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954U - 완철 접지 클램프 - Google Patents

완철 접지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954U
KR20100010954U KR2020090005196U KR20090005196U KR20100010954U KR 20100010954 U KR20100010954 U KR 20100010954U KR 2020090005196 U KR2020090005196 U KR 2020090005196U KR 20090005196 U KR20090005196 U KR 20090005196U KR 20100010954 U KR20100010954 U KR 201000109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rt
clamp
head
fixing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6727Y1 (ko
Inventor
박은혜
Original Assignee
(주)포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유텍 filed Critical (주)포유텍
Priority to KR2020090005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727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9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9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7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7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54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wire spring
    • H01R4/4863Coil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0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01R24/22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with additional earth or shield conta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탄성수단을 이용하여 접지선의 고정력을 높이고,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클램프, 접지, 완철

Description

완철 접지 클램프{Ground Clamp for Crossarm}
본 고안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탄성수단을 이용하여 접지선의 고정력을 높이고,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클램프(Clamp)는 체결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가 제안된 바 있다.
한편, 완철은 전주의 상부에 설치되어 애자(Insulator)와 고전압 배전선을 결합하고 지지하는 것으로서 절연파괴시 고전압이 가장 먼저 가압되기 때문에 감전을 방지하고, 대지 전위를 균등화하기 위하여 접지선을 연결하게 되며, 이 때 클램프가 이용된다.
종래 클램프의 예를 도 1 및 도 2에 도시하였다.
상기 도 1은 접지선을 구비하기 이전의 상태를, 도 2는 접지선을 내부에 포함하도록 고정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클램프는 볼트 형상으로 외주면에 나사산(11)이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머리부(12)가 형성되어 완철(60)의 중공부(61)에 삽입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에 삽입되며 접지선(62)이 고정되도록 반원형의 제1안내 홈(21)이 형성된 제1고정부(20); 상기 제1고정부(20)를 고정하는 고정너트(30); 상기 몸체(10)에 삽입되며 접지선(62)이 고정되도록 반원형의 제2안내홈(41)이 형성된 제2고정부(40); 및 상기 제2고정부(40)를 상기 제1고정부(20)로 밀착하여 접지선(62)이 고정되도록 하는 조임너트(5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2고정부(40)와 조임너트(50) 사이에 와셔(51)가 더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1고정부를 고정하는 고정너트 및 상기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를 밀착고정하는 조임너트가 별물로 형성됨에 따라 반복적인 고정작업이 필요하여 접지선을 고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작업자가 전주를 올라간 상태인 승주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져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는 서로 밀착고정되어 상기 접지선을 고정해야하므로, 상기 고정너트의 두께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상기 제1고정부를 고정하기 위한 공구의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 접지선과 완철이 흔들리는 경우에는 그 진동이 그대로 전달되어, 상기 고정너트 및 조임너트의 고정이 약해질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접지선을 고정하는 클램프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 사이에 탄성수단이 개재된 예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 사이에 탄성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너트의 구성을 삭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정 작업을 용이하며,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방향으로의 복원력이 작용하므로, 상기 조임너트의 고정력과는 반대방향의 힘에 의해 전체 클램프의 고정력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되며,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 사이를 완벽히 밀착하여 장기간 고정력 유지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탄성수단을 이용하여 접지선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적절히 흡수할 수 있으면서도 탄성수단의 복원력이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를 밀착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고정력이 높이며 이를 오랜시간 유지할 수 있는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모든 구성이 가조립된 상태에서 이용되므로 승주상태에서 별물을 개별적으로 조립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접지선을 완철에 고정하는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클램프(100)는 