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843B1 -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843B1
KR101224843B1 KR1020110028064A KR20110028064A KR101224843B1 KR 101224843 B1 KR101224843 B1 KR 101224843B1 KR 1020110028064 A KR1020110028064 A KR 1020110028064A KR 20110028064 A KR20110028064 A KR 20110028064A KR 101224843 B1 KR101224843 B1 KR 101224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ipe
bending plate
bending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0296A (ko
Inventor
신경재
허필수
이수헌
손수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중공업
Priority to KR1020110028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843B1/ko
Publication of KR20120110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성을 통해 비닐하우스의 세로파이프 및 가로파이프를 효과적으로 결속시키기 위한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가 소개된다.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는 세로파이프가 장착되는 개구홀을 갖는 원형의 제1 굴곡플레이트와 제1 굴곡플레이트의 일단에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절곡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제1 클램프부와, 가로파이프가 장착되는 개구홀을 갖는 원형의 제2 굴곡플레이트와 제2 굴곡플레이트의 일단에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절곡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제2 클램프부와, 제1 굴곡플레이트의 타단 및 제2 굴곡플레이트의 타단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와, 제1 절곡플레이트, 제2 절곡플레이트 및 연결플레이트를 세로파이프와 가로파이프의 사이공간에서 평판상으로 중첩되게 배치하여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PIPE CONNECTOR IN GREENHOUSE}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체로 구성된 제1 클램프부 및 제2 클램프부가 한 번의 볼트 조임을 통해 간단히 고정되는 구성을 통해서 파이프에 대한 체결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와 같은 구조물에 사용되는 골조로는, 서까래파이프, 가로파이프, 기둥파이프 등이 사용되며, 이들 파이프는 공지의 파이프 연결구를 통해 서로 체결된다.
예컨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파이프 연결구(10)는, 일측 파이프(20)가 내입되는 홈부(11)가 형성되도록 2개의 지지간(12),(13)을 산형으로 절곡하여 타측 파이프(30)의 상측을 감싸게 하고, 절곡된 양측 지지간(12),(13)의 단부에는 일측 파이프(20)를 받쳐주는 안치고리(14),(15)을 형성하여 지지간(12),(13)의 탄성에 의해 파이프(20),(30)를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파이프 연결구의 경우, 설치 편리성은 보장할 수 있으나, 일측 파이프를 안치고리로 조립하는 과정에서 지지간(12),(13)의 탄성력을 상실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일측 파이프와 타측 파이프를 서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 강도가 약하며, 접촉 마찰력이 미약하여 이들 구성 간에 미끄러짐이 자주 발생되는 등 교차하는 파이프 간에 견고한 고정 상태를 보장하기가 어려웠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간 고정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구"가 제안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대표적인 "각도 조절용 파이프 연결구(실용신안등록 : 제257252)"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각도 조절용 파이프 연결구"는 볼트(30)를 매개로 파이프(12),(22) 상호간 확실한 결속력으로 연결하기 위해, 각 연결구(10),(20)에 형성되는 2개의 조임편(13),(14),(23),(24) 외면이 링(11),(21)의 외측과 동일 높이로 평행되게 형성되고, 연결구(10),(20)의 조임편(13),(14),(23),(24)간 끝단에 호형 간격유지편(15),(25)이 일체로 연결되며, 원형 돌턱(28)이 형성된 연결구(20)와 대응하는 다른 연결구(10)의 조임편(14) 일측면에 일정깊이의 요홈(18)이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각도 조절용 파이프 연결구"는 별물로 구성된 두 개의 연결구가 각각의 파이프에 체결된 후 볼트를 통해 체결되는 구조이므로, 제조 비용 및 시공 단계가 증가되고, 볼트를 강하게 조이더라도 연결구가 회전되는 것을 막기가 어려우며, 비닐하우스에 설치시 볼트의 돌출부와 연결구의 모서리 부분에 의해 비닐이 찢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에 대한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간단한 구성을 통해 제조 원가를 줄이고 제품의 시공성 및 파이프와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는, 비닐하우스의 세로파이프 및 가로파이프를 서로 결속하기 위한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로서, 제1 클램프부, 제2 클램프부, 연결플레이트 및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제1 클램프부는 세로파이프가 장착되는 개구홀을 갖는 원형의 제1 굴곡플레이트와 상기 제1 굴곡플레이트의 일단에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절곡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제2 클램프부는 가로파이프가 장착되는 개구홀을 갖는 원형의 제2 굴곡플레이트와 상기 제2 굴곡플레이트의 일단에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절곡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1 굴곡플레이트의 타단 