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780Y1 -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 - Google Patents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780Y1
KR200454780Y1 KR2020090002852U KR20090002852U KR200454780Y1 KR 200454780 Y1 KR200454780 Y1 KR 200454780Y1 KR 2020090002852 U KR2020090002852 U KR 2020090002852U KR 20090002852 U KR20090002852 U KR 20090002852U KR 200454780 Y1 KR200454780 Y1 KR 2004547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gap
iron
buil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8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265U (ko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룡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28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78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2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2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7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7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완철밴드로 전주(1)에 내장완철(2)을 가설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주(1)와 내장완철(2)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을 막아주기 위해 위쪽에서 끼워져 사용되는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20)에 있어서, 상기 전주(1)에 접촉하게 되는 틈새방지마개(20)의 가장자리 부분(21)에는 가장자리 부분(21)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갖는 가변형 밀착날개(22)가 연장 형성되는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를 제공한다.
이처럼, 본 고안은 전주(1)에 접촉되는 틈새방지마개(20)의 가장자리 부분(21)에 가변형 밀착날개(22)를 형성 구비함으로써, 틈새방지마개(20) 조립시 전주(1)의 직경 크기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전주(1) 및 내장완철(2) 사이에서 밀착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전주, 내장완철, 완철밴드, 틈새방지마개, 밀착날개

