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290B1 -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290B1
KR101218290B1 KR1020120003800A KR20120003800A KR101218290B1 KR 101218290 B1 KR101218290 B1 KR 101218290B1 KR 1020120003800 A KR1020120003800 A KR 1020120003800A KR 20120003800 A KR20120003800 A KR 20120003800A KR 101218290 B1 KR101218290 B1 KR 101218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ground
body part
earth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룡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3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2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2Arrangements of earthing wires suspended between masthe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75Earth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금구를 고정하기 위한 유볼트에 체결되는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에 있어서, 지지금구를 고정하기 위한 유볼트에 체결되는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에 있어서, 양측으로 분할형성되어 결합되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관통홀을 관통하는 유볼트; 상기 몸체부와 상기 지지금구사이에서 상기 유볼트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지지금구에 밀착되는 고정너트;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상기 유볼트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고정너트에 밀착되도록 하는 조임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에는 접지선이 통과되도록 각각 제1접지선통과홈과 제2접지선통과홈이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의 외측에는 와셔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와셔삽입홈에는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분리시 분리력을 증가시키는 와셔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를 구성하는 몸체부가 고정돌기와 고정홈 및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접지선이 몸체부에 보다 용이하게 클램핌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몸체부에 회동방지를 위한 회동방지돌기를 형성시킴으로써 접지선의 이탈 및 단선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 { Clamp for a Earth Stick of Overhead Line Support Tool }
본 발명은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를 구성하는 몸체부가 고정돌기와 고정홈 및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접지선이 클램프에 보다 용이하게 클램핑 되도록 하고, 또한 몸체부에 회동방지를 위한 회동방지돌기를 형성시켜 접지선의 이탈 및 단선을 방지하는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지금구('지지완금'이라 칭하기도함)는 전주의 상부에 설치되어 애자와 배전선을 결합,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지지금구에는 대지간에 접지를 목적으로 접지선을 연결시키게 된다.
종래의 실용신안등록공보 제1987-0002325호의 '다접촉 전선 조임구'에는 지지금구용 접지 클램프를 구성하는 몸체와 커버에 반원홈을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시키고 반원홈사이에 접지선을 삽입, 고정함으로써 접지선의 이탈현상이나 단선사고등을 방지하는 내용이 개재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지지금구용 접지 클램프는 클램프를 구성하는 몸체와 커버를 별도의 수단없이 조임너트를 이용하여 밀찰고정시킴으로써 조임너트의 해체시 몸체와 커버가 쉽게 분리됨으로써 내부에 삽입된 접지선이 외부로 쉽게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몸체와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금구에 밀착고정된 경우 결합상태에 있는 몸체와 커버의 회동을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몸체와 커버의 회동으로 인해 접지선이 현재의 고정된 위치에서 보다 쉽게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를 구성하는 몸체부가 고정돌기와 고정홈 및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접지선이 클램프에 보다 용이하게 클램핑 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고, 또한 몸체부에 회동방지를 위한 회동방지돌기를 형성시켜 접지선의 이탈 및 단선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금구를 고정하기 위한 유볼트에 체결되는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에 있어서, 양측으로 분할형성되어 결합되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관통홀을 관통하는 유볼트; 상기 몸체부와 상기 지지금구사이에서 상기 유볼트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지지금구에 밀착되는 고정너트;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상기 유볼트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고정너트에 밀착되도록 하는 조임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에는 접지선이 통과되도록 각각 제1접지선통과홈과 제2접지선통과홈이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의 외측에는 와셔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와셔삽입홈에는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분리시 분리력을 증가시키는 와셔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와셔는 웨이브와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와셔삽입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와셔삽입홈에 굴곡이 형성된 웨이브와셔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결합시 압축상태에 있게 되는 웨이브와셔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분리가 보다 용이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접지선을 상기 몸체부로부터 쉽게 분리해 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지선통과홈과 상기 제2접지선통과홈은,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내부에서 외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결합시 서로 접합되는 