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445Y1 -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445Y1
KR200470445Y1 KR2020120009245U KR20120009245U KR200470445Y1 KR 200470445 Y1 KR200470445 Y1 KR 200470445Y1 KR 2020120009245 U KR2020120009245 U KR 2020120009245U KR 20120009245 U KR20120009245 U KR 20120009245U KR 200470445 Y1 KR200470445 Y1 KR 2004704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line
connection
aluminum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2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룡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92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4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4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4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Abstract

본 고안은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는, 일측이 개구 절결된 본선(110) 접속용 제1접속부(101) 및 분기선(120) 접속용 제2접속부(102)을 갖춘 알루미늄 재질의 슬리브본체(100)로 이루어진 분기슬리브(1)를 갖추고, 상기 분기슬리브(1)를 사용하여 배전 선로의 본선(110)과 분기선(120)을 상호 접속하는 과정에서 위하여 본선(110) 및 분기선(120)의 재질에 따른 이질금속에 의한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서 알루미늄 재질의 판재(131)와 동 재질의 판재(132)가 폭발용접에 의해서 접합된 바이메탈로 이루어진 중간매개체(130,140)를 제1접속부(101) 혹은 제2접속부(102)에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접속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접속부(101) 내주면에는 중간매개체(130)를 밀착 안착시킬 수 있는 장착홈(103)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Description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branch sleeves for power line}
본 고안은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의 재질의 분기슬리브에 알루미늄 전선과 동 전선이 사용되는 본선 및 분기선이나, 변압기 등의 접지용 인출선으로 사용되는 동선을 연결할 경우, 알루미늄과 동(구리)의 조합과 같은 이질 금속의 접속으로 인해 발생되는 전식에 의한 부식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저전압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의 배전시 22.9㎸의 특고압을 배전전압으로 하여 전기공급 장소의 주상변압기까지 공급한 후, 배전용 주상변압기에서 220V, 380V의 저압으로 변환하여 일반 가정이나 산업체 등의 전기 수요자에게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배전선로의 본 선로에서 선로를 분리하거나 본 선로에서 주상변압기로 전력을 제공하는 경우 본선과 분기선에 분기슬리브를 장착하여 두 선을 접속하게 되는데, 본선과 분기선을 접속하고 있는 분기슬리브에는 커버를 장착하여 빗물이나 조류에 의한 피해 등 외부로부터의 여러 가지 악영향들을 방지하는 한편 분기부를 절연시키고 있다.
종래의 가공배전 선로가 설치된 전주의 설치형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전주(10)에는 전력이 송전되는 본선(11)과 컷아웃스위치(13)와 주상변압기(4) 및 애자 등이 장착되어 있으며, 본선(11)을 통해 배전되는 전력은 컷아웃스위치(13)를 거쳐 주상변압기(14)로 제공되고, 이 주상변압기(14)는 특고압으로 배전되는 전력을 사용 가능한 정격 전압(220V, 380V)으로 낮추어 인하선(15)을 통해 전력선(12)으로 제공하여 가정이나 산업체 등의 전기 수용자에게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본선(11)은 전주(10)에 설치된 양쪽의 클램프커버(16)에 고정 설치되고, 이 양쪽의 클램프커버(16) 사이의 장력이 걸리지 않는 본선(11) 부위에 분기선(17)이 분기슬리브(20)로 접속되어 컷아웃스위치(13)로 전력이 공급되며, 분기슬리브(11)의 외부에 커버(11)가 설치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슬리브(20)는 빗물이 스며들지 못하게 하는 한편, 절연시켜 감전사고를 방지하고자 분기슬리브커버(30)에 의해 감싸진 체 전선을 접속하도록 되어 있는바, 상기 분기슬리브커버(30)는 분기슬리브(20)가 안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양단부에 원추형태로 인출구(31)가 형성되어 본선(11)이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인출구(31)에서 하단부로 절개되어 양쪽으로 분할되고, 이 분할된 하단부의 양쪽에 체결턱과 체결편으로 이루어진 수개의 체결구(32)가 형성된다.