Description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Submerse Cover for Bands}
본 고안은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주에 내장완철을 완철밴드로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전주와 완철밴드의 틈새를 막아주는 틈새방지마개에 있어서, 전주에 접촉되는 틈새방지마개의 가장자리 부분에 가변형 밀착날개를 형성 구비함으로써, 틈새방지마개 조립시 전주의 직경 크기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전주 및 내장완철 사이에서 밀착성이 우수하도록 한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가공배전선로 상에는 가공전선을 지지하는 내장완철이 설치되어 가공전선을 보유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전주에 완철밴드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는 내장완철은 가공전선의 애자 등을 보유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내장완철은 반원형의 밴드에 볼트를 용접하여 전주에 설치된 완철밴드에 아답터 및 와셔와 너트를 매개로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바, 상기 완철밴드는 다양한 종류가 제안되어 가설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일실시예로써, 전주에 내장완철을 완철밴드로 설 치하는 구조가 나타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1)에 내장완철(2)을 가설하기 위해 밴드(3)와 본체지지구(4) 및 체결보울트(5)를 갖춘 완철밴드를 사용하게 되는 바, 상기 완철밴드는 상기 본체지지구(4)의 길이방향을 따라 엠보싱홈(6)이 복수개 형성되고, 이 엠보싱홈(6)들 사이에는 내장완철(2)에 형성된 지지홈(7)들에 각각 삽입되는 걸림턱(8)이 절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체결보울트(5)와 연결 고정되는 반원호상의 밴드(3)의 양측면으로 돌출 벤딩부(9)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지지구(4)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엠보싱홈(6)은 이 본체지지구(4)의 자체 지지력을 강화시키면서 힘 분배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밴드(3)의 돌출벤딩부(9)는 전주(1)에 완철밴드가 결착될 때 결집력을 강화시키어 설치 후 장시간이 경과해도 보유 지지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본체지지구(4)의 절개된 걸림턱(8)들은 내장완철(2)을 체결 보울트(5)로 보유 지지할 때 이 내장완철(2)의 지지홈(7)에 각각 삽입되므로 내장완철의 보유 지지를 보조적으로 도와주는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은 전주(1)에 접하는 당접로드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전주(1)에 내장완철(2)을 가설할 때, 완철밴드를 사용하게 되는 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철밴드로 고정된 내장완철(2)과 전주(1)의 체결부위에는 구조적으로 빈 공간이 형성되게 되고, 이 빈 공간에 까치 와 같은 조류가 집을 짓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통상 까치와 같은 조류가 집을 짓지 못하도록 상기 전주(1)와 내장완철(2)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틈새)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폴리에틸렌(PE)과 같은 합성수지제로 만들어진 틈새방지마개(20)로 막아주도록 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틈새방지마개(20)는 완철밴드로 고정된 전주(1)와 내장완철(2) 사이에 위쪽에서 끼워 넣어 상기 완철밴드의 본체지지구(4) 등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막아주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틈새방지마개(20)의 규격에 있어서, 전주(2)에 접촉하여 조립되는 틈새방지마개(20)의 직경 부분이 전주의 직경에 맞춰 일정한 크기로 고정되어 있었다.
즉, 통상 전주의 직경이 190㎜가 되는 지점에서만 틈새방지마개(2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었고, 특히 전주(1)와 내장완철(2) 사이에 틈새방지마개(20)를 끼워 넣은 경우에도 부분적으로 밀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를 좀 더 설명하면, 상기 틈새방지마개(20)는 폴리에틸렌(PE)과 같은 합성수지제로 제조되는 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틈새방지마개(20)의 재질 특성상 전주(1)와 접촉하는 가장자리 부분(21)이 일정하게 두꺼울 경우에는 접촉 부위에서 압착에 의해서 눌리거나 접히지 않고 원래 형상 그대로를 유지한 체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전주(1)의 직경과 틈새방지마개(20)의 가장자리 부분(21)의 접촉 직경(실제적으로 반경 크기로 접촉함)이 동일한 지점에서만 틈새방 지마개(20)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전주(1)는 하단에서 상단에서 올라 갈수록 전주(1)의 직경이 작아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틈새방지마개(20)는 전주(1)의 직경이 190㎜인 지점에서만 사용 가능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전주(1)의 직경 190㎜가 넘는 지점에서도 내장완철(2)이 가설될 경우가 있는 바, 이러한 경우에는 종래의 틈새방지마개(20)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전주에 접촉되는 틈새방지마개의 가장자리 부분에 가변형 밀착날개를 형성 구비함으로써, 틈새방지마개 조립시 전주의 직경 크기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전주 및 내장완철 사이에서 밀착성이 우수하도록 한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완철밴드로 전주에 내장완철을 가설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주와 내장완철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을 막아주기 위해 위쪽에서 끼워져 사용되는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에 있어서, 상기 전주에 접촉하게 되는 틈새방지마개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에 비해 상대 적으로 작은 두께를 갖는 가변형 밀착날개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주에 접촉하게 되는 틈새방지마개의 가장자리 부분에 가변형 밀착날개가 형성됨으로써, 전주와 내장완철 사이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가변형 밀착날개가 접히거나 눌려지는 구조로 전주와의 접촉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종래에 나타나던 접촉부분에서 부분적으로 밀착이 일어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르면, 내장완철이 설치되는 위치가 변하여 전주의 직경이 가변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밀착날개의 길이가 가변되는 전주의 직경 범위 내에서 설계되도록 틈새방지마개가 제조됨으로써, 틈새방지마개 조립시 가변되는 전주의 직경 크기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에서 요부를 확대하여 단면구조로 도시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의 사용 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틈새방지마개를 설명함에 있어서, 틈새방지마개가 사용되기 위한 전제조건인 내장완철이 완철밴드를 통해서 전주에 설치되는 구조 자체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하고 있는 기술내용과 동일함으로, 이하에서는 내장완철이 완철밴드를 통해서 전주에 설치되는 구조와 관련한 설명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 기술에 나타나 있는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종래와 동일명칭을 사용함과 아울러 첨부도면 도 1에 병기된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20)는, 종래기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주(1)와 내장완철(2) 사이에 끼워서 전주(1)와 내장완철(2) 사이의 빈 공간(틈새)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특히, 본 고안에 따른 틈새방지마개(20)는 조립시 전주(1)의 직경 크기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전주(1) 및 내장완철(2) 사이에서 밀착성이 우수하도록 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주(1)에 접촉하게 되는 틈새방지마개(20)의 가장자리 부분(21)에 가변형 밀착날개(22)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가변형 밀착날개(22)는 틈새방지마개(20)의 가장자리 부분(21)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갖는 것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 가장자리 부분(21)의 두께가 4㎜ 라면, 가변형 밀착날개(22)의 두께는 1㎜ 정도로 한다.
따라서, 상기 가변형 밀착날개(22) 부분은 가장자리 부분(21)에 비해서 두께적으로 신축성을 가지게 되고, 이 가변형 밀착날개(22)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접히거나 눌리면서 압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가변형 밀착날개(22)로 인해서 틈새방지마개(20)의 접촉 직경이 상황에 따라서 확대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가장자리 부분(21)에서 연장되는 가변형 밀착날개(22)의 길이가 5㎜정도가 되도록 설계된다면, 접촉 가능한 직경은 10㎜가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틈새방지마개(20)의 규격을 종래의 틈새방지마개(20)의 규격(예를 들어, 직경이 190㎜로 한정된 경우)과 동일하게 제조한다고 할 때, 전주(1)와 최초 접촉하게 되는 상기 가변형 밀착날개(22)의 끝부부에서의 전체 직경을 190㎜ 고정하더라도 상기 가변형 밀착날개(22)의 길이에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틈새방지마개(20)가 설치되는 전주(1)의 직경이 확대 가변될 때에도 적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1)에 내장완철(2)을 가설하기 위해 밴드(3)와 본체지지구(4, 도 1 참조) 및 체결보울트(5)를 갖춘 완철밴드를 사용하게 되고, 본 고안에 따른 틈새방지마개(20)를 전주(1)와 내장완철(2) 사이에 끼워 넣어 빈 공간(틈새)를 막아 줄 때, 예를 들어, 전주(1)의 직경이 200㎜ 지점인 경우, 본 고안에 따른 틈새방지마개(20)의 가변형 밀착날개(22) 끝부분에서 전주(1)와 접촉하는 직경이 190㎜이고, 가변형 밀착날개(22)의 돌출된 길이가 5㎜이면, 상기 5㎜ 길이의 가변형 밀착날개(22) 부분이 전주(1)와 접촉하면서 내장완철(2) 사이로 끼워지는 과정에서 가압에 위해 접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틈새방지마개(20)의 가장자리 부분(21)이 전주(1)와 접촉하게 되면서 접촉 직경이 200㎜로 확대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르면, 전주(1)와 내장완철(2) 사이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가변형 밀착날개(22)가 접히거나 눌려지는 구조로 전주(1)와의 접촉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종래에 나타나던 접촉부분에서 부분적으로 밀착이 일어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내장완철(2)이 설치되는 위치가 변하여 전주(1)의 직경이 가변되는 경우에도 가변되는 전주(1)의 직경 범위 내에서 상기 가변형 밀착날개(22)의 길이가 설계되어 틈새방지마개(20)가 제조됨으로써, 틈새방지마개(20) 조립시 가변되는 전주(1)의 직경 크기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내장완철이 완철밴드를 통해서 전주에 가설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를 보여주는 사시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에서 요부를 확대하여 단면구조로 도시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의 사용 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평면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주 2 : 내장완철
3 : 밴드 20 : 틈새방지마개
21 : 가장자리 부분 22 : 가변형 밀착날개

