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657B1 - 변전소의 특고압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변전소의 특고압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657B1
KR102114657B1 KR1020200035988A KR20200035988A KR102114657B1 KR 102114657 B1 KR102114657 B1 KR 102114657B1 KR 1020200035988 A KR1020200035988 A KR 1020200035988A KR 20200035988 A KR20200035988 A KR 20200035988A KR 102114657 B1 KR102114657 B1 KR 102114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fixing
bushing
elbow connecting
high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조
Original Assignee
(주)성문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문기술단 filed Critical (주)성문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035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6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전소의 특고압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변압기의 절연유가 분해되어 발생되는 절연유 분출 사고를 제어를 통해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스토퍼 동작기의 제어 작동에 따른 스토퍼의 스위칭 동작시, 엘보 접속재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변전소의 특고압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변전소의 특고압 제어시스템{HIGH VOLTAGE CONTROL SYSTEM OF SUBSTATION}
본 발명은 변전소의 특고압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변압기의 절연유가 분해되어 발생되는 절연유 분출 사고를 제어를 통해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스토퍼 동작기의 제어 작동에 따른 스토퍼의 스위칭 동작시, 엘보 접속재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변전소의 특고압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에 생산된 전력은 여러 전력 공급 계통을 통하여 일반 수용가로 공급된다. 변전소로 공급되는 전력은 특고압으로 공급되며 이는 특고압 변압기를 통하여 저압으로 변환되어 일반 수용가로 공급된다. 변전소에 구비되는 변전용 특고압 변압기는 절연유가 충진된 변압기 유닛에 내장된다. 특고압 변압기의 일차측은 부싱과 엘보 접속재를 매개로 하여 지중 전선과 연결된다. 지중 전선을 통하여 공급되는 특고압 전력은 변압기 유닛의 내부 특고압 변압기의 일차측으로 공급되고 저압으로 변환되어 특고압 변압기의 이차측으로 출력되어 수용가로 공급된다.
변압기 유닛에 내장되는 특고압 변압기는 특고압을 저압으로 변환시키기 때문에 절연유를 충진하여 사용한다.
그런데, 절연유의 분해가 발생되면 변압기 유닛의 내부에 절연유 분해가스가 발생되면서 변압기 유닛의 내부 압력이 상승된다. 변압기 유닛의 내부 압력이 한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변압기 유닛의 외부로 절연유가 분출되거나 심한 경우 변압기 유닛이 폭발되는 매우 위험한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고압 변압기에서 발생되는 상황이 조기에 발생되면서 경고할 수 있는 제어 기능이 변전소의 변전용 특고압 변압기에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310691호(2013.09.24.)에는 '변전소의 변전용 특고압 변압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변전소의 변전용 특고압 변압기는 스토퍼 동작기의 작동에 따른 스토퍼의 스위칭 동작시, 스프링의 탄성력만으로 엘보 접속재에 대한 이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엘보 접속재가 부싱으로부터 이탈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310691호(2013.09.24. '변전소의 변전용 특고압 변압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변압기의 절연유가 분해되어 발생되는 절연유 분출 사고를 제어를 통해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스토퍼 동작기의 제어 작동에 따른 스토퍼의 스위칭 동작시, 엘보 접속재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변전소의 특고압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특고압 변압기(12)가 내장되고 절연유(14)가 충진된 변압기 유닛(10); 상기 변압기 유닛(10)의 외부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특고압 변압기(12)의 일차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싱(16); 상기 부싱(16)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부싱(16)과 지중 전선(18)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엘보 접속재(20); 상기 절연유(14) 분해가 발생되어 상기 변압기 유닛(10)의 내부 압력이 제1 압력 레벨(32)에 도달할 경우 제1 트리거 동작을 개시하는 제1 압력 연동 트리거 모듈(30); 상기 절연유(14) 분해가 발생되어 상기 변압기 유닛(10)의 내부 압력이 제2 압력 레벨(42)에 도달할 경우 제2 트리거 동작을 개시하는 제2 압력 연동 트리거 모듈(40); 