볼트 형상으로 외주면에 나사산(111)이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머리부(112)가 형성되는 몸체(110); 중앙부분에 상기 몸체(110)가 관통되며 사이에 접지선(210)이 고정되도록 각각 반원형의 제1안내홈(121) 및 제2안내홈(131)이 형성된 제1고정부(120) 및 제2고정부(130); 상기 몸체(110)의 머리부(112), 제1고정부(120) 및 제2고정부(130)가 밀착되도록 상기 몸체(110)의 나사산(111)에 결합되는 너트(140); 및 상기 너트(140)와 대응되는 상기 제1고정부(120) 또는 제2고정부(130)의 일측에 구비되는 탄성수단(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100)는 완철에 고정되기 이전에, 상기 접지선(210)이 상기 제1고정부(120) 및 제2고정부(130)에 가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탄성수단(150)의 복원력은 상기 제1고정부(120) 및 제2고정부(130)를 밀착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탄성수단(150)이 연결되는 제1고정부(120) 또는 제2고정부(130)의 일측 면은 상기 탄성수단(150)이 구비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단차진 단차부(1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머리부(112)는 상기 몸체(110)의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클램프(100)의 머리부(112)는 상기 완철(200)의 중공부(201)에 용이하게 삽입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는 상기 머리부(112)와 나사산(111)이 형성되는 영역 사이에 사각형 단면을 갖는 사각걸림턱(1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완철(200)과 접촉되는 상기 제1고정부(120) 또는 제2고정부(130)의 일측 면에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걸림턱(122)이 돌출형성되되, 상기 걸림턱(122) 사이에 상기 사각걸림턱(113)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10)는 상기 중공부(201)에 머리부(112)가 삽입된 후, 상기 너트(140)의 조임 이전에 90° 회전되어 상기 사각걸림턱(113)이 상기 중공부(201) 영역에 위치되도록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몸체(110)는 상기 머리부(112)가 형성되지 않는 타측에 상기 중공부(201)에 삽입 가능한 방향을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머리부(112)의 연장부 위치 를 표시하는 표시부(1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클램프는 탄성수단이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와 너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수단의 복원력이 상기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를 밀착하는 방향으로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클램프는 상기 탄성수단은 완철과 접지선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고정력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클램프는 가조립된 상태에서 이용되므로, 별물을 조립함에 따른 분실의 위험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으며, 조립작업을 간소화하여 작업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접지선을 완철에 고정하는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의 클램프(1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100)의 체결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클램프(100)의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상기 도 3에 도시한 클램프(100)의 가조립 상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100)의 체결 작업을 설명한 도면이며, 도 10 내지 도 13b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를 나타낸 다른 사시도 단면도 및 다른 방향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클램프(100)는 몸체(110), 제1고정부(120) 및 제2고정부(130), 너트(140), 및 탄성수단(15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먼저, 상기 몸체(110)는 볼트 형태로 일측 단부에 머리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112)를 제외한 외주면에 나사산(111)이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120) 및 제2고정부(130)는 상기 몸체(110)의 나사산(111)이 형성된 영역이 관통되도록 중공되며, 상기 제1고정부(120) 및 제2고정부(130) 사이에 접지선(210)이 고정되도록 각각 반원형의 제1안내홈(121) 및 제2안내홈(131)이 형성된다.
도면에서 상기 몸체(110)의 머리부(112)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고정부를 제1고정부(120)로, 그 반대편에 위치된 고정부를 제2고정부(130)로 도시하였다.
상기 제1고정부(120) 및 제2고정부(130)는 접지선(210)의 양측에서 상기 제1안내홈(121) 및 제2안내홈(131)을 통해 상기 접지선(210)을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너트(140)는 상기 몸체(110)의 머리부(112), 제1고정부(120) 및 제2고정부(130)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접지선(210)을 고정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몸체(110)의 나사산(111)에 결합된다.
상기 탄성수단(150)은 상기 너트(140)와 대응되는 제1고정부(120) 및 제2고정부(130)의 일측에 구비되는 수단으로서, 도면에서 상기 제2고정부(130)와 너 트(14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탄성수단(150)은 상기 너트(140)의 체결에 의하여 압착되며, 이 때, 상기 탄성수단(150)의 복원력은 상기 제1고정부(120) 및 제2고정부(130)의 체결을 더욱 확고히 하는 방향으로 작용된다.
또, 상기 탄성수단(150)은 특정 위치에서 압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수단(150)이 연결되는 제1고정부(120) 또는 제2고정부(130)의 일측면(너트(140)와 대응되는 면으로, 도면에서는 제2고정부(130)의 상측 면을 의미한다.)은 내측으로 단차진 단차부(132)가 형성된다.
