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974B1 -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 Google Patents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974B1
KR101869974B1 KR1020170168531A KR20170168531A KR101869974B1 KR 101869974 B1 KR101869974 B1 KR 101869974B1 KR 1020170168531 A KR1020170168531 A KR 1020170168531A KR 20170168531 A KR20170168531 A KR 20170168531A KR 101869974 B1 KR101869974 B1 KR 101869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ediate medium
line
wire
branch
concav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근
Original Assignee
(주)세명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명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세명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168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Abstract

본 발명의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에 따르면, 종래 알루미늄 재질의 분기 슬리브로 동선으로 이루어진 본선 및 분기선을 상호 접속할 때의 전해 부식 발생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재질의 슬리브 본체에 삽입 접촉되는 중간 매개체의 재질을 동일한 재질로 구성함에 따라 본선과 분기선의 재질에 맞춰서 접속 부위에서의 전해 부식 현상(즉, 전식) 및 이로 인한 산화피막이 형성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본선 및 분기선이 분리슬리브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Split Connector for Power Line}
본 발명은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의 재질의 분기슬리브에 알루미늄 전선과 동 전선이 사용되는 본선 및 분기선이나, 변압기 등의 접지용 인출선으로 사용되는 동선을 연결할 경우, 알루미늄과 동(구리)의 조합과 같은 이질 금속의 접속으로 인해 발생되는 전식에 의한 부식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저전압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본선 및 분기선이 분리슬리브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의 배전 시 22.9㎸의 특고압을 배전전압으로 하여 전기공급 장소의 주상변압기까지 공급한 후, 배전용 주상변압기에서 220V, 380V의 저압으로 변환하여 일반 가정이나 산업체 등의 전기 수요자에게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배전선로의 본 선로에서 선로를 분리하거나 본 선로에서 주상변압기로 전력을 제공하는 경우 본선과 분기선에 분기슬리브를 장착하여 두 선을 접속하게 되는데, 본선과 분기선을 접속하고 있는 분기슬리브에는 커버를 장착하여 빗물이나 조류에 의한 피해 등 외부로부터의 여러 가지 악영향들을 방지하는 한편 분기부를 절연시키고 있다.
종래의 가공배전 선로가 설치된 전주의 설치형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주(10)에는 전력이 송전되는 본선(11)과 컷아웃스위치(13)와 주상변압기(4) 및 애자 등이 장착되어 있으며, 본선(11)을 통해 배전되는 전력은 컷아웃스위치(13)를 거쳐 주상변압기(14)로 제공되고, 이 주상변압기(14)는 특고압으로 배전되는 전력을 사용 가능한 정격 전압(220V, 380V)으로 낮추어 인하선(15)을 통해 전력선(12)으로 제공하여 가정이나 산업체 등의 전기 수용자에게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본선(11)은 전주(10)에 설치된 양쪽의 클램프커버(16)에 고정 설치되고, 이 양쪽의 클램프커버(16) 사이의 장력이 걸리지 않는 본선(11) 부위에 분기선(17)이 분기슬리브(20)로 접속되어 컷아웃스위치(13)로 전력이 공급되며, 분기슬리브(11)의 외부에 커버(11)가 설치된다.
여기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분기슬리브(20)는 빗물이 스며들지 못하게 하는 한편, 절연시켜 감전사고를 방지하고자 분기슬리브커버(30)에 의해 감싸진 체 전선을 접속하도록 되어 있는바, 상기 분기슬리브커버(30)는 분기슬리브(20)가 안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양단부에 원추 형태로 인출구(31)가 형성되어 본선(11)이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인출구(31)에서 하단부로 절개되어 양쪽으로 분할되고, 이 분할된 하단부의 양쪽에 체결턱과 체결편으로 이루어진 수개의 체결구(32)가 형성된다.