이처럼, 종래의 분기슬리브(20)는 본선(11)의 피복을 제거하고 분기선(17)을 접속한 상태에서 분기슬리브커버(30)의 분할된 하단부를 벌려 분기슬리브(20)를 내부에 안치하고, 양측의 본선(11)을 인출구(31)에 끼워 인출시킨 다음, 분기선(17)을 한쪽의 인출구(31)로 인출한 상태에서 수 개의 체결구(32)를 통해 결합하며, 양측의 인출구(31) 부위를 테이핑 작업으로 밀폐시켜 빗물이 스며들지 못하게 하는 한편, 절연시켜 감전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분기슬리브(20)는 상부 측에 분기슬리브(20)의 본선 측 장착홈(2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측에는 분기선 측 장착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분기슬리브(20)의 본선 측 장착홈(21)에는 본선(11)이 압착된 상태로 장착되고, 분기선 측 장착홈(22)에는 분기선(17)이 압착되어 분기 접속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 알루미늄 전선과 동선을 연결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재질이며 일부에 절결부를 갖는 원호상의 장착부를 양측에 설치한 기존의 알루미늄선용 분기슬리브(20)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인 분기슬리브(20)는 알루미늄과 구리가 이질 접속됨과 아울러, 분기슬리브(20)와 동선이 완전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이의 경계면에 수분, 습기 또는 이물질이 침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온화 전위가 낮은 알루미늄이 용해 부식되어 접촉저항을 증가시켜 접속부의 온도상승으로 인한 전해 부식이 가속화되어 산화피막이 형성되고, 접촉불량을 야기하여 단선사고 등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65064호(1998.10.07. 공개)에는 개량된 조인트 슬리브 및 그 제작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98529호(2000.10.02. 공고)에는 전선접속에 있어서 분기용 이질금속 슬리브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72235호(2002.04.13. 공고)에는 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29721호(2003.04.16. 공개)에는 피뢰기용 이질금속 분기슬리브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0-4438호(2010.04.30. 공개)에는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 슬리브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 문헌에 개시된 기술은 알루미늄 재질의 분기 슬리브에 동선 재질의 전선이 접속될 때, 알루미늄 재질의 분기 슬리브와 동선의 전선이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별도의 동파이프(혹은 동관)를 접속 부위에 삽입함으로써, 동선의 전선과 동파이프에 의한 동일 금속의 조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알루미늄 재질의 분기 슬리브와 동선이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알루미늄 재질의 분기 슬리브와 동선인 전선의 직접적인 접촉이 없는 관계로, 분기 슬리브와 동선인 전선 사이에 이질 금속의 접촉에 의한 전해 부식 문제를 일정 정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실질적으로 종래 분기 슬리브의 접촉면에 삽입되는 별도의 동파이프(혹은 동관)와 알루미늄 재질의 분기 슬리브는 이질 금속인 관계로, 동파이프와 분기 슬리브 사이에는 또 다른 이질 금속에 의한 접촉이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처럼, 알루미늄 재질의 분기 슬리브와 동파이프의 접촉 부위에는 압착에 의해 견고하게 밀착된다고 하더라도 동일 금속이 아니기 때문에 아주 미세한 간극이 상존할 우려가 있고, 이 부분에서 이질 금속의 접촉에 의한 전해 부식 문제가 발생하여 산화 피막이 형성됨은 물론, 경계면에 수분, 습기 또는 이물질이 침투하는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소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65064호(1998.10.07. 공개, 명칭: 개량된 조인트 슬리브 및 그 제작법)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98529호(2000.10.02. 공고, 명칭: 전선접속에 있어서 분기용 이질금속 슬리브)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72235호(2002.04.13. 공고, 명칭: 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29721호(2003.04.16. 공개, 명칭: 피뢰기용 이질금속 분기슬리브) 5.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0-4438호(2010.04.30. 