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965Y1 - 케이블을 가설하기 위한 전주용 고정벤드 - Google Patents

케이블을 가설하기 위한 전주용 고정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965Y1
KR200330965Y1 KR20-2003-0023353U KR20030023353U KR200330965Y1 KR 200330965 Y1 KR200330965 Y1 KR 200330965Y1 KR 20030023353 U KR20030023353 U KR 20030023353U KR 200330965 Y1 KR200330965 Y1 KR 2003309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fixed
cable
flanges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3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은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은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은통신
Priority to KR20-2003-00233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9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9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9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을 가설하기 위한 전주용 고정벤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반원형의 대판 양측에 마련된 플랜지의 벤딩부위가 볼트 체결 시 조임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을 가설하기 위한 전주용 고정벤드에 의하면, 대판(10)(20)의 양측에 마련된 고정플랜지(11)(21)의 벤딩부위에는 단면적 변화로 굽힘강성이 증대시키기 위한 비드부(13)(23)가 소성 가공되어 있다. 따라 고정플랜지(11)(21)의 볼트(40) 조임 시 이의 변형이 방지되는 작용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대판(10)(20)을 전주(P)에 보다 견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케이블을 가설하기 위한 전주용 고정벤드{FIXING BAND FOR TELEGRAPH POLE}
본 고안은 케이블을 가설하기 위한 전주용 고정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입클램프를 걸어서 케이블을 지지하는 전주용 고정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용 고정벤드는 전주의 중도에 견실하게 고정되며 케이블 인입클램프를 걸어 인입 케이블을 긴장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 전주용 고정벤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판을 반원형태로 벤딩하여 이루어진 한 쌍의 대판(1)(2)과, 이 대판(1)(2)의 양측에 대향되게 마련된 플랜지(3a)(3b)와, 이 대판(1)(2)의 플랜지(3a)(3b)를 상호 결착시키기 위한 볼트(4)와 너트(5)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대판(1)(2)의 외측에는 케이블 인입클램프(미도시)를 걸기 위한 걸이구(7)가 다수개 마련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3a)(3b)는 반원형 대판(1)(2)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각각 외측방향으로 벤딩되어 이루어지며, 여기에는 볼트(4)가 여유 있게 관통하도록 관통공(6)이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전주(8)의 중도에 한 쌍의 대판(1)(2)을 상호 대칭되게 마주되고, 인접된 플랜지(3a)(3b)에 형성된 관통공(6)을 통해 볼트(4)와 너트(5)를 조인다. 이로 인해 전주(8)에는 한 쌍의 대판(1)(2)이 견실하게 고정되며, 걸이구(7)를 통해 케이블 인입클램프를 걸어 케이블을 긴장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전주용 고정벤드 구조에서는 플랜지(3a)(3b)가 대판(1)(2)의 양측에서 단순하게 벤딩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볼트(4)와 너트(5)를 조이는 과정에서 플랜지(3a)(3b)의 벤딩부위가 변형되며 이로 인해 한 쌍의 대판(1)(2)을 견실하게 고정하는데 그 한계가 있다. 