상기 제1 압력 연동 트리거 모듈(30)의 제1 트리거 동작에 따라 트리거 되어 알람 경고를 개시하는 알람 경고 유닛(50); 및 개구부가 마련된 베이스 부재(62), 상기 엘보 접속재(20)의 연결부 일측이 끼워져 상기 베이스 부재(62)에 탄성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유동 부재(63), 상기 유동 부재(63)가 상기 베이스 부재(62)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탄성적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스토퍼(64), 그리고 상기 스토퍼(64)를 스위칭 동작시키기 위한 스토퍼 동작기(65)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압력 연동 트리거 모듈(40)의 제2 트리거 동작에 따라 상기 스토퍼 동작기(65)가 연동하여 상기 스토퍼(64)를 스위칭 동작시켜 상기 엘보 접속재(20)를 상기 부싱(16)으로부터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엘보 접속재 분리 어셈블리(60)로 구성되는 변전소의 특고압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동작기(65)의 동작에 따른 상기 스토퍼(64)의 스위칭 동작시, 상기 엘보 접속재(2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부(1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엘보 접속재(20)는, 일단부가 상기 부싱(16)과 연결되는 수평바(21)와, 상부가 상기 수평바(21)에 연결되고 하부로 상기 지중 전선(18)이 연결되는 수직바(22)로 나뉘며, 상기 가이드부(100)는, 상기 수직바(22)의 하부 외측으로 결합되는 고정수단(110); 상기 수평바(21)로부터 상기 고정수단(11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120); 및 상기 엘보 접속재 어셈블리(6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변압기 유닛(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110)을 가압하는 가압수단(13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110)은, 타단부가 변압기 유닛(10)을 향하도록 상기 수직바(22)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바(111a)와, 상기 한 쌍의 고정바(111a)의 일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지지수단(120)에 의해 지지되는 연결바(111b)를 포함하는 고정체(111); 상기 한 쌍의 고정바(111a)의 타단부로 결합되는 가압판(112); 및 상기 각 고정바(111a)로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체(111)를 상기 수직바(22)로 고정하는 고정부재(113)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120)은, 상기 수평바(21)의 타단부 외측으로 결합되는 지지링(121); 상부가 상기 지지링(121)에 연결되고, 하부가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바(111b)를 통과하는 지지바(122); 및 상기 지지바(122)의 하부로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수단(110)을 상기 수직바(22)로 고정하는 지지부재(123)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수단(130)은, 상기 스토퍼(64)의 스위칭 동작과 함께 상기 가압판(112)을 상기 변압기 유닛(10)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엘보 접속재(20)가 부싱(16)으로부터 원활하게 이탈되면서 상기 엘보 접속재(2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변전소의 특고압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압기의 절연유가 분해되어 발생되는 절연유 분출 사고를 제어를 통해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토퍼 동작기의 제어 작동에 따른 스토퍼의 스위칭 동작시, 엘보 접속재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엘보 접속재가 부싱으로부터 원활하게 이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의 특고압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변압기 유닛의 내부 압력 변화에 따른 제1 및 제2 압력 연동 트리거 모듈의 트리거 동작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1의 변압기 유닛의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경고 동작과 엘보 접속재 자동 분리 동작이 실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부싱에 엘보 접속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부싱으로부터 엘보 접속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가이드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고정수단 및 지지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6에서 부싱으로부터 엘보 접속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의 특고압 제어시스템은 변압기 유닛(10)이 구비된다. 변압기 유닛(10)의 내부에는 특고압 변압기(12)가 내장되고 절연유(14)가 충진되어 밀봉된다. 변압기 유닛(10)의 외부 일측에는 부싱(16)이 장착된다. 부싱(16)은 특고압 변압기(12)의 일차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부싱(16)과 변압기(12)의 일차측 사이에는 전류 제한을 위한 퓨즈가 연결된다. 