공개, 명칭: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 슬리브)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알루미늄 재질의 분기 슬리브로 동선으로 이루어진 본선 및 분기선을 상호 접속할 때의 전해 부식 발생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알루미늄 재질의 슬리브본체에 삽입 접촉되는 중간매개체의 재질을 동일한 재질로 구성함에 따라 본선과 분기선의 재질에 맞춰서 접속 부위에서의 전해 부식 현상(즉, 전식) 및 이로 인한 산화피막이 형성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즉, 본 고안은 중간매개체와 슬리브본체의 접촉면이 서로 동일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동(銅)선으로 이루어진 본선과 접촉하는 중간매개체의 접속면은 동(銅)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질금속의 접속에 의한 전해 부식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저전압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이 개구 절결된 본선 접속용 제1접속부 및 분기선 접속용 제2접속부를 갖춘 알루미늄 재질의 슬리브본체로 이루어진 분기슬리브와, 이 분기슬리브를 사용하여 배전 선로의 본선과 분기선을 상호 접속하는 과정에서 본선 및 분기선의 재질에 따른 이질금속에 의한 전해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매개체를 삽입하여 접속 연결하게 되는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선 및 분기선 중 어느 하나는 알루미늄선이고, 다른 하나는 동선인 경우, 상기 중간매개체는 알루미늄 재질의 판재와 동 재질의 판재를 폭발용접에 의해 접합시켜 중간에 접합면이 형성된 바이메탈로 제조되고, 상기 알루미늄선로 이루어진 본선 및 분기선이 제1접속부 및 제2접속부에 각각 접속될 때에는 아무런 매개물 없이 본선 및 분기선의 피복을 벗긴 나선 부위가 직접 접속되며, 상기 동선으로 이루어진 본선 및 분기선이 제1접속부 및 제2접속부에 각각 접속될 때에는 제1접속부 및 제2접속부에 알루미늄 재질의 동일 금속이 접촉되는 상태로 중간매개체가 밀착되게 장착됨과 동시에, 본선 및 분기선의 피복을 벗긴 나선 부위가 중간매개체 내부에 동 재질의 동일 금속으로 접촉되는 상태로 밀착 접속되는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1접속부 내주면에는 중간매개체를 밀착 안착시킬 수 있는 장착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간매개체는 주석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동(銅)선과 알루미늄(Al)선을 분기슬리브로 압축 접속할 경우, 알루미늄 재질의 슬리브본체와 동(銅)선이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동선에는 중간매개체를 조립하여 압축하는 구조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중간매개체가 알루미늄 재질의 판재와 동(銅) 재질의 판재를 폭발용접에 의한 방식으로 접합시킨 바이메탈(bimetal) 판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중간매개체와 슬리브본체의 접촉면이 서로 동일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동(銅)선으로 이루어진 본선과 접촉하는 중간매개체의 접속면은 동(銅)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모든 접속 부위가 동일 금속에 의한 접촉 상태를 갖도록 구현함에 따라 종래 이질 금속에 의한 접속부위의 전해 부식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고안에 따르면, 접속 부위에 장착홈을 형성하여 동일 금속에 의한 접촉을 구현한 상태에서 압착을 통해서 최대한 간극을 없앨 수 있는 관계로, 경계면에서 수분, 습기 또는 이물질이 침투하는 문제점을 최대한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접지면의 저항치를 줄여 저전압을 방지하고 접속부위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잦은 정전을 예방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주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분기슬리브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기슬리브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분기슬리브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로써, 본선이 동선, 분기선이 알루미늄선일 때 중간매개체가 장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 5에 도시된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와 본선 및 분기선이 접속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도 6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로써, 본선이 알루미늄선, 분기선이 동선일 때 중간매개체가 장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도 8에 도시된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와 본선 및 분기선이 접속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도 9의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상하", "내주면", "외주면", "상 하단"과 같은 방향 및 위치를 나타내는 표현들은, 분기슬리브 형상구조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의도된 것이며, 분기슬리브 형상의 구조를 임의의 특정한 위치 또는 방향으로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고안에 따른 분기슬리브(1)는 가공케이블 전선의 장력이 걸리지 않는 장소에서 알루미늄선과 동선의 압축 접속에 사용되는 것으로써,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선로의 본선(110)과 분기선(120)을 상호 접속하기 위하여 슬리브본체(100) 상에 본선(110)이 접속되는 일측이 개구 절결된 제1접속부(101)와, 분기선(120)이 접속되는 일측이 개구 절결된 제2접속부(102)가 상하 양쪽으로 각각 둥근 홈 형태로 구획 형성된 구조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상기 분기슬리브(1)는 통상의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Al) 재질로 제조된다.