즉, 볼트(4)와 너트(5)의 조임력에 의해플랜지(3a)(3b)의 벤딩 부위가 펼쳐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대판의 양측에 마련된 플랜지의 벤딩부위를 개선하여 볼트와 너트의 체결 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을 가설하기 위한 전주용 고정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주용 고정벤드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을 가설하기 위한 전주용 고정벤드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주용 고정벤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Ⅲ - Ⅲ선에 따른 단면도로, 고정플랜지의 벤딩부위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대판
11,21..고정플랜지
12,22..관통공
13,23..비드부
30..걸이구
40..볼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주의 외주를 감싸도록 반원형태로 벤딩되며 외측으로 케이블 인입클램프를 걸기 위한 걸이구가 마련된 한 쌍의 대판과, 이 대판의 양측에서 외측방향으로 벤딩되어 대칭되게 이루어지며 관통공이 천공된 고정플랜지와, 이 고정플랜지의 관통공을 통해 대판을 상호 결착하기 위한 볼트와 너트를 갖춘 케이블을 가설하기 위한 전주용 고정벤드에 있어서,
고정플랜지의 벤딩부위에는 굽힘 강성이 증대되도록 단면적을 변화시켜 볼트와 너트의 조임 시 변형을 방지하는 비드부가 소성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비드부는 일측의 고정플랜지 벤딩부위에서부터 대판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타측의 고정플랜지 벤딩부위에까지 일체로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대판을 볼트와 너트를 통해 상호 결착하는 과정에서 고정플랜지의 벤딩부위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제품 신뢰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주용 고정벤드는 반원형태로 벤딩되며 외측으로 케이블 인입클램프(50)를 걸기 위한 걸이구(30)가 복수개 마련된 한 쌍의 대판(10)(20)과, 이 대판(10)(20)들의 양측에서 외측방향으로 벤딩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고정플랜지(11)(21)와, 이 고정플랜지(11)(21)를 상호 결착하기 위한 볼트(40)와 너트(41;도 3참조)를 갖추고 있다.
한 쌍의 대판(10)(20)은 전주(P)의 외주 일부를 감싸도록 띠 형태의 금속판을 반원형태로 벤딩한 제1대판(10)과, 전주(P)의 나머지 일부를 감싸도록 제작된 제2대판(20)으로 구별된다. 이러한 제1대판(10)과 제2대판(20)의 외측으로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인입클램프(50)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걸이구(30)가 반경방향으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플랜지(11)(21)는 제1,제2대판(10)(20)의 양측에서 각각 외측방향으로 벤딩되어 상호 대칭되게 이루어지며, 여기에는 볼트(40)가 여유 있게 통과하는 관통공(12)(22)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플랜지(11)(21)의 벤딩부위에는 볼트(40)와 너트(41)의 조임 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비드부(13)(23)가 성형되어 있다. 이 비드부(13)(23)는 고정플랜지(11)(21)의 벤딩부위에서 단면적을 변화시켜 굽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2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비드부(13)(23)는 일측의 고정플랜지(11) 벤딩부위에서부터 대판(10)(2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타측의 고정플랜지(11) 벤딩부위까지 형성되어 있다. 즉, 2열의 비드부(13)(23)가 대판(10)(2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 고정플랜지(11)(21) 벤딩부위까지 일체로 소성(塑性) 가공됨으로써, 볼트(40) 조임 시 고정플랜지(11)(21)의 벤딩부위가 변형되지 않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전주용 고정벤드의 장착과정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제1대판(10)과 제2대판(20)을 전주(P)의 외주를 감싸면서 고정플랜지(11)(21)들이 상호 대응하도록 마주된다.