Claims (1)

  1. 완철밴드로 전주(1)에 내장완철(2)을 가설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주(1)와 내장완철(2)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을 막아주기 위해 위쪽에서 끼워져 사용되는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20)에 있어서,
    상기 전주(1)에 접촉하게 되는 틈새방지마개(20)의 가장자리 부분(21)에는 가장자리 부분(21)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갖는 가변형 밀착날개(22)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
KR2020090002852U 2009-03-12 2009-03-12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 KR2004547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852U KR200454780Y1 (ko) 2009-03-12 2009-03-12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852U KR200454780Y1 (ko) 2009-03-12 2009-03-12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265U KR20100009265U (ko) 2010-09-27
KR200454780Y1 true KR200454780Y1 (ko) 2011-07-28

Family

ID=44199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852U KR200454780Y1 (ko) 2009-03-12 2009-03-12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78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429B1 (ko) 2019-02-01 2019-04-10 주식회사 우성 전주의 완철밴드용 자동팽창식 새둥지 축조방지구
KR20200095751A (ko) 2019-02-01 2020-08-11 (주)웅진엔지니어링 전주의 완철밴드용 새둥지 축조방지구
KR102419821B1 (ko) 2022-01-05 2022-07-13 주식회사 한강기술 전주의 새둥지 제거물 수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488Y1 (ko) 1999-12-10 2000-05-15 이득광 조류둥지 방지용 완금커버
KR200428658Y1 (ko) 2006-08-02 2006-10-16 한국전력공사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
KR20080011840A (ko) * 2006-07-31 2008-02-11 한국전력공사 전주용 새둥지 방지갓
KR20090017782A (ko) * 2007-08-16 2009-02-19 주식회사 일산 완철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488Y1 (ko) 1999-12-10 2000-05-15 이득광 조류둥지 방지용 완금커버
KR20080011840A (ko) * 2006-07-31 2008-02-11 한국전력공사 전주용 새둥지 방지갓
KR200428658Y1 (ko) 2006-08-02 2006-10-16 한국전력공사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
KR20090017782A (ko) * 2007-08-16 2009-02-19 주식회사 일산 완철의 연결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429B1 (ko) 2019-02-01 2019-04-10 주식회사 우성 전주의 완철밴드용 자동팽창식 새둥지 축조방지구
KR20200095751A (ko) 2019-02-01 2020-08-11 (주)웅진엔지니어링 전주의 완철밴드용 새둥지 축조방지구
KR102419821B1 (ko) 2022-01-05 2022-07-13 주식회사 한강기술 전주의 새둥지 제거물 수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265U (ko) 2010-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7319B2 (en) Clamp for male terminal
KR200446357Y1 (ko) 라인포스트 애자용 커버
KR200454780Y1 (ko)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
KR20130036230A (ko) 전기 절연 케이지 너트
KR200480703Y1 (ko) 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커버
WO2016059962A1 (ja) アース用端子金具
WO2018116804A1 (ja) ワイヤハーネス
KR200409512Y1 (ko) 절연 파이프 행거
KR101224843B1 (ko)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
KR20150054277A (ko) 원터치 애자용 바인더
JP6216620B2 (ja) 端子防水構造
CN109314382B (zh) 用于支撑线缆的耐张结构
JP5944628B2 (ja) 分岐線支持具
JP2005353329A (ja) 絶縁性碍子カバー
WO2009049376A1 (en) Power line supporting apparatus
JP6709596B2 (ja) 電線束
KR20100008558U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JP5878744B2 (ja) 端子接続構造
KR200443657Y1 (ko)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JP5197296B2 (ja) 電気鉄道用碍子
KR100581332B1 (ko) 다기능 슬라이드형 전선 고정장치
KR200365540Y1 (ko) 특고압 컷아웃 스위치용 브라켓트
KR101994307B1 (ko) 완철밴드용 어댑터 장치
JP6168960B2 (ja) 圧縮スリーブ
KR102653172B1 (ko) 지선 안전 보호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