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5033B1 - 건축물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 - Google Patents

건축물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5033B1
KR100615033B1 KR1020060034923A KR20060034923A KR100615033B1 KR 100615033 B1 KR100615033 B1 KR 100615033B1 KR 1020060034923 A KR1020060034923 A KR 1020060034923A KR 20060034923 A KR20060034923 A KR 20060034923A KR 100615033 B1 KR100615033 B1 KR 100615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x
building
square
inn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순
Original Assignee
(주)공간에이엔앰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공간에이엔앰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공간에이엔앰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34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50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로, 특히 건축물의 벽체에 매설되는 내부 분전함이 시공후 틈새 유격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함과 아울러, 화재가 발생시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된 내부 분전함의 전소(全燒)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에 있어서,
2개 1조로 구성되고, 슬릿 판재에 각각 체결홀(302)(402)이 형성되며 내부가 관통되어 매설 박스와 덮개틀의 사이에 사각 마감판1,2(300)(500)이 삽입설치되어 실링재로 이용되며,
디귿자 상으로 절개면(C)을 갖도록 형성된 내측 덮개(400)가 사각 마감판1,2(300)(500)의 사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한편,
내측 덮개(400)는 사각 틀부(410)에 다수개의 체결홀(412)이 형성되어 사각 마감판1,2(300)(500)와 함께 체결 볼트(740)로 체결되고, 디귿자 상으로 상면이 사각 틀부(410)와 일체되도록 형성된 덮개부(420)의 하면에 보강 프레임(430)이 체결나사(424)로 체결되며, 보강 프레임(430)의 일측면과 하부에 각각 손잡이(432)와 고정 돌기(434)가 형성되고,
내측 덮개(400)는 고정 돌기(434)가 사각 마감판1,2(300)(500)의 일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반원형태로 형성된 삽입홈(304)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이 제공된다.
건축물, 내부전선, 인입용 박스, 내부 분전함