면에는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가 결합고정되도록 고정돌기와 고정홈이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를 고정돌기와 고정홈을 이용하여 결합분리함으로써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제1접지선통과홈과 상기 제2접지선통과홈에 접지선을 삽입하거나 삽입된 접지선을 이탈시키는 것이 보다 용이해지도록 하여 클램프의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부에는 외측면의 일측과 타측에 대칭으로 상기 몸체부의 회동을 방지하는 회동방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금구를 고정하기 위한 유볼트에 체결되는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에 있어서, 양측으로 분할형성되어 결합되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부;상기 몸체부의 관통홀을 관통하는 유볼트; 상기 몸체부와 상기 지지금구사이에서 상기 유볼트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지지금구에 밀착되는 고정너트;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상기 유볼트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고정너트에 밀착되도록 하는 조임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에는 접지선이 통과되도록 각각 제1접지선통과홈과 제2접지선통과홈이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접지선통과홈과 상기 제2접지선통과홈에 각각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분리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밀착고정되도록 탄성부재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접지선통과홈과 상기 제2접지선통과홈은,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내부에서 외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결합시 서로 접합되는 면에는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가 결합고정되도록 고정돌기와 고정홈이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몸체부에는 외측면의 일측과 타측에 대칭으로 상기 몸체부의 회동을 방지하는 회동방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는,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를 구성하는 몸체부가 고정돌기와 고정홈 및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접지선이 몸체부에 보다 용이하게 클램핌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몸체부에 회동방지를 위한 회동방지돌기를 형성시킴으로써 접지선의 이탈 및 단선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가 지지금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몸체부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몸체부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우측에서 바라본 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제1몸체부에 대한 (a) 우측면도, (b) 정면도, (c)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제2몸체부에 대한 (a) 좌측면도, (b) 정면도, (c)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의 제1실시예에 사용되는 웨이브와셔를 나타낸 (a) 정면도, (b)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몸체부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몸체부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우측에서 바라본 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1몸체부에 대한 (a) 우측면도, (b) 정면도, (c)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2몸체부에 대한 (a) 우측면도, (b) 정면도, (c) 평면도.
도 13은 도 11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15는 도 12의 C-C'선을 따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가 지지금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몸체부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몸체부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우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제1몸체부에 대한 (a) 우측면도,(b) 정면도,(c)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제2몸체부(320)에 대한 (a) 좌측면도,(b) 정면도,(c)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의 제1실시예에 사용되는 웨이브와셔를 나타낸 (a) 정면도,(b)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는 몸체부(300), 유볼트(100), 조임너트(200) 및 고정너트(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300)는 제1몸체부(310)와 제2몸체부(320)로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310)와 상기 제2몸체부(320)는 양측으로 분할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몸체부(310)와 제2몸체부(320)로 구성된 상기 몸체부(300)의 중앙에는 상기 유볼트(100)가 관통되도록 관통홀(370)이 형성되고, 상기 유볼트(100)가 지지금구(500)와 상기 고정너트(400) 및 상기 몸체부(300)의 관통홀(370)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몸체부(300)가 상기 지지금구(50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300)를 구성하는 제2몸체부(320)의 일측에는 유볼트(100)와 스크류결합하여 상기 몸체부(300)가 상기 지지금구(500)에 밀착되도록 조임너트(200)를 형성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는 지지금구(500)와 고정너트(400) 및 몸체부(300)가 순서대로 나열된 상태에서 상기 유볼트(100)가 상기 지지금구(500)와 상기 고정너트(400) 및 상기 몸체부(300)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지지금구(500)를 상기 몸체부(300)에 연결시킨후 상기 조임너트(200)를 상기 몸체부(300)를 구성하는 제2몸체부(320)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금구(500)가 형성된 방향으로 스크류결합하면서 조이게 되면 상기 지지금구(500)에 본 발명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가 고정장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너트(400)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300)의 회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몸체부(310)의 외측면에 고정너트(400)방향으로 돌출되게 회동방지돌기(311)를 더 형성시킨다.
