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477B1 -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477B1
KR102540477B1 KR1020200091437A KR20200091437A KR102540477B1 KR 102540477 B1 KR102540477 B1 KR 102540477B1 KR 1020200091437 A KR1020200091437 A KR 1020200091437A KR 20200091437 A KR20200091437 A KR 20200091437A KR 102540477 B1 KR102540477 B1 KR 102540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rect
live wire
gripping
hook
indirect l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2543A (ko
Inventor
최병창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91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477B1/ko
Publication of KR20220012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2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s for carrying, holding, or retaining fuse, co-operating with base or fixed holder, and removable therefrom for renewing the fus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애자몸체에 연결된 하부지지금구에 걸림되는 하부 걸림 후크부와, 하부 걸림 후크부를 지지하는 하부 하우징부와, 애자몸체에 연결된 상부지지금구에 걸림되는 상부 걸림 후크부와, 하부 하우징부에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 걸림 후크부를 지지하는 상부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APPARATUS FOR INDIRECT LIVE WIRE WORK OF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본 발명은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컷아웃스위치의 퓨즈홀더에 대한 무정전 점검 또는 교체시, 절연커버를 분리하지 않고 결착할 수 있으며, 별도의 브라켓 없이 다양한 종류의 컷아웃스위치에 결착이 가능한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설비의 유지보수 공사시 전력 공급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전력 수요자들에 대한 전력 공급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전압이 살아있는 상태 즉, 무정전 활선(live wire)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배전설비의 활선 작업은 직접 활선 작업과 간접 활선 작업으로 나뉠 수 있다. 직접 활선 작업의 경우,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간접 활선 작업의 경우, 핫스틱(hot stick)이라는 공구를 이용해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 안전성이 높은 장점이 있으나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작업 시간의 단축보다는 작업의 안전성을 보다 중시하여 배전설비의 유지보수 공사시 간접 활선작업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한편, 컷아웃스위치(COS, Cut Out Switch)의 퓨즈홀더에 대한 무정전 점검 또는 교체시, 통전경로 형성을 위해, 컷아웃스위치의 절연커버를 분리해야만 했으며, 절연커버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직접 활선 작업이 수반됨으로써,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고, 시공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간접 활선 장치는 2명의 작업자가 함께 작업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저하되고, 작업 시간도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02755호(2003.10.09 등록, 발명의 명칭: 활선작업 보조아암용 클램프)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컷아웃스위치의 퓨즈홀더에 대한 무정전 점검 또는 교체시, 절연커버를 분리하지 않고 결착할 수 있으며, 별도의 브라켓 없이 다양한 종류의 컷아웃스위치에 결착이 가능한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는, 애자몸체에 연결된 하부지지금구에 걸림되는 하부 걸림 후크부와, 하부 걸림 후크부를 지지하는 하부 하우징부와, 애자몸체에 연결된 상부지지금구에 걸림되는 상부 걸림 후크부와, 하부 하우징부에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 걸림 후크부를 지지하는 상부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 하우징부와 상부 하우징부의 내부에는 상부 하우징부의 슬라이딩 이동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되며, 탄성 부재는 하부 하우징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하부 캡과 상부 하우징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상부 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 하우징부의 내측에는 전기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하부 통전 부재가 설치되고, 상부 하우징부의 내측에는 전기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상부 통전 부재가 설치되며, 하부 통전 부재와 상부 통전 부재는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 통전 부재는 하부 캡 및 하부 걸림 후크부와 전기적으로 통전되고, 상부 통전 부재는 상부 캡 및 상부 걸림 후크부와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 하우징부에는 간접 파지를 위한 링 형상의 하부 파지 부재가 형성된 하부 파지부가 설치되고, 상부 하우징부에는 간접 파지를 위한 링 형상의 상부 파지 부재가 형성된 상부 파지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 파지 부재에 삽입되어 간접 파지하는 하부 걸림 봉이 형성된 하부 걸림부와, 상부 파지 부재에 삽입되어 간접 파지하는 상부 걸림 봉이 형성된 상부 걸림부를 구비하는 절연 스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는, 컷아웃스위치의 퓨즈홀더에 대한 무정전 점검 또는 교체시, 절연커버를 분리하지 않고 결착할 수 있으며, 별도의 브라켓 없이 다양한 종류의 컷아웃스위치에 결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에 적용된 절연 스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에 적용된 절연 스틱부의 하부 걸림봉과 상부 걸림봉을 하부 파지부와 상부 파지부에 각각 연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를 컷아웃스위치의 퓨즈홀더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에 적용된 절연 스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에 적용된 절연 스틱부의 하부 걸림봉과 상부 걸림봉을 하부 파지부와 상부 파지부에 각각 연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를 컷아웃스위치의 퓨즈홀더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컷아웃스위치의 퓨즈홀더(70)에 대한 무정전 점검 또는 교체시 사용된다.
