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675Y1 -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 Google Patents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675Y1
KR200459675Y1 KR2020100011827U KR20100011827U KR200459675Y1 KR 200459675 Y1 KR200459675 Y1 KR 200459675Y1 KR 2020100011827 U KR2020100011827 U KR 2020100011827U KR 20100011827 U KR20100011827 U KR 20100011827U KR 200459675 Y1 KR200459675 Y1 KR 200459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case
groove
outlet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8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화
정현준
Original Assignee
정현준
박원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60781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59675(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준, 박원화 filed Critical 정현준
Priority to KR20201000118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6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6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engaging it by snap a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덮개 결합가능한 수납실 전면 개방부가 형성되고, 케이스의 배면에 지지봉이 결합되는 삽지구가 형성된 전기박스에 있어서, 케이스(10)는 상기 수납실 전면 개방부의 콘센트체결부(11) 양측에 연장부(13)를 형성하고, 케이스(10)의 일측벽면부에는 상하 한 쌍의 원통형 조립홈부(30)를 전후방 연장되게 매립형성하되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하고, 타측벽면부에는 상하 한 쌍의 원기둥형 조립돌부(32)를 조립홈부(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일체형성하되 조립돌부(32)의 전후방 길이는 조립홈부(30)의 깊이보다 짧게 형성함과 동시에 조립홈부(30)의 후단에는 스토퍼용 막힘부(30b)를 형성하여서, 다수 전기박스들의 결합시 콘센트체결부(11) 간의 간격조절이 이루어지게 하고 조립홈부(30)에 끼움된 조립돌부(32)의 완전삽입보장과 다수 전기박스들의 전면 맞춤정렬이 가능케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ELECTRIC BOX FOR FIXING SWITCH OUTLET}
본 고안은 건축물의 벽체에 매입되어 옥내 배선의 단말기가 설치되는 전기박스의 관한 것으로, 특히 필요한 갯 수의 전기박스를 건축물의 벽체 시공시 거푸집 내 원하는 위치에 쉽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 부분(때로는 천정 부분)에는 조명 스위치, 전원콘센트, 안테나콘센트, 마이크로폰콘센트, 스피커콘센트 등을 용이하게 설치하도록 전기박스가 매입 설치된다.
전기박스는 벽체 시공시 스위치나 콘센트의 설치위치를 감안하여 거푸집 내부에 미리 고정시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양생시키고 그 후에 거푸집을 철거하더라도 이들 전기박스가 벽체에 매입된 상태로 견고히 고정된다.
벽체시공시 전기박스는 달랑 하나만 설치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대부분 2~3개 이상을 서로 일정간격 두고 가지런히 설치되는데, 전기박스를 콘크리트 타설 전 원하는 위치에 고정을 제대로 하지 않게 되면 콘크리트 타설시에 발생되는 힘이나 모멘트에 의해, 전기박스의 위치가 이탈되어 서로 간의 간격이 틀어질 수 있으며, 변형 및 비틀어진 상태로 양생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차후의 배선작업에 어려움을 줄 수 있으며, 미관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벽체시공시 거푸집 내에 원하는 위치에 전기박스를 제대로 고정시키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었으며, 일 예로 본 고안 출원인의 등록실용신안 제20-273535호 “스위치 및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를 들 수 있다.
상기 등록실용에서의 “전기박스”는 도 4를 참고하면 케이스(132)의 배면 상.하부 양측에 협지홈(150)을 갖는 협지편(146)이 각각 형성되고, 상.하 협지편 사이에 지지봉(166)이 결합되는 삽지구(152)가 형성되며, 상기 삽지구(152) 후단에는 지지봉(166)이 결합되는 결합홈(154)을 형성하고 삽지구(152)의 몸체 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부(156)가 형성되며, 절개부(156)의 선단에 직각으로 절개되는 결합부(158)을 형성하여 지지봉(166)의 돌기(172)가 걸림되게 하며, 상기 삽지구(152)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통공(162)을 양측에 형성한 간격유지판(160)을 구비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 내의 전기박스가 전후좌우로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한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의 “전기박스”는 지지봉(166)을 삽지부(152)에 끼우기 전에 먼저 간격유지판(160)을 별도로 결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우며, 간격유지판(160)을 별도록 생산함에 따라 비용이 발생되고 차 후 관리소홀 시 분실의 우려가 있어 그만큼 신경을 더 써서 관리를 