따라서 상기 지지금구(500)와 상기 몸체부(300)사이에 상기 고정너트(400)를 위치시킬때 상기 고정너트(400)가 상기 제1몸체부(310)의 외측면에 형성된 회동방지돌기(311)의 내측에 밀착되도록 한 후 유볼트(100)와 조임너트(200)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금구(500)와 상기 고정너트(400) 및 상기 몸체부(300)를 순서대로 밀착시켜 연결시키게 되면 상기 회동방지돌기(311)가 상기 고정너트(400)의 외측면의 양끝단과 맞닿게 된 상태로 있게 됨으로써 접지선(10)이 고정장착된 상기 몸체부(300)의 회동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300)를 구성하는 제1몸체부(310)와 제2몸체부(320)에는 도 3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지선(10)의 통과를 위해 각각 제1접지선통과홈(312)과 제2접지선통과홈(32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몸체부(310)에 형성된 제1접지선통과홈(312)은 상기 제1몸체부(310)의 내부에서 외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2몸체부(320)에 형성된 상기 제2접지선통과홈(321)도 상기 제1접지선통과홈(312)과 동일하게 상기 제2몸체부(320)의 외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몸체부(310)와 상기 제2몸체부(320)가 결합하게 되면 상기 몸체부(300)의 내부에는 상기 몸체부(300)의 외측면 부근에 외측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접지선(10)의 통과를 위한 접지선통과홀(330)이 상기 제1접지선통과홈(312)과 상기 제2접지선통과홈(321)의 결합에 따라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접지선(10)의 일측을 상기 제1몸체부(310)에 형성된 상기 제1접지선통과홈(312)에 밀착시킨후 상기 제2몸체부(320)를 상기 제1몸체부(310)에 결합시키면 상기 접지선(10)은 상기 제1몸체부(310)와 상기 제2몸체부(320)의 결합으로 형성된 접지선통과홀(330)에 고정장착되게 된다.
이에 더하여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부(310)의 접합면에는 일측에 고정돌기(340,340')가 형성되고 대칭되는 위치로 타측에 고정홈(350,350')이 형성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몸체부(320)의 접합면에는 상기 제1몸체부(310)의 고정돌기(340,340')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홈(350,350')이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310)의 고정홈(350,350')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돌기(340,34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몸체부(310)의 제1접지선통과홈(312)에 상기 접지선(10)을 밀착시킨후 상기 제2몸체부(320)를 상기 제1몸체부(310)에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제1몸체부(310)에 형성된 고정돌기(340,340')는 제2몸체부(320)에 형성된 고정홈(350,350')에 삽입되고, 상기 제2몸체부(320)에 형성된 고정돌기(340,340')는 상기 제1몸체부(310)에 형성된 고정홈(350,35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몸체부(310)와 상기 제2몸체부(320)가 결합고정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접지선(10)이 상기 제1접지선통과홈(312)과 상기 제2접지선통과홈(32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접지선통과홀(330)에 고정장착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부(310)와 상기 제2몸체부(320)를 상기 고정돌기(340,340')와 상기 고정홈(350,350')을 이용하여 결합고정함으로써 상기 접지선(10)이 상기 몸체부(300)의 내부에 보다 편리하게 클램핑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제1몸체부(310)와 상기 제2몸체부(320)가 보다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진 웨이브와셔(361)를 상기 몸체부(300)의 내부에 삽입하며, 이때 상기 웨이브와셔(361)의 삽입을 위한 와셔삽입홈(360)을 상기 몸체부(300)의 관통홀(370)의 외측에 형성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몸체부(310)와 상기 제2몸체부(320)를 상기 고정돌기(340,340')와 고정홈(350,350')을 이용하여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와셔삽입홈(360)에 형성된 상기 웨이브와셔(361)는 일정부분 압착된 상태에 있게 되고 이후 상기 제1몸체부(310)와 상기 제2몸체부(320)를 분리하게 되면 압착상태에 있던 와셔(361)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몸체부(310)와 상기 제2몸체부(320)의 분리가 보다 쉽게 되어 클램핑된 상기 접지선(10)이 보다 용이하게 상기 몸체부(300)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몸체부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몸체부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우측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1몸체부에 대한 (a) 우측면도, (b) 정면도, (c)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2몸체부에 대한 (a) 우측면도, (b) 정면도, (c) 평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1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2의 C-C'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는 몸체부(300'), 유볼트(100'), 조임너트(200') 및 고정너트(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300')는 제1몸체부(310')와 제2몸체부(320')가 양측으로 분할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가 지지금구에 고정장착되는 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너트(400')의 일측에 밀착된 상기 몸체부(300)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몸체부(310')의 외측면에 고정너트(400')방향으로 돌출되게 회동방지돌기(311')를 더 형성시켜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의 연결시 상기 회동방지돌기(311')가 상기 고정너트(400)의 외측면의 양끝단과 맞닿게 된 상태로 있게 하여 상기 몸체부(300')의 회동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300')를 구성하는 제1몸체부(310')와 제2몸체부(320')에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선(10')의 통과를 위해 각각 제1접지선통과홈(312')과 제2접지선통과홈(3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접지선통과홈(312')과 상기 제2접지선통과홈(321')은 내부에서 외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몸체부(310')와 상기 제2몸체부(320')가 결합하게 되면 상기 몸체부(300')의 내부에는 접지선통과홀(330')이 상기 제1접지선통과홈(312')과 상기 제2접지선통과홈(321')의 결합에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접지선통과홀(330')에 접지선(10')이 고정장착되게 된다.