컷아웃스위치(COS, Cut Out Switch)는 주로 전주를 통해 배선되는 고압 또는 특고압의 배전선로와 주상변압기의 일차측(고압측 또는 특고압측이라 함) 단자 사이에 설치되어 수용가 측에서 돌발적으로 발생되는 과부하를 안전하게 차단시켜 주상변압기를 보호함과 함께 배전선로 전체로 고장이 파급되는 영향을 막아 주는 역할을 비롯하여, 수용가 측의 선로에 대한 이상 유무를 점검할 경우에 있어서 수용가 측의 선로를 안전하게 개폐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컷아웃스위치는 내부공간에 퓨즈가 구비된 퓨즈홀더(70)를 포함하며, 퓨즈홀더(70)는 과부하나 낙뢰로부터 변압기를 보호하여 배전선로의 고장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돌발적인 사고 등으로 인해 퓨즈가 용단이 되면 퓨즈홀더(70)가 중력에 의하여 스스로 개방되도록 하여 퓨즈의 용단 여부를 쉽게 눈으로 식별할 수 있다.
퓨즈홀더(70)는 애자몸체(10)의 하측에 연결된 하부지지금구(20)에 하부접촉자(71)가 설치되고, 애자몸체(10)의 상측에 연결된 상부지지금구(40)에 상부접촉자(72)가 설치되어 과전류에 의해 용단되는 퓨즈(미도시)가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과전류에 의해 퓨즈가 용단되어 컷어웃스위치의 연결을 해제하므로, 주상변압기 등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안전을 위해 상부지지금구(40)는 상부 절연커버(80)로 덮여지고, 하부지지금구(20)는 하부 절연커버(90)로 덮여진다.
종래에는 컷아웃스위치의 퓨즈홀더(70)에 대한 무정전 점검 또는 교체시, 통전경로 형성을 위해, 컷아웃스위치의 하부 절연커버(90)를 분리해야만 했으며, 하부 절연커버(90)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직접 활선 작업이 수반됨으로써, 안전 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졌고, 시공 비용이 상승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는 애자몸체(10)에 연결된 하부지지금구(20)에 걸림되는 하부 걸림 후크부(300)와, 하부 걸림 후크부(300)를 지지하는 하부 하우징부(100)와, 애자몸체(10)에 연결된 상부지지금구(30)에 걸림되는 상부 걸림 후크부(500)와, 하부 하우징부(100)에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 걸림 후크부(500)를 지지하는 상부 하우징부(20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부 하우징부(100)와 상부 하우징부(20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절연 재질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부(100)의 내경은 상부 하우징부(200)의 외경보다 더 큰 크기로 형성되며, 상부 하우징부(200)는 하부 하우징부(100)에 삽입되는 형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하우징부(100)의 내측에는 전기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원통 형상의 하부 통전 부재(110)가 설치되고, 상부 하우징부(200)의 내측에는 전기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원통 형상의 상부 통전 부재(210)가 설치된다.
하부 통전 부재(110)와 상부 통전 부재(210)는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하우징부(200)가 하부 하우징부(10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에서도 서로 통전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지속적인 통전 상태를 위해, 상부 통전 부재(210)의 하단부에서 연장된 연장부(미도시)가 상부 하우징부(200)의 외면까지 연장되고, 연장부가 하부 통전 부재(110)의 내면에 항상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하우징부(100)와 상부 하우징부(200)의 내부에는 상부 하우징부(200)의 슬라이딩 이동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700)가 설치되며, 탄성 부재(700)의 하단은 하부 하우징부(100)의 단부에 설치되는 하부 캡(120)에 고정되고, 탄성 부재(700)의 상단은 상부 하우징부(200)의 단부에 설치되는 상부 캡(220)에 고정된다.