이처럼, 종래의 분기슬리브(20)는 본선(11)의 피복을 제거하고 분기선(17)을 접속한 상태에서 분기슬리브커버(30)의 분할된 하단부를 벌려 분기슬리브(20)를 내부에 안치하고, 양측의 본선(11)을 인출구(31)에 끼워 인출시킨 다음, 분기선(17)을 한쪽의 인출구(31)로 인출한 상태에서 수 개의 체결구(32)를 통해 결합하며, 양측의 인출구(31) 부위를 테이핑 작업으로 밀폐시켜 빗물이 스며들지 못하게 하는 한편, 절연시켜 감전 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분기슬리브는 상부 측에 분기슬리브의 본선 측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측에는 분기선 측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분기슬리브의 본선 측 장착홈에는 본선이 압착된 상태로 장착되고, 분기선 측 장착홈에는 분기선이 압착되어 분기 접속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 알루미늄 전선과 동선을 연결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재질이며 일부에 절결부를 갖는 원호상의 장착부를 양측에 설치한 기존의 알루미늄선용 분기슬리브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인 분기슬리브는 알루미늄과 구리가 이질 접속됨과 아울러, 분기슬리브와 동선이 완전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이의 경계면에 수분, 습기 또는 이물질이 침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온화 전위가 낮은 알루미늄이 용해 부식되어 접촉 저항을 증가시켜 접속부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전해 부식이 가속화되어 산화피막이 형성되고, 접촉 불량을 야기하여 단선사고 등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량된 조인트 슬리브 및 그 제작법이 개시되어 있고, 전선접속에 있어서 분기용 이질 금속 슬리브가 개시되어 있으며, 피뢰기용 이질 금속 분기슬리브가 개시되어 있으며,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 슬리브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알루미늄 재질의 분기 슬리브에 동선 재질의 전선이 접속될 때, 알루미늄 재질의 분기 슬리브와 동선의 전선이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별도의 동파이프(혹은 동관)를 접속 부위에 삽입함으로써, 동선의 전선과 동파이프에 의한 동일 금속의 조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알루미늄 재질의 분기 슬리브와 동선이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알루미늄 재질의 분기 슬리브와 동선인 전선의 직접적인 접촉이 없는 관계로, 분기 슬리브와 동선인 전선 사이에 이질 금속의 접촉에 의한 전해 부식 문제를 일정 정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실질적으로 종래 분기 슬리브의 접촉면에 삽입되는 별도의 동파이프(혹은 동관)와 알루미늄 재질의 분기 슬리브는 이질 금속인 관계로, 동파이프와 분기 슬리브 사이에는 또 다른 이질0 금속에 의한 접촉이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처럼, 알루미늄 재질의 분기 슬리브와 동파이프의 접촉 부위에는 압착에 의해 견고하게 밀착된다고 하더라도 동일 금속이 아니기 때문에 아주 미세한 간극이 상존할 우려가 있고, 이 부분에서 이질 금속의 접촉에 의한 전해 부식 문제가 발생하여 산화 피막이 형성됨은 물론, 경계면에 수분, 습기 또는 이물질이 침투하는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소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1998-006506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알루미늄 재질의 분기 슬리브로 동선으로 이루어진 본선 및 분기선을 상호 접속할 때의 전해 부식 발생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재질의 슬리브 본체에 삽입 접촉되는 중간 매개체의 재질을 동일한 재질로 구성함에 따라 본선과 분기선의 재질에 맞춰서 접속 부위에서의 전해 부식 현상(즉, 전식) 및 이로 인한 산화피막이 형성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본선 및 분기선이 분리슬리브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는 일측이 개구 절결된 본선 접속용 제1접속부 및 분기선 접속용 제2접속부를 갖춘 알루미늄 재질의 슬리브본체로 이루어진 분기슬리브와, 상기 분기슬리브를 사용하여 배전 선로의 본선과 분기선을 상호 접속하는 과정에서 본선 및 분기선의 재질에 따른 이질 금속에 의한 전해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매개체를 삽입하여 접속 연결하게 되는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선 및 분기선 중 어느 하나는 알루미늄선이고, 다른 하나는 동선인 경우, 상기 중간매개체는 알루미늄 재질의 판재와 동 재질의 판재를 폭발 용접에 의해 접합시켜 중간에 접합면이 형성된 바이메탈로 제조되고; 알루미늄선으로 이루어진 본선 및 분기선이 제1접속부 및 제2접속부에 각각 접속될 때에는 아무런 매개물 없이 본선 및 분기선의 피복을 벗긴 나선 부위가 직접 접속되며; 상기 동선으로 이루어진 본선 및 분기선이 제1접속부 및 제2접속부에 각각 접속될 때에는 제1접속부 및 제2접속부에 알루미늄 재질의 동일 금속이 접촉되는 상태로 중간매개체가 밀착되게 장착됨과 동시에, 본선 및 분기선의 피복을 벗긴 나선 부위가 중간매개체 내부에 동 재질의 동일 금속으로 접촉되는 상태로 밀착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중간 매개체는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엠보싱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외측은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오목홈이 형성되고 내측은 상기 오목홈이 형성됨에 따라 내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볼록탭이 형성된다.