이에 더하여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부(310')의 접합면에는 일측에 고정돌기(340")가 형성되고 대칭되는 위치로 타측에 고정홈(350")이 형성되며, 제2몸체부(320')의 접합면에는 상기 제1몸체부(310')의 고정돌기(340")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홈(350"a)이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310')의 고정홈(350")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돌기(340"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몸체부(320')를 상기 제1몸체부(310')에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제1몸체부(310')에 형성된 고정돌기(340")는 제2몸체부(320')에 형성된 고정홈(350"a)에 삽입되고, 상기 제2몸체부(320')에 형성된 고정돌기(340"a)는 상기 제1몸체부(310')에 형성된 고정홈(35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몸체부(310')와 상기 제2몸체부(320')가 결합고정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지선(10')이 상기 제1접지선통과홈(312')과 상기 제2접지선통과홈(32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접지선통과홀(330')에 고정장착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도 8 및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부(310)와 상기 제2몸체부(320)가 보다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용수철과 같은 탄성부재(324)를 상기 몸체부(300')의 내부에 형성시키고, 이때 상기 탄성부재(324)가 상기 몸체부(300')의 내부에 밀착고정시키도록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몸체부(310')와 제2몸체부(320')에 각각 탄성부재안착홈(322,323)을 형성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몸체부(310')와 상기 제2몸체부(320')를 상기 고정돌기(340",340"a)와 고정홈(350",350"a)을 이용하여 결합시키게 되면 용수철과 같은 상기 탄성부재(324)가 상기 탄성부재안착홈(322,323)에 압착되어 밀착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제1몸체부(310')와 상기 제2몸체부(320')를 분리하게 되면 압착상태에 있던 상기 탄성부재(32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몸체부(310')와 상기 제2몸체부(320')의 분리가 보다 쉽게 이루어짐으로써 클램핑된 상기 접지선(10')이 보다 용이하게 상기 몸체부(300)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10': 접지선 100: 유볼트
200: 조임너트 300: 몸체부
310,310': 제1몸체부 320,320': 제2몸체부
311,311': 회동발지돌기 312,312': 제1접지선통과홈
321,321': 제2접지선통과홈 330,330': 접지선통과홀
340,340',340",340a: 고정돌기 350,350',350",350"a: 고정홈
360: 와셔삽입홈 361: 와셔
370: 관통홀 400,400': 고정너트
500,500': 지지금구

Claims (9)

  1. 지지금구를 고정하기 위한 유볼트에 체결되는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에 있어서,
    양측으로 분할형성되어 결합되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관통홀을 관통하는 유볼트;
    상기 몸체부와 상기 지지금구사이에서 상기 유볼트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지지금구에 밀착되는 고정너트;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상기 유볼트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고정너트에 밀착되도록 하는 조임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에는 접지선이 통과되도록 각각 제1접지선통과홈과 제2접지선통과홈이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의 외측에는 와셔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와셔삽입홈에는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분리시 분리력을 증가시키는 와셔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지선통과홈과 상기 제2접지선통과홈은,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내부에서 외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결합시 서로 접합되는 면에는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가 결합고정되도록 고정돌기와 고정홈이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웨이브와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에는 외측면의 일측과 타측에 대칭으로 상기 몸체부의 회동을 방지하는 회동방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
  6. 지지금구를 고정하기 위한 유볼트에 체결되는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에 있어서,
    양측으로 분할형성되어 결합되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관통홀을 관통하는 유볼트;