이러한 분기슬리브(1)는 표면에 흠이나 결함이 없어야 하고, 적용 전선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어야 하며, 특히, 분기슬리브(1)를 압축공구에 장착하였을 경우, 장착된 분기슬리브(1)는 본선(110) 측 적용 전선에 측면 삽입이 용이한 구조를 가질 것을 권장되고 있다.
특히, 상기 분기슬리브(1)는 동(銅)선과 알루미늄(Al)선을 압축 접속하였을 경우, 알루미늄 재질의 슬리브본체(100)와 동(銅)선이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동선에는 중간매개체를 조립하여 압축하는 구조이어야 하며, 중간매개체의 재질은 적용 전선과 슬리브본체(100)가 항상 동일재질로 접속이 되게 재질을 구성한 구조로서, 조립은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이 잘 될 수 있는 연질의 재질을 사용할 것을 한전의 구매 규격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분기슬리브(1)를 사용하여 본선(110)과 분기선(120)을 접속하는 데 있어서, 상기 본선(110)이 알루미늄(Al)선, 분기선(120)이 동(銅)선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본선(110)이 동(銅)선, 분기선(120)이 알루미늄(Al)선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본선(110)과 분기선(120) 재질에 차이를 두는 두 가지 경우에도 한전 구매 규격에 알맞도록 알루미늄 재질의 슬리브본체(100)에 삽입 접촉되는 중간매개체(130,140)의 재질을 동일한 재질로 구성하면서 본선(110)과 분기선(120)의 재질에 맞춰서 접속 부위에서의 전해 부식 현상(즉, 전식) 및 이로 인한 산화피막이 형성되는 문제를 개선하고자 연구 개발된 것이다.
즉, 도 5 내지 도 7에는 본선(110)이 동선이고 분기선(120)이 알루미늄선인 경우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중간매개체(130)가 알루미늄 재질의 분기슬리브(1)에서 본선(110)이 접속되는 슬리브본체(100)의 제1접속부(101)에 사용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중간매개체(130)는 슬리브본체(100)와 접촉면이 서로 동일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질금속의 접속에 의한 전해 부식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동(銅)선으로 이루어진 본선(110)과 접촉하는 중간매개체(130)의 접속면은 동(銅)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중간매개체(130)는 알루미늄 재질의 판재(131)와 동(銅) 재질의 판재(132)를 폭발용접에 의한 방식으로 접합시킨 바이메탈(bimetal) 판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바이메탈 판재로 이루어진 중간매개체(130)는 슬리브본체(100)의 제1접속부(101)에 형성된 장착홈(103)에 긴밀하게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홈(103)의 곡선 형상에 대응되게 곡선진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매개체(130)의 외주면, 즉 바이메탈의 외주면은 알루미늄 재질의 판재(131)로 이루어지고, 중간매개체(130)의 내주면, 즉 바이메탈의 내주면은 동 재질의 판재(132)로 이루어진다. 즉 알루미늄재질의 판재(131)와 동 재질의 판재(132)가 폭발용접에 의한 방식으로 접합됨에 따라 중간에 접합면(133)을 갖는 일체물로 접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접속부(101) 및 제2접속부(102)는 도시되지 않은 압착기를 이용하여 압착할 때, 압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슬리브본체(100)의 상 하단 폭을 최대한 줄여서 곡선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선(110)이 접속되는 제1접속부(101)는 일측이 개구된 고리형 절결부로 구성되어 있어 여기에 본선(110)이 삽입된 상태에서 압착 장착되게 되고, 상기 분기선(120)이 접속되는 제2접속부(102) 역시 일측이 개구된 고리형 절결부로 구성되어 있어 여기에 분기선(120)이 삽입 압착되어 분기 접속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선(110)은 피복(111)이 벗겨진 상태에서 나선(112; 裸線)형태로 제1접속부(101)의 장착홈(103)에 삽입 장착된 중간매개체(130)에 감싸인 체 제1접속부(101)에 