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910B1 -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 - Google Patents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910B1
KR102305910B1 KR1020210003484A KR20210003484A KR102305910B1 KR 102305910 B1 KR102305910 B1 KR 102305910B1 KR 1020210003484 A KR1020210003484 A KR 1020210003484A KR 20210003484 A KR20210003484 A KR 20210003484A KR 102305910 B1 KR102305910 B1 KR 102305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formwork panel
unit
opening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근제
Original Assignee
(주)성덕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덕이엔지 filed Critical (주)성덕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003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9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04G13/023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with means for modifying the sectional dimen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을 갖도록 대향 배치되는 거푸집 패널; 상기 거푸집 패널을 일부 절개 형성하여 상기 거푸집 패널에서 제거시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마감부; 상기 거푸집 패널의 외벽면에 고정되며, 상기 개구부마다 관통부가 각각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 및 상기 거푸집 패널에서 상기 마감부를 제거하여 형성된 개구부와, 이와 중첩된 상기 관통부를 각각 통과시켜 이웃한 상기 거푸집 패널과 상호 연결하는 거푸집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향된 거푸집 패널 중 거푸집 연결부가 통과하는 위치마다 레이저 가공에 의해 시작과 끝이 만나지 않도록 특정 형상의 외곽선을 따라 절개 형성한 마감부를 구비하여 체결 위치에서 마감부를 제거하고, 거푸집 패널을 재사용하는 과정에서 거푸집 연결부의 연결 위치가 다른 경우 해당 개구부를 마감부로 폐쇄하여 작업자가 간편하게 작업 가능하면서 탈형시 자국이 남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 {FORMWORK WITH DETACHABLE TIE HOLE}
본 발명은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에 형성된 다수의 타이홀에서 특정 타이홀의 개방 및 폐쇄가 선택적으로 가능한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둥, 바닥, 벽 등 콘크리트를 부어 만들 모양의 틀을 짠 후 콘크리트를 부어 넣고 굳은 뒤 이 틀을 떼어내는데, 콘크리트가 부어진 틀을 거푸집이라고 한다. 거푸집으로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합판을 사용하며, 공사에 따라 경질섬유판, 합성수지, 알루미늄 패널, 강판 등을 쓰기도 한다.
더욱이,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건물의 벽체를 시공할 때에는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내벽 거푸집체와 외벽 거푸집체를 이격 배치하고, 이러한 이격 상태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구 어셈블리로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내부와 외벽 거푸집체는 시공되는 벽체의 면적에 대응하도록 통폼과 같은 다수개의 판넬체들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연결 및 결합된 것으로서, 벽체의 내부 외벽면을 한정할 수 있는 거푸집체를 형성한다.
통폼의 판넬체는 사각 형태의 프레임 내측에 철판이 부착되며, 프레임 측에는 연결구 어셈블리가 설치될 수 있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규격화된 구조 및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구 어셈블리는 내, 외벽 거푸집체의 이격된 구간을 연결하는 타이와, 타이의 양단부 측을 내, 외벽 거푸집 측에 고정하는 체결핀들로 이루어진다. 타이는 내, 외벽 거푸집체 측에서 판넬체들의 가이드홈 내부에 양단부가 각각 끼워지고, 가이드홈 내부에 타이의 양단부가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홈 측에 체결핀들이 체결되면서 타이에 의해 내, 외벽거푸집체들이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거푸집과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702958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거푸집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홀 중 사용되지 않는 관통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누설되므로 탈형시 관통홀 자국이 남아 별도의 후 가공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702958호(2017.01.3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거푸집을 연결하기 위해 다수 형성된 타이홀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고, 거푸집의 재사용을 위해 사용하지 않는 타이홀도 선택적으로 폐쇄시킴으로써 타이홀의 자국이 남지 한게 한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을 갖도록 대향 배치되는 거푸집 패널; 상기 거푸집 패널을 일부 절개 형성하여 상기 거푸집 패널에서 제거시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마감부; 상기 거푸집 패널의 외벽면에 고정되며, 상기 개구부마다 관통부가 각각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 및 상기 거푸집 패널에서 상기 마감부를 제거하여 형성된 개구부와, 이와 중첩된 상기 관통부를 각각 통과시켜 이웃한 상기 거푸집 패널과 상호 연결하는 거푸집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부는 상기 거푸집 패널에 시작과 끝이 만나지 않도록 특정 형상의 외곽선을 따라 절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감부는 테두리에 방사상의 날개가 형성되도록 절개될 수 있다.
