 상기 연결 케이블을 해체하여 변압기의 교체 작업을 완료하는 완료단계(S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무정전 방식으로 교체 변압기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교체 변압기와 연결되는 수용가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변압기로 주변에 존재하는 인근 변압기를 선택 사용함으로 종래의 무정전 변압기 교체공법에서 차량을 통한 이동식 변압기를 사용하는 것에 대비하여 변압기 교체에 소요되는 장비, 시간,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어 편리하고 경제적인 변압기 교체를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미널 탈거장치를 통한 저압 케이블을 탈거하는 방식으로 인해 교체 변압기와 인근 변압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을 저압 케이블이 결속된 터미널에 부착 연결하는 간편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어 종래의 무정전 변압기 교체공법에서 저압 케이블 피복을 박피하여 연결하는 방식에 대비하여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됨과 동시에 번거롭고 불편한 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지상 변압기의 편리하고 신속한 교체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Uninterrupted Ground Transformer Replacement Method}
본 발명은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정전 방식으로 교체 변압기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교체 변압기와 연결되는 수용가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변압기로 주변에 존재하는 인근 변압기를 선택 사용함으로 종래의 무정전 변압기 교체공법에서 차량을 통한 이동식 변압기를 사용하는 것에 대비하여 변압기 교체에 소요되는 장비, 시간,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어 편리하고 경제적인 변압기 교체를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미널 탈거장치를 통한 저압 케이블을 탈거하는 방식으로 인해 교체 변압기와 인근 변압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을 저압 케이블이 결속된 터미널에 부착 연결하는 간편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어 종래의 무정전 변압기 교체공법에서 저압 케이블 피복을 박피하여 연결하는 방식에 대비하여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됨과 동시에 번거롭고 불편한 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지상 변압기의 편리하고 신속한 교체를 유도할 수 있는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지중 배전선로에는 가정이나 산업용 각종 설비 등에 전력 공급시에 발전소로부터 송전선을 통해 공급되는 22.9 KV의 특고압에서 가정이나 산업용 각종 설비에 적합한 220/380 V의 저전압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전압을 강하하는 수단으로서 지상 변압기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지상 변압기는 노후화나 과부하에 의하여 변압기에 이상(고장)이 발생하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변압기로 교체하여야 하는데, 이는 지상 배전선로의 변압기를 교체하는 경우에는 무정전 변압기 교체 차량을 이용하여 무정전 교체공법 또는 개폐기와 개폐기 사이에 있는 변압기를 모두 정전시킨 후에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변압기로 교체하는 방식으로 교체가 이루어지나, 최근에는 수용가 측의 편의를 위해 대부분이 무정전 교체공법으로 지상 변압기를 교체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은 교체될 변압기를 대신하여 수용가 측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이동식 변압기를 차량을 통해 이동 확보한 상태에서 변압기 교체 작업을 수행하는 특성상, 이동 차량 및 변압기를 확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 많아 경제적인 변압기 교체를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에서는 교체될 변압기와 연결되는 수용가 측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교체될 변압기의 저압 케이블을 이동식 변압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저압 케이블의 피복을 박피하여 전선을 노출하고, 그 노출된 전선을 연결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한 후에 상기 연결 케이블을 이동식 변압기와 연결하는 방식으로 교체될 변압기와 이동식 변압기를 연결함으로 인해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저압 케이블의 피복을 박피하고 연결 케이블을 연결하는 과정 및 변압기 교체를 완료한 후에 연결 케이블을 분리하고 박피된 저압 케이블의 표면을 복구하는 