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535Y1 - 스위치 및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 Google Patents

스위치 및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535Y1
KR200273535Y1 KR2020020002198U KR20020002198U KR200273535Y1 KR 200273535 Y1 KR200273535 Y1 KR 200273535Y1 KR 2020020002198 U KR2020020002198 U KR 2020020002198U KR 20020002198 U KR20020002198 U KR 20020002198U KR 200273535 Y1 KR200273535 Y1 KR 2002735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box
coupled
formwork
support rod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1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낙수
Original Assignee
정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낙수 filed Critical 정낙수
Priority to KR20200200021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5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5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535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건축물의 벽체(천정도 포함한다.) 부분에 매입 설치되는 스위치 또는 콘센트가 설치되는 전기박스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옥내 배선의 단말기가 설치되는 전기박스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 개로 이격 설치한 다음 연결수단과 고정수단으로 고정화시켜 벽체 시공을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전기박스의 비틀림이나 위치 이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박스가 재 위치에 매립되어 외관이 미려할 뿐 아니라 효율적인 배선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위치 및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Electric box for fixing switch and outlet}
본 고안은 주로 건축물의 벽체(천정도 포함한다.) 부분에 매입 설치되는 스위치 및/또는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옥내 배선의 단말기가 설치되는 전기박스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 개로 이격 설치한 다음 연결수단과 고정수단으로 고정화시켜 벽체 시공을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전기박스의 비틀림이나 위치 이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박스가 재 위치에 매립되어 외관이 미려할 뿐 아니라 효율적인 배선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 부분(때로는 천정 부분)에는 조명스위치, 전원콘센트, 전화콘센트, 안테나콘센트, 마이크로폰콘센트, 스피커콘센트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전기박스가 매입 설치된다.
즉, 이들 스위치나 콘센트의 설치위치를 감안하여 벽체를 시공하는 거푸집 내부에 별도의 케이스를 설치하거나 못이나 피스로 전기박스를 거푸집에 고정시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양생시키면 이들 전기박스가 벽체에 매입된 상태로 견고히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시공방법의 경우 벽체 콘크리트가 양생될 때 까지 전기박스가 거푸집에 고착화되어 있도록 못이나 피스로 거푸집에 고정시키게 되므로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을 철거할 때 전기박스가 거푸집과 더불어 벽체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거푸집을 제거할 때 전기박스가 벽체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푸집과 전기박스를 약하게 고정시킨 경우 콘크리트 타설시에 발생되는 힘이나 모멘트에 의해 전기박스가 위치를 이탈하거나 변형 및 비틀어진 상태로 양생되는 경우가 종종 초래되어 조명스위치, 전원콘센트, 전화콘센트, 안테나콘센트, 마이크로폰콘센트, 스피커콘센트 등의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이들 스위치 및 콘센트가 비틀어진 상태로 고정되므로 미관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근자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도 1과 같이 벽체에 매설하는 전기박스(2)는 케이스(4)의 상부면에 배관 연결구(6)를 돌출 형성하고, 케이스(2)의 배면 상.하부 양측에 협지편(8)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협지편(8)에는 가로 협지홈(10)을 각각 형성하여 철근(12)을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하 협지편(8) 사이 중앙부에 결합홈(14)을 갖는 삽지부(16)를 돌출 형성하여 스토퍼(18)가 형성된 지지봉(20)의 삽입부(22)를 억지 끼움방식으로 끼워 지지봉(20)의 끝 단부가 타측 거푸집의 안쪽면에 접촉되게 함으로써 전기박스(2)의 전.후 유동을 방지하고, 삽지부(16)의 양측에 장공(24)이 형성된 삽지부(26)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장공(24)과 이웃하는 또 다른 전기박스의 장공에간격유지판(28)의 단부를 각각 결합시켜 전기박스 끼리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간격유지판(28)은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별도의 고정수단없이 장공(24)에 단순히 끼워져 결합되는 상태이므로 콘크리트 타설시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압력 및 모멘트(경우에 따라서는 고정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형태의 회전 모멘트)에 의해 전기박스(2)가 위치를 이탈하거나, 전기박스(2)와 간격유지판(28)이 일부 또는 전부 분리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며, 이러한 경우 전기박스(2)가 의도했던 간격이나 재 위치를 유지하지 못하는 양상이 초래된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양생 후 거푸집을 철거할 때 전기박스(2)가 벽체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은 방지되나, 전기박스(2)가 의도했던 간격이나 재 위치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조명스위치, 전원콘센트, 전화콘센트, 안테나콘센트, 마이크로폰콘센트, 스피커콘센트 등의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이들 스위치 및 콘센트가 비틀어진 상태로 고정되므로 미관이 저하되는 문제점은 여전하다.
