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658Y1 -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 - Google Patents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658Y1
KR200428658Y1 KR2020060020775U KR20060020775U KR200428658Y1 KR 200428658 Y1 KR200428658 Y1 KR 200428658Y1 KR 2020060020775 U KR2020060020775 U KR 2020060020775U KR 20060020775 U KR20060020775 U KR 20060020775U KR 200428658 Y1 KR200428658 Y1 KR 2004286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nest
pole
bird
preven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7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0600207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6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6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6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이 고안은, 반원형관을 이용하여 새둥지 방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와이어와 같은 바인드선이 없이 설치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가 간편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에 관한 것으로서,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평면의 판의 형상이며, 설치상태에서 측면에서 볼 때 상면은 곡면을 형성하는 반원형관으로 이루어지며, 밑면에는 두 개의 완철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장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설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원형관, 바인드선, 새둥지 방지판, 완철, 전주, 설치공, 곡면

Description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Plate for preventing bird havitation from pole}
도 1은 전주의 일반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의 설치전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의 설치전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의 설치전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II-II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완철 4 : 장볼트
10 : 새둥지 방지판 11 : 곡면
12 : 설치공 13 : 평면
15 : 절개부
이 고안은 전주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반원형관을 이용하여 새둥지 방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와이어와 같은 바인드선이 없이 설치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가 간편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전선은 전주를 이용하여 설치된다.
도 1은 이러한 전주의 일반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주(1)는 강한 바람에도 좀처럼 흔들리지 않는데다가, 전주(1)의 행거밴드(3)에 설치되어 있는 주상변압기(2)의 내부에 있는 전력공급용 코일에서 발생하는 열때문에 주상변압기(2)의 외함이 따뜻하여 알을 쉽게 부화할 수 있다는 호조건들 때문에 주상변압기(2)를 설치하기 위한 행거밴드(3) 상에 조류(특히 까치)가 새둥지(4)를 트는 경우가 빈번하다.
그러나, 이러한 새둥지(4)는 그 자체가 문제시 될 것은 없으나, 새둥지(4)의 재료로서 나뭇가지 외에도 주택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철사, 젓가락, 옷걸이 등과 같은 금속성 재료를 이용하여 둥지를 틀게 됨으로써, 이와 같은 새둥지(4)의 철사, 젓가락, 옷걸이 등과 같은 금속성 재료가 주상변압기(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컷아우트스위치(5)로부터 연결 설치되는 특고압 배전선(6)에 근접 또는 접촉하게 되거나, 새둥지(4)를 드나드는 조류의 날개가 특고압 배전선(6)과 접촉하게 되어 정전사고의 원인이 된다는 점에서 가장 큰 문제점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주의 완금과 완금 사이에 간단하게 끼워 넣는 방식의 플라스틱 또는 폴리에틸렌 구조물인 새둥지 방지장치를 설치하여 새둥지를 원천적으로 틀 수 없도록 하되, 반면에 그 내부에는 새둥지를 틀 수 있는 공간부를 확보해줌으로써 전기사고와 무관한 범위내에서는 새둥지를 틀 수 있도록 허용하는 구조에 관한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580660호(공고일자 2006년 5월 16일)의 "전주용 새둥지 방지장치"에서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등록번호 10-0580660호는, 새둥지 방지장치가 원형관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재료비가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등록번호 10-0580660호는, 와이어와 같은 바이드선을 이용하여 설치를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원형관을 이용하여 새둥지 방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와 같은 바인드선이 없이 설치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가 간편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고안의 구성은, 새둥지 방지판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평면의 판의 형상이며, 새둥지 방지판을 설치한 상태에서는 측면에서 볼 때 상면은 곡면을 형성하는 반원형관으로 이루어지며, 새둥지 방지판의 밑면에는 두 개의 완철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장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설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고안의 구성은, 상기 설치공은 장볼트에 설치시에 일체의 다른 수단이 없어도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공의 외측을 절반을 절개함으로써 장볼트와 연결하기 위한 절반이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고안의 구성은, 새둥지 방지판이 설치된 상태에서 곡면은 양쪽 완철의 상면보다 돌출되는 높이를 가지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고안의 구성은, 상기 새둥지 방지판의 전주를 향하는 부분이 전주의 외면과 완전히 밀착되게 하기 위해서 전주와 접촉되는 면에는 전주의 외경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원호형의 오목부가 형성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고안의 구성은, 상기 새둥지 방지판의 재질은 햇볕의 자외선에 의해 방지판이 열화되어 균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흑색의 연질 폴리에틸렌 또는 아크릴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고안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고안 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2는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의 설치전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의 설치전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의 설치전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10)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평면(13)의 형상이며, 설치된 상태에서는 측면에서 볼 때 상면은 곡면(11)을 형성하는 반원형관을 이루되, 상기 곡면(11)은 양쪽 완철(2)의 상면보다 돌출되게 함으로써 완철과 완철사이에 새둥지를 틀 수 없도록 한다. 새둥지를 틀기에 가장 좋은 조건중 하나는 평면임을 감안할 때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완철과 완철의 사이에 곡면(11)이 볼록하게 튀어나와 있기 때문에 새둥지를 틀기가 어려운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이에따라 새둥지를 틀 수 없는 구조가 되는 것이다.
또한,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10)은 상면만 곡면(11)을 이루는 반원형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반원형관 형상을 이루고 있는 이유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장점이 많기 때문인데, 가장 큰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바 있듯이 정전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완철(2)상에 새둥지를 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그 외에도 재료절감 및 설치비용 절감, 경량화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10)은 그 밑면에 설치공(12)이 형성된다. 이 설치공(12)은 2개의 완철(2)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장볼트(4)가 삽입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새둥지 방지판(10)이 안정적으로 장볼트(4)와 고정결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10)은 상기 설치공(12)의 외측을 절개한 절개부(15)가 형성된다. 이 절개부(15)의 역할은, 장볼트(4)에 새둥지 방지판(10)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 없이 절개부(15)를 벌려서 설치공(12)에 장볼트(4)가 삽입되도록 한 다음에 절개부(15)를 닫으면 새둥지 방지판(10)이 장볼트(4)에 설치되는 것을 마감함으로써, 새둥지 방지판(10)이 바람에 날아가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10)은 일측단면(14)의 반대단면(14b)에, 즉 전주(1)와 접촉되는 면에 전주(1)의 외면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원호형으로 오목부(14c)와 함께 돌출부(14a)가 형성된다. 상기 전주(1)와 새둥지 방지판(10)이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 둥근 모양의 전주(1)의 외면에 틈이 생기면 이 틈새에 새가 나뭇가지 등을 집어넣어 둥지를 틀 여지가 생기므로 이를 근본적으로 막기 위하여 오목부(14c)가 형성된다.
또한,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10)의 재질은 연질 의 흑색 폴리에틸렌(PE) 또는 아크릴로 이루어진다. 주지하다시피 폴리에틸렌 또는 아크릴은 금속에 비해 저가이면서 경량이고 제작이 간편하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식이 일어나지 않는다. 아울러 금속재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측면에서 폴리에틸렌 또는 아크릴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며, 또한 새둥지 방지판(10)은 특별한 강도를 요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연질의 폴리에틸렌 또는 아크릴을 재질로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이 고안은, 반원형관을 이용하여 새둥지 방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와이어와 같은 바인드선이 없이 설치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가 간편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새둥지 방지판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평면의 판의 형상이며, 새둥지 방지판을 설치한 상태에서는 측면에서 볼 때 상면은 곡면을 형성하는 반원형관으로 이루어지며, 새둥지 방지판의 밑면에는 두 개의 완철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장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설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은 장볼트에 설치시에 일체의 다른 수단이 없어도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공의 외측을 절반을 절개함으로써 장볼트와 연결하기 위한 절반이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새둥지 방지판이 설치된 상태에서 곡면은 양쪽 완철의 상면보다 돌출되는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새둥지 방지판의 전주를 향하는 부분이 전주의 외면과 완전히 밀착되게 하기 위해서 전주와 접촉되는 면에는 전주의 외경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원호형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새둥지 방지판의 재질은 햇볕의 자외선에 의해 방지판이 열화되어 균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흑색의 연질 폴리에틸렌 또는 아크릴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
KR2020060020775U 2006-08-02 2006-08-02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 KR2004286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775U KR200428658Y1 (ko) 2006-08-02 2006-08-02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775U KR200428658Y1 (ko) 2006-08-02 2006-08-02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658Y1 true KR200428658Y1 (ko) 2006-10-16

