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807B1 -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 - Google Patents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807B1
KR102342807B1 KR1020190002871A KR20190002871A KR102342807B1 KR 102342807 B1 KR102342807 B1 KR 102342807B1 KR 1020190002871 A KR1020190002871 A KR 1020190002871A KR 20190002871 A KR20190002871 A KR 20190002871A KR 102342807 B1 KR102342807 B1 KR 102342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eating groove
voltage
grounding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6540A (ko
Inventor
김용규
Original Assignee
(주) 진흥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진흥이엔지 filed Critical (주) 진흥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002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807B1/ko
Publication of KR20200086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40Connection to ear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는 전신주와 연결되는 고압전선이 안치되는 제1안치홈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1안치홈과 연통되어 고압전선을 상기 제1안치홈으로 안내하는 입구가 형성되는 전도체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제1안치홈에 위치되는 고압전선을 상기 제1안치홈의 상부로 가압 밀착하여 상기 제1안치홈에 고압전선을 견고히 밀착시켜 상기 본체와 고압전선의 전기적인 연결을 유도하는 제1접지수단;과, 지상에 설치되는 임시 변압기의 고압케이블의 끝단을 상기 본체의 타측에 결합 고정하여 상기 본체와 고압케이블의 전기적인 연결을 유도하는 제2접지수단;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절연스틱을 통해 상기 본체가 고압전선에 용이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절연스틱과 연결되는 연결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체에 형성되는 제1접지수단과 제2접지수단을 통해 전신주의 고압전선과 임시 변압기를 용이하고 편리하게 연결하되, 본체와 고압전선을 연결하는 제1접지수단은 간접활선에 사용되는 도구를 통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어 간접활선 방식으로 고압전선과 임시 변압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매우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에 형성되는 제2접지수단을 접지봉으로 구현함으로 임시 변압기의 고압케이블에 연결된 종래의 연결 클램프를 적용 사용할 수 있어 더욱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Cable clamp for connecting high-voltage wires}
본 발명은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에 형성되는 제1접지수단과 제2접지수단을 통해 전신주의 고압전선과 임시 변압기를 용이하고 편리하게 연결하되, 본체와 고압전선을 연결하는 제1접지수단은 간접활선에 사용되는 도구를 통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어 간접활선 방식으로 고압전선과 임시 변압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매우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신주에 설치되는 주상 변압기 고장으로 주상 변압기의 교체 또는 수리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고장난 주상 변압기와 연결되는 고압전선을 임시 변압기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고장난 주상 변압기를 기능을 임시 변압기에서 대신하여 주상 변압기의 교체 및 수리하는 동안 전력 사용자에게 정전 없이 전력이 공급되게 하였다.
한편, 종래에 임시 변압기와 고압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은 작업자가 보호장비를 착용한 상태에서 임시 변압기의 고압케이블 끝단에 형성된 연결 클램프를 작업자가 직접 고압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하였다.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전기적인 연결을 직접 수행하는 직접활선 방식은 작업과정에서 작업자와 고압전선이 수시로 접촉될 수 있고 이러한 접촉은 전기적인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최근에는 절연스틱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전기적인 연결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간접활성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임시 변압기의 고압케이블과 연결되는 종래의 연결 클램프는 긴 봉 형상을 갖는 몸체와, 그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오므려지거나 벌려지면서 고압전선과 결합되는 파지부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파지부는 상기 몸체를 회전시킴으로 오므려지거나 별려지게 작동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연결 클램프의 몸체를 작업자가 직접 파지하여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편리한 사용이 유도되지만, 상기와 같이 간접활선을 위해 도구를 이용하여 몸체를 회전시 매우 불편하고 어렵다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연결 클램프는 통상의 간접활선에 사용되는 스틱과 같은 도구에 적용 사용하기 곤란함으로, 종래의 연결 클램프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몸체를 