과정이 요구됨으로 인해 공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과 함께 작업 공정이 불편하고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저압 케이블을 표면을 박피하여 전기가 흐르는 전선을 노출시키는 공정은 전기적인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어 공정이 안전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무정전 방식으로 교체 변압기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교체 변압기와 연결되는 수용가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변압기로 주변에 존재하는 인근 변압기를 선택 사용함으로 종래의 무정전 변압기 교체공법에서 차량을 통한 이동식 변압기를 사용하는 것에 대비하여 변압기 교체에 소요되는 장비, 시간,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어 편리하고 경제적인 변압기 교체를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미널 탈거장치를 통한 저압 케이블을 탈거하는 방식으로 인해 교체 변압기와 인근 변압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을 저압 케이블이 결속된 터미널에 부착 연결하는 간편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어 종래의 무정전 변압기 교체공법에서 저압 케이블 피복을 박피하여 연결하는 방식에 대비하여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됨과 동시에 번거롭고 불편한 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지상 변압기의 편리하고 신속한 교체를 유도할 수 있는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은 교체하고자 하는 지상 변압기(교체 변압기)의 인근의 지상 변압기(인근 변압기)를 탐색하고, 그 탐색된 인근 변압기에서 교체 변압기에 연결된 수용가로 전기 공급의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탐색단계(S10);와, 교체 변압기의 저압 엘보에 형성되는 터미널에 연결된 저압 케이블과 교체 변압기에 연결된 수용가로 전기 공급이 가능한 인근 변압기의 저압 엘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연결 케이블의 일단은 저압 케이블이 연결된 상기 터미널에 연결하고 타단은 인근 변압기의 저압 엘보 측에 연결하는 저압 케이블 연결단계(S20);와, 상기 연결 케이블과 연결된 교체 변압기의 저압 엘보에 형성된 터미널을 탈거하여 상기 저압 케이블을 교체 변압기로부터 분리 이탈시키는 저압 케이블 탈거단계(S30);와, 상기 저압 케이블이 탈거된 교체 변압기로부터 고압 케이블을 탈거한 후에 전기적으로 연결이 해제된 교체 변압기를 회수한 후, 그 교체 변압기 위치로 새로운 지상 변압기(신설 변압기)를 배치하고, 그 배치된 신설 변압기로 탈거한 고압 케이블을 연결 고정하는 변압기 교체단계(S40);와, 상기 신설 변압기의 저압 엘보로 탈거된 터미널을 연결 부착한 후에 상기 연결 케이블을 해체하여 변압기의 교체 작업을 완료하는 완료단계(S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압 케이블 탈거단계(S30)는 탈거하고자 하는 상기 터미널의 주변을 절연덮개로 덮어 상기 터미널을 탈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기적인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방호공정(S31)과, 상기 터미널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을 상기 엘보에 결속 고정하는 인서트의 하부 좌·우판에 체결되어 상기 좌·우판을 가압 결속하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을 해제하여 상기 인서트와 엘보의 결속을 해제하는 해제공정(S32)과,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재질로 제작된 터미널 탈거장치를 통해 상기 인서트를 파지 결속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의 좌·우판을 벌려 상기 인서트와 함께 상기 터미널의 용이한 탈거 상태로 형성하는 개방공정(S33)과, 상기 엘보로부터 상기 터미널 탈거장치와 함께 상기 터미널을 분리 이탈시켜 상기 터미널을 탈거하는 탈거공정(S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 탈거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되, 일측은 개방되어 상기 터미널의 인서트가 용이하게 내입되도록 하는 "ㄷ"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인서트의 좌·우판 하부를 지지하되, 상부에는 상기 좌·우판 사이로 용이하게 진입하여 상기 좌·우판을 벌릴 수 있도록 상부가 첨예한 개방편이 형성되는 개방부재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관통 형성되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안내공과, 상기 안내공에 체결되어 상기 안내공을 타고 승강 또는 하강하되, 상부에는 회전손잡이가 형성되는 가압봉과, 상기 가압봉의 하부에 연결되되, 상기 가압봉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인서트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판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 