부싱(16)과 지중 전선(18)은 엘보 접속재(20)에 의해 연결된다. 엘보 접속재(20)는 부싱(16)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부싱(16)과 지중 전선(18)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변압기 유닛(10)에는 제1 압력 연동 트리거 모듈(30)과 제2 압력 연동 트리거 모듈(40)이 구비되며 이들에 의해 동작이 개시되는 알람 경고 유닛(50)과 엘보 접속재 분리 어셈블리(6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변전소의 특고압 제어시스템은 지중 전선(18)을 통하여 전송 되어온 특고압 전력이 엘보 접속재(20)와 부싱(16)을 통하여 변압기 유닛(10)에 내장된 특고압 변압기(12)의 일차측으로 공급된다. 특고압 변압기(12)의 일차측으로 공급된 특고압 전력은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차측에서 저압으로 변환되어 일반 수용가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변압기 유닛(10)에서 일련의 전력 변환 과정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어떠한 원인에 의해 변압기 유닛(10)의 내부에 충진된 절연유(14)가 분해될 수 있다. 절연유(14)의 분해가 발생되면 변압기 유닛(10)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절연유(14)의 분해가스에 의해 변압기 유닛(1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제1 압력 연동 트리거 모듈(30)과 제2 압력 연동 트리거 모듈(40)은 변압기 유닛(10)의 내부 압력이 각기 설정된 특정 압력 레벨에 도달하면 각각 트리거 동작을 개시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절연유(14)의 분해가 진행되면서 변압기 유닛(10)의 내부압력이 상승하여 제1 압력 레벨(32)에 도달하게 되면 이에 반응하여 제1 압력 연동 트리거 모듈(30)이 제1 트리거 동작을 개시한다. 절연유(14)의 분해가 계속 진행되면서 변압기 유닛(10)의 내부 압력이 보다 높이 상승하여 제2 압력 레벨(42)에 도달하게 되면 이에 반응하여 제2 압력 연동 트리거 모듈(40)이 제2 트리거 동작을 개시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변압기 유닛(1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제1 압력 레벨에 도달(S10)하게 되면 이에 반응하여 제1 압력 연동 트리거 모듈(30)이 제1 트리거 동작을 개시(S20)한다. 제1 압력 연동 트리거 모듈(30)이 제1 트리거 동작을 개시하면 이에 연동하여 알람 경고 유닛(50)이 동작하여 경고 알람을 발생(S30)한다. 알람 경고 유닛(50)은 제1 압력 연동 트리거 모듈(30)의 제1 트리거 동작에 연동하는 알람 발생기(52)와 알람 발생기(52)에 연결되어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스피커(54)로 구성된다.
변압기 유닛(10)의 내부 압력이 제1 압력 레벨(32)에서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제2 압력 레벨(42)에 도달(S40)하게 되면 이에 반응하여 제2 압력 연동 트리거 모듈(40)이 제2 트리거 동작을 개시(S50)한다. 제2 압력 연동 트리거 모듈(40)이 제2 트리거 동작을 개시하면 이에 따라 엘보 접속재 분리 어셈블리(60)가 동작하여 엡보 접속재(20)를 부싱(16)으로부터 자동적으로 분리(S60)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변전소의 특고압 제어시스템은 변압기 유닛(10)의 내부에 충진된 절연유(14)가 어떠한 원인에 의해서 분해가 발생되어 변압기 유닛(1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그 압력 레벨이 제1 압력 레벨(32)에 도달하면 일차 경고 알람을 발생하여 특고압 변압기에 위험 상황이 발생되고 있음을 경고한다.
일차 경고에도 불구하고 변압기 유닛(10)의 압력 상승에 어떠한 조치가 없어서 지속해서 압력이 상승하면 변압기 유닛(10)이 상승하는 압력에 견디지 못하고 폭발할 수 있다. 그럼으로 변압기 유닛(10)의 내부 압력이 한계 상황에 도달하기 이전인 제2 압력 레벨(42)에 도달하게 되면 부싱(16)에 연결된 엘보 접속재(20)를 자동적으로 분리시킴으로서 변압기 유닛(10)이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엘보 접속재(20)는 엘보 접속재 분리 어셈블리(60)를 사이에 두고 변압기 유닛(10)의 외부 일측에 장착된 부싱(16)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부싱(16)을 통하여 지중 전선(18)을 특고압 변압기(12)의 일차측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엘보 접속재 어셈블리(60)는 개구부(61)가 마련된 베이스 부재(62), 엘보 접속재(20)의 연결부 일측이 끼워져 베이스 부재(62)에 탄성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유동 부재(63), 유동 부재(63)가 베이스 부재(62)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탄성적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스토퍼(64), 그리고 스토퍼(64)를 스위칭 동작시키기 위한 스토퍼 동작기(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부재(62)는 개구부(61)가 부싱(16)에 정렬되도록 변압기 유닛(10)의 외부 일측에 복수개의 나사들(66)에 의해서 장착되어 고정된다. 베이스 부재(62)는 내측에 원통형 스프링(67)이 장착되어 유동 부재(63)를 후방으로 미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유동 부재(63)는 엘보 접속재(20)의 연결부 일측이 끼워져 원통형 스프링(67)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는 힘을 받는 상태로 베이스 부재(62)에 장착된다.