및 제2 굴곡플레이트의 타단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고, 체결수단은 상기 제1 절곡플레이트, 제2 절곡플레이트 및 연결플레이트를 상기 세로파이프와 가로파이프의 사이공간에서 평판상으로 중첩되게 배치하여 고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클램프부 및 제2 클램프부는 상기 연결플레이트 일면측과 타면측의 대칭되는 위치에서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굴곡플레이트 및 제2 굴곡플레이트에는 상기 세로파이프 및 가로파이프의 용이한 장착을 위한 절삭장홈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절곡플레이트 및 제2 절곡플레이트의 절곡부위에는 보강리브가 형성되되,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절곡부위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1 보강리브 및 제2 보강리브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클램프부, 제2 클램프부 및 연결플레이트는 부식 방지를 위해 스틸 재질에 아연을 도금한 아연도금강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1 절곡플레이트, 제2 절곡플레이트 및 연결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고정하는 체결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절곡플레이트, 제2 절곡플레이트 및 연결플레이트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되는 체결홀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굴곡플레이트 및 제2 굴곡플레이트의 내경면에는 상기 세로파이프 및 가로파이프의 표면에 대한 접촉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접촉패드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현저한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손으로 파이프 연결구를 손쉽게 벌려 파이프에 끼워 장착하는 방식으로, 파이프에 대한 파이프 연결구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골조의 시공이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골조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제1 클램프부, 제2 클램프부 및 연결플레이트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구성을 통해 비닐하우스의 파이프를 효과적으로 체결함으로써, 생산 단가가 낮아지고 제품 원가가 저렴해지는 등의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비닐이 파이프 위로 지나가더라도 파이프 연결구에 의한 비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비닐이 파이프 연결구에 의해 찢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제1 클램프부, 제2 클램프부 및 연결플레이트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수직강성이 커져 십자 연결부의 직교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세로파이프 및 가로파이프에 면접촉되어 마찰력을 증대시킴으로써, 파이프에 대한 체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구가 세로파이프 및 가로파이프에 체결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더라도, 파이프 연결구에서는 편심에 따른 회전력이 발생되므로 마찰력이 증가되고 체결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은 스틸 재질에 아연을 도금한 아연도금강으로 구성됨으로써, 비닐하우스 내 다습한 환경에서 발생되는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a는 공지 기술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각도 조절용 파이프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를 도시한 결합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를 도시한 결합 측면도.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의 결합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는, 세로파이프(501)가 삽입되는 제1 클램프부(100)와, 가로파이프(502)가 삽입되는 제2 클램프부(200)와, 이들 제1 클램프부(100)와 제2 클램프부(200)를 상호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300) 및 상기 구성을 고정하는 체결수단(4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비닐하우스의 골조를 이루는 세로파이프(501)와 가로파이프(502)가 긴밀하게 결속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1 클램프부(100)는 세로파이프(501)를 감싸 구속하도록 세로파이프(501)의 외경면과 면 접촉이 이루어지는 클램프이다. 이 제1 클램프부(100)는 일측이 개방되는 원형의 제1 굴곡플레이트(110)와, 제1 굴곡플레이트(110)의 일단에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절곡플레이트(120)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제1 클램프부(100)의 제1 굴곡플레이트(110)는 해당 일단이 제1 절곡플레이트(120)에 연결되고 해당 타단이 연결플레이트(300)에 연결되는 구조로, 세로파이프(501)가 장착되는 개구홀(111)을 갖는다. 이 개구홀(111)의 직경은 세로파이프(501)의 외경보다 적어도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게 설계되는데, 이는 개구홀(111)의 직경이 세로파이프(501)의 외경보다 클 경우 제1 클램프부(100)에 세로파이프(501)를 체결하더라도 세로파이프(501)가 제1 클램프부(100)에서 꽉 조이지 못하고 쉽게 이탈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1 굴곡플레이트(110)에는 해당 길이방향으로 절삭장홈(112)이 형성되어 소성변형이 잘 일어나게 한다. 절삭장홈(112)은 제1 클램프부(100)에 대한 세로파이프(501)의 삽입시, 제1 굴곡플레이트(110)의 벌어짐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세로파이프(501)의 장착이 신속하고 손쉽게 구현될 수 있게 한다.