탈거장치의 몸체에는 내부가 관통된 파지 파이프가 부착되고,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끝단에는 상기 파지 파이프를 가압 결속하는 집게가 형성되는 안전 해제봉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압 케이블 연결단계(S20)에서 교체 변압기의 저압 케이블과 인근 변압기의 저압 엘보를 상기 연결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저압 검상장치를 통해서 교체 변압기와 인근 변압기 3상의 상일치 여부를 검사하는 검상단계(S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에 의하면, 무정전 방식으로 교체 변압기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교체 변압기와 연결되는 수용가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변압기로 주변에 존재하는 인근 변압기를 선택 사용함으로 종래의 무정전 변압기 교체공법에서 차량을 통한 이동식 변압기를 사용하는 것에 대비하여 변압기 교체에 소요되는 장비, 시간,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어 편리하고 경제적인 변압기 교체를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미널 탈거장치를 통한 저압 케이블을 탈거하는 방식으로 인해 교체 변압기와 인근 변압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을 저압 케이블이 결속된 터미널에 부착 연결하는 간편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어 종래의 무정전 변압기 교체공법에서 저압 케이블 피복을 박피하여 연결하는 방식에 대비하여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됨과 동시에 번거롭고 불편한 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지상 변압기의 편리하고 신속한 교체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의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에 사용되는 터미널 탈거장치의 사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의 블럭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에 사용되는 터미널 탈거장치의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100)은 탐색단계(S10)와, 저압 케이블 연결단계(S20)와, 저압 케이블 탈거단계(S30)와, 변압기 교체단계(S40)와, 완료단계(S5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과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탐색단계(S10)는 교체하고자 하는 지상 변압기(1:교체 변압기)의 인근의 지상 변압기(2:인근 변압기)를 탐색하고, 그 탐색된 인근 변압기(2)에서 교체 변압기(1)에 연결된 수용가로 전기 공급의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즉, 상기 교체 변압기(1)를 교체하기 위해 상기 교체 변압기(1)를 회수시 상기 교체 변압기(1)와 연결되는 수용가로 대신하여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인근 변압기(2)를 탐색하는 과정이며, 이러한 인근 변압기(2)를 통해 상기 교체 변압기(1)와 연결되는 수용가로 전기를 공급하여 무정전으로 변압기의 교체를 유도한다.
통상적으로 지상 변압기는 25 내지 50m 간격으로 존재하고 있는 특성상 교체하고자 하는 지상 변압기 주변에서 쉽게 다른 지상 변압기를 발견할 수 있어 간편히 수용가로 전송할 전기를 다른 지상 변압기를 통해 획득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으로 지상 변압기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이동식 변압기를 사용하는 것에 대비하여 변압기 교체에 소요되는 장비, 시간,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어 편리하고 경제적인 변압기 교체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과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압 케이블 연결단계(S20)는 교체 변압기(1)의 저압 엘보(1a)에 형성되는 터미널(4)에 연결된 저압 케이블(5)과 교체 변압기(1)에 연결된 수용가로 전기 공급이 가능한 인근 변압기(2)의 저압 엘보(2a)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연결 케이블(6)의 일단은 저압 케이블(5)이 연결된 상기 터미널(4)에 연결하고 타단은 인근 변압기(2)의 저압 엘보(2a) 측에 연결하는 과정이다.
즉, 상기 연결 케이블(6)을 통해 수용가 측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상기 저압 케이블(5)과 인근 변압기(2)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 후설될 상기 저압 케이블 탈거단계(S30)에서 저압 케이블이 교체 변압기(1)에서 탈거되더라도 인근 변압기(2)를 통해 상기 연결 케이블(6)로 전기가 공급되어 상기 연결 케이블(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저압 케이블(5)을 통해 수용가 측을 전기가 공급되게 한다.