상기 마감부가 제거된 개구부의 폐쇄시 상기 마감부에 형성된 날개를 상기 고정부의 관통부의 가장자리 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마감부는 배면에 체결축이 구비되며, 상기 체결축이 상기 거푸집 패널의 보강파이프에 노출된 상태에서 체결부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을 갖도록 대향 배치되는 거푸집 패널(110); 상기 거푸집 패널(110)을 일부 절개 형성하여 상기 거푸집 패널(110)에서 제거시 개구부(116)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마감부(114); 상기 거푸집 패널(110)의 외벽면에 고정되며, 상기 개구부(116) 마다 관통부(122)가 각각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120); 상기 거푸집 패널에서 상기 마감부(114)를 제거하여 형성된 개구부(116)와, 이와 중첩된 상기 관통부(122)를 각각 통과시켜 이웃한 상기 거푸집 패널(110)과 상호 연결하는 거푸집 연결부(130); 및 상기 마감부(114) 외주면에 형성된 홈(1140) 내에 고정되도록 일단에 형성된 제1절곡부(1142a) 및 고정부(120)에 형성된 양측 모서리에 탄성에 의하여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절곡편(1142b)를 포함하는 이탈방지부(1142);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120)는 거푸집 패널(110)의 내부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마감부(114)는 상기 거푸집 패널(110)에 시작과 끝이 만나지 않도록 특정 형상의 외곽선을 따라 절개하여 가압에 의하여 거푸집 패널(1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마감부(114)는 떼어낸 마감부(114)를 다시 사용하여 개구부(116)를 마감할 때, 마감부(114)를 상기 고정부(120)의 관통부(122) 둘레 가장자리 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키기 위한 날개(114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향된 거푸집 패널 중 거푸집 연결부가 통과하는 위치마다 레이저 가공에 의해 시작과 끝이 만나지 않도록 특정 형상의 외곽선을 따라 절개 형성한 마감부를 구비하여 체결 위치에서 마감부를 제거하고, 거푸집 패널을 재사용하는 과정에서 거푸집 연결부의 연결 위치가 다른 경우 해당 개구부를 마감부로 폐쇄하여 작업자가 간편하게 작업 가능하면서 탈형시 자국이 남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의 간격이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의 거푸집 패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에서 마감부가 구비된 거푸집 패널에서 고정부가 분리된 상태를 일부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에서 마감부가 제거되기 전 후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에서 제거된 마감부가 개구부에 결합되기 전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에서 다른 실시예의 마감부를 도시한 정면도, 측면도 및 조립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에서 마감부가 이탈방지부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및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100)은 거푸집 패널(110), 고정부(120) 및 거푸집 연결부(130)를 포함하며, 기둥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축조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콘크리트 구조물 축조에 적용 가능하다.
거푸집 패널(11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시공면의 형태를 따라 복수개가 상호 체결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거푸집 패널(110)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만들 수 있는 사방 각각의 외벽을 형성하도록 연결 조립되어 배치 가능한 벽체 요소들이다.
특히, 거푸집 패널(110)은 콘크리트 구조물이 사각기둥인 것을 감안하였을 때 전후 대향된 일측 거푸집 패널(10a)과 좌우 대향된 타측 거푸집 패널(10b)로 구성된다.