해야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벽체시공시 간격유지판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필요한 갯 수만큼의 전기박스를 전후좌후로의 유동없이 거푸집 내에 쉽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벽체에 매입설치된 전기박스에 콘센트 체결시 이웃하는 콘센트 간의 겹침을 방지하면서 콘센트 서로 간의 적당한 간격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미관상 좋게 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덮개 결합가능한 수납실 전면 개방부가 형성되고, 케이스의 배면에 지지봉이 결합되는 삽지구가 형성된 전기박스에 있어서, 케이스(10)는 상기 수납실 전면 개방부의 콘센트체결부(11) 양측에 연장부(13)를 형성하고, 케이스(10)의 일측벽면부에는 상하 한 쌍의 원통형 조립홈부(30)를 전후방 연장되게 매립형성하되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하고, 타측벽면부에는 상하 한 쌍의 원기둥형 조립돌부(32)를 조립홈부(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일체형성하되 조립돌부(32)의 전후방 길이는 조립홈부(30)의 깊이보다 짧게 형성함과 동시에 조립홈부(30)의 후단에는 스토퍼용 막힘부(30b)를 형성하여서, 다수 전기박스들의 결합시 콘센트체결부(11) 간의 간격조절이 이루어지게 하고 조립홈부(30)에 끼움된 조립돌부(32)의 완전삽입보장과 다수 전기박스들의 전면 맞춤정렬이 가능케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옥내 배선의 단말기가 설치되는 전기박스의 필요한 갯 수만큼을 서로 면접 체결고정하되 전기박스들의 전면 맞춤정렬이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건축물의 벽체 시공시 거푸집 내에 쉽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전기박스 결합시 별도의 간격유지에 대한 작업을 하지 않아도, 콘센트를 결합하는 콘센트체결부 간의 적당한 간격 조절이 이루어져 콘센트 결합이 용이하며 미관상 좋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전기박스 간의 결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 전기박스의 시공 상태도,
도 4는 종래의 전기박스의 사시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전기박스는 벽체시공시 필요한 갯 수의 전기박스(2)들을 아주 쉽고 편리하게 가로로 서로 면접체결하되 전기박스들의 전면 맞춤정렬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 상태로 거푸집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기박스(2)는 수납실(12)을 갖는 속이 빈 육면체의 케이스(10)로서 수납실 전면 개방부의 콘센트체결부(11) 양측에 연장부(13)가 형성되며, 양측벽면부에는 한쌍의 조립홈부(30)와 조립돌부(32)가 형성된 특징적인 구조를 갖는다.
도 1, 도 2를 일예로 들면, 케이스(10)의 좌측벽면부에는 조립홈부(30)를 일체형성하고 케이스(10)의 우측벽면부에는 조립홈부(30)에 대응하는 조립돌부(32)를 일체형성한다.
조립홈부(30)는 사출성형으로 케이스(10)의 좌측벽면부의 상하측에 일체형성며 원기둥형 조립돌부(32)의 연결목이 끼움이동될 수 있는 끼움절개부(30a)가 좌측벽표면에 후방 절개로 연장형성된다. 조립홈부(30)는 좌측벽면 상하측에 함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하의 조립홈부(30)는 전기박스(2)의 케이스(10) 측벽을 완전 관통형성되지 않고 일부까지만 연장형성된다. 즉 조립홈부(30)의 후단부는 막힘부(30b)를 가진다. 막힘부(30b)는 전기박스(2)들간 조립시 슬라이드 결합되는 조립돌부(32)의 삽입진행을 구속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며, 막힘부(30b)에 의해 삽입진행이 스톱되면 다수의 전기박스(2)들 서로 간은 전면 맞춤정렬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조립홈부(30)는 단면 원형상이 바람직하며 전면 입구쪽은 조립돌부(32)를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하고 안쪽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경구조는 전기박스(2) 간의 조립돌부(32)와 조립홈부(30)간 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보다 견고한 결합을 보장 해준다.
한편, 조립홈부(30)에 대응하는 조립돌부(32)는 케이스(10)의 우측벽면부에 일체형성되며 전후방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의 돌출구조이다. 원기둥 형상의 조립돌부(32)는 연결목과 원기둥으로 형성되며, 원기둥의 직경이 조립홈부(30)의 끼움절개부(30a)의 틈간격 보다 크므로 전기박스(2)들이 서로 면접체결된 후 조립돌부(32)가 조립홈부(30)의 끼움절개부(30a)의 틈 사이로 빠져나가지 못한다.
조립돌부(32)의 길이는 조립홈부(30)의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하여 전기박스(2)들간 전면 맞춤 정렬시 조립돌부(32)의 전단부가 조립홈부(30) 밖으로 불필요하게 돌출되는 가능성을 배제한다. 즉, 도3에서와 같이 조립홈부(30)에 끼워진 조립돌부(32)의 완전한 삽입이 보장되어서 전기박스(2)들 간의 전면 맞춤이 이루어질 때 조립돌부(32)가 조립홈부(30) 밖으로 삐져나오는 현상이 없도록 해준다.