파지하고, 그 파지된 몸체에 회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 마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본체에 형성되는 제1접지수단과 제2접지수단을 통해 전신주의 고압전선과 임시 변압기를 용이하고 편리하게 연결하되, 본체와 고압전선을 연결하는 제1접지수단은 간접활선에 사용되는 도구를 통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어 간접활선 방식으로 고압전선과 임시 변압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매우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체에 형성되는 제2접지수단을 접지봉으로 구현함으로 임시 변압기의 고압케이블에 연결된 종래의 연결 클램프를 적용 사용할 수 있어 더욱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강화할 수 있는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는 내부에는 전신주와 연결되는 고압전선이 안치되는 제1안치홈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1안치홈과 연통되어 고압전선을 상기 제1안치홈으로 안내하는 입구가 형성되는 전도체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제1안치홈에 위치되는 고압전선을 상기 제1안치홈의 상부로 가압 밀착하여 상기 제1안치홈에 고압전선을 견고히 밀착시켜 상기 본체와 고압전선의 전기적인 연결을 유도하는 제1접지수단;과, 지상에 설치되는 임시 변압기의 고압케이블의 끝단을 상기 본체의 타측에 결합 고정하여 상기 본체와 고압케이블의 전기적인 연결을 유도하는 제2접지수단;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절연스틱을 통해 상기 본체가 고압전선에 용이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절연스틱과 연결되는 연결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접지수단은 상기 본체의 타측에 고압케이블의 끝단이 안치되도록 형성되는 제2안치홈과, 상기 제2안치홈에 안치된 고압케이블을 밀착 가압하여 고압케이블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에 의지하여 상기 고정판을 상기 제2안치홈으로 밀착시키는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와, 상기 제2안치홈 상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에 고정된 고압케이블의 끝단을 상기 본체 측으로 밀착 접촉시켜 상기 본체와 고압케이블의 전기적인 연결을 유도하는 접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제2안치홈 상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고정공과, 상기 고정공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에는 고압케이블의 끝단이 내입되는 접지공이 형성되고, 타단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접지핀과, 상기 접지핀의 타단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에 의지하여 상기 접지핀의 접지공을 상기 본체 측으로 밀착 고정시키는 접지볼트와, 상기 접지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접지공에 내입된 고압케이블을 상기 제2안치홈에 밀착 접촉시켜 상기 본체와 고압케이블의 용이한 전기적인 연결을 유도하는 접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제1접지수단은 상기 본체의 제1안치홈의 하부에 관통 형성되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안내공과, 외주면에 상기 안내공의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공을 타고 승강 또는 하강하는 가압핀과, 상기 본체의 제1안치홈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가압핀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압핀과 함께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제1안치홈에 내입되는 고압전선을 상기 제1안치홈의 상부로 밀착 가압하는 가압판과, 상가 가압핀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회전스틱을 통해 상기 가입핀이 간접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스틱의 고리와 연결되는 환형의 회전고리와, 회전스틱의 결속홈에 안치되어 회전스틱과 함께 상기 가압핀의 용이한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돌기로 이루어진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접지수단은 상기 본체의 타측에서 바깥쪽으로 연장 돌출되어 형성되는 접지봉으로 형성되되, 상기 접지봉에 임시 변압기의 고압케이블 끝단에 형성되는 연결 클램프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에 의하면, 본체에 형성되는 제1접지수단과 제2접지수단을 통해 전신주의 고압전선과 임시 변압기를 용이하고 편리하게 연결하되, 본체와 고압전선을 연결하는 제1접지수단은 간접활선에 사용되는 도구를 통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어 간접활선 방식으로 고압전선과 임시 변압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매우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에 형성되는 제2접지수단을 접지봉으로 구현함으로 임시 변압기의 고압케이블에 연결된 종래의 연결 클램프를 적용 사용할 수 있어 더욱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의 사시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100)는 본체(10)와, 제1접지수단(20)과, 제2접지수단(30)과, 연결공(40)을 포함하고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전도체로서 내부에는 전신주와 연결되는 고압전선(1)이 안치되는 제1안치홈(11)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1안치홈(11)과 연통되어 고압전선(1)을 상기 제1안치홈(11)으로 안내하는 