스토퍼(64)는 유동 부재(63)가 베이스 부재(62)에 끼워지고 원통형 스프링(67)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는 힘을 받을 때 유동 부재(63)가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 위치를 유지한다. 그럼으로 엘보 접속재(20)는 엘보 접속재 분리 어셈블리(60)를 사이에 두고 부싱(16)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지중 전선(18)이 활선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특고압 변압기(12)가 동작하면 지중 전선(18)을 통해서 전송되어오는 특고압 전력은 부싱(16)을 통하여 특고압 변압기(12)의 일차측으로 공급된다. 특고압 변압기(12)의 일차측으로 공급되는 특고압 전력은 저압으로 변환되어 특고압 변압기(12)의 이차측으로 출력되고 수용가로 공급된다.
그런데, 어떠한 원인에 의해서 변압기 유닛(10)의 내부에 충진된 절연유(14)의 분해가 발생되어 변압기 유닛(1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그 압력 레벨이 제1 압력 레벨(32)에 도달하면 일차 경고 알람을 발생하여 특고압 변압기에 위험 상황이 발생되고 있음을 경고한다. 그러나 일차 경고에도 불구하고 변압기 유닛(10)의 압력 상승에 어떠한 대응 조치가 없어서 지속하여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급기야 제2 압력레벨(42)에 도달하게 되고 그러한 경우 제2 압력 연동 트리거 모듈(40)이 제2 트리거 동작을 개시한다.
제2 압력 연동 트리거 모듈(40)이 제2 트리거 동작을 개시하면, 이에 연동하여 스토퍼 동작기(65)가 동작하여 스토퍼(64)를 스위칭 동작시킨다. 스토퍼(64)가 스위칭 동작하면 엘보 접속재 분리 어셈블리(60)의 유동 부재(63)가 원통형 스프링(67)의 미는 힘에 의해서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그럼으로 유동 부재(63)에 끼워진 엡보 접속재(20)는 부싱(16)으로부터 후방으로 이탈되어 기계적으로 분리된다. 이에 따라 지중 전선(18)과 부싱(16)의 전기적 연결도 분리된다. 그럼으로 변압기 유닛(10)의 내부 압력이 한계 상황에 도달하기 이전인 제2 압력 레벨(42)에서 부싱(16)에 연결된 엘보 접속재(20)를 자동적으로 분리시킴으로서 1 차측에 공급되는 전원이 제거되므로 절연유(14)의 분해가 중단되므로 변압기 유닛(10)이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의 특고압 제어시스템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동작기(65)의 동작에 따른 스토퍼(64)의 스위칭 동작시, 엘보 접속재(2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부(100)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부(100)는 스토퍼(64)의 스위칭 동작시, 엘보 접속재(20)가 부싱(16)으로부터 원활하게 분리,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즉, 가이드부(100)는 스프링(67)의 탄성력만으로 엘보 접속재(20)를 가압하므로 인한 엘보 접속재(20)와 부싱(16) 간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을 방지한다.
엘보 접속재(20)는 일단부가 부싱(16)과 연결되는 수평바(21)와, 상부가 수평바(21)에 연결되고 하부로 지중 전선(18)이 연결되는 수직바(22)로 나뉠 수 있다.
가이드부(100)는 수직바(22)의 하부 외측으로 결합되는 고정수단(110), 수평바(21)로부터 고정수단(11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120) 및 엘보 접속재 어셈블리(6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변압기 유닛(10)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수단(110)을 가압하는 가압수단(130)을 포함한다.
