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087B1 - 체결성을 증진시킨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체결성을 증진시킨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087B1
KR101497087B1 KR1020130069058A KR20130069058A KR101497087B1 KR 101497087 B1 KR101497087 B1 KR 101497087B1 KR 1020130069058 A KR1020130069058 A KR 1020130069058A KR 20130069058 A KR20130069058 A KR 20130069058A KR 101497087 B1 KR101497087 B1 KR 101497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lamp
wire
clamp plates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6404A (ko
Inventor
강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은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은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은통신
Priority to KR1020130069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087B1/ko
Publication of KR20140146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7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with a hinge on one side and fastened together on the other si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가선을 고정함에 있어 조가선이 빠지거나 미끌어지는 등의 이동발생을 방지시켜 안정적인 조가선 설치를 보장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안정적인 통신케이블 설치를 보장할 후 있는 구조를 제안한 체결성을 증진시킨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서로 포개어지고, 포개어진 사이에 조가선이 배열되는 제1 및 제2 클램프판과,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판 각각에 형성된 것으로 조가선 배열을 위한 제1 및 제2 조가선배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조가선배열부는 능선부와 골부가 반복형성된 물결형태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체결성을 증진시킨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CLAMP FOR FIXING MESSENGER WIRE}
본 발명은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고정용 클램프에 굵기가 서로 다른 조가선이 체결되더라도 조가선이 빠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아 안정적인 조가선 설치를 보장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안정적인 통신케이블 설치를 보장할 후 있는 구조를 제안한 체결성을 증진시킨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조가선(messenger wire, 일명 강연선이라고도 하나 이하에서는 조가선으로 통칭함)은 통상적으로 통신선이나 유선방송 케이블 등이 전주와 같은 시설물에 설치되는 경우에 인장강조가 낮은 통신선이나 유선방송 케이블 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통신선이나 유선방송 케이블과 같이 설치되는 강선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조가선(W)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가선 고정용 밴드(300) 및 클램프(400)에 의해 전주(T)에 설치 고정되고, 통신선(L) 또는 유선방송 케이블은 와이어에 의해 조가선과 함께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것은 종래의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400)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조가선 고정용 밴드(300)와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400)는 소위 직선 개소방식으로 한 쌍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가 체결용 제1 볼트(B1)와 제1 너트(N1)에 의해 전주(T)의 외면에 밀착 고정된다. 이때, 조가선 고정용 밴드는 전주의 외면에 밀착되므로 그 원호부가 굴곡지게 형성되고, 그 양 끝단부가 절곡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 중에서 일측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300)에는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400)가 체결용 제2 볼트(B2)와 제2 너트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클램프에 의해 고정되는 조가선이 전주의 측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관련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517886호(2005.09.22), 등록특허 제10-0577064호(2006.04.28)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종래기술 및 통상적으로 거래사회에 사용되고 있는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의 경우 일반적으로 제안되고 있는 클램프 구조만으로는 조가선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조가선은 인장강도가 낮은 통신선이나 유선방송 케이블 등이 전주에 설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것으로 외부 환경에 의해서 미끌리거나 흔들리는 등의 이동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이는 조가선을 고정시키는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가 얼마나 조가선을 안정적으로 잡아주느냐에 따라 달라지는데, 공지된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들은 외력에 의한 조가선의 미끌림 등의 이동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미비하다는 지적이 있어왔고, 이는 안전사고로 이어질 위험을 가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조가선의 굵기 역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사용되는 굵기에 따라 이에 맞는 클램프가 사용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굵은 조가선 설치용 클램프에 얇은 굵기의 조가선을 설치하게 되면 사용 중 조가선이 빠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이 경우 얇은 굵기용 조가선 클램프를 사용하여야만 하고, 결국 조가선 굵기에 따라 다양한 클램프가 준비되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조사선의 굵기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적인 설치가 보장되는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제 1 목적이 있다.
즉, 조가선의 굵기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더욱이 이러한 다양한 굵기를 가진 조가선을 미끄러짐없이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시킬 수 있는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하고자 함에 제1 목적이 있다.