또한, 지지봉(20)은 삽지부(16)의 결합홈(14)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하므로 결합작업이 힘들 뿐 아니라, 결합홈(14)에 이물이 유입된 경우 지지봉(20)이 돌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약한 외력이나 충격에도 지지봉(20)이 삽지부(16)로부터 쉽게 분리/이탈되는 등 결합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고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스위치 및 콘센트 등이 설치되는 전기박스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 개로 이격 설치한 다음 연결수단과 고정수단으로 고정시켜 벽체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전기박스의 비틀림이나 위치 이탈을 미연에 방지하여 전기박스가 재 위치에 매립되어 외관이 미려할 뿐 아니라 효율적인 배선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기박스의 케이스 배면에 횡근(가로철근)이 결합되는 협지편을 상하로 형성하고, 협지편의 양측 중앙부에 삽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삽지부의 외주면에 간격유지판의 통공을 결합하여 전기박스 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절개부와 결합부가 형성된 결합홈에 돌기와 스토퍼가 형성되는 지지봉의 삽입부를 끼워 결합되게 한다.
그리고, 전기박스를 고정시킬 때 철근과 지지봉 및 간격유지판으로 전기박스의 전,후,좌,우 및 상,하 유동이 방지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못이나 피스를 이용할 필요 없이 거푸집의 철거가 보다 쉽도록 하고, 전기박스가 거푸집의 안쪽면에 면접촉되게 함으로써 거푸집을 철거할 때 전기박스가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거푸집이 제거된 벽체의 표면을 마감처리하고 전기박스의 덮개를 제거시켜 배선한 다음 수납실에 조명스위치, 전원콘센트, 전화콘센트, 안테나콘센트, 마이크로폰콘센트, 스피커콘센트 등을 수납시켜 고정하면 이들 스위치 및 콘센트가 정삭적으로 고정되므로 미관저하가 방지되며, 배선작업도 한결 수원해지게 된다.
또한, 전기박스에 결합되는 지지봉은 좌,우 한 쌍이므로 덮개의 양측이 거푸집 안쪽면에 밀착되며, 지지봉의 돌기와 절개부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지지봉을 앞으로 밀면서 회전시키면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지지봉 삽입이 쉬워진다.
도 1 : 종래 전기박스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 2 : 덮개를 분리한 본 고안 전기박스의 외관 사시도.
도 3 : 본 고안 전기박스의 요부 사시도.
도 4 : 본 고안의 지지봉 결합돌기가 돌출구 결합홈에 결합된 상태 단면도.
도 5 : 본 고안 전기박스의 시공 상태 종단면도.
도 6 : 본 고안 전기박스의 시공 상태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전기박스 (32)--케이스
(34)--수납실 (36)--개방부
(40)--마개 (42)--배관 연결부
(44)--배관구 (46)--협지편
(48)--철근 (50)--협지홈
(52)--삽지부 (54)--결합홈
(56)--절개부 (58)--결합부
(60)--간격유지판 (62)(62a)--통공
(64)--와테 (66)--지지봉
(68)--삽입부 (70)--스토퍼
(72)--돌기 (74)--요입홈
(76)(78)--거푸집 (d1)--거푸집 간의 거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덮개를 분리한 본 고안 전기박스(30)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전기박스의 요부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전기박스(30)는 케이스(32) 내부에 수납실(34)이 형성되고, 수납실(34)의 전면에 조명스위치, 전원콘센트, 전화콘센트, 안테나콘센트, 마이크로폰콘센트, 스피커콘센트 등을 결합할 수 있는 개방부(36)가 형성되고, 개방부(36)의 선단부에는 타설중인 콘크리트 및 이물이 수납실(34)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개(40)가 탈.부착 구조로 결합된다.