제1 클램프부(100)의 제1 절곡플레이트(120)는 제1 굴곡플레이트(110)의 일단에 일체로 절곡 연결되는 구조로, 연결플레이트(300) 및 제2 절곡플레이트(220)와 체결수단(400)을 통한 긴밀한 고정이 이루어지며, 이때, 제1 절곡플레이트(120)의 면적은 연결플레이트(300) 및 제2 절곡플레이트(220)와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다.
그리고 제1 절곡플레이트(120)의 절곡되는 부분에는 제1 클램프부(100)의 구조적으로 휨 성능을 보완하기 위한 보강리브(121)가 형성된다. 이 보강리브(121)는 절곡부위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보강리브(미도시)로 구성됨으로써, 두께가 얇은 구조적인 취약점을 보완한다.
이때, 제1 절곡플레이트(120)의 모서리는 비닐과의 간섭 방지를 위해 라운딩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파이프 위로 비닐이 지나가더라도 파이프 연결구에 의한 비닐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비닐이 파이프 연결구에 의해 찢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플레이트(300)는 제1 클램프부(100)와 제2 클램프부(200) 사이를 연결하되, 제1 클램프부(100)의 제1 절곡플레이트(120)와 제2 클램프부(200)의 제2 절곡플레이트(220)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체결수단(400)인 체결볼트를 통해 고정된다. 이때, 연결플레이트(300), 제1 절곡플레이트(120) 및 제2 절곡플레이트(220)에는 체결볼트가 관통되는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된다.
특히, 연결플레이트(300) 일면측과 타면측에는 제1 클램프부(100) 및 제2 클램프부(200)가 대칭되게 배치되는데, 이들 제1 클램프부(100) 및 제2 클램프부(200)의 배치구조는 세로파이프(501) 및 가로파이프(502)를 체결하는데 있어서, 구조적인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제1 클램프부(100)의 제1 굴곡플레이트(110)와 제2 클램프부(200)의 제2 굴곡플레이트(210)는 해당 굴곡면이 서로 반대방향(연결플레이트의 일면측과 타면측)으로 향한 상태에서, 체결수단(400)을 통해 제1 절곡플레이트(120), 제2 절곡플레이트(220) 및 연결플레이트(300)를 동시에 조여줌으로써, 제1 굴곡플레이트(110) 및 제2 굴곡플레이트(210)의 내경면은 세로파이프(501) 및 가로파이프(502)의 외경면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는 것이다.
제2 클램프부(200)는 가로파이프(502)의 외경면과 면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세로파이프(501)를 감싸 구속하는 클램프로, 일측이 개방되는 원형의 제2 굴곡플레이트(210)와, 제2 굴곡플레이트(210)의 일단에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절곡플레이트(220)로 구성된다.
예컨대, 제2 클램프부(200)의 제2 굴곡플레이트(210)는 해당 일단이 제2 절곡플레이트(220)에 연결되고 해당 타단이 연결플레이트(300)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 굴곡플레이트(210)는 가로파이프(502)의 외경과 적어도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게 설계되는 개구홀(211)을 갖으며, 해당 길이방향으로 가로파이프(502)의 용이한 장착을 위한 절삭장홈(2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클램프부(200)의 제2 절곡플레이트(220)는 체결수단(400)을 통해 연결플레이트(300) 및 제1 절곡플레이트(120)와 긴밀한 고정이 이루어지고, 제2 절곡플레이트(220)의 절곡되는 부분에는 구조적 성능을 보완하기 위해 제1 및 제2 보강리브(221a),(221b)로 구성되는 보강리브(221)가 형성되며, 제2 절곡플레이트(220)의 모서리는 비닐과의 간섭 방지를 위해 라운딩 처리된다.