Description

건축물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MULTI-FACILITY OF INDOOR WIRE FOR BUILDING}
도 1은 종래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을 구성하는 내측 덮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의 상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의 도어 개방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의 내부 덮개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벽체 200: 매설박스
300,500:사각 마감판1,2 400: 내측 덮개
600: 덮개틀 700: 덮개판
900: 전선 인입용 박스
C : 절개면 S : 스위치
본 발명은 건축물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로, 특히 건축물의 벽체에 매설되는 내부 분전함이 시공후 틈새 유격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함과 아울러, 화재가 발생시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된 내부 분전함의 전소(全燒)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건축물 또는 공동주택의 내부 벽체에는 전선이 인입되어 분기되는 분전반이 매설되어 있어 스위치에 의해 내부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벽체(10)에는 일측에 전선 인입용 박스(90)가 매설되어 분전구(30)를 통해 내부 전원을 차단하게 되고, 전선 인입용 박스(90)는 벽체(10)에 매설 박스(20)가 매설되며, 매설 박스(20)에는 내측에 분전구(30)가 설치되고 매설 박스(20)에는 덮개틀(40)이 체결 볼트(50)로 체결되어 덮개를 개폐하게 된다.
상술한 전선 인입용 박스(90)는 매설 박스(20)와 덮개틀(40)이 체결 볼트(50)로 체결되는 한편, 콘크리트 타설시 밀림 현상에 의해 발생되어 틈새(A)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라 전선 인입용 박스(90)의 덮개를 열고 닫을 때 정확하게 덮개가 닫혀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건축물 내부 벽체에 설치된 전선 인입용 박스를 구성하는 매설 박스와 덮개의 사이에 사각 밀착판1,2와 내측 덮개를 설치하여 밀착면에 대한 실링처리를 효과적으로 실시함과 아울러, 건축물 내부의 화재 발생시 내측 덮개에 의해 열(熱)이 차단되어 내부 분전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벽체에 매설된 매설 박스에 덮개틀, 덮개를 시공하는 작업이 용이롭도록 구성된 건축물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이 제공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을 구성하는 내측 덮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의 상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의 도어 개방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의 내부 덮개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건축물의 벽체(100)에는 일측면에 매설 박스(200)가 매설되고, 매설 박스(200)에는 내측에 스위치(S)가 설치된 분전구(250)가 위치되며, 매설 박스(200)에는 전방에 사각 마감판1(300), 내측 덮개(400) 및 사각 마감판2(500)이 밀착된 상태에서 덮개틀(600)을 전방에 위치시켜 체결볼트(740)로 체결하여 일체형 박스 구조로 제작하게 된다.
매설 박스(200)는 내측에 사각홈이 형성된 박스 부재로 전방에 다수개의 체결홀(202)이 형성되고, 사각 마감판1,2(300)(500)는 사각형 형태로 내측이 관통된 형태로 슬릿 판재에 다수개의 체결홀(302)(502)이 형성되며, 사각 마감판1,2(300)(500)에는 슬릿 판재의 하단 일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삽입홈(304)이 반원 형태로 형성되어 사각 마감판1,2(300)(500)가 밀착된 상태에서 삽입홈(304)에 내측 덮개(400)의 고정돌기(434)가 삽입밀착된다.
내측 덮개(400)는 사각 판재로 전체 형성하여 사각 마감판1,2(300)(500)와 함께 결합 후 중간부가 디귿자 상으로 절개면(C)이 형성되어 개방시 디귿자 덮개부(420)가 개방되는 한편, 내측 덮개(400)는 사각 틀부(410)에 다수개의 체결홀(412)이 형성되고 덮개부(420)의 상단이 사각 틀부(410)와 일체로 형성되며, 덮개부(420)의 하단에 보강 프레임(430)이 체결나사(424)로 체결되어 고정되고, 보강 프레임(430)의 일측에 손잡이(432)가 형성되며, 그 손잡이(432)가 형성된 보강 프레임(430)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 돌기(434)가 형성된다.
부연 하자면, 사각 마감판1(300), 내측 덮개(400) 및 사각 마감판2(500)은, 동일한 크기가 밀착된 형태로 체결 볼트(740)에 의해 매설 박스(200)의 전방면에 체결되며, 2개 1조로 구성된 사각 마감판1,2(300)(500)가 실링재 역할을 하게 된다.
덮개틀(600)은 사각 틀부(610)의 내측으로 단차를 가지는 단턱판부(620)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단턱판부(620)에 다수개의 체결홀(622)이 형성되며, 덮개틀(600)에는 전방에 길이방향 양측에 축이 돌설된 덮개판(700)이 체결되어 개 폐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덮개틀(600)과 덮개판(700)은 일반적으로 건축물 내부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인입용 박스(900)가 많이 있는 바, 덮개틀(600)에서 개폐되는 덮개판(700)의 개폐 구조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알 수 있듯이, 매설 박스(200), 덮개틀(600) 및 덮개판(700)은 스테인레스 스틸(STAINESS STEEL) 재질로 제작되고, 사각 마감판1,2(300)(500)는 우레탄 또는 가스켓으로 제작하여 사용가능하며, 내측 덮개(400)는 비닐 재질로 덮개부(420)의 내측 및 외측에 방염 처리를 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전선 인입용 박스(900)를 열림 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덮개판(700)을 잠금 장치를 해제하여 덮개틀(600)에서 열게 된다.