접속되어 압착되게 되고, 상기 분기선(120)은 피복(121)이 벗겨진 상태에서 나선(122; 裸線)형태로 직접 제2접속부(102)에 면 접촉되게 접속되어 압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접속부(101)의 장착홈(103)에 바이메탈로 이루어진 중간매개체(103)가 삽입 장착됨으로써, 알루미늄 재질의 판재(131)로 이루어진 바이메탈 외주면이 장착홈(103)과 접촉하게 됨과 동시에 동 재질의 판재(132)로 이루어진 바이메탈 내주면에 본선(110)이 삽입 접속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중간매개체(130)의 외주면과 장착홈(103)을 통해 접촉하는 슬리브본체(100)가 동일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동시에 본선(110)이 삽입 접속하는 중간매개체(130)의 내주면이 서로 동일한 재질인 동(銅) 재질로 접속되기 때문에 양쪽 모두 동일금속에 의한 접속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에 지적된 이질금속에 의한 접촉으로 인한 전해 부식 문제 및 산화피막 형성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중간매개체(130)를 사용하여 분기슬리브(1)로 동선인 본선(110) 및 알루미늄선인 분기선(120)을 접속 압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신주 등에 사용되는 중선선인 본선(110, 즉, 동선)을 제1접속부(101)에 접속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1접속부(101)의 장착홈(103)에 중간매개체(130)를 삽입 장착한 다음, 본선(110)의 피복(112)을 벗긴 상태에서 중간매개체(130)의 내주면에 일정 길이만큼 본선(110)의 나선(111) 부위를 안착시킨 다음, 도시되지 않은 압착기에 의해 제1접속부(101)를 압착하여 개구된 절결부를 밀폐하여 동선인 본선(110)을 접속한다.
그런 다음, 전압 분기나 변압기 등의 접지용 인출선인 알루미늄선인 분기선(120)은 제2접속부(102)의 내주면을 따라 피복을 벗긴 상태로 소정 길이만큼 나선 부위를 인입 안착시킨 다음, 도시되지 않은 압착기를 이용하여 눌러 오므려서 압착함으로써, 상기 분기선(120)과 제2접속부(102)의 접촉면 틈새를 최대한 제거한 상태로 접속을 완료한다.
이때, 상기 제1접속부(102)의 장착홈 접촉면에 알루미늄 재질인 중간매개체의 외주면이 완전 밀착되어 접속되고, 상기 본선(112)은 동 재질의 중간매개체 (110)의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접속됨으로써, 슬리브본체와 중간매개체, 그리고 본선과 중간매개체의 접속면이 모두 동일한 재질(즉, 동일 금속)끼리 접촉되어 있어 이질금속에 의한 전해부식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저전압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중간매개체(130)과 제1접속부(101)의 장착홈(103)이 동일 금속으로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중간매개체(130)가 장착홈(103)에 완전 밀착된 상태로 삽입 압착됨에 따라 중간매개체(130)과 제1접속부(102) 사이의 틈새가 최대한 제거되어 틈새에 수분, 습기 또는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는 본선(110)이 알루미늄선이고 분기선(120)이 동선인 경우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중간매개체(140)가 알루미늄 재질의 분기슬리브(1)에서 분기선(110)이 접속되는 슬리브본체(100)의 제2접속부(102)에 사용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중간매개체(140)는 제2접속부(102)의 형상 구조에 맞춰 대략 원통형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전술한 중간매개체(130)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재질의 판재(141)와 동 재질의 판재(142)를 폭발용접으로 접합시켜 중간에 접합면(143)을 갖는 바이메탈 판재로 제조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중간매개체(140)의 삽입 위치가 본선(110) 및 분기선(120)의 재질적 차이에 따라 제2접속부(102)로 설계 변경된 것으로써, 제2접속부(102)의 형상 구조에 맞춰 중간매개체(140)의 형상이 원통형 구조로 설계 변경된 차이가 있을 뿐 제1접속부에 삽입 장착되는 중간매개체(130)와 기능적인 작용효과에서는 전술한 설명과 동일하다.