하부 캡(120)에는 하부 걸림 후크부(300)가 볼트(B)를 매개로 설치되고, 하부 캡(120)은 하부 통전 부재(110)와 전기적으로 통전된다. 따라서 하부 걸림 후크부(300)와 하부 캡(120)과 하부 통전 부재(110)는 전기적으로 통전된다.
상부 캡(220)에는 상부 걸림 후크부(500)가 볼트(B)를 매개로 설치되고, 상부 캡(220)은 상부 통전 부재(210)와 전기적으로 통전된다. 따라서 상부 걸림 후크부(500)와 상부 캡(220)과 상부 통전 부재(210)는 전기적으로 통전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것처럼, 하부 통전 부재(110)와 상부 통전 부재(210)는 상부 하우징부(200)가 하부 하우징부(10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에서도 서로 통전되도록 연결되기 때문에, 하부 걸림 후크부(300)와 상부 걸림 후크부(500)는 전기적으로 통전된다.
하부 걸림 후크부(300)와 상부 걸림 후크부(500) 사이의 전기적인 통전을 이용함으로써, 컷아웃스위치의 퓨즈홀더(70)를 무정전으로 점검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컷아웃스위치의 퓨즈홀더(70)에 대한 무정전 점검 또는 교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를 컷아웃스위치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하부 걸림 후크부(300)를 애자몸체(10)에 연결된 하부지지금구(20)에 결착한 후, 상부 하우징부(200)를 끌어당겨서 상부 걸림 후크부(500)를 애자몸체(10)에 연결된 상부지지금구(30)에 결착하고, 탄성 부재(700)에 의해 결착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별도의 브라켓 없이 다양한 종류의 컷아웃스위치에 결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 걸림 후크부(300)를 애자몸체(10)에 연결된 하부지지금구(20)에 결착할 때, 하부 걸림 후크부(300)가 컷아웃스위치의 2차 인하선(미도시)을 끼고 조여지기 때문에, 하부 절연커버(90)를 분리하지 않고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의 하부 하우징부(100)에는 하부 파지부(4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하부 파지부(400)에는 간접 파지를 위한 링 형상의 하부 파지 부재(410)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 하우징부(200)에는 상부 파지부(6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부 파지부(600)에는 간접 파지를 위한 링 형상의 상부 파지 부재(610)가 형성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는 1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절연 스틱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 스틱부(80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몸체(810)와, 제1 몸체(8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제2 몸체(820)와, 상부 걸림부(830)와, 하부 걸림부(840)를 포함한다.
상부 걸림부(830)는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몸체(810)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링 형상의 상부 파지 부재(610)에 삽입될 수 있는 상부 걸림 봉(831)을 구비한다.
하부 걸림부(840)는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걸림부(830)로부터 하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제1 몸체(810)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링 형상의 하부 파지 부재(410)에 삽입될 수 있는 하부 걸림 봉(841)을 구비한다.
절연 스틱부(800)의 상부 걸림부(830) 및 하부 걸림부(840)를 이용하여 상부 파지 부재(610) 및 하부 파지 부재(410)를 각각 파지함으로써, 컷아웃스위치의 퓨즈홀더(70)에 대한 무정전 점검 또는 교체시 1인 작업이 가능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는, 컷아웃스위치의 퓨즈홀더에 대한 무정전 점검 또는 교체시, 절연커버를 분리하지 않고 결착할 수 있으며, 별도의 브라켓 없이 다양한 종류의 컷아웃스위치에 결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애자몸체 20 : 하부지지금구
40 : 상부지지금구 70 : 퓨즈홀더
71 : 하부 접촉자 72 : 상부 접촉자
100 : 하부 하우징부 110 : 하부 통전 부재
120 : 하부 캡 200 : 상부 하우징부
210: 상부 통전 부재 220 : 상부 캡
300 : 하부 걸림 후크부 400 : 하부 파지부
410 : 하부 파지 부재 500 : 상부 걸림 후크부
600 : 상부 파지부 610 : 상부 파지 부재
700 : 탄성 부재 800 : 절연 스틱부
810 : 제1 몸체 820 : 제2 몸체
830 : 상부 걸림부 840 : 하부 걸림부

Claims (6)

  1. 애자몸체에 연결된 하부지지금구에 걸림되는 하부 걸림 후크부;
    상기 하부 걸림 후크부를 지지하며, 간접 파지를 위한 링 형상의 하부 파지 부재가 형성된 하부 파지부가 설치되는 하부 하우징부;
    상기 애자몸체에 연결된 상부지지금구에 걸림되는 상부 걸림 후크부;
    상기 하부 하우징부에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 걸림 후크부를 지지하며, 간접 파지를 위한 링 형상의 상부 파지 부재가 형성된 상부 파지부가 설치되는 상부 하우징부; 및