여기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케이블(6)이 상기 저압 케이블(5)과 연결되는 상기 터미널(4)에 연결되는 특성상 종래에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에서 저압 케이블(5)을 이동식 변압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저압 케이블의 일부 표면을 박피하여 연결하는 방식에 대비하여 상기 저압 케이블(5)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매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변압기 교체 공정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데, 이렇게 터미널(4)을 통해 상기 저압 케이블(5)과 연결할 수 있는 이유는 상기 저압 케이블 탈거단계(S30)에 수행되는 공정의 특징 때문인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상기 저압 케이블 탈거단계(S30)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압 케이블 탈거단계(S30)는 상기 연결 케이블(6)과 연결된 교체 변압기(1)의 저압 엘보(1a)에 형성된 터미널(4)을 탈거하여 상기 저압 케이블(5)을 교체 변압기(1)로부터 분리 이탈시키는 과정으로,
방호공정(S31)과, 해제공정(S32)과, 개방공정(S33)과, 탈거공정(S34)으로 이루어진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호공정(S31)은 탈거하고자 하는 상기 터미널(4)의 주변을 절연덮개(10)로 덮어 상기 터미널(4)을 탈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기적인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과정이며, 상기 해제공정(S32)은 상기 터미널(4)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4)을 상기 저압 엘보(1a)에 결속 고정하는 인서트(4a)의 하부 좌·우판(4aa,4ab)에 체결되어 상기 좌·우판(4aa,4ab)을 가압 결속하는 볼트(9a)와 너트(9b)의 체결을 해제하여 상기 인서트(4a)와 엘보(1a)의 결속을 해제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상기 인서트(4a)를 저압 엘보(1a)에 결속하는 육각핀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볼트(9a)와 너트(9b)를 해제하는 과정에서 함께 분리 회수함은 물론이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방공정(S33)은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재질로 제작된 터미널 탈거장치(200)를 통해 상기 인서트(4a)를 파지 결속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4a)의 좌·우판(4aa,4ab)을 벌려 상기 인서트(4a)와 함께 상기 터미널(4)의 용이한 탈거 상태로 형성하는 과정이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거공정(S34)은 상기 엘보(1a)로부터 상기 터미널 탈거장치(200)와 함께 상기 터미널(4)을 분리 이탈시켜 상기 터미널(4)을 탈거하는 과정이다.
즉, 상기와 같은 공정(S31,S32,S33,S34)을 통해서 상기 교체 변압기(1)의 엘보(1a)에 결속된 상기 터미널(4)의 매우 편리하게 탈거하여 상기 저압 케이블(5)이 상기 연결 케이블(6)을 통해 인근 변압(2)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에서와 같이 저압 케이블과 이동식 변압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저압 케이블의 표면을 박피하는 공정 및 그 박피된 저압 케이블의 표면을 복구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지상 변압기의 매우 편리하고 신속한 교체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과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압기 교체단계(S40)는 상기 저압 케이블(5)이 탈거된 교체 변압기(1)로부터 고압 케이블(7)을 탈거한 후에 전기적으로 연결이 해제된 교체 변압기(1)를 회수한 후, 그 교체 변압기(1) 위치로 새로운 지상 변압기(8:신설 변압기)를 배치하고, 그 배치된 신설 변압기(8)로 탈거한 고압 케이블(7)을 연결 고정하는 과정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료단계(S50)는 상기 신설 변압기(8)의 저압 엘보(8a)로 탈거된 터미널(4)을 연결 부착한 후에 상기 연결 케이블(6)을 해체하여 변압기의 교체 작업을 완료하는 과정이다.