고정수단(110)은 타단부가 변압기 유닛(10)을 향하도록 수직바(22)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바(111a)와 한 쌍의 고정바(111a)의 일단부를 연결하며 지지수단(120)에 의해 지지되는 연결바(111b)를 포함하는 고정체(111), 한 쌍의 고정바(111a)의 타단부로 결합되는 가압판(112) 및 각 고정바(111a)로 결합되면서 고정체(111)를 수직바(22)로 고정하는 고정부재(113)를 포함한다.
고정바(111a)는 원형봉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수직바(22)의 양측에 배치되면서 평행을 이룬다.
연결바(111b)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한 쌍의 고정바(111a)의 일단부를 연결한다.
고정체(111)는 연결바(111b)의 타측에 한 쌍의 고정바(111a)의 일단부가 일체로 연결되면서 상부에서 바라볼 때, 타측이 개방되는 'ㄷ'자 형태를 이룬다.
연결바(111b)는 수직바(22)와 접하는 타측에 곡면홈(111c)이 형성되면서 수직바(22)와 접한다.
가압판(112)은 수직의 사각판으로 이루어지며, 고정바(111a)가 통과하는 한 쌍의 통공(112a)이 형성되면서 한 쌍의 고정바(111a)의 타단부 외측으로 결합된다.
고정바(111a)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정부재(113)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고정바(111a)의 타단부 외측으로 나사결합된다.
고정부재(113)는 조임 회전에 따라 가압판(112)으로 이동되면서 가압판(112)이 수직바(22)에 밀착되도록 한다.
가압판(112)은 수직바(22)와 접하는 타측면에 압착부재(11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착부재(114)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부재(113)의 조임에 따라 수직바(22)로의 밀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고정수단(110)은 수직바(22)의 하부 외측으로 결합될 수 있다.
지지수단(120)은 수평바(21)의 타단부 외측으로 결합되는 지지링(121), 상부가 상기 지지링(121)에 연결되고 하부가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결바(111b)를 통과하는 지지바(122) 및 지지바(122)의 하부로 결합되면서 고정수단(110)을 수직바(22)로 고정하는 지지부재(123)를 포함한다.
지지링(121)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수평바(21)의 타단부 외측으로 결합된다.
지지바(122)는 원형바 형태를 이루며, 상부가 지지링(121)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하부가 연결바(111b)를 통과한다.
연결바(111b)는 곡면홈(111c)의 타측에 지지바(122)의 하부가 통과하는 중공(111d)이 형성된다.
지지바(122)는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지지부재(123)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지지바(122)의 하부 외측으로 나사결합된다.
지지부재(123)는 조임 회전에 따라 연결바(111b)로 밀착되면서 지지바(122)로부터 연결바(111b) 다시 말하면, 고정수단(110)의 이탈을 방지한다.
가압수단(130)은 스토퍼(64)의 스위칭 동작과 함께 가압판(112)을 변압기 유닛(10)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엘보 접속재(20)가 부싱(16)으로부터 원활하게 이탈되면서 엘보 접속재(2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가압수단(130)은 일단부가 엘보 접속재 어셈블리(6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변압기 유닛(10)에 고정되는 가이드바(131), 가이드바(131)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판(132) 및 조절판(132)과 가압판(112) 간에 위치되도록 타단부가 가압판(112)에 고정되는 탄성부재(133)를 포함한다.
가이드바(13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조절판(132)은 가이드바(13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가이드공(132a)이 형성되는 한편, 가이드공(132a)을 이루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가이드바(131)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된다.
조절판(132)은 회전에 따라 가이드바(13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탄성부재(133)의 탄성력을 적절하게 조절한다.
가이드바(131)는 타단부에 이탈방지캡(134)이 구비되면서 조절판(13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133)는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타단부가 가압판(112)에 고정되면서 엘보 접속재(2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된다.
탄성부재(133)는 평상시, 조절판(132)과 가압판(112) 간에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다 스토퍼(64)의 스위칭 동작에 따른 엘보 접속재(20)의 이동과 함께 이완되면서 가압판(112)을 가압한다.