즉, 상기 단차부(132)는 상기 탄성수단(150)이 위치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탄성수단(150)의 이동을 방지하고, 상기 너트(140)에 의해 탄성수단(150)이 압착되었을 경우에 상기 너트(140)가 상기 제1고정부(120) 또는 제2고정부(130)의 일측 면에 더욱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클램프(100)는 별도의 유지ㆍ보수 작업 없이도, 상기 제1고정부(120) 및 제2고정부(130)의 고정을 오랜 기간 동안 유지할 수 있어 클램프(100) 본연의 접지선(210)을 고정하는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클램프(100)는 상기 탄성수단(150)은 상기 접지수단을 통해 전해지는 진동을 적절하게 흡수하여 내구성 및 고정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탄성수단(150)은 상기 단차부(132)가 형성된 제1고정부(120) 또는 제2 고정부(130)에 일측이 고정되어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면에서 상기 제1고정부(120)가 상기 완철(200)에 접하는 측으로 도시하고, 상기 제2고정부(130)가 상기 너트(140)와 접하는 측에 형성된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본 고안의 클램프(100)는 상기 몸체(110), 제1고정부(120), 제2고정부(130), 탄성수단(150), 및 너트(140)가 가조립된 상태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통 클램프(100)를 이용하여 접지선(210)을 완철(200)에 고정하는 작업은 승주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본 고안의 클램프(100)는 각 구성을 가조립하여 일체화한 후에 작업자는 상기 접지선(210)을 위치한 후 상기 너트(140)를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머리부(112)가 상기 몸체(110)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클램프(100)가 취부되는 완철(200)은 상기 머리부(1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머리부(11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중공부(201)가 형성된다.
즉, 상기 중공부(201) 역시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몸체(110)는 상기 머리부(112)와 나사산(111)이 형성되는 영역 사이에 사각형 단면을 갖는 사각걸림턱(1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 3 내지 도 9를 참조로 본 고안의 클램프(100)의 이용을 설명하면, 가조립 상태의 클램프(100)를 상기 머리부(112) 및 사각걸림턱(113) 영역을 상기 완철(200)의 중공부(201)에 삽입하고, 상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 체(110)의 머리부(112) 부분이 90° 회전되어 상기 사각걸림턱(113)이 상기 중공부(201) 영역에 위치되도록 걸림고정한 후, 상기 너트(140)를 조임으로써 상기 접지선(210)을 고정한다.
이 때, 본 고안은 상기 도 7 내지 도 9에서 상기 클램프(100)를 완철(200)의 중공부(201)에 삽입 시, 상기 접지선(210)이 위치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접지선(210)이 상기 제1고정부(120) 및 제2고정부(130)에 가조립된 상태에서 조립되도록 하여 작업이 더욱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상기 접지선(210)이 고정된 클램프(100)를 상기 중공부(201)에 삽입하여 너트(140)를 더 조이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접지선(210)의 고정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공부(201)의 세로방향 너비(W)는 상기 사각걸림턱(113)의 일측 면 길이(d1)에 대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몸체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사각걸림턱(113)의 길이(d1, d2)는 도면에서 설명을 보다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면부호 d1, d2로서 각각 도시하였으나, 상기 사각걸림턱(113)의 일측과 타측의 길이(d1, d2)는 서로 다른 경우에 상기 몸체의 머리부(112) 부분이 90° 회전됨에 따라 체결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서로 같게(d1 = d2) 형성되어 정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도 8의 BB' 단면도로서, 체결을 위해 상기 머리부(112) 부분이 90° 회전되어 걸림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너트(140)의 조임 이전 상태임)
더욱 상세하게, 상기 도 9에서 점선부분은 클램프(100)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점선 부분에서 하측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몸체(110)의 머리부(112) 부분이 90° 회전되고, 상기 중공부(201) 영역에 고정되는 부분을 실선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사각걸림턱(113)은 상기 완철(200)의 중공부(201) 영역에 위치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너트(140)의 조임과정에서 상기 몸체(110)가 회전하지 않도록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110)는 상기 머리부(112)가 완철(200)에 걸림고정될 수 있도록 90° 회전되므로 상기 사각걸림턱(113)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걸림턱(113)의 일측 면 길이(d1)가 상기 완철(200) 중공부(201)의 세로방향 너비(W)와 같게(W=d1)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사각걸림턱(113)의 일측 면 길이(d1)가 상기 완철(200) 중공부(201)의 세로방향 너비(W)와 같게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사각걸림턱(113)은 상기 중공부(201)가 형성된 위치보다 하측방향으로 더 삽입된 후 회전되며, 다시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사각걸림턱(113)이 중공부(201)에 위치된다.