상기 제1접속부 내주면에는 중간매개체를 밀착 안착시킬 수 있는 장착홈이 구비될 수 있다.
제2접속부에 장착되는 중간매개체는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에 따르면, 종래 알루미늄 재질의 분기 슬리브로 동선으로 이루어진 본선 및 분기선을 상호 접속할 때의 전해 부식 발생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재질의 슬리브 본체에 삽입 접촉되는 중간 매개체의 재질을 동일한 재질로 구성함에 따라 본선과 분기선의 재질에 맞춰서 접속 부위에서의 전해 부식 현상(즉, 전식) 및 이로 인한 산화피막이 형성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본선 및 분기선이 분리슬리브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주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분기슬리브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에 본선 및 분기선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에 본선 및 분기선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에 본선 및 분기선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에 본선 및 분기선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에 구비된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기슬리브는 가공케이블 전선의 장력이 걸리지 않는 장소에서 알루미늄선과 동선의 압축 접속에 사용되는 것으로써,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전선로의 본선(110)과 분기선(120)을 상호 접속하기 위하여 슬리브 본체(100) 상에 본선(110)이 접속되는 일측이 개구 절결된 제1접속부(101)와, 분기선(120)이 접속되는 일측이 개구 절결된 제2접속부(102)가 상하 양쪽으로 각각 둥근 홈 형태로 구획 형성된 구조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상기 분기슬리브는 통상의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Al) 재질로 제조된다.
이러한 분기슬리브는 표면에 흠이나 결함이 없어야 하고, 적용 전선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어야 하며, 특히, 분기슬리브를 압축 공구에 장착하였을 경우, 장착된 분기슬리브는 본선(110) 측 적용 전선에 측면 삽입이 용이한 구조를 가질 것을 권장되고 있다.
특히, 상기 분기슬리브는 동(銅)선과 알루미늄(Al)선을 압축 접속하였을 경우, 알루미늄 재질의 슬리브본체(100)와 동(銅)선이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동선에는 중간매개체를 조립하여 압축하는 구조이어야 하며, 중간매개체의 재질은 적용 전선과 슬리브본체(100)가 항상 동일 재질로 접속이 되게 재질을 구성한 구조로서, 조립은 첨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이 잘 될 수 있는 연질의 재질을 사용할 것을 한전의 구매 규격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분기슬리브를 사용하여 본선(110)과 분기선(120)을 접속하는 데 있어서, 상기 본선(110)이 알루미늄(Al)선, 분기선(120)이 동(銅)선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본선(110)이 동(銅)선, 분기선(120)이 알루미늄(Al)선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선(110)과 분기선(120) 재질에 차이를 두는 두 가지 경우에도 한전 구매 규격에 알맞도록 알루미늄 재질의 슬리브본체(100)에 삽입 접촉되는 중간매개체(130), 140)의 재질을 동일한 재질로 구성하면서 본선(110)과 분기선(120)의 재질에 맞춰서 접속 부위에서의 전해 부식 현상(즉, 전식) 및 이로 인한 산화피막이 형성되는 문제를 개선하고자 연구 개발된 것이다.