탄성부재(133)는 가압판(112)을 가압하여 엘보 접속재(20)가 엘보 접속재(20)가 부싱(16)으로부터 원활하게 이탈되면서 엘보 접속재(2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로 인해, 가이드부(100)는 스토퍼(64)의 스위칭 동작시, 스프링(67)의 탄성력만으로 엘보 접속재(20)를 가압하므로 인한 엘보 접속재(20)와 부싱(16) 간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엘보 접속재(20)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의 특고압 제어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변압기 유닛 20: 엘보 접속재
30: 제1 압력 연동 트리거 모듈 40: 제2 압력 연동 트리거 모듈
50: 알람 경고 유닛 60: 엘보 접속재 분리 어셈블리
100: 가이드부 110: 고정수단
120: 지지수단 130: 가압수단

Claims (1)

  1. 특고압 변압기와 절연유가 구비된 변압기 유닛; 일차측에 전기적 연결된 부싱; 부싱과 지중전선을 연결시키는 엘보 접속재; 제1 트리거 동작을 개시하는 제1 압력 연동 트리거 모듈; 제2 트리거 동작을 개시하는 제2 압력 연동 트리거 모듈; 제1 트리거 동작의 알람 경고를 개시하는 알람 경고 유닛; 엘보 접속재를 부싱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엘보 접속재 분리 어셈블리로 구성되는 변전소의 특고압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스토퍼의 스위칭 동작시, 상기 엘보 접속재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엘보 접속재는 일단부가 부싱과 연결되는 수평바; 상부가 수평바에 연결되고 하부로 지중 전선이 연결되는 수직바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수직바의 하부 외측으로 결합되는 고정수단; 수평바로부터 고정수단을 지지하는 지지수단; 및 변압기 유닛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수단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수직바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바, 한 쌍의 고정바의 일단부를 연결하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고정체; 한 쌍의 고정바 타단부에 결합되는 가압판; 및 각 고정바로 결합되면서 고정체를 수직바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은 수평바의 타단부 외측으로 결합되는 지지링; 상부가 지지링에 연결되고 하부는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결바를 통과하는 지지바; 및 지지바의 하부로 결합되면서 고정수단을 수직바로 고정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변전소의 특고압 제어시스템.

KR1020200035988A 2020-03-25 2020-03-25 변전소의 특고압 제어시스템 KR102114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988A KR102114657B1 (ko) 2020-03-25 2020-03-25 변전소의 특고압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988A KR102114657B1 (ko) 2020-03-25 2020-03-25 변전소의 특고압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657B1 true KR102114657B1 (ko) 2020-05-25

Family

ID=70914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988A KR102114657B1 (ko) 2020-03-25 2020-03-25 변전소의 특고압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657B1 (ko)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10105A (ja) * 1995-09-28 1998-09-29 フィリップ マグニエル 変圧器の爆発及び発火を防止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0136290Y1 (ko) * 1996-02-05 1999-03-30 이종훈 지상설치용 변압기의 고압붓싱 절연부재
KR200217133Y1 (ko) * 2000-10-26 2001-03-15 한국전력공사 무정전 교체 지상변압기
KR200296641Y1 (ko) * 2002-09-03 2002-11-29 동아전기 주식회사 저손실형 패드 변압기
KR100379867B1 (ko) * 2000-09-25 2003-04-11 평일산업 주식회사 변압기용 퓨즈내장 엘보접속재
KR200428608Y1 (ko) * 2006-07-19 2006-10-16 주식회사 평일 무정전 공법에 의한 변압기 교체용 1차측 접속장치
KR100769335B1 (ko) * 2006-07-19 2007-10-24 주식회사 평일 무정전 공법에 의한 변압기 교체용 1차측 접속장치
KR100824584B1 (ko) * 2006-06-23 2008-04-30 주식회사 평일 엘보접속재 활선 개폐장치
KR101017093B1 (ko) * 2009-07-28 2011-02-25 주식회사 평일 엘보접속재 활선 개폐장치