즉,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압 케이블 탈거단계(S30)에서 탈거된 상기 터미널(4)을 신설된 변압기(8)의 저압 엘로(8a)로 연결 부착하여 상기 신설 변압기(8)에 저압 케이블(5)을 연결하는 과정으로, 상기 터미널(4)에 형성된 상기 인서트(4a)의 좌·우판(4aa,4ab)에 볼트(9a)와 너트(9b)를 체결하여 상기 인서트(4a)와 엘보(8a)의 견고한 결속을 유도하여 상기 터미널(4)의 안정적인 고정을 유도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터미널(4)에 연결되는 상기 연결 케이블(6)은 통상 볼트(9a)와 너트(9b)의 체결을 통해 연결되므로 상기 볼트(9a)와 너트(9b)의 체결 해제를 통해 상기 터미널(4)로부터 상기 연결 케이블을 매우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 탈거장치(20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되, 일측은 개방되어 상기 터미널(4)의 인서트(4a)가 용이하게 내입되도록 하는 "ㄷ" 형상의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 내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인서트(4a)의 좌·우판(4aa,4ab) 하부를 지지하되, 상부에는 상기 좌·우판(4aa,4ab) 사이로 용이하게 진입하여 상기 좌·우판(4aa,4ab)을 벌릴 수 있도록 상부가 첨예한 개방편(221)이 형성되는 개방부재(220)와, 상기 몸체(210)의 상부에 관통 형성되되, 내주면에는 나사산(231)이 형성되는 안내공(230)과, 상기 안내공(230)에 체결되어 상기 안내공(230)을 타고 승강 또는 하강하되, 상부에는 회전손잡이(241)가 형성되는 가압봉(240)과, 상기 가압봉(240)의 하부에 연결되되, 상기 가압봉(240)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몸체(2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인서트(4a)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판체(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 탈거장치(200)를 통해 상기 엘보(1a)에 형성된 상기 터미널(4)의 탈거가 요구되면, 상기 몸체(210) 내부에 상기 터미널(4)의 인서트(4a)를 위치시키되, 상기 인서트(4a)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좌·우판(4aa,4ab)이 상기 개방부재(220)에 지지되게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개방부재(220)의 개방편(221) 상부는 상기 좌·우판(4aa,4ab)의 사이로 배치된다.
그런 후, 상기 가압봉(240)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가압봉(240)과 함께 상기 가압판체(250)가 상기 안내공(230)을 타고 하강되게 하며, 이때 상기 가압판체(250)가 고정된 상기 인서트(4a)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 상기 몸체(210)와 함께 상기 개방부재(220)가 자연스럽게 승강하면서 상기 개방부재(220)의 개방편(221)이 상기 좌·우판(4aa,4ab)의 사이로 진입되어 상기 좌·우판(4aa,4ab)이 벌어져 개방되게 한다.
그러면,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서트(4a)를 통한 상기 엘보(1a)의 결합이 완전히 해제되므로 작업자는 상기 터미널 탈거장치(200)와 함께 상기 터미널(4)을 상기 엘보(1a)로부터 간편히 분리 이탈시켜 탈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터미널 탈거장치(200)와 함께 상기 터미널(4)이 탈거되면 상기 가압봉(240)과 함께 상기 가압판체(250)를 승강시켜 상기 터미널(4)로부터 상기 터미널 탈거장치(200)를 회수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 탈거장치(200)의 몸체(210)에는 내부가 관통된 파지 파이프(270)가 부착되고,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끝단에는 상기 파지 파이프(270)를 가압 결속하는 집게(281)가 형성되는 안전 해제봉(2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엘보(1a)와 인서트(4a)가 분리되는 순간 발생될 수 있는 스파크 등으로 인해 전기적인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인서트(4a)와 함께 상기 터미널(4)을 안전하게 분리 이탈시키기 위해,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 탈거장치(200)의 몸체(210)에 형성되는 상기 파이 파이프(270)를 상기 안전 해제봉(280)의 집게(281)로 파지 결속한 상태에서 상기 안전 해제봉(280)을 당겨 상기 안전 해제봉(280)과 함께 상기 터미널 탈거장치(200)에 결속된 상기 터미널(4)을 분리 이탈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터미널(4)의 매우 안전한 탈거를 