조립홈부(30)와 조립돌부(32)는 케이스(10)의 좌우측벽면 상하측에 2개로 형성하는 것을 일예로 들었지만, 2이상으로 할 수도 있으며 2개 이상의 조립홈부(30) 및 조립돌부(32)의 일체형성은 전기박스(2)들이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고안의 전기박스(2)의 케이스(10)는 수납실(12) 전면 개방부의 콘센트체결부(11) 양측에 연장부(13)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13)를 형성한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 수개로 면접체결된 전기박스(2)들이 벽체에 매입설치되면 각 전기박스에는 콘센트(미도시)를 결합하는바, 콘센트는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도록 벽체 외부에 설치되는 부분이며, 벽체의 미관을 위하여 매립된 전기박스의 콘센트체결부(11)를 완전히 가려질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부연 설명하면, 전기박스(2)가 벽체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콘센트체결부(11)가 벽체에 노출된 상태로 보기가 흉하며 그 속에는 여러 색상의 전선들이 보이므로 다소 지저분하다. 콘센트는 이러한 콘센트체결부(11)와 그 속의 배선된 전선들이 완전히 가리도록 마감처리 되도록 하는 기능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콘센트체결부(11)보다 더 큰 너비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콘센트를 전기박스(2)에 결합할 때는 이웃하는 콘센트와 서로 겹치지 않아야 하고, 더 나아가 설치된 콘센트 서로 간의 간격이 너무 다닥다닥 붙게 되거나 반대로 간격이 너무 떨어지게 될 경우 미관상 보기가 좋지 않기 때문에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하여 미관상 좋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본 고안의 전기박스(2)들이 면접체결 시 자동으로 콘센트체결부(11)간의 간격이 알맞게 유지되도하기 위해 연장부(13)를 형성하는 것이다.
좌우측벽 상하측에 형성된 조립홈부(30) 및 조립돌부(32) 사이에는 본 고안에 따라 배관구(22)가 마련된다. 배관구(22)는 작업시 작업자가 임의대로 절취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사출성형시에는 좌우측벽에 배관구(22)용 절취홈선(21)만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배관구(22) 형성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배관구(22)용 절취홈선(21)을 타격하여 천공함으로써 케이스(10)의 측벽에 배관구(22)를 마련한다.
제거된 배관구(22)는 면접체결된 전기박스(2)들 간의 수납실(12)을 서로 연통시킬 필요가 있을 때 마련하며, 전기박스(2)들의 수납실(12)이 연통되면 차후 배선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면접 체결된 전기박스 조립체에서 좌우 최외곽에 위치하는 배관구용 절취홈선(21)은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두게 되는데, 이는 벽체시공시 콘크리트나 이물질 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배관구(22)용 절취홈선(21)은 케이스(10)의 저면에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0)의 상부면에는 배관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는 배관 연결부(20)가 돌출 형성되고, 케이스(32)의 배면 상하부 양측에는 협지편(16)이 각각 형성되고, 협지편(16)에는 철근(40)을 끼워지지할 수 있는 협지홈(16a)이 가로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상?하 협지편(16)의 양측 중앙에는 삽지구(18)가 각각 형성되고, 삽지구(18)에는 지지봉(24)이 결합된다.
미 설명부호 (42)는 벽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기박스(2)는 도 3과 같이 건축설계도에 따라 벽체(42)가 시공될 위치에 철근(40)이 배근되고, 철근(40)의 양측에 벽체(42) 두께를 감안하여 이격 설치되는 거푸집(50)(52)이 마주보게 설치되며, 거푸집(50)(52)을 설치하기 전에 본 고안 전기박스(2) 조립체를 위치시켜 고정화시키게 된다.
전기박스(2) 조립체는 도 2에서와 같이 전기박스(2)의 좌측벽면부 조립홈부(30)에 이웃하는 전기박스(2)의 우측벽면부 조립돌부(32)를 슬라이드 결합하여 필요한 갯 수대로 면접체결하여 구성된다. 이때 조립돌부(32)를 조립홈부(30)에 끼운 후 안쪽으로 밀어 조립돌부(32)의 후단부가 조립홈부(30)의 막힘부(30b)에 닿아 더이상 삽입 진행이 어려울 때까지 밀게 되면 전기박스(2)들 간의 전면 맞춤정렬이 자동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이렇게 면접체결된 전기박스(2)들 서로 간은 좌우간격이 일정하면서도 좌우간 유동이 방지된다.
한편 전기박스(2)들 서로 간 면접체결 전에 우선 케이스(10)의 좌우측 벽면부에 배관구(22)형성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배관구(22)용 절취홈선(21)을 타격하여 천공하여 미리 배관부(22)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면접체결된 전기박스(2) 각각에는 수납실(12)에 덮개(26)가 결합되고, 케이스(10)의 배면 삽지구(18)에 지지봉(24)이 결합된다. 그 후 기 설치된 철근(40)에 케이스(10) 배면의 협지홈(16a)을 통하여 억지끼움식으로 결합한 후 거푸집(50)(52)를 설치하게 되면, 거푸집(50)(52)의 안쪽면이 덮개(26)와 지지봉(66)에 면접촉되어 전기박스(2) 조립체의 전후유동이 방지와 동시에 철근(40)에 억지끼움된 협지홈(16a)에 의하여 상하유동이 방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기박스(2) 조립체는 거푸집(50)(52) 내에서 전후좌우 및 상하 유동이 방지되므로, 콘크리트를 타설시 발생하는 힘이나 모멘트에 의해 전기박스(2)가 위치를 이탈하거나 변형 및 비틀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기박스(2)는 별도의 간격유지판 없이 필요한 갯수만큼 면접체결하여 사용함으로써 벽체 시공시 보다 신속 용이하고 필요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건물의 벽체 시공시 전기박스의 매립설치에 이용될 수 있다.
2 : 전기박스 10 : 케이스
11 : 콘센트체결부 12 : 수납실
13 : 연장부 16 : 협지편
18 : 삽지구 21 : 절취홈선
22 : 배관구 24 : 지지봉
26 : 덮개 30 : 결합홈부
30a : 끼움절개부 30b : 막힘부
32 : 결합돌부 40 : 철근
42 : 벽체 50, 52 : 거푸집