더욱이, 거푸집 패널(110)은 하나의 일측 거푸집 패널(10a)의 정면(내측면)이 인접하는 타측 거푸집 패널(10b)의 측면과 대면하고, 타측 거푸집 패널(10b)의 정면(내측면)이 인접하는 일측 거푸집 패널(10a)의 측면과 대면한 상태에서 거푸집 연결부(130)를 통해 체결 및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거푸집 패널(110)은 배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편이 직립 연결되고, 배면과, 이와 이웃한 연결편 내측면을 연결하도록 복수의 보강파이프(112)가 횡방향으로 고정된다.
이때, 연결편에는 일, 타측 거푸집 패널(10a, 10b)을 거푸집 연결부(130)를 통해 상호 연결하기 위해 고정 위치의 개구부(116)와 연통되도록 개구홀이 대응 형성된다. 더욱이, 개구부(116)는 타이홀을 말하며, 최초 마감부(114)가 내부에 일체 형성되어 있다가 거푸집 연결부(130)의 통과 위치에 해당하면 마감부(114)를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일측 거푸집 패널(10a)과 타측 거푸집 패널(10b)은 이와 이웃한 타측 거푸집 패널(10b) 및 일측 거푸집 패널(10a)과 연결되도록 설정간격마다 복수의 개구부(116)가 보강파이프(112)의 사이마다 다수열 횡대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한편, 개구부(116)는 도 1(a) 기준 일측 거푸집 패널(10a)과 타측 거푸집 패널(10b)의 시계 방향인 일측에 치우치게 형성되어, 개구부(116) 중 어느 하나와 타측 거푸집 패널(10b)과 일측 거푸집 패널(10a)의 연결편에 형성된 개구홀을 일치시킴으로써 일측 거푸집 패널(10a)과 타측 거푸집 패널(10b)이 연결 면적에 맞게 연결 위치가 조절된다.
더욱이, 마감부(114)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구조의 상하부에 날개(114a)가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날개(114a)의 위치 및 개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마감부(114)의 날개(114a)는 먼저 축조된 기둥 대비 나중에 축조될 기둥의 사이즈가 달라 일, 타측 거푸집 패널(10a, 10b)의 연결 위치가 다른 경우 개방된 개구부(116)를 제거된 마감부(114)로 막을 때 접착제(a)를 도포하기 위해 사용되면서 고정부(120)의 관통부(122)에 걸릴 수 있게 구비된다[도 7 참조].
즉, 마감부(114)가 제거된 개구부(116)의 폐쇄시 마감부(114)의 날개(114a)를 고정부(120)에 형성된 관통부(122)의 가장자리 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는 고정부(120)의 관통부(122)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마감부(114)는 원형이면서 상하부에 날개(114a) 자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홈이 형성되므로 날개(114a)에 접착제(a)를 도포한 후 홈을 통해 노출되는 관통부(122)의 가장자리 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특히, 개구부(116)는 기둥의 크기에 따라 일측 거푸집 패널(10a)과 타측 거푸집 패널(10b)의 간격이 조절되므로 해당 연결 위치의 그것에 거푸집 연결부(130)가 체결되는 것이다.
이때, 개구부(116)는 마감부(114)의 제거시에만 개방된다. 즉, 마감부(11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타측 거푸집 패널(10a, 10b)에 시작과 끝이 만나지 않도록 특정 형상의 외곽선을 따라 레이저 가공에 의해 다수 절개하여 일측 거푸집 패널(10a)과 타측 거푸집 패널(10b)에서 제거시 개구부(116)가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이렇게, 개구부(116)는 개구부(116)에 일부가 일체 연결된 상태로 구비된 마감부(114)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망치나 공구 등을 이용하여 연결 부위에 충격을 가하면 마감부(114)가 제거되면서 개방되는 것이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마감부(114)는 상하부에 배면 중심부에 체결축(1140)이 일체 형성되거나, 별도 제작된 상태에서 결합 또는 용접 등에 의한 접합 등의 방식으로 구비된다. 이때, 체결축(1140)은 마감부(114)를 개구부(116)에 폐쇄시킬 때 앞선 실시예와 같이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고 볼트 체결 방식으로 적용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체결축(1140)은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일측 거푸집 패널(10a)의 보강파이프(112) 바깥쪽까지 연장된 상태에서 나사산에 너트(1142)가 체결된다. 이때, 마감부(114)는 상하부에 날개(114a)에 의해 덧댐부(120)에 형성된 관통부(122)의 가장자리 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반대쪽에서 너트인 체결부(1142)가 보강파이프(112)에 지지된다.