또한, 본 고안의 클램프(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사각걸림턱(113)은 상기 중공부(201)가 형성된 위치에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사각걸림턱(113)의 길이(d1, d2)가 상기 완철(200) 중공부(201)의 세로방향 너비(W)보다 작게(W>d1, d2)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가로방향이란, 상기 머리부(112)가 상기 몸체(110)의 양측으로 연장된 방향을 의미한다.
이 때, 작업자는 상기 머리부(112)가 정확하게 고정되었는지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몸체(110)의 상기 머리부(112)가 형성되지 않는 타측에 상기 머리부(112)의 연장부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114)가 형성되는 데, 상기 표시부(114)는 상기 머리부(112)의 가로방향을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상기 표시부(114)는 상기 몸체(110)의 머리부(112)가 형성되지 않는 타측에 상기 머리부(112)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표시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표시부(114)는 상기 머리부(112)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9는 상기 클램프(100)가 완철(200)에 체결되기 이전에 상기 접지선(210)을 고정하는 제1안내홈(121) 및 제2안내홈(131)이 상기 머리부(112)의 연장된 가로방향과 평행하게 위치되고, 상기 완철(200)의 중공부(201)에 삽입되어 고정되었을 때는 상기 머리부(112)가 90° 회전되어 상기 제1안내홈(121) 및 제2안내홈(131)이 상기 머리부(112)의 연장된 가로방향과 수직하게 위치되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 내지 도 9에서 도 5 내지 7은 상기 클램프(100)가 완철의 중공부(201)에 삽입되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내었고, 도 3, 4, 8, 및 9는 클램프(100)가 완철(200)의 중공부(201)에 삽입되었을 때(상기 머리부(112)가 90°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그 체결을 설명하기 위해 상기 접지선(210)이 고정되는 제1안내홈(121) 및 제2안내홈(131)의 형성방향과 상기 머리부(112)의 연장된 방향이 체결 전 서로 평행하고, 체결되었을 때는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설정하여 도시하였으나, 상기 제1고정부(120) 및 제2고정부(130)는 중앙 영역이 중공되어 몸체(110)에 가조립되어 있는 상태로서, 상기 접지선(210)의 고정위치 및 상기 완철(200)에 형성된 중공부(201)의 방향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클램프(1000)는 상기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각걸림턱(113)의 높이(h113)를 조절하여 하측에 위치되는 제1고정부(120) 또는 제2고정부(130)(도면에서는 제2고정부(130)에 해당함)의 일정 영역 또는 전체가 상기 사각걸림턱(113)을 통해 걸림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사각걸림턱(113)이 형성되므로 상기 제1고정부(120)의 공회전을 예방하기 위한 걸림턱(122)은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즉, 상기 사각걸림턱(113)의 높이(h133)는 완철(200)의 두께(t)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120) 또는 제2고정부(130)는 상기 사각걸림턱(113)이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사각걸림턱(113)이 상기 완철(200)의 중공부(201) 및 상기 제1고정부(120) 또는 제2고정부(130)를 함께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체결된 후, 상기 제1고정부(120) 또는 제2고정부(130)의 회전을 방지하고, 고정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 상기 사각걸림턱(113)의 높이(h113)가 상기 완철(200)의 두께(t) 및 제1고정부(120)의 두께만큼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120)의 높이방향으로 전체 영역을 상기 사각걸림턱(113)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사각걸림턱(113)의 높이(h113)는 상기 완철(200)의 두께(t) 보다는 크게 상기 완철(200)의 두께(t) 및 제1고정부(120)의 두께 합보다는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 으며, 상기 사각걸림턱(113)의 높이(h113) 변화에 따른 상기 제1고정부(120) 또는 제2고정부(130)에 형성되는 사각걸림턱(113)이 위치되는 공간 형태 역시 변경될 수 있다.