즉,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선으로 이루어진 본선(110)이 제1접속부(101)에 직접 삽입 접속되어 장착되고, 동(銅)선으로 이루어진 분기선(112)이 접속되는 제2접속부에는 바이메탈로 이루어진 중간매개체가 밀착 삽입된 상태에서 이 중간매개체 내부에 분기선(120)이 삽입 접속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중간매개체(140)의 외주면과 제2접부(102)에 해당하는 슬리브본체(100)가 동일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동시에 분기선(120)이 삽입 접속하는 중간매개체(140)의 내주면이 서로 동일한 재질인 동(銅) 재질로 접속되기 때문에 양쪽 모두 동일금속에 의한 접속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역시 종래에 지적된 이질금속에 의한 접촉으로 인한 전해 부식 문제 및 산화피막 형성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르면, 알루미늄 재질의 판재와 동재질의 판재가 폭발용접을 통해서 서로 접합면을 이루고 접합되기 때문에 서로 이질금속 임에도 견고한 하나의 일체물로 접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질금속 간에 간극이 전혀 없어 접합면에서 전해부식이 일어나 우려가 없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서 보여주는 각각의 중간매개체(130,140)와 제1접속부(101) 및 제2접속부(102)의 접촉면은 동일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동일 금속간의 접촉인 관계로, 중간매개체(130,140)가 삽입 장착되는 접촉 부위에 아주 미세한 간극이 존재하더라도 원천적으로 종래와 같은 이질 금속에 의한 전해 부식의 문제를 걱정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변형된 실시예로써,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와 같은 분기슬리브(1)에 삽입 장착되는 중간매개체의 재질을 주석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주석과 알루미늄, 주석과 동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이질 금속에 의한 전해 부식 정도가 알루미늄과 동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이질 금속에 의한 전해 부식 정도보다 매우 양호하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본선 및 분기선 중 어느 하나가 동선인 경우, 동선인 본선 및 분기선이 주석 재질의 중간매개체와 각각 접촉하게 되면, 동과 주석 사이의 이질 금속에 의한 전해 부식 정도가 종래 기술에서 문제점으로 지적한 동과 알루미늄 사이의 이질 금속에 의한 전해 부식 정도보다 훨씬 양호한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라 중간매개체(130,140)의 재질로 알루미늄과 동으로 이루어진 바이메탈을 사용할 경우에는, 이질 금속에 의한 접속 문제를 개선하여 종래 이질 금속으로 인한 전해 부식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알루미늄과 동을 이용하여 바이메탈을 제조할 때 제조원가가 다소 상승하는 불가피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의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중간매개체로 주석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이질 금속의 접촉에 의한 전해 부식 문제를 원천적으로 완전히 해소할 수는 없지만 종래 동과 알루미늄의 조합에 의한 전해 부식 문제를 일정 정도 개선하면서 비용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방안을 제시하게 된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1 : 분기슬리브 100 : 슬리브본체
101 : 제1접속부 102 : 제2접속부
103 : 장착홈 110 : 본선
111, 121 : 나선(裸線) 112, 122 : 피복
120 : 분기선 133, 143 : 접합면
130, 140 : 바이메탈로 이루어진 중간매개체
131, 141 : 알루미늄 재질의 판재
132, 142 : 동 재질의 판재

Claims (3)

  1. 일측이 개구 절결된 본선(110) 접속용 제1접속부(101) 및 분기선(120) 접속용 제2접속부(102)를 갖춘 알루미늄 재질의 슬리브본체(100)로 이루어진 분기슬리브(1)와, 이 분기슬리브(1)를 사용하여 배전 선로의 본선(110)과 분기선(120)을 상호 접속하는 과정에서 본선(110) 및 분기선(120)의 재질에 따른 이질금속에 의한 전해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매개체(130)를 삽입하여 접속 연결하게 되는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선(110) 및 분기선(120) 중 어느 하나는 알루미늄선이고, 다른 하나는 동선인 경우,