그리고 고정플랜지(11)(21)들의 관통공(12)(22)에 볼트(40)를 관통시킨 후 여기에 너트(41)를 조이면, 볼트(40)와 너트(41)의 조임력에 의해 대응하는 고정플랜지(11)(21)들이 상호 결착됨과 동시에 제1대판(10)과 제2대판(20)이 전주(P)의 외주를 견실하게 감싼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제1,제2대판(10)(20) 및 고정플랜지(11)(21)의 벤딩부위는 소성 가공된 비드부(13)(23)에 의해 굽힘강성이 증대된 상태이기 때문에, 볼트(40)와 너트(41)의 조임 시 변형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제1대판(10)과 제2대판(20)을 보다 견실하게 결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주용 고정밴드의 걸이구(30)에 케이블(60:도 2참조)이 고정된 인입클램프(50;도 2참조)를 걸면, 케이블(60)을 긴장된 상태로 견실하게 가설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을 가설하기 위한 전주용 고정벤드에 의하면, 대판의 양측에 마련된 고정플랜지의 벤딩부위에는 단면적 변화로 굽힘강성이 증대시키기 위한 비드부가 소성 가공되어 있다. 따라 고정플랜지의 볼트 조임 시 이의 변형이 방지되는 작용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대판을 전주에 보다 견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전주(P)의 외주를 감싸도록 반원형태로 벤딩되며 외측으로 케이블 인입클램프(50)를 걸기 위한 걸이구(30)가 마련된 한 쌍의 대판(10)(20)과, 상기 대판(10)(20)의 양측에서 외측방향으로 벤딩되어 대칭되게 이루어지며 관통공(12)(22)이 천공된 고정플랜지(11)(21)와, 상기 고정플랜지(11)(21)의 관통공(12)(22)을 통해 상기 대판(10)(20)을 상호 결착하기 위한 볼트(40)와 너트(41)를 갖춘 케이블을 가설하기 위한 전주용 고정벤드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랜지(11)(21)의 벤딩부위에는 굽힘강성이 증대되도록 단면적을 변화시켜 상기 볼트(40)와 너트(41)의 조임 시 변형을 방지하는 비드부(13)(23)가 소성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을 가설하기 위한 전주용 고정벤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13)(23)는 일측의 고정플랜지(11)(21) 벤딩부위에서부터 상기 대판(10)(2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타측의 고정플랜지(11)(21) 벤딩부위에까지 일체로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을 가설하기 위한 전주용 고정벤드.
KR20-2003-0023353U 2003-07-19 2003-07-19 케이블을 가설하기 위한 전주용 고정벤드 KR2003309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353U KR200330965Y1 (ko) 2003-07-19 2003-07-19 케이블을 가설하기 위한 전주용 고정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353U KR200330965Y1 (ko) 2003-07-19 2003-07-19 케이블을 가설하기 위한 전주용 고정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965Y1 true KR200330965Y1 (ko) 2003-10-22

Family

ID=49417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353U KR200330965Y1 (ko) 2003-07-19 2003-07-19 케이블을 가설하기 위한 전주용 고정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9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922Y1 (ko) * 2010-01-15 2012-01-12 주식회사 삼은통신 케이블의 가설을 위한 전봇대용 고정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922Y1 (ko) * 2010-01-15 2012-01-12 주식회사 삼은통신 케이블의 가설을 위한 전봇대용 고정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14404C (en) Pipe clamp
JP5189151B2 (ja) ケーブル固定部材
KR200330965Y1 (ko) 케이블을 가설하기 위한 전주용 고정벤드
KR200409512Y1 (ko) 절연 파이프 행거
KR101224843B1 (ko)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
KR101572946B1 (ko) 통신 케이블용 다중 클램프
KR101006471B1 (ko) 자동차용 클리어런스 클립
KR101497087B1 (ko) 체결성을 증진시킨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
KR20110007314U (ko) 케이블의 가설을 위한 전봇대용 고정밴드
JP4837447B2 (ja) 螺旋状ケーブルハンガーの支持線固定金具
KR200448236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102417971B1 (ko) 전주용 완금 밴드
KR100352555B1 (ko) 저압케이블 배전용 후크
KR200223916Y1 (ko)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KR0127506Y1 (ko) 케이블 고정구
KR200454352Y1 (ko) 버스관로 클램핑 장치
JP5700800B2 (ja) 端子のボルト締結構造
KR200340290Y1 (ko) 인입선 결합용 밴드
KR200269701Y1 (ko) 케이블 고정구
KR20090044161A (ko) 밴드 클램프를 갖는 배관 고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관고정 방법
KR200339745Y1 (ko) 배관결착지지구
KR200433445Y1 (ko) 통신케이블용 야기봉 클램프
JP2009118566A (ja) 低圧ラック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低圧ラック用アダプタ
JP2017189055A (ja) 分線金物留め具
KR200305988Y1 (ko) 전주용 가공지선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