입구(12)가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전도체로서 고압전선(1)에 흐르는 전기를 임시 변압기(2)와 연결되는 고압케이블(3)을 통해 임시 변압기(2)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전기가 원활하게 전도되는 금속재로 제작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제1안치홈(11)에 내입 위치되는 고압전선(1)의 부위는 외피가 피박된 상태로 위치되어 상기 본체(10)와 고압전선(1)의 용이한 전기적인 연결을 유도함은 물론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접지수단(20)은 상기 본체(10)의 제1안치홈(11)에 위치되는 고압전선(1)을 상기 제1안치홈(11)의 상부로 가압 밀착하여 상기 제1안치홈(11)에 고압전선(1)을 견고히 밀착시켜 상기 본체(10)와 고압전선(1)의 전기적인 연결을 유도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제1안치홈(11)의 하부에 관통 형성되되, 내주면에는 나사산(21a)이 형성되는 안내공(21)과, 외주면에 상기 안내공(21)의 나사산(21a)과 치합되는 나사산(22a)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공(21)을 타고 승강 또는 하강하는 가압핀(22)과, 상기 본체(10)의 제1안치홈(11)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가압핀(22)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압핀(22)과 함께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제1안치홈(11)에 내입되는 고압전선(1)을 상기 제1안치홈(11)의 상부로 밀착 가압하는 가압판(23)과, 상가 가압핀(22)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회전스틱(5)을 통해 상기 가입핀(22)이 간접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스틱(5)의 고리(5a)와 연결되는 환형의 회전고리(24a)와, 회전스틱(5)의 결속홈(5b)에 안치되어 회전스틱(5)과 함께 상기 가압핀(22)의 용이한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돌기(24b)로 이루어진 회전부재(24)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접지수단(10)을 통해 상기 제1안치홈(11)에 위치된 고압전선(1)과 상기 본체(10)와의 전기적인 연결이 요구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입핀(22)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회전부재(24)의 회전고리(24a)에 회전스틱(5)의 고리(5a)를 연결한 후, 상기 회전부재(24)의 회전돌기(24b)가 회전스틱(5)의 결속홈(5b)에 안치되게 한다.
그런 후,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스틱(5)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스틱(5)의 고리(5a)와 결속홈(5b)에 견고히 결속된 상기 회전부재(24)로 인해 상기 가압핀(22)이 함께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가압핀(22)이 상기 안내공(21)을 타고 승강함으로, 상기 안내공(21)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기 가압판(23)이 상기 가입핀(22)과 함께 승강하여 고압전선(1)을 상기 제1안치홈(11)의 상부로 가압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안치홈(11)에 위치된 고압전선(1)이 상기 가압판(23)에 의해 상기 제1안치홈(11)의 상부에 밀착 가압되어 견고히 고정됨과 동시에, 자연스럽게 고압전선(1)이 상기 제1안치홈(11)의 표면에 접촉 유지되어 상기 본체(10)와 고압전선(1)과의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와 고압전선(1)의 전기적인 연결의 해제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회전스틱(5)을 상기 회전부재(24)와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스틱(5)을 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가압핀(22)과 함께 상기 가압판(23)을 하강시켜 상기 가압판(23)을 통한 고압전선(1)의 가압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본체(10)와 고압전선(1)의 전기적인 연결을 간편히 해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접지수단(30)은 지상에 설치되는 임시 변압기(2)의 고압케이블(3)의 끝단을 상기 본체(10)의 타측에 결합 고정하여 상기 본체(10)와 고압케이블(3)의 전기적인 연결을 유도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타측에 고압케이블(3)의 끝단이 안치되도록 형성되는 제2안치홈(31)과, 상기 제2안치홈(31)에 안치된 고압케이블(3)을 밀착 가압하여 고압케이블(3)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판(32)과, 상기 고정판(32)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10)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10)에 의지하여 상기 고정판(32)을 상기 제2안치홈(31)으로 밀착시키는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33)와, 상기 제2안치홈(31) 상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32)에 고정된 고압케이블(3)의 끝단을 상기 본체(10) 측으로 밀착 접촉시켜 상기 본체(10)와 고압케이블(3)의 전기적인 연결을 유도하는 접지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전신주에 연결되는 고압전선(1)과 임시 변압기(2)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2접지수단(30)을 통한 임시 변압기(2)의 고압케이블(3)과 상기 본체(10)와의 전기적인 연결이 요구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제2안치홈(31)으로 고압케이블(3)의 끝단을 안치한 후에 상기 고정볼트(33)의 체결로 상기 고정판(32)을 상기 본체(10) 측으로 가압 밀착시켜 상기 고정판(32)에 의해 고압케이블(3)이 견고히 가압 고정되게 한다.
