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9272A -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 Google Patents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9272A
KR20220139272A KR1020220126183A KR20220126183A KR20220139272A KR 20220139272 A KR20220139272 A KR 20220139272A KR 1020220126183 A KR1020220126183 A KR 1020220126183A KR 20220126183 A KR20220126183 A KR 20220126183A KR 20220139272 A KR20220139272 A KR 20220139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jumper
protrusion
jumper terminal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7892B1 (ko
Inventor
박종석
김수영
원경배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126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892B1/ko
Publication of KR20220139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 F16B43/001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for sealing or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Abstract

송전선용 클램프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송전선용 클램프장치는: 송전선과 연결되고,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압축인류클램프부와, 점퍼선과 연결되고, 접속단자와 접촉되며, 오링홈부를 구비하는 점퍼터미널부와, 접속단자와 점퍼터미널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오링홈부에 결합되고, 접속단자와 점퍼터미널부의 접촉시 접속단자와 점퍼터미널부 사이의 틈을 제거하는 제1오링부를 포함하고, 점퍼터미널부는 접속단자와 접촉되고, 제1오링부가 결합되는 오링홈부가 형성되고, 결합부가 결합되는 점퍼터미널과, 점퍼터미널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고, 접속단자를 관통하는 점퍼터미널돌기를 포함하고, 점퍼터미널부는 점퍼터미널돌기와 결합되는 돌기결합부를 포함하고, 점퍼터미널돌기는 외측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돌기결합부는 링형상으로 내측면에 제1나사산과 결합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고, 점퍼터미널돌기에 장착되며, 점퍼터미널돌기와 접속단자 사이의 틈을 제거하는 제2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송전선용 클램프장치{CLAMP DEVICE FOR POWER CABLE}
본 발명은 송전선용 클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이나 이물질의 유입이 없어 과열이 방지되는 송전선용 클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인류클램프는 현수애자를 설치한 가공 송전선로의 송전선을 현수애자에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금구류이다. 압축인류클램프는 송전선로 자체 중량 및 풍압에 의한 진동을 충분히 견딜 수 있고 가설 및 송전상 연결이 용이하도록 제작되며, 양질의 전기를 송전할 수 있도록 전기적 접속을 고려하여 도전성이 높은 고순도의 알루미늄으로 제작된다. 압축인류클램프는 본체, 클램프 및 접속단자로 이루어지고, 접속단자에 점퍼선과 연결된 점퍼터미널이 맞대어진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면서 접속단자와 점퍼터미널이 접속된다. 그러나, 바람 등의 환경적인 요인 등에 의해 볼트와 너트가 느슨해짐에 따라 압축인류클램프의 접속단자와 점퍼터미널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여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어 전기저항이 증가하면서 압축인류클램프와 점퍼터미널의 접속부에서 과열이 발생하는 등 불완전 접속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11285호(발명의 명칭: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 공개일: 2020.02.03.)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빗물이나 이물질의 유입이 없어 과열이 방지되는 송전선용 클램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송전선용 클램프장치는: 송전선과 연결되고,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압축인류클램프부; 점퍼선과 연결되고, 상기 접속단자와 접촉되며, 오링홈부를 구비하는 점퍼터미널부;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점퍼터미널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 상기 오링홈부에 결합되고,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점퍼터미널부의 접촉시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점퍼터미널부 사이의 틈을 제거하는 제1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퍼터미널부는, 상기 접속단자와 접촉되고, 상기 제1오링부가 결합되는 상기 오링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가 결합되는 점퍼터미널; 및 상기 점퍼터미널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접속단자를 관통하는 점퍼터미널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점퍼터미널부는 상기 점퍼터미널돌기와 결합되는 돌기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퍼터미널돌기는 외측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결합부는 링형상으로 내측면에 상기 제1나사산과 결합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점퍼터미널돌기에 장착되며, 상기 점퍼터미널돌기와 상기 접속단자 사이의 틈을 제거하는 제2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에는 상기 결합부가 관통되는 제1관통홀부와, 상기 점퍼터미널돌기가 관통되는 돌기관통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점퍼터미널부는 상기 제1관통홀부와 마주보며, 상기 결합부가 관통되는 제2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접속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관통홀부는 상기 접속단자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홀부는 복수개로 상기 접속단자 상에서 서로 이격되게 상기 돌기관통홀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점퍼터미널돌기는 상기 접속판부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관통홀부는 복수개로 상기 접속판부 상에서 서로 이격되게 상기 점퍼터미널돌기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링홈부는 링 형상으로 상기 점퍼터미널돌기 및 복수개의 상기 제1관통홀부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관통홀부와 상기 제2관통홀부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부; 및 상기 볼트부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용 클램프장치는 점퍼터미널부의 오링홈부에 장착되는 제1오링부를 통해 접속단자와 점퍼터미널부 사이의 틈이 제거됨은 물론, 접속단자와 점퍼터미널부가 서로 밀착되므로, 접속단자와 점퍼터미널부 사이에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압축인류클램프부와 점퍼터미널부 사이에서 과열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점퍼터미널돌기를 통해 점퍼터미널과 압축인류클램프부를 보다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오링부를 통해, 점퍼터미널돌기가 접속단자의 돌기관통홀부를 관통하면, 제2오링부가 점퍼터미널돌기와 접속단자 사이의 틈을 제거함으로써, 점퍼터미널돌기와 접속단자 사이의 틈이 발생되는 것을 막아 접속단자와 점퍼터미널부 사이에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압축인류클램프부와 점퍼터미널부 사이에서 과열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용 클램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용 클램프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반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용 클램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반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용 클램프장치의 점퍼터미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용 클램프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용 클램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용 클램프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반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용 클램프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반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용 클램프장치의 점퍼터미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용 클램프장치(1)는 압축인류클램프부(100), 점퍼터미널부(200), 결합부(300) 및 제1오링부(400)를 포함한다.