KR101155775B1 (ko) * 2011-01-11 2012-06-12 주식회사 건영종합전기 지상 전력설비 점검방법 및 점검장치
KR101310691B1 (ko) 2013-07-04 2013-09-24 (주)동성기술감리단 변전소의 변전용 특고압 변압기
KR101453925B1 (ko) * 2014-07-28 2014-11-04 (주)세종그룹엔지니어링 안정성이 확보된 접지장치를 갖춘 송변전구조물
KR20180111289A (ko) * 2017-03-31 2018-10-11 한국전력공사 엘보접속재 탈착장치
KR20190125645A (ko) * 2018-04-30 2019-11-07 한국전력공사 변압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10105A (ja) * 1995-09-28 1998-09-29 フィリップ マグニエル 変圧器の爆発及び発火を防止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0136290Y1 (ko) * 1996-02-05 1999-03-30 이종훈 지상설치용 변압기의 고압붓싱 절연부재
KR100379867B1 (ko) * 2000-09-25 2003-04-11 평일산업 주식회사 변압기용 퓨즈내장 엘보접속재
KR200217133Y1 (ko) * 2000-10-26 2001-03-15 한국전력공사 무정전 교체 지상변압기
KR200296641Y1 (ko) * 2002-09-03 2002-11-29 동아전기 주식회사 저손실형 패드 변압기
KR100824584B1 (ko) * 2006-06-23 2008-04-30 주식회사 평일 엘보접속재 활선 개폐장치
KR100769335B1 (ko) * 2006-07-19 2007-10-24 주식회사 평일 무정전 공법에 의한 변압기 교체용 1차측 접속장치
KR200428608Y1 (ko) * 2006-07-19 2006-10-16 주식회사 평일 무정전 공법에 의한 변압기 교체용 1차측 접속장치
KR101017093B1 (ko) * 2009-07-28 2011-02-25 주식회사 평일 엘보접속재 활선 개폐장치
KR101155775B1 (ko) * 2011-01-11 2012-06-12 주식회사 건영종합전기 지상 전력설비 점검방법 및 점검장치
KR101310691B1 (ko) 2013-07-04 2013-09-24 (주)동성기술감리단 변전소의 변전용 특고압 변압기
KR101453925B1 (ko) * 2014-07-28 2014-11-04 (주)세종그룹엔지니어링 안정성이 확보된 접지장치를 갖춘 송변전구조물
KR20180111289A (ko) * 2017-03-31 2018-10-11 한국전력공사 엘보접속재 탈착장치
KR20190125645A (ko) * 2018-04-30 2019-11-07 한국전력공사 변압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74906C2 (ru) Средневольтно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системой короткого замыкания
US9132734B2 (en) Connection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battery case comprising such a connec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 battery case
US20130307327A1 (en) Device for Connecting a Batter to an Electric or Hybrid Vehicle, and Battery Housing Comprising Said Connection Device
US5677076A (en) Safety device for enclosed cell
US20220183175A1 (en) Housing for an electrical device having a cover and electrical device having a housing
KR102114657B1 (ko) 변전소의 특고압 제어시스템
JP5908347B2 (ja) 電磁操作式開閉装置
US4235347A (en) Air-tight molded resin enclosure with a safety membrane for electric devices
US10395855B2 (en) Switch
JP7434626B2 (ja) 操作棒
EP3059752B1 (en) Vacuum interrupter
US3452167A (en) Power inlet with auxiliary circuit controlling switch
CN216902709U (zh) 具有烟火式激发装置的开关电器
KR200475876Y1 (ko) 주상변압기용 밀폐장치
KR101310691B1 (ko) 변전소의 변전용 특고압 변압기
CN110050322B (zh) 配件、操作工具以及圆筒形断流器的熔断器筒的拔出方法
KR101793547B1 (ko) 진공인터럽터 정렬용 지그
US6236010B1 (en) Circuit interrupter including a penetrating electrical contact with grip and release structure
US2261008A (en) Circuit interrupter
KR20220049780A (ko) 변전용 특고압 변압기
CN113410101A (zh) 一种增强电寿命后绝缘电阻的高压直流继电器
CN111653428A (zh) 圆柱形电容器杯以及具有圆柱形电容器杯的电容器
KR100341998B1 (ko) 누름버튼 스위치 박스
CN113412527A (zh) 合闸开关和开关设备
US9761400B2 (en) Apparatus for auxiliary contact of circuit br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