그런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부(34)를 통해 고압케이블(3)의 끝단을 상기 본체(10) 측으로 밀착 접촉시켜 상기 본체(10)와 고압케이블(3)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고압케이블(3)의 끝단은 외피가 피박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접지부(34)를 통해 상기 본체(10)와 고압케이블(3)이 서로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부(34)는 상기 제2안치홈(31) 상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고정공(341)과, 상기 고정공(341)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에는 고압케이블(3)의 끝단이 내입되는 접지공(342a)이 형성되고, 타단 외주면에는 나사산(342b)이 형성되는 접지핀(342)과, 상기 접지핀(342)의 타단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에 의지하여 상기 접지핀(342)의 접지공(342a)을 상기 본체(10) 측으로 밀착 고정시키는 접지볼트(343)와, 상기 접지핀(342)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접지공(342a)에 내입된 고압케이블(3)을 상기 제2안치홈(31)에 밀착 접촉시켜 상기 본체(10)와 고압케이블(3)의 용이한 전기적인 연결을 유도하는 접지판(3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2안치홈(31)에 안치된 고압케이블(3)의 끝단은 상기 접지핀(342)의 접지공(342a)에 내입 위치되는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상기 접지핀(342)에 체결되는 상기 접지볼트(343)의 조임에 상기 접지핀(342)의 일단이 상기 본체(10) 측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접지공(342a)에 내입된 고압케이블(3)의 끝단이 상기 제2안치홈(31)이 밀착된다.
이때, 상기 접지핀(342)의 일단에 형성되는 상기 접지판(344)을 통해 고압케이블(3)이 상기 제2안치홈(31)에 견고히 밀착 접촉되므로 상기 본체(10)와 고압케이블(3)이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접지핀(342)은 상기 접지볼트(343)의 체결에 의해 매우 견고하게 고정이 되므로 상기 접지부(34)를 통한 상기 본체(10)와 고압케이블(3)이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연결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공(40)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절연스틱(4)을 통해 상기 본체(10)가 고압전선(1)에 용이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절연스틱(4)과 연결되도록 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접지수단(30)은 상기 본체(10)의 타측에서 바깥쪽으로 연장 돌출되어 형성되는 접지봉(36)으로 형성되되,
상기 접지봉(36)에 임시 변압기(2)의 고압케이블(3) 끝단에 형성되는 연결 클램프(6)가 연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접지봉(36)은 상기 제2접지수단(30)의 제2안치홈(31)과 고정판(32)과 고정볼트(33) 및 접지부(34)를 대신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지상에 설치되는 임시 변압기(2)의 고압케이블(3)의 끝단에는 고압전선(1)과 연결될 수 있는 연결 클램프(6)가 형성되는데, 그 연결 클램프(6)가 상기 접지봉(36)에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 고압케이블(3)의 끝단에 형성되는 종래의 연결 클램프(6)를 본 발명의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100)에 적용하여 사용하되, 종래의 연결 클램프(6)가 갖는 문제점은 해결되도록 하여 본 발명의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100)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100)는 본체(10)에 형성되는 상기 제1접지수단(20)과 제2접지수단(30)을 통해 전신주의 고압전선(1)과 임시 변압기(2)를 용이하고 편리하게 연결하되, 상기 본체(10)와 고압전선(1)을 연결하는 상기 제1접지수단(20)은 간접활선에 사용되는 도구를 통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어 간접활선 방식으로 고압전선(1)과 임시 변압기(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매우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에 형성되는 상기 제2접지수단(30)을 접지봉(36)으로 구현함으로 임시 변압기(2)의 고압케이블(3)에 연결된 종래의 연결 클램프(6)를 적용 사용할 수 있어 더욱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하여 고압전선과 임시 변압기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먼저,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 변압기(2)의 고압케이블(3)을 제2접지수단(30)을 이용하여 본체(10)와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와 임시 변압기(2)와의 연결 과정은 외부의 전기가 유입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별도의 안전 도구 없이 작업자가 직접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런 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 변압기(2)와 연결된 상기 본체(10)를 고압전선(1)과 연결하기 위해 절연스틱(4)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10)를 고압전선(1)에 위치시키되, 상기 본체(10)의 제1안치홈(11)에 고압전선(1)이 내입 배치되게 위치시킨다.