고정부(12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타측 거푸집 패널(10a, 10b)의 개구부(116) 측 외벽면(배면)에 밀착 고정되며, 개구부(116)의 대응 위치마다 관통부(122)가 각각 연통되도록 구비된 보강용 금속 판재이다.
즉, 고정부(120)는 개구부(116)의 위치와 대응된 위치마다 관통부(122)가 형성된다. 이렇게, 관통부(122)가 일, 타측 거푸집 패널(10a, 10b)에 형성된 개구부(116)의 대응되는 위치마다 형성되므로 먼저 삽입되는 거푸집 연결부(130)의 단부가 관통부(122)를 거친 후 개구부(116)를 통과하게 된다.
거푸집 연결부(1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타측 거푸집 패널(10a, 10b)에서 마감부(114)를 제거하여 형성된 개구부(116)와, 이와 중첩된 고정부(120)의 관통부(122)를 통과시켜 이웃한 타, 일측 거푸집 패널(10b, 10a)과 상호 연결한다.
이때, 거푸집 연결부(130)는 단부에 나선이 형성되며, 머리가 사각판상으로 구비되어 이웃한 보강파이프(112)의 대향면에 걸려 회전되지 않고 결합되는 볼트(132)와, 일, 타측 거푸집 패널(10a, 10b)의 연결 지점을 관통한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134)로 구성된다. 그리고 너트(134)는 원형인 몸체의 배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공구 등으로 볼트(132)에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개구부(116)를 마감부(114)로 폐쇄시킬 때 마감부(114)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관통부(122)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이탈방지부(1142)가 구비 가능하다. 이때, 마감부(114)는 외주면에 홈(1140)이 형성된다.
이는 관통부(122)에 접착제(a)를 통해 고정시킨 마감부(114)가 분리됨을 방지 가능하거나, 접착제(a) 없이 마감부(114)를 관통부(12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탈방지부(1142)는 마감부(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1140) 내에 고정되도록 일단에 형성된 제1 절곡부(1142a)와, 고정부(120)에 형성된 관통부(122)의 양측 모서리에 걸릴 수 있게 형성된 제2 절곡편(1142b)을 포함한다.
이때, 이탈방지부(1142)는 탄성 재질이 있는 금속판재 등으로 구비되어 제2 절곡편(1142b)에 탄성력이 작용하게 한다.
따라서, 이탈방지부(1142)의 제1 절곡부(1142a)를 마감부(114)의 홈(1140) 대향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개구부(116) 및 관통부(122)로 삽입하게 되면 개구부(116) 및 관통부(122)를 통과할 때 제2 절곡편(1142b)이 압축되지만, 관통부(122)의 통과시 탄성력에 의해 제2 절곡편(1142b)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제2 절곡편(1142b)이 관통부(122)의 양쪽 모서리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둥의 크기에 맞게 일측 거푸집 패널(10a)과 타측 거푸집 패널(10b)을 상호 고정시킨다[도 1 참조].
이때, 일측 거푸집 패널(10a)과 타측 거푸집 패널(10b)의 고정 위치에 일, 타측 거푸집 패널(10a, 10b)이 연결편에 형성된 개구홀과, 이와 일치하는 타, 일측 거푸집 패널(10b, 10a)의 개구부(116)를 거푸집 연결부(130)로 체결시키게 된다.