유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저압 케이블 연결단계(S20)에서 교체 변압기(1)의 저압 케이블(5)과 인근 변압기(2)의 저압 엘보(2a)를 상기 연결 케이블(6)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저압 검상장치(20)를 통해서 교체 변압기(1)와 인근 변압기(2) 3상의 상일치 여부를 검사하는 검상단계(S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케이블(6)을 통해 상기 교체 변압기(1)와 인근 변압기(2)를 병렬 연결하기 앞서서 상기 저압 검상장치(20)를 통해 3상의 상일치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을 거친 후에 연결함으로 상기 교체 변압기(1)와 인근 변압기(2)의 안전하고 정확한 전기적인 연결을 유도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100)은 무정전 방식으로 교체 변압기(1)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교체 변압기(1)와 연결되는 수용가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변압기로 주변에 존재하는 인근 변압기(2)를 선택 사용함으로 종래의 무정전 변압기 교체공법에서 차량을 통한 이동식 변압기를 사용하는 것에 대비하여 변압기 교체에 소요되는 장비, 시간,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어 편리하고 경제적인 변압기 교체를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터미널 탈거장치(200)를 통한 저압 케이블(5)을 탈거하는 방식으로 인해 교체 변압기(1)와 인근 변압기(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6)을 저압 케이블(5)이 결속된 터미널(4)에 부착 연결하는 간편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어 종래의 무정전 변압기 교체공법에서 저압 케이블 피복을 박피하여 연결하는 방식에 대비하여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됨과 동시에 번거롭고 불편한 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지상 변압기의 편리하고 신속한 교체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100)을 통해 다음과 같이 지상 변압기를 교체한다.
먼저,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체 변압기(1) 주변의 인근 변압기(2) 중에서 교체 변압기(1)에 연결된 수용가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인근 변압기(2)를 탐색 선택하고, 그 선택된 인근 변압기(2)와 교체 변압기(1)의 저압 케이블(5)을 연결 케이블(6)의 전기적인 연결을 통해 병렬 연결한다. (S10), (S20)
그런 후, 도 2c 내지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탈거장치(200)를 통해 상기 연결 케이블(6)과 연결된 교체 변압기(1)의 저압 엘보(1a)에 형성된 터미널(4)을 탈거하여 상기 저압 케이블(5)을 교체 변압기(1)로부터 분리 이탈시킨다.
이때, 수용가로 전기를 공급하는 상기 저압 케이블(5)은 상기 연결 케이블(6)을 통해 인근 변압기(2)와 전기적으로 연결(병렬연결)되어 있으므로 인근 변압기(2)를 통해 상기 저압 케이블(5)과 연결되는 수용가 측으로 전기를 공급됨은 물론이다. (S30)
그런 후,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체 변압기(1)와 연결되는 고압 케이블(7)을 분리 탈거한 후에 교체 변압기(1)는 회수하고, 그 위치에 신설 변압기(8)를 위치시킨 후에 탈거된 고압 케이블(7)을 신설 변압기(8)에 연결 고정한다. (S40)
그런 후,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설 변압기(8)의 저압 엘보(1a)로 탈거된 상기 터미널(4)을 연결 부착하여 저압 케이블(5)의 연결을 간편히 완료한 후, 상기 터미널(4)에 연결된 상기 연결 케이블(6)을 해체 분리하여 변압기의 교체 작업을 완료한다. (S50)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교체 변압기 2. 인근 변압기
4. 터미털 4a. 인서트
5. 저압 케이블 6. 연결 케이블
7. 고압 케이블 8. 신설 변압기
10. 절연덮개 20. 검상장치
S10. 탐색단계 S20. 저압 케이블 연결단계
S30. 저압 케이블 탈거단계 S31. 방호공정
S32. 해제공정 S33. 개방공정
S34. 탈거공정 S40. 변압기 교체단계
S50. 완료단계 S60. 검상단계
100.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
210. 몸체 220. 개방부재
230. 안내공 240. 가압봉
250. 가압판체
200. 터미널 탈거장치

Claims (5)

  1. 교체하고자 하는 지상 변압기(1:교체 변압기)의 인근의 지상 변압기(2:인근 변압기)를 탐색하고, 그 탐색된 인근 변압기(2)에서 교체 변압기(1)에 연결된 수용가로 전기 공급의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탐색단계(S10);