그런 후, 도 4d와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스틱(5)을 이용하여 상기 제1접지수단(20)을 조작하여 상기 본체(10)의 제1안치홈(11)에 내입된 고압전선(1)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상기 제1안치홈(11)의 상부로 밀착 고정시켜 전도체인 상기 본체(10)를 통해 고압전선(1)과 임시 변압기(2)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100)의 사용이 완료되어 회수가 요구되면,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스틱(5)을 이용한 상기 제1접지수단(20)의 조작으로 상기 본체(10)에 결속 고정된 고압전선(1)의 결속을 해제하여 본 발명의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100)를 간편히 회수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고압전선 2. 임시 변압기
3. 고압케이블 4. 절연스틱
5. 회전스틱 5a. 고리
5b. 결속홈 6. 연결 클램프
10. 본체 11. 제1안치홈
12. 입구 20. 제1접지수단
21. 안내공 21a, 22a, 342b. 나사산
22. 가압핀 23. 가압판
24. 회전부재 24a. 회전고리
24b. 회전돌기 30. 제2접지수단
31. 제2안치홈 32. 고정판
33. 고정볼트 34. 접지부
341. 고정공 342. 접지핀
342a. 접지공 343. 접지볼트
344. 접지판 36. 접지봉
40. 연결공
100.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

Claims (5)

  1. 내부에는 전신주와 연결되는 고압전선(1)이 안치되는 제1안치홈(11)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1안치홈(11)과 연통되어 고압전선(1)을 상기 제1안치홈(11)으로 안내하는 입구(12)가 형성되는 전도체의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제1안치홈(11)에 위치되는 고압전선(1)을 상기 제1안치홈(11)의 상부로 가압 밀착하여 상기 제1안치홈(11)에 고압전선(1)을 견고히 밀착시켜 상기 본체(10)와 고압전선(1)의 전기적인 연결을 유도하는 제1접지수단(20);
    지상에 설치되는 임시 변압기(2)의 고압케이블(3)의 끝단을 상기 본체(10)의 타측에 결합 고정하여 상기 본체(10)와 고압케이블(3)의 전기적인 연결을 유도하는 제2접지수단(30); 및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절연스틱(4)을 통해 상기 본체(10)가 고압전선(1)에 용이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절연스틱(4)과 연결되는 연결공(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접지수단(30)은 상기 본체(10)의 타측에 고압케이블(3)의 끝단이 안치되도록 형성되는 제2안치홈(31)과, 상기 제2안치홈(31)에 안치된 고압케이블(3)을 밀착 가압하여 고압케이블(3)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판(32)과, 상기 고정판(32)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10)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10)에 의지하여 상기 고정판(32)을 상기 제2안치홈(31)으로 밀착시키는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33)와, 상기 제2안치홈(31) 상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32)에 고정된 고압케이블(3)의 끝단을 상기 본체(10) 측으로 밀착 접촉시켜 상기 본체(10)와 고압케이블(3)의 전기적인 연결을 유도하는 접지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지부(34)는 상기 제2안치홈(31) 상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고정공(341)과, 상기 고정공(341)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에는 고압케이블(3)의 끝단이 내입되는 접지공(342a)이 형성되고, 타단 외주면에는 나사산(342b)이 형성되는 접지핀(342)과, 상기 접지핀(342)의 타단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에 의지하여 상기 접지핀(342)의 접지공(342a)을 상기 본체(10) 측으로 밀착 고정시키는 접지볼트(343)와, 상기 접지핀(342)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접지공(342a)에 내입된 고압케이블(3)을 상기 제2안치홈(31)에 밀착 접촉시켜 상기 본체(10)와 고압케이블(3)의 용이한 전기적인 연결을 유도하는 접지판(34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지수단(20)은 상기 본체(10)의 제1안치홈(11)의 하부에 관통 형성되되, 내주면에는 나사산(21a)이 형성되는 안내공(21)과, 외주면에 상기 안내공(21)의 나사산(21a)과 치합되는 나사산(22a)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공(21)을 타고 승강 또는 하강하는 가압핀(22)과, 상기 본체(10)의 제1안치홈(11)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가압핀(22)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압핀(22)과 