도 10 내지 13b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100)를 나타낸 다른 사시도, 단면도, 및 분해사시도로, 상기 도 12는 도 11의 CC' 방향 단면도이며, 상기 도 13a 및 도 13b는 상기 도 10에 도시한 클램프(100)의 다른 방향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클램프(100)는 완철(200)에 임시고정한 후에 상기 너트(140)의 조임 시, 상기 몸체(110)와 상기 제1고정부(120) 또는 제2고정부(130)의 공회전을 방지하고자 상기 완철(200)과 접촉되는 상기 제1고정부(120) 또는 제2고정부(130)의 일측 면에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걸림턱(122)이 돌출형성되되, 상기 걸림턱(122) 사이에 상기 사각걸림턱(113)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걸림턱(122)의 사이에 상기 사각걸림턱(113)이 삽입되어 상기 중공부(201)가 형성된 위치에서 회전될 수 있으므로, 상기 사각걸림턱(113)의 길이(d1, d2) 및 상기 걸림턱(122)의 길이(l)는 서로 같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22)의 길이(l) 및 상기 사각걸림턱(113)의 길이(d1, d2)는 상기 중공부(201)에 삽입되도록 상기 중공부(201)의 세로방향 너비(W)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3a 및 도 13b는 상기 걸림턱(122) 및 사각걸림턱(113)의 형상을 확실히 표현하도록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걸림턱(122)의 높이(h122) 및 상기 사각걸림턱(113)의 높이(h113)는 상기 완철(200)의 두께(t) 보다 작게 형 성되어 클램프(100)를 구성하는 중량을 경감시켜 작업자의 사용편리성을 높이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110) 및 제1고정부(120) 또는 제2고정부의 회전을 방지하여 본 고안의 클램프(100)는 체결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도 10 내지 도 13b는 상기 도 3 내지 도 9와는 반대로, 상기 클램프(100)가 완철(200)에 체결되기 이전에 상기 접지선(210)을 고정하는 제1안내홈(121) 및 제2안내홈(131)이 상기 머리부(112)의 연장된 가로방향과 수직하게 위치되고, 상기 완철(200)의 중공부(201)에 삽입되어 고정되었을 때는 상기 머리부(112)가 90° 회전되어 상기 제1안내홈(121) 및 제2안내홈(131)이 상기 머리부(112)의 연장된 가로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아울러, 상기 도 10 내지 도 12는 플랜지 너트(Flange Nut)(140)가 이용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 너트(140)란 도 3 내지 도 9에 도시한 육각 너트(140)와 같이 상기 몸체(110)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어 조임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육각 너트(140)의 하부에 별도의 와셔(washer)가 더 구비될 수 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클램프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의 체결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클램프의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상기 도 3에 도시한 클램프의 가조립 상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의 체결 작업을 설명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3b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를 나타낸 다른 사시도 단면도 및 다른 방향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클램프
110 : 몸체 111 : 나사산
112 : 머리부 113 : 사각걸림턱
h113 : 사각걸림턱의 높이
d1, d2 : 사각걸림턱의 길이
114 : 표시부
120 : 제1고정부 121 : 제1안내홈
122 : 걸림턱 l : 걸림턱의 길이
h122 : 걸림턱의 높이
130 : 제2고정부 131 : 제2안내홈
132 : 단차부
140 : 너트
150 : 탄성수단
200 : 완철 201 : 중공부
t : 완철의 두께
w : 중공부의 세로방향 너비
210 : 접지선

Claims (9)

  1. 볼트 형상으로 외주면에 나사산(111)이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머리부(112)가 형성되는 몸체(110);
    중앙부분에 상기 몸체(110)가 관통되며 사이에 접지선(210)이 고정되도록 각각 반원형의 제1안내홈(121) 및 제2안내홈(131)이 형성된 제1고정부(120) 및 제2고정부(130);
    상기 몸체(110)의 머리부(112), 제1고정부(120) 및 제2고정부(130)가 밀착되도록 상기 몸체(110)의 나사산(111)에 결합되는 너트(140); 및
    상기 너트(140)와 대응되는 상기 제1고정부(120) 또는 제2고정부(130)의 일측에 구비되는 탄성수단(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을 높인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100)는 완철에 고정되기 이전에, 상기 접지선(210)이 상기 제1고정부(120) 및 제2고정부(130)에 가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을 높인 클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150)의 복원력은 상기 제1고정부(120) 및 제2고정부(130)를 밀착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을 높인 클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150)이 연결되는 제1고정부(120) 또는 제2고정부(130)의 일측 면은 상기 탄성수단(150)이 구비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단차진 단차부(1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을 높인 클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112)는 상기 몸체(110)의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을 높인 클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100)의 머리부(112)는 상기 완철(200)의 중공부(201)에 용이하게 삽입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는 상기 머리부(112)와 나사산(111)이 형성되는 영역 사이에 사각형 단면을 갖는 사각걸림턱(1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을 높인 클램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철(200)과 접촉되는 상기 제1고정부(120) 또는 제2고정부(130)의 일측 면에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걸림턱(122)이 돌출형성되되, 상기 걸림턱(122) 사이에 상기 사각걸림턱(113)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을 높인 클램프.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는 상기 중공부(201)에 머리부(112)가 삽입된 후, 상기 너트(140)의 조임 이전에 90° 회전되어 상기 사각걸림턱(113)이 상기 중공부(201) 영역에 위치되도록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을 높인 클램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는 상기 머리부(112)가 형성되지 않는 타측에 상기 중공부(201)에 삽입 가능한 방향을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머리부(112)의 연장부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1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을 높인 클램프.