    교체 변압기(1)의 저압 엘보(1a)에 형성되는 터미널(4)에 연결된 저압 케이블(5)과 교체 변압기(1)에 연결된 수용가로 전기 공급이 가능한 인근 변압기(2)의 저압 엘보(2a)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연결 케이블(6)의 일단은 저압 케이블(5)이 연결된 상기 터미널(4)에 연결하고 타단은 인근 변압기(2)의 저압 엘보(2a) 측에 연결하는 저압 케이블 연결단계(S20);
    상기 연결 케이블(6)과 연결된 교체 변압기(1)의 저압 엘보(1a)에 형성된 터미널(4)을 탈거하여 상기 저압 케이블(5)을 교체 변압기(1)로부터 분리 이탈시키는 저압 케이블 탈거단계(S30);
    상기 저압 케이블(5)이 탈거된 교체 변압기(1)로부터 고압 케이블(7)을 탈거한 후에 전기적으로 연결이 해제된 교체 변압기(1)를 회수한 후, 그 교체 변압기(1) 위치로 새로운 지상 변압기(8:신설 변압기)를 배치하고, 그 배치된 신설 변압기(8)로 탈거한 고압 케이블(7)을 연결 고정하는 변압기 교체단계(S40); 및
    상기 신설 변압기(8)의 저압 엘보(8a)로 탈거된 터미널(4)을 연결 부착한 후에 상기 연결 케이블(6)을 해체하여 변압기의 교체 작업을 완료하는 완료단계(S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 케이블 탈거단계(S30)는,
    탈거하고자 하는 상기 터미널(4)의 주변을 절연덮개(10)로 덮어 상기 터미널(4)을 탈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기적인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방호공정(S31)과,
    상기 터미널(4)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4)을 상기 엘보(1a)에 결속 고정하는 인서트(4a)의 하부 좌·우판(4aa,4ab)에 체결되어 상기 좌·우판(4aa,4ab)을 가압 결속하는 볼트(9a)와 너트(9b)의 체결을 해제하여 상기 인서트(4a)와 엘보(1a)의 결속을 해제하는 해제공정(S32)과,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재질로 제작된 터미널 탈거장치(200)를 통해 상기 인서트(4a)를 파지 결속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4a)의 좌·우판(4aa,4ab)을 벌려 상기 인서트(4a)와 함께 상기 터미널(4)의 용이한 탈거 상태로 형성하는 개방공정(S33)과,
    상기 엘보(1a)로부터 상기 터미널 탈거장치(200)와 함께 상기 터미널(4)을 분리 이탈시켜 상기 터미널(4)을 탈거하는 탈거공정(S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탈거장치(20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되, 일측은 개방되어 상기 터미널(4)의 인서트(4a)가 용이하게 내입되도록 하는 "ㄷ" 형상의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 내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인서트(4a)의 좌·우판(4aa,4ab) 하부를 지지하되, 상부에는 상기 좌·우판(4aa,4ab) 사이로 용이하게 진입하여 상기 좌·우판(4aa,4ab)을 벌릴 수 있도록 상부가 첨예한 개방편(221)이 형성되는 개방부재(220)와,
    상기 몸체(210)의 상부에 관통 형성되되, 내주면에는 나사산(231)이 형성되는 안내공(230)과,
    상기 안내공(230)에 체결되어 상기 안내공(230)을 타고 승강 또는 하강하되, 상부에는 회전손잡이(241)가 형성되는 가압봉(240)과,
    상기 가압봉(240)의 하부에 연결되되, 상기 가압봉(240)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몸체(2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인서트(4a)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판체(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탈거장치(200)의 몸체(210)에는 내부가 관통된 파지 파이프(270)가 부착되고,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끝단에는 상기 파지 파이프(270)를 가압 결속하는 집게(281)가 형성되는 안전 해제봉(2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 케이블 연결단계(S20)에서 교체 변압기(1)의 저압 케이블(5)과 인근 변압기(2)의 저압 엘보(2a)를 상기 연결 케이블(6)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저압 검상장치(20)를 통해서 교체 변압기(1)와 인근 변압기(2) 3상의 상일치 여부를 검사하는 검상단계(S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