압축인류클램프부(100)는 송전선(10)과 연결되고, 접속단자(130)를 구비한다. 압축인류클램프부(100)는 본체부(110), 클램프(120) 및 접속단자(130)를 구비한다. 본체부(110)는 송전선(10)과 연결된다. 송전선(10)이 본체부(110)에 삽입되고, 압축되어 고정된다.
클램프(120)는 본체부(110)와 연결되고, 송전철탑(미도시)에 설치되는 애자부(30)에 연결된다. 이로 인해, 송전선(10)과 송전철탑이 서로 이어지게 된다.
접속단자(130)는 본체부(110)와 연결되고, 후술된 점퍼터미널부(200)와 접촉된다. 접속단자(130)는 주조 및 소결 등에 의해 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접속단자(130)는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점퍼터미널부(200)는 점퍼선(20)과 연결되고, 접속단자(130)와 접촉되며, 오링홈부(211a)를 구비한다. 점퍼선(20)이 점퍼터미널부(200)에 삽입되고, 압축되어 고정된다.
결합부(300)는 접속단자(130)와 점퍼터미널부(200)를 결합시킨다. 결합부(300)는 볼트부(310)와 너트부(320)를 포함한다. 볼트부(310)는 접속단자(130)의 제1관통홀부(131)와 점퍼터미널부(200)의 제2관통홀부(211b)에 나사결합된다. 너트부(420)는 볼트부(310)와 나사결합된다.
제1오링부(400)는 오링홈부(211a)에 결합되고, 접속단자(130)와 점퍼터미널부(200)의 접촉시 접속단자(130)와 점퍼터미널부(200) 사이의 틈을 제거한다. 즉, 제1오링부(400)로 인해 접속단자(130)와 점퍼터미널부(200) 사이의 틈이 제거됨은 물론, 접속단자(130)와 점퍼터미널부(200)가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용 클램프장치(1)는 제1오링부(400)를 통해 접속단자(130)와 점퍼터미널부(200) 사이의 틈이 제거됨은 물론, 접속단자(130)와 점퍼터미널부(200)가 서로 밀착되므로, 접속단자(130)와 점퍼터미널부(200) 사이에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압축인류클램프부(100)와 점퍼터미널부(200) 사이에서 과열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점퍼터미널부(200)는 점퍼터미널(210), 점퍼터미널돌기(220) 및 돌기결합부(230)를 포함한다. 점퍼터미널(210)은 접속단자(130)와 접촉되고, 제1오링부(400)가 결합되는 오링홈부(211a)가 형성되고, 결합부(300)가 결합된다.
점퍼터미널돌기(220)는 점퍼터미널(210)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고, 접속단자(130)를 관통한다. 점퍼터미널돌기(220)는 접속단자(130)의 돌기관통홀부(132)에 관통한다.
돌기결합부(230)는 점퍼터미널돌기(220)와 결합된다. 이를 통해, 점퍼터미널(210)은 압축인류클램프부(100)의 접속단자(130)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점퍼터미널돌기(220)는 외측면에 제1나사산(221)이 형성된다. 점퍼터미널돌기(220)는 돌기결합부(230)와 결합되는 부분에 제1나사산(221)이 형성된다. 돌기결합부(230)는 링형상으로 내측면에 제1나사산(221)과 결합되는 제2나사산(231)이 형성된다. 일 예로, 돌기결합부(230)는 너트일 수 있다. 이로써, 돌기결합부(230)는 점퍼터미널돌기(220)와 보다 쉽게 결합될 수 있다.