특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되는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의 구조가 복잡한 것이 아니라 기존의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의 형태를 그대로 따라가되 약간의 구조적 변형만으로도 조가선을 굵기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는,
서로 포개어지고, 포개어진 사이에 조가선이 배열되는 제1 및 제2 클램프판과,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판 각각에 형성된 것으로 조가선 배열을 위한 제1 및 제2 조가선배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조가선배열부는 능선부와 골부가 반복형성된 물결형태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클램프판의 일측으로는 클램프판간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부와 결합돌부가 제1 및 제2 클램프판 각각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의 돌출 높이는 클램프간의 체결시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판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높이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클램프판간의 체결은 클램프판의 관통하는 체결볼트에 대한 체결너트의 조임에 의해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너트 조임 전 탄지링이 체결볼트에 끼워진 후 조임이 이루어지고,
상기 탄지링은 링의 일부가 절개되고 절개된 단부 각각의 높낮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조가선배열부에서 조가선과 접촉되는 접촉면에는 조가선의 미끌림 방지를 위해 이동방지돌기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에 의하면, 조가선이 능선부와 골부가 반복 형성되면서 이루어진 제1 및 제2 조가선배열부에 배열됨으로써 조가선 역시 굴곡을 형성하면서 제1 및 제2 클램프판 사이로 설치되고, 이 상태를 제1 및 제2 클램프판이 클램핑하게 됨에 따라 외력이 있더라도 조가선이 미끌어지는 등의 이동이 발생될 여지가 없고 이로 인해 안정적 조가선 설치를 기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다양한 굴기의 조가선을 설치할 수 있어서 조가선 굵기에 따라 서로 다른 구조의 클램프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작업의 편의성 및 생산의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가선배열부에서 조가선과 접축되는 부위에 미끌림 방지를 위한 돌기를 추가 형성함으로써, 조가선의 미끌림 방지를 확실히 보장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클램프판간의 공간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 클램프판간의 결합시 탄지링을 삽입 후 체결볼트에 대해 너트를 조임해줌에 따라 제1 및 제2 클램프간의 강한 결합을 기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가선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조가선 설치 상태 도시를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가선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400)는,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결합되는 것으로, 그 사이에는 조가선(W)이 배열되는 제1 및 제2 클램프판(11, 12)과,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판 각각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조가선배열부(21, 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조가선배열부(21, 22)는 클램프판(11, 12) 사이에 위치하는 조가선(W)이 놓여지는 자리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판(11, 12)에서 클램프판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부분 함몰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조가선배열부(21, 22)는 측면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물결형태로 형성되어 이에 배열되는 조가선(W) 역시 물결 형태로 배열되게 되어, 수평으로 평평하게 배열된 조가선을 클램핑하는 경우보다 보다 안정적으로 조가선을 클램핑할 수 있음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조가선배열부(21, 22)는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물결 형상으로 제1 및 제2 클램프판(11, 12)에 형성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조가선배열부(21, 22)는 능선부(20a)와 골부(20b)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는 물결을 연상케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능선부(20a)와 골부(20b)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조가선배열부(21, 22)에 조가선(W)이 위치하고, 제1 및 제2 클램프판(11, 12)이 서로 체결됨으로써 조가선이 고정 설치된다.
물론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조가선 역시 일정 부분 상하 방향의 굴곡이 형성된 상태로 제1 및 제2 조가선배열부에 위치하게 되다보니, 클램프판이 체결된 상태에서 조가선을 인위적으로 당긴다 하더라도 그 움직임이 쉽게 일어나지 않게 된다.
결국 상기 구조로 인해 기존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에 비해 보다 안정된 조가선 설치가 보장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판(11, 12)의 일측으로는 클램프판이 서로 포개어지는 경우 결합의 위한 결합홈부(110)와 결합돌부(120)가 각각 형성된다.
즉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램프판(11)에는 결합홈부(110)가 형성되고, 제2 클램프판에는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되는 결합돌부(120)가 형성되어
제1 및 제2 클램프판(11, 12)을 서로 포개는 경우 결합홈부(110)에 결합돌부(120)가 삽입 위치되면서 제1 클램프판과 제2 클램프판의 결합이 이루어진다(물론 상황에 따라서는 결합홈부와 결합돌부의 형성 위치를 바꿀 수도 있다. 즉, 결합홈부를 제2 클램프판에 형성하고 결합돌부를 제1 클램프판에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부(120)의 높이는 제1 및 제2 클램프판간의 체결시 제1 클램프판(11)과 제2 클램프판(12) 사이에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는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및 제2 클램프판끼리 맞닿는 상태라면 이후 제1 및 제2 클램프판에 체결볼트를 관통시킨 후 체결너트로 조임을 함에 있어 너트의 최대 조임력을 기대하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결합돌부(120)의 높이를 제1 및 제2 클램프판이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공간(S)을 형성하여 일정 부분 떠 있을 수 있도록 하는 높이로 하여,
이후 체결너트(N)로 조이는 경우 상기 공간(S)에 의해 체결너트 조임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클램프판(11, 12)에 체결볼트(B)를 관통시킨 후 체결너트(N)로 조임을 함에 있어서, 조임 작업 전 상기 탄지링(R)을 체결볼트에 삽입하고 체결너트의 조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체결볼트와 체결너트의 조임시 탄지링(R)이 체결볼트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너트의 조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는 제1 및 제2 클램프판 사이에 형성된 공간(S)에 의해 체결너트의 조임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한 탄지링을 체결볼트에 삽입 추가함으로써 체결너트 조임시 탄지가 되어 체결너트의 조임력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상기 탄지링(R)은 탄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절개되고 절개된 단부(Ra) 각각의 높낮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비틀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구조의 단순화를 추구하는 측면에서는 바람직하다.