KR1020190061585A 2019-05-26 2019-05-26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 KR102221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585A KR102221175B1 (ko) 2019-05-26 2019-05-26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585A KR102221175B1 (ko) 2019-05-26 2019-05-26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901A KR20200135901A (ko) 2020-12-04
KR102221175B1 true KR102221175B1 (ko) 2021-03-05

Family

ID=73776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585A KR102221175B1 (ko) 2019-05-26 2019-05-26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1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0823A (ko) 2022-03-04 2023-09-12 서영곤 지상변압기 엘보접속재 3상일괄분리연결장치와 피드쓰루를 이용한 지상변압기 무정전교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5258B1 (ko) * 2021-06-02 2023-08-17 한국전력공사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용 어댑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619Y1 (ko) 2006-07-19 2006-11-23 주식회사 평일 지상 변압기의 저압 케이블 분리용 집게형 접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680B1 (ko) * 2009-10-28 2011-11-08 주운종 변압기 무정전 교체 공법
KR20170062619A (ko) * 2015-11-27 2017-06-08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교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교체방법
KR20170136242A (ko) * 2016-06-01 2017-12-11 한국전력공사 분리공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619Y1 (ko) 2006-07-19 2006-11-23 주식회사 평일 지상 변압기의 저압 케이블 분리용 집게형 접속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0823A (ko) 2022-03-04 2023-09-12 서영곤 지상변압기 엘보접속재 3상일괄분리연결장치와 피드쓰루를 이용한 지상변압기 무정전교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901A (ko) 202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7489B2 (ja) 電柱内の電線移線機構
KR102221175B1 (ko)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
EP2016654B1 (en) Method and device for maintenance of high-voltage switchgear with voltage
KR100769583B1 (ko) 무정전 공법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지상 변압기 교체방법
CN107425309B (zh) 地面操作高处接线用电气试验夹具
KR102352787B1 (ko) 엘보접속재 탈착장치
KR102342807B1 (ko)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
KR102290560B1 (ko) 지상 변압기의 저압단자와 연결되는 터미널 탈거장치
CN104967027A (zh) 一种令克绝缘隔板
KR101905441B1 (ko) 지상변압기 교체용 엘보인서트 및 그 엘보인서트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
KR20080041785A (ko) 지중 배전선로 상의 지상변압기를 무정전 공법에 의해 부하개폐기를 구비한 지상 변압기로의 교체방법
KR102647559B1 (ko) 라인포스트 애자 교체 방법 및 장치
CN203445075U (zh) 一种令克绝缘隔板
KR101499420B1 (ko) 변압기 고장발생시 간접활선공법을 통한 임시 전력 공급방법
KR102565258B1 (ko)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용 어댑터
KR101052793B1 (ko) 일체형 컷아웃스위치 체결금구
KR200458464Y1 (ko) 컷 아웃 스위치 무정전 점검 장치
KR102540477B1 (ko)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
KR20200071557A (ko)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
JP2014166090A (ja) アースフック、及び接地方法
JP2012205323A (ja) 断線改修方法および断線改修用冶具
KR20240010331A (ko) 사활 표시 기능의 바이패스 공법용 cos 장치 및 바이패스 케이블 장치
CN211790420U (zh) 10kV带电作业多功能绝缘装置
CN216013481U (zh) 矿用无火花型验电放电一体装置
KR20230085468A (ko) 변압기 무정전 교체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