송전선용 클램프장치(1)는 제2오링부(500)를 더 포함한다. 제2오링부(500)는 점퍼터미널돌기(220)에 장착되며, 점퍼터미널돌기(220)와 접속단자(130) 사이의 틈을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제2오링부(500)는 점퍼터미널돌기(220)를 감싸도록 장착된다. 점퍼터미널돌기(220)가 접속단자(130)의 돌기관통홀부(132)를 관통하면, 제2오링부(500)는 점퍼터미널돌기(220)와 접속단자(130) 사이의 틈을 제거한다. 이로써, 점퍼터미널돌기(220)와 접속단자(130) 사이의 틈이 발생되는 것을 막아 접속단자(130)와 점퍼터미널부(200) 사이에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압축인류클램프부(100)와 점퍼터미널부(200) 사이에서 과열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접속단자(130)에는 결합부(300)가 관통되는 제1관통홀부(131)와, 점퍼터미널돌기(220)가 관통되는 돌기관통홀부(132)가 형성된다. 점퍼터미널부(200)는 접속판부(211)와 결합부(212)를 포함한다. 접속판부(211)에는 제1관통홀부(131)와 마주보며, 결합부(300)가 관통되는 제2관통홀부(211b)가 형성된다. 결합부(212)는 접속판부(211)와 연결되며, 점퍼선(2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결합부(300)의 볼트부(310)는 접속단자(130)의 제1관통홀부(131) 및 점퍼터미널부(200)의 제2관통홀부(211b)에 나사결합된다. 점퍼터미널돌기(220)는 돌기관통홀부(132)를 관통한다.
돌기관통홀부(132)는 접속단자(130)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제1관통홀부(131)는 복수개로 접속단자(130) 상에서 서로 이격되게 돌기관통홀부(132)의 양측에 형성된다. 제1관통홀부(131)는 한 쌍으로 돌기관통홀부(132)의 양측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점퍼터미널돌기(220)는 접속판부(211)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제2관통홀부(211b)는 복수개로 접속판부(211) 상에서 서로 이격되게 점퍼터미널돌기(220)의 양측에 형성된다. 제2관통홀부(211b)는 한 쌍으로 돌기관통홀부(132)의 양측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오링홈부(211a)는 링 형상으로 점퍼터미널돌기(220) 및 복수개의 제1관통홀부(131)를 둘러싼다. 이를 통해, 오링홈부(211a)에 장착된 제1오링부(400)에 의해 접속단자(130)와 점퍼터미널부(200) 사이의 틈이 제거되면, 접속단자(130)와 점퍼터미널부(200) 사이에 빗물이나 이물질이 점퍼터미널돌기(220) 및 복수개의 제1관통홀부(131)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용 클램프장치(1)는 점퍼터미널부(200)의 오링홈부(211a)에 장착되는 제1오링부(400)를 통해 접속단자(130)와 점퍼터미널부(200) 사이의 틈이 제거됨은 물론, 접속단자(130)와 점퍼터미널부(200)가 서로 밀착되므로, 접속단자(130)와 점퍼터미널부(200) 사이에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압축인류클램프부(100)와 점퍼터미널부(200) 사이에서 과열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점퍼터미널돌기(220)를 통해 점퍼터미널(210)과 압축인류클램프부(100)를 보다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오링부(500)를 통해, 점퍼터미널돌기(220)가 접속단자(130)의 돌기관통홀부(132)를 관통하면, 제2오링부(500)가 점퍼터미널돌기(220)와 접속단자(130) 사이의 틈을 제거함으로써, 점퍼터미널돌기(220)와 접속단자(130) 사이의 틈이 발생되는 것을 막아 접속단자(130)와 점퍼터미널부(200) 사이에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압축인류클램프부(100)와 점퍼터미널부(200) 사이에서 과열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10 : 송전선
20 : 점퍼선 30 : 애자부
100 : 압축인류클램프 110 : 본체부
120 : 클램프 130 : 접속단자
131 : 제1관통홀부 132 : 돌기관통홀부
200 : 점퍼터미널부 210 : 점퍼터미널
211 : 접속판부 211a : 오링홈부
211b : 제2관통홀부 212 : 점퍼터미널결합부
220 : 점퍼터미널돌기 221 : 제1나사산
230 : 돌기결합부 231 : 제2나사산
300 : 결합부 310 : 볼트부
320 : 너트부 400 : 제1오링부
500 : 제2오링부

Claims (5)

  1. 송전선과 연결되고,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압축인류클램프부;
    점퍼선과 연결되고, 상기 접속단자와 접촉되며, 오링홈부를 구비하는 점퍼터미널부;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점퍼터미널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
    상기 오링홈부에 결합되고,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점퍼터미널부의 접촉시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점퍼터미널부 사이의 틈을 제거하는 제1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퍼터미널부는,
    상기 접속단자와 접촉되고, 상기 제1오링부가 결합되는 상기 오링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가 결합되는 점퍼터미널; 및
    상기 점퍼터미널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접속단자를 관통하는 점퍼터미널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점퍼터미널부는 상기 점퍼터미널돌기와 결합되는 돌기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퍼터미널돌기는 외측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결합부는 링형상으로 내측면에 상기 제1나사산과 결합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점퍼터미널돌기에 장착되며, 상기 점퍼터미널돌기와 상기 접속단자 사이의 틈을 제거하는 제2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에는 상기 결합부가 관통되는 제1관통홀부와, 상기 점퍼터미널돌기가 관통되는 돌기관통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점퍼터미널부는 상기 제1관통홀부와 마주보며, 상기 결합부가 관통되는 제2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접속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관통홀부는 상기 접속단자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홀부는 복수개로 상기 접속단자 상에서 서로 이격되게 상기 돌기관통홀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점퍼터미널돌기는 상기 접속판부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관통홀부는 복수개로 상기 접속판부 상에서 서로 이격되게 상기 점퍼터미널돌기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홈부는 링 형상으로 상기 점퍼터미널돌기 및 복수개의 상기 제1관통홀부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관통홀부와 상기 제2관통홀부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부; 및