체결수단(400)은 제1 절곡플레이트(120), 제2 절곡플레이트(220) 및 연결플레이트(300)를 상호 긴밀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체결수단(400)으로는 체결볼트 및 너트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제1 클램프부(100), 제2 클램프부(200) 및 연결플레이트(300)를 동시에 체결할 수 있는 체결핀, 리벳 등과 같이 구성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클램프부(100), 제2 클램프부(200) 및 연결플레이트(300)는 아연도금강으로 구성된다. 이 아연도금강은 스틸 재질에 아연을 도금한 것으로, 비닐하우스 내 다습한 환경에서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클램프부(100) 및 제2 클램프부(200)는 연결플레이트(300)를 통해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결되게 배치된다. 이렇게 직교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클램프부(100) 및 제2 클램프부(200)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세로파이프(501) 및 가로파이프(502)를 서로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클램프부(100) 및 제2 클램프부(200)가 90도 각도로 직교되는 파이프 연결구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각도는 세로파이프(501) 및 가로파이프(502)의 배치 상태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클램프부(100) 및 제2 클램프부(200)는 예각(α)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세로파이프(501) 및 가로파이프(502)는 예각(α)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의 결합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 연결구는, 세로파이프(501)가 삽입되는 제1 클램프부(100)와, 가로파이프(502)가 삽입되는 제2 클램프부(200)와, 이들 제1 클램프부(100)와 제2 클램프부(200)를 상호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300) 및 상기 구성을 고정하는 체결수단(400)과, 제1 굴곡플레이트(110) 및 제2 굴곡플레이트(210)의 내경면에 마련되는 접촉패드(5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 클램프부(100), 제2 클램프부(200), 연결플레이트(300) 및 체결수단(400)은 제1 실시예에서 언급한 제1 클램프부(100), 제2 클램프부(200), 연결플레이트(300) 및 체결수단(400)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접촉패드(503)는 해당 일면이 제1 및 제2 굴곡플레이트(110),(210)의 내경면에 부착되고 해당 타면이 파이프(501),(502)의 표면에 밀착 가능한 띠 형태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 굴곡플레이트와 파이프 간의 결합시 세로파이프(501) 및 가로파이프(502)의 표면에 대한 접촉력이 증대되도록 한다. 이 접촉패드(503)는 파이프에 대한 클램프의 밀착력을 증대시키면서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탄성고무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비닐하우스의 세로파이프(501)와 가로파이프(502)가 직교되어 있는 교차부분에 대해서, 제1 클램프부(100)의 제1 굴곡플레이트(110)를 벌려 세로파이프(501)를 제1 골곡플레이트(110)의 개구홀(111)에 삽입하는 동시에, 제2 클램프부(200)의 제2 굴곡플레이트(210)를 벌려 가로파이프(502)를 제2 골곡플레이트(210)의 개구홀(211)에 삽입한다.
제1 굴곡플레이트(110) 및 제2 굴곡플레이트(210)의 개구홀(111),(211)에 세로파이프(501) 및 가로파이프(502)가 각각 삽입되면, 제1 클램프부(100)의 제1 절곡플레이트(120), 제2 클램프부(200)의 제2 절곡플레이트(220) 및 연결플레이트(300)를 서로 중첩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체결볼트를 통해 서로 긴밀하게 체결한다.
이와 같이, 제1 클램프부(100), 제2 클램프부(200) 및 연결플레이트(300)가 체결볼트를 통해 체결이 이루어지면,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더라도, 파이프 연결구에서는 편심에 따른 회전력이 발생되므로 마찰력이 증가되고 체결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구를 손쉽게 벌려 파이프에 끼워 장착하는 방식이므로 신속하고 간편한 비닐하우스의 골조 시공성이 가능하고, 제1 클램프부, 제2 클램프부 및 연결플레이트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구성이므로 제조 원가가 저렴해지고, 파이프 위로 비닐이 지나가더라도 파이프 연결구에 의한 비닐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 비닐이 파이프 연결구에 찢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파이프 연결구에서는 편심에 따른 회전력이 발생되는 경우 마찰력이 증가되어 체결 강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비닐하우스 내 다습한 환경에서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제1 클램프부 110 :제1 굴곡플레이트
111 :제1 개구홀 112 :제1 절삭장홈
120 :제1 절곡플레이트 121 :제1 보강리브
200 :제2 클램프부 210 :제2 굴곡플레이트
220 :제2 절곡플레이트 221 :제2 보강리브
300 :연결플레이트 400 :체결수단
401 :체결홀 501 :세로파이프
502 :가로파이프

Claims (7)

  1. 비닐하우스의 세로파이프 및 가로파이프를 서로 결속하기 위한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로서,
    세로파이프가 장착되는 개구홀을 갖는 원형의 제1 굴곡플레이트와 상기 제1 굴곡플레이트의 일단에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절곡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제1 클램프부;
    가로파이프가 장착되는 개구홀을 갖는 원형의 제2 굴곡플레이트와 상기 제2 굴곡플레이트의 일단에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절곡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제2 클램프부;