Family

ID=41777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775U KR200428658Y1 (ko) 2006-08-02 2006-08-02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6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780Y1 (ko) 2009-03-12 2011-07-28 제룡산업 주식회사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
CN111864683A (zh) * 2020-07-20 2020-10-30 山东齐林电力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输电线路用防鸟装置及其防鸟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780Y1 (ko) 2009-03-12 2011-07-28 제룡산업 주식회사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
CN111864683A (zh) * 2020-07-20 2020-10-30 山东齐林电力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输电线路用防鸟装置及其防鸟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207312B2 (en) Service cabinet for use with a utility pole
RU2550627C2 (ru) Заборный столб и установленный на нем забор
KR200428658Y1 (ko) 전주용 새둥지 방지판
KR20090116861A (ko) 건물의 파이프용 행거
KR20080011840A (ko) 전주용 새둥지 방지갓
KR200429678Y1 (ko)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연결고정밴드
KR200459675Y1 (ko)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CA2772303C (en) Discrete galvanic anode
KR100824341B1 (ko) 케이블 고정구
KR200461558Y1 (ko) 전주 완철의 새 둥지 방지용 커버
KR100585617B1 (ko) 조류의 인공둥지 구조
ES2585033T3 (es) Dispositivo para el montaje de dos elementos
KR101014959B1 (ko) 까치 퇴치 장치
KR200345649Y1 (ko) 철근결속클립이 구비된 매입형 철재박스
JP3196083U (ja) コンクリートポール
JP5472980B2 (ja) 相間スペーサ
KR100781177B1 (ko) 휀스용 포스트
KR101404952B1 (ko) 도시가스 배관용 고정장치
JP3196083U7 (ko)
KR200221312Y1 (ko) 도시가스관 방범덮개
EP2899447B1 (en) Pipe element for insulating at least one pipe
JP3920909B1 (ja) 鳥害防止用電線保護体
KR102017490B1 (ko) 전선 포장용 전선릴
JP5004126B2 (ja) フェンス
KR200430182Y1 (ko) 입상형 에어덕트용 고정지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