Claims (2)

  1. 덮개 결합가능한 수납실 전면 개방부가 형성되고, 케이스의 배면에 지지봉이 결합되는 삽지구가 형성된 전기박스에 있어서, 케이스(10)는 상기 수납실 전면 개방부의 콘센트체결부(11) 양측에 연장부(13)를 형성하고, 케이스(10)의 일측벽면부에는 상하 한 쌍의 원통형 조립홈부(30)를 전후방 연장되게 매립형성하되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하고, 타측벽면부에는 상하 한 쌍의 원기둥형 조립돌부(32)를 조립홈부(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일체형성하되 조립돌부(32)의 전후방 길이는 조립홈부(30)의 깊이보다 짧게 형성함과 동시에 조립홈부(30)의 후단에는 스토퍼용 막힘부(30b)를 형성하여서, 다수 전기박스들의 결합시 콘센트체결부(11) 간의 간격조절이 이루어지게 하고 조립홈부(30)에 끼움된 조립돌부(32)의 완전삽입보장과 다수 전기박스들의 전면 맞춤정렬이 가능케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케이스(10)의 좌우측 벽면부에는 배관구(22) 형성용 절취홈선(2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KR2020100011827U 2010-11-17 2010-11-17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KR200459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827U KR200459675Y1 (ko) 2010-11-17 2010-11-17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827U KR200459675Y1 (ko) 2010-11-17 2010-11-17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675Y1 true KR200459675Y1 (ko) 2012-04-12