    상기 하부 파지 부재에 삽입되어 간접 파지하는 하부 걸림 봉이 형성된 하부 걸림부와, 상기 상부 파지 부재에 삽입되어 간접 파지하는 상부 걸림 봉이 형성된 상부 걸림부를 구비하는 절연 스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부와 상기 상부 하우징부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부의 슬라이딩 이동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하부 하우징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하부 캡과 상기 상부 하우징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상부 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부의 내측에는 전기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하부 통전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부의 내측에는 전기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상부 통전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 통전 부재와 상기 상부 통전 부재는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통전 부재는 상기 하부 캡 및 상기 하부 걸림 후크부와 전기적으로 통전되고,
    상기 상부 통전 부재는 상기 상부 캡 및 상기 상부 걸림 후크부와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200091437A 2020-07-23 2020-07-23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 KR102540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437A KR102540477B1 (ko) 2020-07-23 2020-07-23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437A KR102540477B1 (ko) 2020-07-23 2020-07-23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543A KR20220012543A (ko) 2022-02-04
KR102540477B1 true KR102540477B1 (ko) 2023-06-09

Family

ID=80267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437A KR102540477B1 (ko) 2020-07-23 2020-07-23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4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519B1 (ko) * 2018-11-08 2020-03-06 한국전력공사 컷아웃스위치의 퓨즈홀더 미개방 방지장치
KR102091020B1 (ko) * 2018-11-19 2020-03-20 한국전력공사 컷 아웃 스위치의 하부접촉금구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762B1 (ko) * 2010-03-02 2013-05-20 (주)번계전 컷 아웃 스위치 퓨즈 홀더 무정전 장치
KR20140062998A (ko) * 2012-11-15 2014-05-27 한국전력공사 컷아웃스위치의 휴즈홀더 교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519B1 (ko) * 2018-11-08 2020-03-06 한국전력공사 컷아웃스위치의 퓨즈홀더 미개방 방지장치
KR102091020B1 (ko) * 2018-11-19 2020-03-20 한국전력공사 컷 아웃 스위치의 하부접촉금구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543A (ko) 202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6135B2 (en) Automatic tripping and anti-falling arrester and a lightning protection and fuse integrated combination device
KR101499652B1 (ko) 주상변압기 보호용 피뢰기와 컷아웃 스위치의 일체형 설치구조
KR101666771B1 (ko) 전계완화가 가능한 폴리머 컷아웃 스위치
KR102540477B1 (ko) 배전설비의 간접 활선 작업용 장치
KR910006879B1 (ko) 전력라인에 작용하는 장치
CA3075102A1 (en) Hot stick quick connect surge arrester assembly
US7639113B2 (en) Enclosed insulator assembly for high-voltage distribution systems
CN201340985Y (zh) 绝缘引线固定器
KR101019744B1 (ko) 컷아웃 스위치의 퓨즈홀더 교체 장치
US20100245023A1 (en) Safety fusible connector
KR101265762B1 (ko) 컷 아웃 스위치 퓨즈 홀더 무정전 장치
CN211879979U (zh) 一种用于绝缘架空地线的便携接地装置
KR101453695B1 (ko) 컷 아웃 방식 변압기용 피뢰기
CN111244812A (zh) 一种用于绝缘架空地线的便携接地装置
KR20140062998A (ko) 컷아웃스위치의 휴즈홀더 교체장치
KR102290560B1 (ko) 지상 변압기의 저압단자와 연결되는 터미널 탈거장치
US2354907A (en) Electric switch
KR20180042028A (ko)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
KR102641695B1 (ko) 간접활선 작업용 클램프 및 컷아웃 스위치의 간접활선 작업방법
KR20130026295A (ko) 피뢰기를 내장한 컷아웃 스위치
US2937253A (en) Electric fuse mounting and connection
CN206236531U (zh) 用于配电变压器的高压保护装置
US2945108A (en) Polyphase fuse construction
KR102633354B1 (ko) 컷아웃 스위치의 퓨즈홀더 상부 구조체
KR102386956B1 (ko) 컷아웃스위치의 퓨즈홀더 개방 점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