    상기 중간매개체(130)는 알루미늄 재질의 판재(131)와 동 재질의 판재(132)를 폭발용접에 의해 접합시켜 중간에 접합면(133)이 형성된 바이메탈로 제조되고,
    상기 알루미늄선로 이루어진 본선(110) 및 분기선(120)이 제1접속부(101) 및 제2접속부(102)에 각각 접속될 때에는 아무런 매개물 없이 본선(110) 및 분기선(120)의 피복(111,121)을 벗긴 나선(112,122) 부위가 직접 접속되며,
    상기 동선으로 이루어진 본선(110) 및 분기선(120)이 제1접속부(101) 및 제2접속부(102)에 각각 접속될 때에는 제1접속부(101) 및 제2접속부(102)에 알루미늄 재질의 동일 금속이 접촉되는 상태로 중간매개체(130,140)가 밀착되게 장착됨과 동시에, 본선(110) 및 분기선(120)의 피복(111,121)을 벗긴 나선(112,122) 부위가 중간매개체(130,140) 내부에 동 재질의 동일 금속으로 접촉되는 상태로 밀착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101) 내주면에는 중간매개체(130)를 밀착 안착시킬 수 있는 장착홈(10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
  3. 일측이 개구 절결된 본선(110) 접속용 제1접속부(101) 및 분기선(120) 접속용 제2접속부(102)를 갖춘 알루미늄 재질의 슬리브본체(100)로 이루어진 분기슬리브(1)와, 이 분기슬리브(1)를 사용하여 배전 선로의 본선(110)과 분기선(120)을 상호 접속하는 과정에서 위하여 본선(110) 및 분기선(120)의 재질에 따른 이질금속에 의한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매개체(130, 140)를 삽입하여 접속 연결하게 되는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선(110) 및 분기선(120) 중 어느 하나는 알루미늄선이고, 다른 하나는 동선인 경우,
    상기 중간매개체는 주석 재질로 제조되고,
    상기 알루미늄선로 이루어진 본선(110) 및 분기선(120)이 제1접속부(101) 및 제2접속부(102)에 각각 접속될 때에는 아무런 매개물 없이 본선(110) 및 분기선(120)의 피복(111,121)을 벗긴 나선(112,122) 부위가 직접 접속되며,
    상기 동선으로 이루어진 본선(110) 및 분기선(120)이 제1접속부(101) 및 제2접속부(102)에 각각 접속될 때에는 제1접속부(101) 및 제2접속부(102)에 주석 재질로 이루어진 중간매개체를 각각 삽입 장착되고, 이 중간매개체의 내주면에 본선(110) 및 분기선(120)의 피복(111,121)을 벗긴 동 재질의 나선(112,122) 부위가 삽입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
KR2020120009245U 2012-10-15 2012-10-15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 KR2004704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245U KR200470445Y1 (ko) 2012-10-15 2012-10-15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245U KR200470445Y1 (ko) 2012-10-15 2012-10-15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445Y1 true KR200470445Y1 (ko) 2013-12-16

Family

ID=53717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245U KR200470445Y1 (ko) 2012-10-15 2012-10-15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445Y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792A1 (ko) * 2014-06-19 2015-12-23 박미란 전력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101686013B1 (ko) * 2016-01-27 2016-12-13 이재필 배전선로접속용 분기 슬리브의 이질판 고정장치
KR101777402B1 (ko) 2017-05-16 2017-09-13 주식회사 원이앤지 배전선 클램핑 장치
KR101777401B1 (ko) 2017-05-15 2017-09-13 주식회사 원이앤지 배전 선로 분기슬리브
KR101787087B1 (ko) 2017-05-19 2017-10-18 (합)미래전력 가공배전라인의 안정적 연결을 위한 연결 장치
KR101869974B1 (ko) * 2017-12-08 2018-06-21 (주)세명엔지니어링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CN110394446A (zh) * 2019-08-22 2019-11-01 北京理工大学 一种异质金属材料的连接结构及其连接方法
KR20190003032U (ko)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지트리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
KR102305639B1 (ko) 2021-04-19 2021-09-29 (주)대진방재 배전선로 접속용 분기장치
KR20220146024A (ko) 2021-04-23 2022-11-01 이디아이(주) 쐐기형 활선 클램프