Family

ID=4660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827U KR200459675Y1 (ko) 2010-11-17 2010-11-17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67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295B1 (ko) 2015-09-30 2016-02-03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콘센트박스 설치방법
KR101594299B1 (ko) 2015-09-30 2016-02-16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장치
KR20170037004A (ko) 2015-09-25 2017-04-04 윤나리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장치
KR102152651B1 (ko) * 2020-01-10 2020-09-07 (주)에이원전기 콘크리트 타설 또는 벽면 미장 시 매몰을 방지하기 위한 매립형 전기 배선박스용 출입구 마개
KR102305910B1 (ko) * 2021-01-11 2021-09-28 (주)성덕이엔지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0421U (ko) 1981-05-11 1982-11-16
KR200276317Y1 (ko) 2002-02-26 2002-05-18 (주)대양 벽부용 사각 아울렛 박스
KR20090079447A (ko) * 2008-01-17 2009-07-22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벽체 매립 박스용 결합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공동 현관기
KR100974101B1 (ko) * 2008-03-04 2010-08-04 이현배쓰(주)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설치용 콘센트 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0421U (ko) 1981-05-11 1982-11-16
KR200276317Y1 (ko) 2002-02-26 2002-05-18 (주)대양 벽부용 사각 아울렛 박스
KR20090079447A (ko) * 2008-01-17 2009-07-22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벽체 매립 박스용 결합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공동 현관기
KR100974101B1 (ko) * 2008-03-04 2010-08-04 이현배쓰(주)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설치용 콘센트 박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7004A (ko) 2015-09-25 2017-04-04 윤나리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장치
KR101591295B1 (ko) 2015-09-30 2016-02-03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콘센트박스 설치방법
KR101594299B1 (ko) 2015-09-30 2016-02-16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장치
KR102152651B1 (ko) * 2020-01-10 2020-09-07 (주)에이원전기 콘크리트 타설 또는 벽면 미장 시 매몰을 방지하기 위한 매립형 전기 배선박스용 출입구 마개
KR102305910B1 (ko) * 2021-01-11 2021-09-28 (주)성덕이엔지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9675Y1 (ko)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KR102073681B1 (ko) 단자함
ES2207144T3 (es) Dispositivo de tabique movil.
KR200255166Y1 (ko) 벽면 매설용 콘센트 박스
KR100615033B1 (ko) 건축물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
US20080169115A1 (en) Electrical Box Guard
KR101995415B1 (ko) 개구 면적 최대화를 위한 비철거형 개보수용 창호 및 그 개보수 방법
KR200426773Y1 (ko)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RU2314615C1 (ru) Короб для прокладки проводов и кабелей (варианты)
JP2016033282A (ja) 建具用額縁、改装建具及び建具用額縁の施工方法
KR200460713Y1 (ko)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
KR200273535Y1 (ko) 스위치 및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KR200300938Y1 (ko) 간격조절 기능을 갖는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200300937Y1 (ko)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100399416B1 (ko) 벽 매립형 통신기기의 부착장치
KR100974101B1 (ko)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설치용 콘센트 박스
KR102365985B1 (ko) 케이블 몰드
KR100645370B1 (ko) 시스템 박스의 철근 고정장치
KR200251102Y1 (ko) 인입애자
KR200261831Y1 (ko) 철판 판넬 시설물용 콘센트 박스
KR200255167Y1 (ko) 벽면 매설용 콘센트 박스의 스페이스 바
JP3129499U (ja) ドア枠ユニット構造
CN211370117U (zh) 安检门侧门板及安检门
KR200273537Y1 (ko) 옥내 배선용 접속함
EP3635193B1 (en) Wall clad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218

Effective date: 20140715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4110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41105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50325

Effective date: 2015051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50325

Effective date: 201505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5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50629

Effective date: 20151224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60119

Effective date: 201604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