    상기 제1 굴곡플레이트의 타단 및 제2 굴곡플레이트의 타단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절곡플레이트, 제2 절곡플레이트 및 연결플레이트를 상기 세로파이프와 가로파이프의 사이공간에서 평판상으로 중첩되게 배치하여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부 및 제2 클램프부는 상기 연결플레이트 일면측과 타면측의 대칭되는 위치에서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굴곡플레이트 및 제2 굴곡플레이트에는 상기 세로파이프 및 가로파이프의 용이한 장착을 위한 절삭장홈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플레이트 및 제2 절곡플레이트의 절곡부위에는 보강리브가 형성되되,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절곡부위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1 보강리브 및 제2 보강리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부, 제2 클램프부 및 연결플레이트는 부식 방지를 위해 스틸 재질에 아연을 도금한 아연도금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1 절곡플레이트, 제2 절곡플레이트 및 연결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고정하는 체결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절곡플레이트, 제2 절곡플레이트 및 연결플레이트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굴곡플레이트 및 제2 굴곡플레이트의 내경면에는 상기 세로파이프 및 가로파이프의 표면에 대한 접촉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접촉패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
KR1020110028064A 2011-03-29 2011-03-29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 KR101224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064A KR101224843B1 (ko) 2011-03-29 2011-03-29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064A KR101224843B1 (ko) 2011-03-29 2011-03-29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296A KR20120110296A (ko) 2012-10-10
KR101224843B1 true KR101224843B1 (ko) 2013-01-22

Family

ID=4728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064A KR101224843B1 (ko) 2011-03-29 2011-03-29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8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6699B1 (ko) * 2016-06-16 2018-11-09 주식회사 에스와이락코리아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
KR102002062B1 (ko) 2017-12-19 2019-10-21 홍정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고정장치
KR101963431B1 (ko) 2018-12-31 2019-03-28 한일종합기계 주식회사 컨베이어 정비용 안전펜스
KR102108494B1 (ko) 2019-01-09 2020-05-08 홍정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992Y1 (ko) 1997-06-05 1999-08-16 정승영 비닐하우스 커텐 개폐용 베어링 축수
JP2002051646A (ja) 2000-08-07 2002-02-19 Sadao Motooka ビニールハウスに於けるパイプ連結具の連結部の構造
KR20100085540A (ko) * 2009-01-21 2010-07-29 서성원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스 골조 연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992Y1 (ko) 1997-06-05 1999-08-16 정승영 비닐하우스 커텐 개폐용 베어링 축수
JP2002051646A (ja) 2000-08-07 2002-02-19 Sadao Motooka ビニールハウスに於けるパイプ連結具の連結部の構造
KR20100085540A (ko) * 2009-01-21 2010-07-29 서성원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스 골조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296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07633B2 (en) Dome cover supporter
US9046197B2 (en) Para-seismic support for pipes
KR101224843B1 (ko)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
KR20090001385U (ko) 파이프 고정용 유볼트
JP2011106174A (ja) 手すり壁用固定具
KR20130044906A (ko) 배관용 클램프 및 브래킷 장치
KR20090056636A (ko)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
EP2156083B1 (en) Clamp for suspending a pipe
KR200454780Y1 (ko)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
KR200446654Y1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 클램프
JP5221241B2 (ja) 樹脂ヘッダーの固定構造、及び樹脂ヘッダーシステム
KR20140003950U (ko) 사각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
KR200392716Y1 (ko) 스프링클러 리듀서 장착장치
KR101370455B1 (ko) 기능성 클램프
CN211853015U (zh) 一种管道夹持结构
JP5448079B2 (ja) 屋根上取付具およびその取付構造
KR101031892B1 (ko) 케이블 트레이 클램프
JP2011174333A (ja) 屋根上取付具およびその取付構造
JP5319352B2 (ja) 屋根上取付具およびその取付構造
KR200382039Y1 (ko) 배관의 연결밴드
KR200462293Y1 (ko) 배관 고정용 클램프
KR101276584B1 (ko) 비닐하우스 파이프 체결유닛
JP2017189055A (ja) 分線金物留め具
KR20100032300A (ko) 레일 고정장치
KR20100007401U (ko) 행거용 찬넬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