즉, 도 3에는 본선(110)이 동선이고 분기선(120)이 알루미늄선인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매개체(130))가 알루미늄 재질의 분기슬리브에서 본선(110)이 접속되는 슬리브본체(100)의 제1접속부(101)에 사용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매개체(130))는 슬리브본체(100)와 접촉면이 서로 동일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질 금속의 접속에 의한 전해 부식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동(銅)선으로 이루어진 본선(110)과 접촉하는 중간매개체(130))의 접속면은 동(銅)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매개체(130))는 알루미늄 재질의 판재(131)와 동(銅)재질의 판재(132)를 폭발 용접에 의한 방식으로 접합시킨 바이메탈(bimetal) 판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바이메탈 판재로 이루어진 중간매개체(130))는 슬리브본체(100)의 제1접속부(101)에 형성된 장착홈(103)에 긴밀하게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홈(103)의 곡선 형상에 대응되게 곡선진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중간매개체(130))의 외주면, 즉 바이메탈의 외주면은 알루미늄 재질의 판재(131)로 이루어지고, 중간매개체(130))의 내주면, 즉 바이메탈의 내주면은 동 재질의 판재(132)로 이루어진다.
즉 알루미늄재질의 판재(131)와 동 재질의 판재(132)가 폭발 용접에 의한 방식으로 접합됨에 따라 중간에 접합면(133)을 갖는 일체물로 접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접속부(101) 및 제2접속부(102)는 압착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압착할 때, 압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슬리브본체(100)의 상/하단 폭을 최대한 줄여서 곡선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선(110)이 접속되는 제1접속부(101)는 일측이 개구된 고리형절결부로 구성되어 있어 여기에 본선(110)이 삽입된 상태에서 압착 장착되게 되고, 상기 분기선(120)이 접속되는 제2접속부(102) 역시 일측이 개구된 고리형 절결부로 구성되어 있어 여기에 분기선(120)이 삽입 압착되어 분기 접속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선(110)은 피복(112)이 벗겨진 상태에서 나선(111; 裸線)형태로 제1접속부(101)의 장착홈(103)에 삽입 장착된 중간매개체(130))에 감싸인 체 제1접속부(101)에 접속되어 압착되게 되고, 상기 분기선(120)은 피복(122)이 벗겨진 상태에서 나선(121; 裸線)형태로 직접 제2접속부(102)에 면 접촉되게 접속되어 압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접속부(101)의 장착홈(103)에 바이메탈로 이루어진 중간매개체(130)가 삽입 장착됨으로써, 알루미늄 재질의 판재(131)로 이루어진 바이메탈 외주면이 장착홈(103)과 접촉하게 됨과 동시에 동 재질의 판재(132)로 이루어진 바이메탈 내주면에 본선(110)이 삽입 접속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중간매개체(130))의 외주면과 장착홈(103)을 통해 접촉하는 슬리브본체(100)가 동일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동시에 본선(110)이 삽입 접속하는 중간매개체(130))의 내주면이 서로 동일한 재질인 동(銅) 재질로 접속되기 때문에 양쪽 모두 동일 금속에 의한 접속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에 지적된 이질 금속에 의한 접촉으로 인한 전해 부식 문제 및 산화피막 형성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매개체(130))를 사용하여 분기슬리브(1)로 동선인 본선(110) 및 알루미늄선인 분기선(120)을 접속 압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신주 등에 사용되는 중선선인 본선(110, 즉, 동선)을 제1접속부(101)에 접속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1접속부(101)의 장착홈(103)에 중간매개체(130))를 삽입 장착한 다음, 본선(110)의 피복(112)을 벗긴 상태에서 중간매개체(130))의 내주면에 일정 길이만큼 본선(110)의 나선(111) 부위를 안착시킨 다음, 도시되지 않은 압착기에 의해 제1접속부(101)를 압착하여 개구된 절결부를 밀폐하여 동선인 본선(110)을 접속한다.
그런 다음, 전압 분기나 변압기 등의 접지용 인출선인 알루미늄선인 분기선(120)은 제2접속부(102)의 내주면을 따라 피복을 벗긴 상태로 소정 길이만큼 나선 부위를 인입 안착시킨 다음, 도시되지 않은 압착기를 이용하여 눌러 오므려서 압착함으로써, 상기 분기선(120)과 제2접속부(102)의 접촉면 틈새를 최대한 제거한 상태로 접속을 완료한다.