상기, 케이스(32)의 상부면에는 배관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는 배관 연결부(42)가 돌출 형성되고, 케이스(32)의 측면과 하부에도 별도의 배관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는 배관구(44)가 형성되며, 케이스(32)의 배면 상.하부 양측에는 협지편(46)이 각각 형성되고, 협지편(46)에는 철근(48)을 끼워 지지할 수 있는 협지홈(50)이 가로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협지홈(50)은 세로방향으로 형성하여 세로 철근을 협지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으며, 물론 열십자(+) 형상으로 협지홈(50)을 형성하여 철근의 배근 상태에 따라 가로 철근이나 세로 철근을 끼워 협지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으며, 협지홈(50)의 개방부에는 철근의 삽입이 쉽게 대향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하 협지편(46)의 양측 중앙에는 한 쌍의 삽지부(52)가 각각 형성되고, 삽지부(52)에는 후단으로 개방되는 결합홈(54)이 각각 형성되고, 삽지부(52)의 몸체 부분에는 몸체 길이방향으로 절개부(56)가 형성되며, 절개부(56)의 선단에는 절개부(56)의 직각방향으로 절개된 결합부(58)가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간격유지판(60)의 양측에는 삽지부(52)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전기박스(30) 간의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통공(62)과, 통공(62)을 둘러싸는 와테(64)가 각각 형성된다.
삽지부(52)에 결합되는 지지봉(66)은 결합홈(54)에 끼워지는 삽입부(68)와 스토퍼(70)가 형성되고, 삽입부(68)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부(58)에 걸림되는 돌기(7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70)는 지지봉(66)이 삽지구(52)에 결합될 때 삽지부(52)와 와테(62)의 바깥면에 면접촉된다.
상기 지지봉(66)의 후단 외주면에 등간격의 요입홈(74)이 빙둘러 형성되어 있어서 거푸집(76)(78)간의 거리(d1)를 감안하여 지지봉(66)을 절단할 때 그 절단이 쉽도록 구성된다.
미 설명 부호 (80)은 벽체이다.
이와같이 구성하여서 된 본 고안 전기박스(30)는 건축설계도에 따라 벽체(80)가 시공될 위치에 철근(벽체가 철그이 없는 무근으로 시공될 수도 있다.)이 배근되고, 철근(48)의 양측에 벽체(80)의 두께를 감안하여 이격 설치되는 거푸집(76)(78)이 마주보게 설치되며, 거푸집(76)(78)을 설치하기 전에 거푸집(76)(78) 사이에 본 고안 전기박스(30)를 위치시켜 고정화시키게 된다.
즉, 덮개(40)가 결합된 복수 개의 전기박스(30)를 나열시킨 다음 협지홈(50)에 철근(48)을 억지끼움식으로 결합시켜 덮개(40)의 전면이 일측 거푸집(76)의 내측면에 면접촉하도록 하고, 전기박스(30)의 일측 삽지부(52) 외주면에 간격유지판(60)의 일측 통공(62)을 결합하고, 이웃하는 다른 전기박스의 삽지부에 간격유지판(60)의 타측 통공(62a)을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이웃하는 전기박스 간의 이격거리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간격유지판(60)의 양측에 형성된 통공(62)(62a)이 이웃하는 전기박스(30)의 삽지부(52) 외주면에 각각 결합되므로 이웃하는 전기박스(30) 끼리의 이격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물론 전기박스(30) 간의 이격거리가 달라지는 경우 통공(62)(62a)의 간격이 이에 맞게 형성된 간격유지판(60)을 이용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삽지부(52)의 결합홈(54)에는 덮개(40)와 전기박스(30)와 지지봉(66)이 결합된 상태의 전체길이가 거푸집(76)(78) 사이의 거리(d1)와 일치하도록 지지봉(66)의 길이를 절단한 다음 간격유지판(60)이 결합된 상태의 결합홈(54)에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봉(66)을 결합홈(54)에 결합할 때 돌기(72)가 절개부(56)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밀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돌기(72)가 결합부(58)에 위치하면서 결합되며, 지지봉(66)에 형성된 스토퍼(70)는 삽지부(52)와 와테(64)의 바깥면에 면접촉되므로 간격유지판(60)의 이완이나 분리가 방지된다.