KR2020090005196U 2009-04-29 2009-04-29 완철 접지 클램프 KR2004567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196U KR200456727Y1 (ko) 2009-04-29 2009-04-29 완철 접지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196U KR200456727Y1 (ko) 2009-04-29 2009-04-29 완철 접지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954U true KR20100010954U (ko) 2010-11-08
KR200456727Y1 KR200456727Y1 (ko) 2011-11-16

Family

ID=4420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196U KR200456727Y1 (ko) 2009-04-29 2009-04-29 완철 접지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72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290B1 (ko) * 2012-01-12 2013-01-03 제룡산업 주식회사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
CN108216199A (zh) * 2016-12-13 2018-06-2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控制混合动力电动车辆的振动的方法和装置
CN108216205A (zh) * 2016-12-13 2018-06-2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控制混合动力电动车辆的振动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5422U (ko) 1985-11-29 1987-06-18
KR200280839Y1 (ko) 2002-04-10 2002-07-06 세명전기공업 (주) 완철용 접지 클램프
JP2007010132A (ja) * 2005-06-29 2007-01-18 Otake:Kk 脱落防止ボルト・ナッ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290B1 (ko) * 2012-01-12 2013-01-03 제룡산업 주식회사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
CN108216199A (zh) * 2016-12-13 2018-06-2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控制混合动力电动车辆的振动的方法和装置
CN108216205A (zh) * 2016-12-13 2018-06-2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控制混合动力电动车辆的振动的方法和装置
CN108216199B (zh) * 2016-12-13 2022-03-2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控制混合动力电动车辆的振动的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727Y1 (ko)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6196B2 (ja) 車両用ルーフアンテナ取付け装置
JP2009156019A (ja) 屋根板取り付け金具
KR101434960B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0456727Y1 (ko) 완철 접지 클램프
US20030025047A1 (en) Anchor assembly for electrified conductor bar
KR100733690B1 (ko) 전차선로 드롭퍼 클램프
WO2014208506A1 (ja)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CN111480026A (zh) 安装夹具
JP2009189073A (ja) ケーブル保持装置
JP7075266B2 (ja) 電線固定具
CN107514416B (zh) 瓷瓶螺母卡簧
JP6486854B2 (ja) 接続端子函補助クランプ
KR101497087B1 (ko) 체결성을 증진시킨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
CN105811315A (zh) 110kv变电站电缆架设夹具
KR200356201Y1 (ko) 철근 연결구
KR100577064B1 (ko) 조가선 고정용 밴드
JP3104579U (ja) ボルトの回り止めプレート
JP2016066514A (ja) アース端子ユニット
KR20100008558U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200466124Y1 (ko) 다용도 결합형 클립
KR101717361B1 (ko) 경완금 브라키트
JP5700800B2 (ja) 端子のボルト締結構造
JP7153359B2 (ja) 等電位ボンディング金具
JP2002030764A (ja) 高負荷用鉄筋クリップ
KR200381081Y1 (ko) 와이어 하네스 결속용 밴드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6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