이때, 상기 제1접속부(102)의 장착홈 접촉면에 알루미늄 재질인 중간매개체의 외주면이 완전 밀착되어 접속되고, 상기 본선(110)은 동 재질의 중간매개체 (130)의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접속됨으로써, 슬리브본체와 중간매개체, 그리고 본선과 중간매개체의 접속면이 모두 동일한 재질(즉, 동일 금속)끼리 접촉되어 있어 이질 금속에 의한 전해 부식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저전압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중간매개체(130))와 제1접속부(101)의 장착홈(103)이 동일 금속으로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중간매개체(130))가 장착홈(103)에 완전 밀착된 상태로 삽입 압착됨에 따라 중간매개체(130))와 제1접속부(102) 사이의 틈새가 최대한 제거되어 틈새에 수분, 습기 또는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매개체(130))의 내측 표면은 볼록하게 제1엠보싱부(150)가 등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된다.
제1엠보싱부(150)는 중간매개체(130))의 외측 표면을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오목홈을 형성함으로써, 오목홈의 반대 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1접속부(101)의 장착홈(103)이 형성된 내측 표면에는 외측으로 오목하게 제1오목홈(170)을 등간격으로 복수로 형성하고, 제1오목홈(170)에 스프링 등의 제1탄성부재(180)를 장착한다.
제1엠보싱부(150)와 제1오목홈(170)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1탄성부재(180)의 일측단은 제1오목홈(170)의 단부에 결합되고, 제1탄성부재(180)의 타측단에는 구 형상의 제1가압구(160)가 구비되어 고정 결합된다.
제1가압구(16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가압구(160)의 지름은 제1오목홈(170)의 폭 길이보다 작게 형성하여, 제1가압구(160)가 제1오목홈(170)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제1탄성부재(180)는 인장되었을 때 제1가압구(160)의 일부만 제1오목홈(17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이 조절된 상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제1접속부(101)의 장착홈(103)에 바이메탈로 이루어진 중간매개체(130))가 삽입하면 제1가압구(160)가 중간매개체(130)에 의해 가압되어 제1오목홈(170)으로 들어가게 되고 제1탄성부재(180)는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중간매개체(130)에 형성된 제1엠보싱부(150)가 제1오목홈(170)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중간매개체(130)를 장착되면, 제1오목홈(170)에 들어갔던 제1가압구(160)가 제1탄성부재(180)의 탄성력으로 인해 제1오목홈(170)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제1엠보싱부(150)의 반대측인 중간매개체(130)의 외측에 형성된 오목홈으로 삽입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중간매개체(130)는 오목홈에 제1가압구(160)가 삽입된 상태가 되어, 제1접속부(101)의 장착홈(103)에 장착되었을 때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중간매개체(130)의 내측면에 본선(110)이 삽입 접속되면, 제1엠보싱부(150)가 본선(110)을 가압하게 되어, 중간매개체(130)로부터 본선(110)이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는 본선(110)이 알루미늄선이고 분기선(120)이 동선인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매개체(140)가 알루미늄 재질의 분기슬리브에서 분기선(110)이 접속되는 슬리브본체(100)의 제2접속부(102)에 사용되는 예가 나타내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매개체(140)는 제2접속부(102)의 형상 구조에 맞춰 대략 원통형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술한 중간매개체(130))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재질의 판재(141)와 동 재질의 판재(142)를 폭발 용접으로 접합시켜 중간에 접합면(143)을 갖는 바이메탈 판재로 제조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중간매개체(140)의 삽입 위치가 본선(110) 및 분기선(120)의 재질적 차이에 따라 제2접속부(102)로 설계 변경된 것으로써, 제2접속부(102)의 형상 구조에 맞춰 중간매개체(140)의 형상이 원통형 구조로 설계 변경된 차이가 있을 뿐 제1접속부에 삽입 장착되는 중간매개체(130))와 기능적인 작용 효과에서는 상술한 설명과 동일하다.