그리고, 삽지부(52)에 결합된 지지봉(66)을 분리하고 하는 경우 지지봉(66)을 손으로 잡은 다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부(58)에 위치하는 돌기(72)가절개부(56)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잡아당기면 쉽게 분리되며, 간격유지판(60)은 스토퍼(70)에 의해 걸림되어 있으므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지지봉(66)의 분리가 전제되어야 하므로 상기의 과정으로 삽지부(52)에 결합된 지지봉(66)을 분리시킨 다음 간격유지판(60)을 분리하면 될 것이다.
한편, 덮개(40)와 전기박스(30)와 지지봉(66)과 간격유지판(60)과 철근(48)이 결합된 상태에서 도 5, 도 6과 같이 벽체 거푸집(76)(78)을 설치하면 거푸집(76)(78)의 안쪽면이 덮개(40)와 지지봉(66)에 면접촉되면서 전기박스(30)의 유동이 방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거푸집(76)(78)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벽체(80)를 시공하게 되며, 콘크리트 타설시에 발생되는 힘이나 모멘트에 의해 전기박스(30)가 위치를 이탈하거나 변형 및 비틀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전기박스(30) 고정화시킬 때 철근(48)과 지지봉(66) 및 간격유지판(60)에 의해 전기박스(30)의 전,후,좌,우 및 상,하 유동이 방지되므로 별도의 못이나 피스를 이용하여 고정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거푸집(76)(78)의 철거가 보다 쉬워진다.
또한, 전기박스(30)가 거푸집(76)(78)의 안쪽면에 면접촉되므로 거푸집(76)(78)을 철거할 때 전기박스(30)가 거푸집(76)(78)을 따라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거푸집(76)(78)이 제거된 벽체(80)의 표면을 마감처리하고 전기박스(30)의 덮개(40)를 제거시켜 배선한 다음 수납실(34)에 조명스위치, 전원콘센트, 전화콘센트, 안테나콘센트, 마이크로폰콘센트, 스피커콘센트 등을 수납시켜 고정하면 이들 스위치 및 콘센트가 정삭적으로 고정되므로 미관저하가 방지되며, 배선작업도 한결 수월해진다.
또한, 전기박스(30)에 결합되는 지지봉(66)은 좌,우 한 쌍이므로 덮개(40)의 양측이 거푸집(76) 안쪽면에 밀착되며, 지지봉(66)의 돌기(72)와 절개부(56)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지지봉(66)을 앞으로 밀면서 회전시키면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지지봉(66) 삽입작업이 쉽다.