따라서 결합홈부(110)에 결합돌부(120)가 삽입되는 상태로 그리고 조가선(W)이 제1 및 제2 조가선배열부(21, 22)에 위치된 상태로 제1 클램프판(11)과 제2 클램프판(12)을 포갠 후 체결볼트(B)를 관통시키고 이후 반대편에서 체결너트(N)를 조여서 제1 및 제2 클램프판의 체결시키는데,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판 사이에 형성된 공간(S)과 탄지링(R)에 의해 체결너트의 조임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즉,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볼트(B)가 관통하는 제1클램프판(11)의 관통공(h1a)은 장공 형상이고, 제2클램프판(12)의 관통공(h1b)은 원형이고,
상기 관통공(h1a,h1b)은 체결공(h2a,h2b) 양측에 2개 형성되어 있고,
체결용 제1 볼트(B1)와 제1 너트(N1)에 의해 전주(T)의 외면에 밀착 고정되는 한 쌍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300) 중 일측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에 제1 및 제2 클램프판(11,12)가 각 중앙 원형 체결공(h2a,h2b)를 관통하는 제2 볼트(B2)와 제2 너트(N2)에 의해 체결 고정되어 설치된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에 비해 이동방지돌기가 추가적으로 형성된 차이점만이 있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조가선배열부에서 조가선과 접촉되는 접촉면(23)에는 조가선의 미끌림 방지를 위해 이동방지돌기(25)가 형성되어 있다.
조가선의 미끌림방지는 1차적으로는 전술된 물결형상을 이루는 제1 및 제2 조가선배열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이동방지돌기(25)는 부수적인 측면이 강하다.
그러나 접촉면(23)에 이동방지돌기(25)를 추가 형성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조가선 고정 상태를 기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이동방지돌기(25)는 접촉면(23)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보다는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는 것 보다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방향에 변경을 주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조가선배열부(21,22)의 이동방지돌기(25)는 중앙을 기점으로 상호 다른 방향으로 경사져 제1 및 제2 돌기(25a,25b)를 각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하 기술되는 청구범위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제1 클램프판 12: 제2 클램프판
21; 제1 조가선배열부 22: 제2 조가선배열부
20a: 능선부 20b: 골부
23: 접촉면 25: 이동방지돌기
110: 결합홈부 120: 결합돌부
S: 공간 B: 체결볼트 N: 체결너트
R: 탄지링 Ra: 단부
300: 조가선 고정용 밴드 400: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
T: 전주 W: 조가선 L: 통신선

Claims (4)

  1. 서로 포개어지고, 포개어진 사이에 조가선(W)이 배열되는 제1 및 제2 클램프판(11,12); 및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판(11,12) 각각에 형성된 것으로 조가선 배열을 위한 제1 및 제2 조가선배열(21,22)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조가선배열부(21,22)는 능선부(20a)와 골부(20b)가 반복형성된 물결형태이고,
    제1 및 제2 클램프판(11,12)의 일측으로는 클램프판간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부(110)와 결합돌부(120)가 제1 및 제2 클램프판 각각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120)의 돌출높이는 클램프간의 체결시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판(11,1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높이이고,
    제1 및 제2 클램프판(11,12)간의 체결은 클램프판의 관통하는 체결볼트(B)에 대한 체결너트(N)의 조임에 의해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너트(N) 조임 전 탄지링(R)이 체결볼트(B)에 끼워진 후 조임이 이루어지고,
    상기 탄지링(R)은 링의 일부가 절개되고 절개된 단부 각각의 높낮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조가선배열부(21,22)에서 조가선(W)과 접촉되는 접촉면에는 조가선의 미끌림 방지를 위해 이동방지돌기(25)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되,

    상기 체결볼트(B)가 관통하는 제1클램프판(11)의 관통공(h1a)은 장공 형상이고, 제2클램프판(12)의 관통공(h1b)은 원형이고,