즉,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루미늄선으로 이루어진 본선(110)이 제1접속부(101)에 직접 삽입 접속되어 장착되고, 동(銅)선으로 이루어진 분기선(120)이 접속되는 제2접속부(102)에는 바이메탈로 이루어진 중간매개체(140)가 밀착 삽입된 상태에서 이 중간매개체(140) 내부에 분기선(120)이 삽입 접속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중간매개체(140)의 외주면과 제2접속부(102)에 해당하는 슬리브본체(100)가 동일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동시에 분기선(120)이 삽입 접속하는 중간매개체(140)의 내주면이 서로 동일한 재질인 동(銅) 재질로 접속되기 때문에 양쪽 모두 동일금속에 의한 접속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역시 종래에 지적된 이질 금속에 의한 접촉으로 인한 전해 부식 문제 및 산화피막 형성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알루미늄 재질의 판재와 동 재질의 판재가 폭발 용접을 통해서 서로 접합면을 이루고 접합되기 때문에 서로 이질 금속 임에도 견고한 하나의 일체물로 접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질 금속 간에 간극이 전혀 없어 접합면에서 전해 부식이 일어날 우려가 없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서 보여주는 각각의 중간매개체(130), 140)와 제1접속부(101) 및 제2접속부(102)의 접촉면은 동일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동일 금속간의 접촉인 관계로, 중간매개체(130),140)가 삽입 장착되는 접촉 부위에 아주 미세한 간극이 존재하더라도 원천적으로 종래와 같은 이질 금속에 의한 전해 부식의 문제를 걱정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아울러,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매개체(140)의 내측 표면은 볼록하게 제2엠보싱부(165)가 등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된다.
제2엠보싱부(165)는 중간매개체(140)의 외측 표면을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오목홈을 형성함으로써, 오목홈의 반대 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접속부(102)의 내측 표면에는 외측으로 오목하게 제2오목홈(175)을 등간격으로 복수로 형성하고, 제2오목홈(175)에 스프링 등의 제2탄성부재(185)을 장착한다.
제2엠보싱부(165)와 제2오목홈(175)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2탄성부재(185)의 일측단은 제2오목홈(175)의 단부에 결합되고, 제2탄성부재(185)의 타측단에는 구 형상의 제2가압구(155)가 구비되어 고정 결합된다.
제2가압구(155)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가압구(155)의 지름은 제2오목홈(175)의 폭 길이보다 작게 형성하여, 제2가압구(155)가 제2오목홈(175)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제2탄성부재(185)는 인장되었을 때 제2가압구(155)의 일부만 제2오목홈(175)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이 조절된 상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제2접속부(102)에 바이메탈로 이루어진 중간매개체(140)가 삽입하면 제2가압구(155)가 중간매개체(140)에 의해 가압되어 제2오목홈(175)으로 들어가게 되고 제2탄성부재(185)는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중간매개체(140)에 형성된 제2엠보싱부(165)가 제2오목홈(175)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중간매개체(140)를 장착되면, 제2오목홈(175)에 들어갔던 제2가압구(155)가 제2탄성부재(185)의 탄성력으로 인해 제2오목홈(175)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제2엠보싱부(165)의 반대측인 중간매개체(140)의 외측에 형성된 오목홈으로 삽입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중간매개체(140)는 오목홈에 제2가압구(155)가 삽입된 상태가 되어, 제2접속부(102)에 장착되었을 때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중간매개체(140)의 내측면에 분기선(120)이 삽입 접속되면, 제2엠보싱부(165)가 분기선(120)을 가압하게 되어, 중간매개체(140)로부터 분기선(120)이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분기슬리브커버(30)의 내부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220),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230),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40), 소리를 입력하는 마이크(250),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260),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270), 외부의 관리서버(31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280) 및 외부의 무인비행체(330)로 위치를 알리기 위한 위치발신부(29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무인비행체(330)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용 장비 등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분기슬리브커버(30) 내에서 누전, 합선 등으로 인해 연기가 감지되거나, 온도가 상승하거나 또는 스파크 소리 등이 감지되거나, 평소와는 다른 영상이 촬영되면 감시제어부(210)는 스피커(270)를 통하여 외부로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여, 분기슬리브커버(30)의 내부에 이상이 발생함을 알리도록 하고, 통신부(280)를 통하여 관리서버(310)로 이상 상황을 알리도록 한다.