이상과 같은 설명한 본 고안은 본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옥내 배선의 단말기가 설치되는 전기박스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 개로 이격 설치한 다음 연결수단과 고정수단으로 견고히 고정함으로써 벽체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전기박스의 비틀림이나 위치 이탈이 미연에 방지되고 전기박스가 재 위치에 매립되어 외관이 미려할 뿐 아니라 효율적인 배선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박스를 고정시킬 때 철근과 지지봉 및 간격유지판에 의해 전기박스의 전,후,좌,우 및 상,하 유동이 방지되므로 별도의 못이나 피스를 이용할 필요 없이 쉽게 고정할 수 있으며, 전기박스가 거푸집의 안쪽면에 면접촉되므로 거푸집의 철거가 보다 쉽고, 거푸집을 철거할 때 전기박스가 분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박스에 결합되는 지지봉은 좌,우 한 쌍이므로 덮개의 양측이 거푸집 안쪽면에 밀착되며, 지지봉의 돌기와 절개부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지지봉을 앞으로 밀면서 회전시키면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지지봉 삽입이 쉬운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수납실 전면 개방부에 덮개가 결합되고, 케이스의 배면 상.하부 양측에 협지홈을 갖는 협지편이 각각 형성되고, 상.하 협지편 사이에 지지봉이 결합되는 삽지부가 형성된 전기박스에 있어서 ; 상.하 협지편(46)의 양측 중앙에 한 개 이상의 삽지부(52)를 형성하고, 삽지부(52)에 지지봉(66) 결합홈(54)을 형성하고, 삽지부 (52)의 몸체 부분에 절개부(56)와 상기 절개부(56)의 선단에 직각으로 절개되는 결합부(58)를 형성하여 지지봉(66)의 돌기(72)가 걸림되게 하고, 간격유지판(60)의 양측에 삽지부(52)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통공(62)을 형성하여서 된 스위치 및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KR2020020002198U 2002-01-23 2002-01-23 스위치 및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KR2002735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198U KR200273535Y1 (ko) 2002-01-23 2002-01-23 스위치 및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198U KR200273535Y1 (ko) 2002-01-23 2002-01-23 스위치 및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535Y1 true KR200273535Y1 (ko) 2002-04-25

Family

ID=73136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198U KR200273535Y1 (ko) 2002-01-23 2002-01-23 스위치 및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53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748Y1 (ko) * 2008-12-04 2011-01-10 세홍산업 주식회사 콘센트 박스 지지대
KR101093898B1 (ko) * 2009-12-24 2011-12-13 백민철 건축물용 매입형 전기스위치박스
KR20240000659U (ko) 2022-10-13 2024-04-22 황지성 벽면 매입형 멀티 스위치박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748Y1 (ko) * 2008-12-04 2011-01-10 세홍산업 주식회사 콘센트 박스 지지대
KR101093898B1 (ko) * 2009-12-24 2011-12-13 백민철 건축물용 매입형 전기스위치박스
KR20240000659U (ko) 2022-10-13 2024-04-22 황지성 벽면 매입형 멀티 스위치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1583A (ko) 단열재를 이용한 철근콘트리트 이중 단열 영구 거푸집
RU2446261C2 (ru) Система боковой опалубки
KR20110040493A (ko) 철근콘크리트 영구 거푸집
KR200273535Y1 (ko) 스위치 및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KR101552226B1 (ko) T형 데크플레이트의 중공폼 설치구조
KR200459675Y1 (ko)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EP1518971A1 (en) A wall anchor system for securing an insulation board within a cavity wall
KR20080041977A (ko) 거푸집형 블럭
KR200242769Y1 (ko) 단자함 구조
KR200336921Y1 (ko) 전원 스위치 박스 연결구조
KR200318130Y1 (ko) 배선용 접속함
KR200381082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
KR200246051Y1 (ko) 건축용 받침파이프 고정부재
KR200234871Y1 (ko) 철근간격유지구
KR101587949B1 (ko) 패널 고정수단을 구비한 거푸집
KR102473429B1 (ko) 내외측 단열재 지지구
JP3768356B2 (ja) 型枠用セパレーター
KR200405393Y1 (ko) 거푸집용 전기배선박스 고정구
KR200400388Y1 (ko) 시공성이 우수한 방수턱 거푸집용 받침부재
KR200441560Y1 (ko) 인서트
KR102473430B1 (ko) 외측 단열재 지지구
KR200416250Y1 (ko) 아웃트렛 박스의 조인트편 결합구조
KR100579448B1 (ko) 건축 구조물 시공을 위한 강재 거푸집의 측면 보강장치
KR200400350Y1 (ko) 수직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용 와이어 고정구
KR200186237Y1 (ko) 콘크리트벽체의 연결철물 매립보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