    체결용 제1 볼트(B1)와 제1 너트(N1)에 의해 전주(T)의 외면에 밀착 고정되는 한 쌍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300) 중 일측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에 제1 및 제2 클램프판(11,12)이 각 중앙 원형 체결공(h2a,h2b)을 관통하는 제2 볼트(B2)와 제2 너트(N2)에 의해 체결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관통공(h1a,h1b)은 체결공(h2a,h2b) 양측에 2개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 조가선배열부(21,22)의 이동방지돌기(25)는 중앙을 기점으로 상호 다른 방향으로 경사져 제1 및 제2 돌기(25a,25b)를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성을 증진시킨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30069058A 2013-06-17 2013-06-17 체결성을 증진시킨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 KR101497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058A KR101497087B1 (ko) 2013-06-17 2013-06-17 체결성을 증진시킨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058A KR101497087B1 (ko) 2013-06-17 2013-06-17 체결성을 증진시킨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404A KR20140146404A (ko) 2014-12-26
KR101497087B1 true KR101497087B1 (ko) 2015-03-03

Family

ID=52675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058A KR101497087B1 (ko) 2013-06-17 2013-06-17 체결성을 증진시킨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0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2333A (ko) * 2016-01-25 2016-08-30 우강원 3종 강연선을 고정할 수 있는 통신 케이블용 강연선 고정 장치
KR101883953B1 (ko) 2017-03-29 2018-07-31 (주)승일전력산업 너트 풀림 방지 고정용 클램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465Y2 (ja) * 1991-03-18 1995-05-1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アースクランプ
JP2001177962A (ja) * 1999-12-09 2001-06-29 Chubu Electric Power Co Inc 楔形引留クランプ
KR20100010881U (ko) * 2009-04-28 2010-11-05 (주)태진통신산업 통신케이블용 조가선 고정클램프
KR20110001300U (ko) * 2009-07-30 2011-02-09 주식회사 평일 급전분기선용 절연 지지클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465Y2 (ja) * 1991-03-18 1995-05-1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アースクランプ
JP2001177962A (ja) * 1999-12-09 2001-06-29 Chubu Electric Power Co Inc 楔形引留クランプ
KR20100010881U (ko) * 2009-04-28 2010-11-05 (주)태진통신산업 통신케이블용 조가선 고정클램프
KR20110001300U (ko) * 2009-07-30 2011-02-09 주식회사 평일 급전분기선용 절연 지지클램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2333A (ko) * 2016-01-25 2016-08-30 우강원 3종 강연선을 고정할 수 있는 통신 케이블용 강연선 고정 장치
KR101671966B1 (ko) * 2016-01-25 2016-11-03 우강원 3종 강연선을 고정할 수 있는 통신 케이블용 강연선 고정 장치
KR101883953B1 (ko) 2017-03-29 2018-07-31 (주)승일전력산업 너트 풀림 방지 고정용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404A (ko) 2014-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7087B1 (ko) 체결성을 증진시킨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
US9240649B2 (en) Power line coupler
US20170204992A1 (en) Clamp for a flexible pipe
US8191880B2 (en) Sheet metal ground conductor clamp
KR101572946B1 (ko) 통신 케이블용 다중 클램프
KR101883953B1 (ko) 너트 풀림 방지 고정용 클램프
KR101671966B1 (ko) 3종 강연선을 고정할 수 있는 통신 케이블용 강연선 고정 장치
CN102956995A (zh) 夹线组件
JP4057965B2 (ja) ワイヤロープ締結金具
JP2009189073A (ja) ケーブル保持装置
JP5067640B2 (ja) 結束バンド用支持部材
US6900715B2 (en) Fastening device
JP7075266B2 (ja) 電線固定具
KR20110055164A (ko) 와이어 연결 어셈블리
KR200493059Y1 (ko) 프로브 케이블용 클리트
KR20100010954U (ko) 완철 접지 클램프
JP2011259563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バンド
KR200493060Y1 (ko) 전선용 현수클램프
KR200330965Y1 (ko) 케이블을 가설하기 위한 전주용 고정벤드
JP5700800B2 (ja) 端子のボルト締結構造
CN220234039U (zh) 线缆护套及线缆装置
KR100352555B1 (ko) 저압케이블 배전용 후크
KR100939383B1 (ko) 전선관 고정 클램프
KR20100010881U (ko) 통신케이블용 조가선 고정클램프
KR200381081Y1 (ko) 와이어 하네스 결속용 밴드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