함께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제1안치홈(11)에 내입되는 고압전선(1)을 상기 제1안치홈(11)의 상부로 밀착 가압하는 가압판(23)과, 상가 가압핀(22)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회전스틱(5)을 통해 상기 가압핀(22)이 간접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스틱(5)의 고리(5a)와 연결되는 환형의 회전고리(24a)와, 회전스틱(5)의 결속홈(5b)에 안치되어 회전스틱(5)과 함께 상기 가압핀(22)의 용이한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돌기(24b)로 이루어진 회전부재(2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접지수단(30)은 상기 본체(10)의 타측에서 바깥쪽으로 연장 돌출되어 형성되는 접지봉(36)으로 형성되되, 상기 접지봉(36)에 임시 변압기(2)의 고압케이블(3) 끝단에 형성되는 연결 클램프(6)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
KR1020190002871A 2019-01-09 2019-01-09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 KR102342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871A KR102342807B1 (ko) 2019-01-09 2019-01-09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871A KR102342807B1 (ko) 2019-01-09 2019-01-09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540A KR20200086540A (ko) 2020-07-17
KR102342807B1 true KR102342807B1 (ko) 2021-12-23

Family

ID=71832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871A KR102342807B1 (ko) 2019-01-09 2019-01-09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8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8546A (ko) 2022-04-18 2023-10-25 이디아이(주) 원터치 전선 클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356B1 (ko) * 2021-01-23 2021-08-20 (주)다올산업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
KR102551476B1 (ko) * 2022-12-16 2023-07-05 신두선 접지용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2007U (ko) * 2012-09-27 2014-04-04 한국전력공사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
KR20140002002U (ko) * 2012-09-27 2014-04-04 한국전력공사 활선클램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8546A (ko) 2022-04-18 2023-10-25 이디아이(주) 원터치 전선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540A (ko) 2020-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2807B1 (ko)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
CN212011288U (zh) 一种便携式架空绝缘导线接地装置
CN205790836U (zh) 电气配电箱用电缆接地转接装置
CN105846266A (zh) 一种电气配电箱用电缆接地转接装置
CN109659854B (zh) 一种用于配电线路带电作业的引流线固定装置
CN205426971U (zh) 多功能可伸缩式电力高空测试钳
CN205720391U (zh) 66kV双重功能验电器
CN111525449A (zh) 一种高空带电安装的t接电源线夹
US20240006811A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224847B1 (ko)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CN109473794B (zh) 使用安全的低压汇流夹钳工具
CN105699713A (zh) 多功能可伸缩式电力高空测试钳及其使用方法
CN205178407U (zh) 电力电缆头制作支架
CN208589580U (zh) 一种电源连接装置
US2233618A (en) Safety welding electrode holder
KR102290560B1 (ko) 지상 변압기의 저압단자와 연결되는 터미널 탈거장치
CN115436669A (zh) 一种变压器直流电阻试验引线夹子
CN110165430B (zh) 一种接地卡具
JPH0143649Y2 (ko)
KR102639223B1 (ko) 간접활선 바이패스케이블의 단말장치
CN218351251U (zh) 一种配电变压器的连线装置
CN216903398U (zh) 一种变压器接地线导体端头电动固定装置
CN215728323U (zh) 一种线缆分线器
CN215870719U (zh) 一种电机用接线保护装置
KR102212646B1 (ko) 가공송전선로의 점퍼 분리용 바이패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