즉, 거푸집 연결부(130)의 고정 위치에 해당하는 개구부(116)에서 망치나 공구 등을 이용하여 개구부(116)와 마감부(114)의 연결 부위를 타격하게 되면 연결 부위가 파손되면서 마감부(114)가 제거되며, 마감부(114)의 제거 자리에 개구부(116)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마감부(114)를 체결 위치에서 수직 방향으로 모두 제거하면, 일, 타측 거푸집 패널(10a, 10b)이 연결편에 형성된 개구홀과, 타, 일측 거푸집 패널(10b, 10a)의 개구부(116)를 일치시킨 후 거푸집 연결부(130)의 볼트(132)를 개구홀을 통해 삽입한 후 개구부(116)로 노출된 단부를 너트(134)로 체결한다.
한편, 기둥의 크기가 작은 경우, 일측 거푸집 패널(10a)과 타측 거푸집 패널(10b)을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체결 위치의 해당하는 개구부(116)에서 마감부(114)가 제거된 상태이므로 제거된 마감부(114)의 날개(114a)에 접착제(a)를 도포한 후 관통부(122)의 가장자리 면에 고정시키게 된다[도 2 및 도 4 참조].
그 후, 거푸집 연결부(130)의 고정 위치에 해당하는 개구부(116)에서 망치나 공구 등을 이용하여 개구부(116)와 마감부(114)의 연결 부위를 타격하게 되면 연결 부위가 파손되면서 마감부(114)가 제거되며, 마감부(114)의 제거 자리에 개구부(116)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마감부(114)가 체결 위치에서 수직 방향으로 모두 제거되면, 일, 타측 거푸집 패널(10a, 10b)이 연결편에 형성된 개구홀과, 타, 일측 거푸집 패널(10b, 10a)의 개구부(116)를 일치시킨 후 거푸집 연결부(130)의 볼트를 개구홀을 통해 삽입한 상태에서 개구부(116)로 노출된 단부를 너트(134)로 체결한다.
이렇게, 본 발명은 한 세트의 거푸집 패널(110)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기둥 등을 축조하기 위해 거푸집 패널(110)마다 이웃한 거푸집 패널(110)과 연결하도록 거푸집 연결부(130)가 통과하는 개구부(116)가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데, 이웃한 거푸집 패널(110)과 연결할 때는 개구부(116)가 수직으로 한 줄이 사용되므로 나머지 개구부(116)는 마감부(114)로 마감하게 된다. 이렇게, 거푸집 패널(110)과 거푸집 패널(110)을 연결하기 위해 거푸집 연결부(130)가 통과하는 개구부(116)에서만 마감부(114)를 제거하고 나머지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게 하면서 또 다른 위치에 거푸집 연결부(130)를 통과시키게 되면 먼저 개방된 개구부(116)를 마감부(114)로 마감하므로 보수가 용이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 110: 거푸집 패널
114: 마감부 114a: 날개
120: 고정부 122: 관통부
130: 거푸집 연결부

Claims (5)

  1. 콘크리트 구조물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을 갖도록 대향 배치되는 거푸집 패널(110);
    상기 거푸집 패널(110)을 일부 절개 형성하여 상기 거푸집 패널(110)에서 제거시 개구부(116)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마감부(114);
    상기 거푸집 패널(110)의 외벽면에 고정되며, 상기 개구부(116) 마다 관통부(122)가 각각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120);
    상기 거푸집 패널에서 상기 마감부(114)를 제거하여 형성된 개구부(116)와, 이와 중첩된 상기 관통부(122)를 각각 통과시켜 이웃한 상기 거푸집 패널(110)과 상호 연결하는 거푸집 연결부(130); 및
    상기 마감부(114) 외주면에 형성된 홈(1140) 내에 고정되도록 일단에 형성된 제1절곡부(1142a) 및 고정부(120)에 형성된 양측 모서리에 탄성에 의하여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절곡편(1142b)를 포함하는 이탈방지부(1142);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120)는 거푸집 패널(110)의 내부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마감부(114)는 상기 거푸집 패널(110)에 시작과 끝이 만나지 않도록 특정 형상의 외곽선을 따라 절개하여 가압에 의하여 거푸집 패널(1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마감부(114)는 떼어낸 마감부(114)를 다시 사용하여 개구부(116)를 마감할 때, 마감부(114)를 상기 고정부(120)의 관통부(122) 둘레 가장자리 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키기 위한 날개(114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는 배면에 체결축이 구비되며, 상기 체결축이 상기 거푸집 패널의 보강파이프에 노출된 상태에서 체결부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