이어서, 위치발신부(290)를 통하여 무인비행체(330)로 해당 분기슬리브커버(30)의 위치를 전달한 후, 무인비행체(330)를 통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된 분리슬리브커버(30)로 비행하여 장착된 카메라 등으로 촬영하도록 할 수 있으며, 화재가 발생하였으면, 장착된 소화용 장비를 이용하요 화재에 대한 초동 진압이 되도록 ㅎ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에 따르면, 종래 알루미늄 재질의 분기 슬리브로 동선으로 이루어진 본선 및 분기선을 상호 접속할 때의 전해 부식 발생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재질의 슬리브 본체에 삽입 접촉되는 중간 매개체의 재질을 동일한 재질로 구성함에 따라 본선과 분기선의 재질에 맞춰서 접속 부위에서의 전해 부식 현상(즉, 전식) 및 이로 인한 산화피막이 형성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본선 및 분기선이 분리슬리브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분기슬리브 100: 슬리브본체
101: 제1접속부 102: 제2접속부
103: 장착홈 110: 본선
111, 121: 나선(裸線) 112, 122: 피복
120: 분기선 133, 143: 접합면
130, 140: 바이메탈로 이루어진 중간매개체
131, 141: 알루미늄 재질의 판재 132, 142: 동 재질의 판재

Claims (3)

  1. 일측이 개구 절결된 본선 접속용 제1접속부 및 분기선 접속용 제2접속부를 갖춘 알루미늄 재질의 슬리브본체로 이루어진 분기슬리브와, 상기 분기슬리브를 사용하여 배전 선로의 본선과 분기선을 상호 접속하는 과정에서 본선 및 분기선의 재질에 따른 이질 금속에 의한 전해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매개체를 삽입하여 접속 연결하게 되는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선 및 분기선 중 어느 하나는 알루미늄선이고, 다른 하나는 동선인 경우, 상기 중간매개체는 알루미늄 재질의 판재와 동 재질의 판재를 폭발 용접에 의해 접합시켜 중간에 접합면이 형성된 바이메탈로 제조되고; 알루미늄선으로 이루어진 본선 및 분기선이 제1접속부 및 제2접속부에 각각 접속될 때에는 아무런 매개물 없이 본선 및 분기선의 피복을 벗긴 나선 부위가 직접 접속되며; 상기 동선으로 이루어진 본선 및 분기선이 제1접속부 및 제2접속부에 각각 접속될 때에는 제1접속부 및 제2접속부에 알루미늄 재질의 동일 금속이 접촉되는 상태로 중간매개체가 밀착되게 장착됨과 동시에, 본선 및 분기선의 피복을 벗긴 나선 부위가 중간매개체 내부에 동 재질의 동일 금속으로 접촉되는 상태로 밀착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접속부에 장착되는 제1중간 매개체는 제1접속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일측이 개구되도록 구부러진 판 형상으로써 외측면에서 내측면을 향하여 볼록하게 제1엠보싱부가 등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된 것으로, 제1중간 매개체에 형성된 제1엠보싱부는 제1중간 매개체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을 향하여 오목하게 오목홈이 형성되고 내측면은 상기 오목홈이 형성됨에 따른 내측면을 향하여 볼록하게 볼록탭이 형성되어 형성되며;
    제1접속부의 내측 표면에는 외측으로 오목하게 제1오목홈을 등간격으로 복수로 형성하고, 제1오목홈에 제1탄성부재를 장착하고; 제1엠보싱부와 제1오목홈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1탄성부재의 일측단은 제1오목홈의 단부에 결합되고, 제1탄성부재의 타측단에는 구 형상의 제1가압구가 구비되어 고정 결합되며; 제1가압구의 지름은 제1오목홈의 폭 길이보다 작게 형성하여, 제1가압구가 제1오목홈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제1탄성부재는 인장되었을 때 제1가압구의 일부만 제1오목홈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이 조절된 상태로 구비되며; 제1중간매개체에 형성된 제1엠보싱부가 제1오목홈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중간매개체를 장착되면, 제1오목홈에 들어갔던 제1가압구가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인해 제1오목홈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제1엠보싱부의 반대측인 제1중간매개체의 외측에 형성된 오목홈으로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접속부 내주면에는 제1중간매개체를 밀착 안착시킬 수 있는 장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부에 장착되는 제2중간매개체는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써 외측면에서 내측면을 향하여 볼록하게 제2엠보싱부가 등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된 것으로, 제2중간 매개체에 형성된 제2엠보싱부는 제2중간 매개체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을 향하여 오목하게 오목홈이 형성되고 내측면은 상기 오목홈이 형성됨에 따른 내측면을 향하여 볼록하게 볼록탭이 형성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KR1020170168531A 2017-12-08 2017-12-08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KR101869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531A KR101869974B1 (ko) 2017-12-08 2017-12-08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531A KR101869974B1 (ko) 2017-12-08 2017-12-08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974B1 true KR101869974B1 (ko) 2018-06-21