    상기 몸체부와 상기 지지금구사이에서 상기 유볼트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지지금구에 밀착되는 고정너트;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상기 유볼트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고정너트에 밀착되도록 하는 조임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에는 접지선이 통과되도록 각각 제1접지선통과홈과 제2접지선통과홈이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접지선통과홈과 상기 제2접지선통과홈에 각각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분리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밀착고정되도록 탄성부재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지선통과홈과 상기 제2접지선통과홈은,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내부에서 외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결합시 서로 접합되는 면에는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가 결합고정되도록 고정돌기와 고정홈이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에는 외측면의 일측과 타측에 대칭으로 상기 몸체부의 회동을 방지하는 회동방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
KR1020120003800A 2012-01-12 2012-01-12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 KR101218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800A KR101218290B1 (ko) 2012-01-12 2012-01-12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800A KR101218290B1 (ko) 2012-01-12 2012-01-12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290B1 true KR101218290B1 (ko) 2013-01-03

Family

ID=47841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800A KR101218290B1 (ko) 2012-01-12 2012-01-12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2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073B1 (ko) * 2017-04-26 2018-02-09 제룡산업 주식회사 접지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신주
KR20210156491A (ko) * 2020-06-18 2021-12-27 한국전력공사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2779A (ko) * 2005-10-07 2006-07-19 김형백 완철용 접지 클램프
KR20100010954U (ko) * 2009-04-29 2010-11-08 (주)포유텍 완철 접지 클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2779A (ko) * 2005-10-07 2006-07-19 김형백 완철용 접지 클램프
KR20100010954U (ko) * 2009-04-29 2010-11-08 (주)포유텍 완철 접지 클램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073B1 (ko) * 2017-04-26 2018-02-09 제룡산업 주식회사 접지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신주
KR20210156491A (ko) * 2020-06-18 2021-12-27 한국전력공사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KR102452284B1 (ko) * 2020-06-18 2022-10-07 한국전력공사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KR20220139274A (ko) * 2020-06-18 2022-10-14 한국전력공사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KR20220139273A (ko) * 2020-06-18 2022-10-14 한국전력공사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KR20220139272A (ko) * 2020-06-18 2022-10-14 한국전력공사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KR102457892B1 (ko) * 2020-06-18 2022-10-25 한국전력공사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KR102485063B1 (ko) * 2020-06-18 2023-01-09 한국전력공사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KR102485076B1 (ko) * 2020-06-18 2023-01-09 한국전력공사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5158B2 (en) Split connector with circular dove tail
US9660402B2 (en) Conductor assembly for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US20140199870A1 (en) Structure of highly waterproof connector for easy conduction between ground pin and body
US8317536B2 (en) Ground clamp with ball contact stud
KR101218290B1 (ko)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
US8794990B2 (en) Terminal pair
CN105098394A (zh) 整体式接地毂
US11107608B2 (en) Corona protection device
US7867002B1 (en) Wire connector
CN204012078U (zh) 多功能用接地线装置
KR20150019193A (ko) 전차선로용 드로퍼 클램프
CN109546489A (zh) 带有导线防脱功能的插头
KR102117071B1 (ko) 전선 접속장치
JP2014165168A (ja) アース端子の取付構造
CN208423701U (zh) 一种用于保护汽车线束的线束盒
KR20130011782A (ko) 애자와 연결되는 장치
JP2001136643A (ja) ケーブル架設用の留め金具
KR20170033598A (ko) 확장식 밴드 케이블
US1864292A (en) Grounding clamp
KR200468582Y1 (ko) 완철용 접지클램프
US2952729A (en) Electrical connector
CN209461984U (zh) 一种单槽夹板
CN211146164U (zh) 灯头以及台灯
KR101317804B1 (ko) 너트 고정용 브라켓을 구비한 차단기 단자 어셈블리
KR20190126006A (ko) Pe-접점을 갖는 장착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