KR20220166635A (ko) 2021-06-10 2022-12-19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용 분기슬리브와 그 시공방법
KR102593764B1 (ko) * 2023-05-02 2023-10-25 주식회사 에벤에셀기술단 배전선로 전주 접지선 도난방지용 연결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373Y1 (ko) 2002-10-28 2003-02-06 한국전력공사 압축형 이질금속 분기스리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373Y1 (ko) 2002-10-28 2003-02-06 한국전력공사 압축형 이질금속 분기스리브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792A1 (ko) * 2014-06-19 2015-12-23 박미란 전력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101686013B1 (ko) * 2016-01-27 2016-12-13 이재필 배전선로접속용 분기 슬리브의 이질판 고정장치
KR101777401B1 (ko) 2017-05-15 2017-09-13 주식회사 원이앤지 배전 선로 분기슬리브
KR101777402B1 (ko) 2017-05-16 2017-09-13 주식회사 원이앤지 배전선 클램핑 장치
KR101787087B1 (ko) 2017-05-19 2017-10-18 (합)미래전력 가공배전라인의 안정적 연결을 위한 연결 장치
KR101869974B1 (ko) * 2017-12-08 2018-06-21 (주)세명엔지니어링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KR20190003032U (ko)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지트리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
CN110394446A (zh) * 2019-08-22 2019-11-01 北京理工大学 一种异质金属材料的连接结构及其连接方法
KR102305639B1 (ko) 2021-04-19 2021-09-29 (주)대진방재 배전선로 접속용 분기장치
KR20220146024A (ko) 2021-04-23 2022-11-01 이디아이(주) 쐐기형 활선 클램프
KR20220166635A (ko) 2021-06-10 2022-12-19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용 분기슬리브와 그 시공방법
KR102593764B1 (ko) * 2023-05-02 2023-10-25 주식회사 에벤에셀기술단 배전선로 전주 접지선 도난방지용 연결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445Y1 (ko)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
JP5531119B2 (ja) 一体式結合取付部材
JP5391700B2 (ja) 端子付き電線
US10257967B2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plice shield
US9475440B2 (en) Electrical connection console for motor vehicle on-board electrical system conductor
WO2013175902A1 (ja) 端子付き電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治具
RU2490763C2 (ru) Электрическое контактное соединение и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контакт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US1718817A (en) Cable connecter
CN104882688A (zh) 具有带封装电线端部的端子的电缆组件
US20070149065A1 (en) Integral bonding attachment
JP2003331943A (ja) リッツ導体のための接続部を有したコンタクトエレメント
JP6356101B2 (ja) 被覆導線と端子との接続方法およびその圧着管理方法
CN104221220A (zh) 具有可卷曲端子的保险丝端帽
EP1737072A2 (en) Cable connection system for battery connectors
JP6996974B2 (ja) 端子付き電線およ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6912295B2 (ja) 端子付き電線
JP6782104B2 (ja) ブランチケーブル
US20200067210A1 (en) A bimetal end sleeve
KR101580792B1 (ko) 절연관통형 리드선 접속 전력용 피뢰기
CN207896640U (zh) 内置光纤电缆的末端连接组件
KR20220022638A (ko) 간접활선용 분기슬리브 구조체
KR200303373Y1 (ko) 압축형 이질금속 분기스리브
KR101597353B1 (ko) 절연관통형 리드선 접속용 커넥터
KR20100004438U (ko)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 슬리브
KR200248915Y1 (ko) 용접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