KR1020210003484A 2021-01-11 2021-01-11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 KR102305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484A KR102305910B1 (ko) 2021-01-11 2021-01-11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484A KR102305910B1 (ko) 2021-01-11 2021-01-11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5910B1 true KR102305910B1 (ko) 2021-09-28

Family

ID=77923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484A KR102305910B1 (ko) 2021-01-11 2021-01-11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993B1 (ko) * 2022-07-22 2023-03-20 (주) 예린이엔디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배기구 시공용 가변형 거푸집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7676A (ja) * 1994-03-09 1995-09-26 Komatsu Ltd コンクリート型枠
KR200459675Y1 (ko) * 2010-11-17 2012-04-12 정현준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KR101702958B1 (ko) 2016-03-31 2017-02-09 (주)대의엔지니어링 기둥용 거푸집 장치
JP2017206936A (ja) * 2016-05-17 2017-11-24 北丹資材株式会社 単管パイプの取り付け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る締付具
KR20200114335A (ko) * 2019-03-28 2020-10-07 김재원 결합위치의 조절이 자유로운 거푸집판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7676A (ja) * 1994-03-09 1995-09-26 Komatsu Ltd コンクリート型枠
KR200459675Y1 (ko) * 2010-11-17 2012-04-12 정현준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KR101702958B1 (ko) 2016-03-31 2017-02-09 (주)대의엔지니어링 기둥용 거푸집 장치
JP2017206936A (ja) * 2016-05-17 2017-11-24 北丹資材株式会社 単管パイプの取り付け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る締付具
KR20200114335A (ko) * 2019-03-28 2020-10-07 김재원 결합위치의 조절이 자유로운 거푸집판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993B1 (ko) * 2022-07-22 2023-03-20 (주) 예린이엔디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배기구 시공용 가변형 거푸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791B1 (ko)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
KR102305910B1 (ko) 탈부착 타이홀을 구비한 거푸집
CN102105644B (zh) 对模板和配件的改进
KR101702958B1 (ko) 기둥용 거푸집 장치
WO2007024201A1 (en) A panel mould for casting concrete
KR20120095219A (ko) 거푸집 재활용 방법
JP2009150175A (ja) ひび割れ誘発目地部材、ひび割れ誘発構造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KR200439960Y1 (ko) 건축용 패널의 아웃코너 고정장치
JP3749998B2 (ja) 柱接合金物、基礎と柱との接合構造、柱接合金物の設置方法
CN112554226A (zh) 一种方便组合重复使用的设备基础预留洞模板
JPH11148226A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およびその締結金具
KR101615270B1 (ko) 콘크리트 일체화 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JPS5953979B2 (ja) コンクリ−ト用型枠構築用のパネル装置
JP2555352Y2 (ja) 平板状補強リブ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型枠
KR200288391Y1 (ko) 거푸집 간격유지장치
JP2656748B2 (ja) コンクリート用組立枠形成構造
AU2003297053A1 (en) Re-usable non-metallic construction forming system
KR200442188Y1 (ko)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JPH0634520Y2 (ja) 型枠組立装置
JP2614425B2 (ja) コンクリート用組立枠結合金具
KR200410980Y1 (ko) 탈형홈을 갖는 유로폼
JP3848873B2 (ja) 建物のコンクリート壁の施工方法並びにコンクリート型枠
JP3187829U (ja) コンクリート型枠構造およびコンクリート型枠用の面木材
KR101876141B1 (ko) 재활용 가능한 보 설치를 위한 유로폼
JPH07300927A (ja) コンクリート工事用無機質打込型枠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