    상기 볼트부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KR1020220126183A 2020-06-18 2022-10-04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KR102457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183A KR102457892B1 (ko) 2020-06-18 2022-10-04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139A KR102452284B1 (ko) 2020-06-18 2020-06-18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KR1020220126183A KR102457892B1 (ko) 2020-06-18 2022-10-04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139A Division KR102452284B1 (ko) 2020-06-18 2020-06-18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272A true KR20220139272A (ko) 2022-10-14
KR102457892B1 KR102457892B1 (ko) 2022-10-25

Family

ID=7917712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139A KR102452284B1 (ko) 2020-06-18 2020-06-18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KR1020220126184A KR102485063B1 (ko) 2020-06-18 2022-10-04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KR1020220126185A KR102485076B1 (ko) 2020-06-18 2022-10-04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KR1020220126183A KR102457892B1 (ko) 2020-06-18 2022-10-04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139A KR102452284B1 (ko) 2020-06-18 2020-06-18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KR1020220126184A KR102485063B1 (ko) 2020-06-18 2022-10-04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KR1020220126185A KR102485076B1 (ko) 2020-06-18 2022-10-04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4522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290B1 (ko) * 2012-01-12 2013-01-03 제룡산업 주식회사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
KR20170018132A (ko) * 2015-08-05 2017-02-16 한국전력공사 압축인류클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290B1 (ko) * 2012-01-12 2013-01-03 제룡산업 주식회사 가공선 지지금구 접지용 클램프
KR20170018132A (ko) * 2015-08-05 2017-02-16 한국전력공사 압축인류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892B1 (ko) 2022-10-25
KR20220139274A (ko) 2022-10-14
KR102485076B1 (ko) 2023-01-09
KR20210156491A (ko) 2021-12-27
KR102452284B1 (ko) 2022-10-07
KR102485063B1 (ko) 2023-01-09
KR20220139273A (ko) 202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88623B2 (ja) 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およびエルボー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5399807A (en) Explosion-proof electrical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y
KR102355339B1 (ko) 차폐 케이블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장치
JP2008270213A (ja) 7−16同軸フランジ付きレセプタクル
KR102457892B1 (ko) 송전선용 클램프장치
CA2474755A1 (en) Pole terminal
TWI422105B (zh) Power plug
KR20170018132A (ko) 압축인류클램프
TWI694650B (zh) 具有密封組件的電纜保持裝置
JP2000312429A (ja) ケーブルグランド
GB2459146A (en) Cable retention bracket
CN216387502U (zh) 一种光缆接头盒及其光缆进线的连接结构
CN113964597B (zh) 一种屏蔽型电缆前接头
CN210468138U (zh) 电缆连接器
RU226984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проводников
CN211508573U (zh) 一种防折弯电缆固定头
CN217956225U (zh) 一种防爆连接器
KR200330110Y1 (ko) 주상변압기용 저압부싱
JP3493935B2 (ja) ブッシング
CN111725770A (zh) 电缆压盖及具有其的电气设备
JP5049522B2 (ja) 電気機器の碍子形端子
US3306973A (en) Line cable support with suppressor bond
TWM634706U (zh) 防水接頭
CN113866925A (zh) 一种光缆接头盒及其光缆进线的连接结构
JPS60173506A (ja) 光ケ−ブル外被接続部の機械強度保持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