Family

ID=62806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531A KR101869974B1 (ko) 2017-12-08 2017-12-08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97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697B1 (ko) * 2019-10-23 2020-07-07 강토이앤씨(주) 배전선로 작업용 절연커버
KR20200104149A (ko) * 2019-02-26 2020-09-03 김선기 전선 결합 커넥터
KR20210145990A (ko) * 2020-05-26 2021-12-03 한국전력공사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
KR102381235B1 (ko) 2021-08-17 2022-04-01 유성전기감리설계(주) 조류 접근 차단이 가능한 가공배전설비
KR102383482B1 (ko) * 2021-10-12 2022-04-11 주식회사 태화이엔씨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 보호커버 장치 제공방법
KR102383475B1 (ko) * 2021-10-12 2022-04-11 주식회사 태화이엔씨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 전신주 보호시스템 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847B1 (ko) * 2012-11-05 2013-01-22 (주)신명이앤씨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KR200470445Y1 (ko) * 2012-10-15 2013-12-16 제룡산업 주식회사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
KR101781117B1 (ko) 2017-02-28 2017-09-27 주식회사 선진전기 배전선로용 점프선 지지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445Y1 (ko) * 2012-10-15 2013-12-16 제룡산업 주식회사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
KR101224847B1 (ko) * 2012-11-05 2013-01-22 (주)신명이앤씨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1781117B1 (ko) 2017-02-28 2017-09-27 주식회사 선진전기 배전선로용 점프선 지지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149A (ko) * 2019-02-26 2020-09-03 김선기 전선 결합 커넥터
KR102180137B1 (ko) * 2019-02-26 2020-11-17 김선기 전선 결합 커넥터
KR102130697B1 (ko) * 2019-10-23 2020-07-07 강토이앤씨(주) 배전선로 작업용 절연커버
KR20210145990A (ko) * 2020-05-26 2021-12-03 한국전력공사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
KR102388196B1 (ko) * 2020-05-26 2022-04-19 한국전력공사 저압 이질금속 볼트형 분기슬리브
KR102381235B1 (ko) 2021-08-17 2022-04-01 유성전기감리설계(주) 조류 접근 차단이 가능한 가공배전설비
KR102383482B1 (ko) * 2021-10-12 2022-04-11 주식회사 태화이엔씨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 보호커버 장치 제공방법
KR102383475B1 (ko) * 2021-10-12 2022-04-11 주식회사 태화이엔씨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 전신주 보호시스템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9974B1 (ko)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US10257967B2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plice shield
US9196976B2 (en) Tapered ground strap shield connector
US10673216B2 (en) Cable gland with pressure dome tightening mechanisms and method for earthing a cable
KR200470445Y1 (ko)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
CN110521075B (zh) 用于保持屏蔽电缆的保持设备
US4648684A (en) Secure connector for coaxial cable
US10276963B2 (en) Two-piece electrical connector for joining foil conductors
CN107240784B (zh) 接线装置及空调器
KR20100007644U (ko) 케이블 접속장치 및 케이블 접속장치 조립체
CN104221220A (zh) 具有可卷曲端子的保险丝端帽
KR101290687B1 (ko) 케이블커넥터
KR101618133B1 (ko) 케이블 커넥터 장치
EP0771014B1 (en) Capacitor with overpressure protection
KR101882391B1 (ko) 방수용 전선연결장치
JP2011233440A (ja) コネクタのケーブル接続部構造
CN207896640U (zh) 内置光纤电缆的末端连接组件
WO2020087279A1 (en) Power connector
JP4372745B2 (ja) ケーブル接続部
KR20150035203A (ko) 전선 접속장치
JP6706863B2 (ja) ケーブル牽引構造及びケーブル端末
US11757295B2 (en) Marine battery charger cable expender
CN212434568U (zh) 用于熔断器的熔丝安装组件及具有其的熔断器
JP3144243U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JP3910689B2 (ja) 電力ケーブルの端末/接続処理具および端末/接続部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