즉, 덮개판(700)과 덮개틀(600)은 힌지축을 기준으로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덮개판(700)과 덮개틀(600)을 고정하는 잠금 장치를 해제하여 덮개판(700)을 열게 된다.
다음으로, 사각 마감판1,2(300)(500)의 사이에 밀착체결된 내측 덮개(400)의 손잡이(432)를 잡고 상부로 들어올리게 된다.
즉, 내측 덮개(400)의 손잡이(432)를 상향으로 들어올리면 고정 돌기(434)가 사각 마감판1,2(300)(500)의 삽입홈(304)에서 이탈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매설 박스(200)의 내측에 위치된 분전구(250)의 스위치(S)를 온/오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역순으로 작업을 실시하면 전선 인입용 박스(900)의 잠금 구조를 구성하게 된다.
특히, 사각 마감판1,2(300)(500)가 설치되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100)를 시공하고 시멘트 모르타르를 포설하는 단계에서 형성된 틈새를 밀폐시키게 되어 건축물의 화재시 화염이 틈새를 통해 매설 박스(200)의 내부 분전구(250)을 파손을 방지하게 되고, 또한 내측 덮개(400)에 방염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 덮개판(700)에 전해지는 열(熱)이 차단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전선 인입용 박스(900)를 제공하게 된다.
즉, 내측 덮개(400)에는 덮개부(420)의 내,외측에 염화고무수지로 방염처리되어 열이 차단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효과를 하기에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 내부 벽체에 설치된 전선 인입용 박스를 구성하는 매설 박스와 덮개의 사이에 사각 밀착판1,2와 내측 덮개를 설치하여 밀착면에 대한 실링처리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건축물 내부의 화재 발생시 내측 덮개에 의해 열(熱)이 차단되어 내부 분전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콘크리트 벽체에 매설된 매설 박스에 덮개틀과 덮개를 시공하는 작업이 용이로운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벽체 일측에 사각 형태로 제작되어 매설되는 매설 박스;
    매설 박스의 전방에 체결 볼트로 체결되는 덮개틀;
    덮개틀의 일측에 힌지축으로 체결되고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개폐되는 덮개판;을 포함하는 건축물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에 있어서,
    2개 1조로 구성되고, 슬릿 판재에 각각 체결홀(302)(402)이 형성되며 내부가 관통되어 매설 박스와 덮개틀의 사이에 사각 마감판1,2(300)(500)이 삽입설치되어 실링재로 이용되며,
    디귿자 상으로 절개면(C)을 갖도록 형성된 내측 덮개(400)가 사각 마감판1,2(300)(500)의 사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한편,
    내측 덮개(400)는 사각 틀부(410)에 다수개의 체결홀(412)이 형성되어 사각 마감판1,2(300)(500)와 함께 체결 볼트(740)로 체결되고, 디귿자 상으로 상면이 사각 틀부(410)와 일체되도록 형성된 덮개부(420)의 하면에 보강 프레임(430)이 체결나사(424)로 체결되며, 보강 프레임(430)의 일측면과 하부에 각각 손잡이(432)와 고정 돌기(434)가 형성되고,
    내측 덮개(400)는 고정 돌기(434)가 사각 마감판1,2(300)(500)의 일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반원형태로 형성된 삽입홈(304)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덮개(400)에는 덮개부(420)의 내,외측에 염화고무수지로 방염처리되어 열이 차단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
KR1020060034923A 2006-04-18 2006-04-18 건축물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 KR100615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923A KR100615033B1 (ko) 2006-04-18 2006-04-18 건축물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923A KR100615033B1 (ko) 2006-04-18 2006-04-18 건축물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5033B1 true KR100615033B1 (ko) 2006-08-22

Family

ID=37602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923A KR100615033B1 (ko) 2006-04-18 2006-04-18 건축물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50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095B1 (ko) * 2007-08-20 2008-11-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면커버에 실링부재가 설치된 다상차단기
KR101184682B1 (ko) 2011-12-15 2012-09-24 주식회사 뿌리를 지키는 사람들 봉안단의 라이너함 개폐구조
KR101398450B1 (ko) * 2014-01-07 2014-05-27 안명선 물침투 방지 매립형 콘센트 박스
KR101926618B1 (ko) * 2017-03-13 2018-12-07 허용호 노출방지형 부스바가 구비된 옥외용 분전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5139A (ja) * 1993-05-24 1994-12-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器具用耐火パネル
KR20000072900A (ko) * 1999-05-03 2000-12-05 박창운 콘센트박스
KR200255166Y1 (ko) 2001-07-30 2001-12-13 이성균 벽면 매설용 콘센트 박스
KR200398625Y1 (ko) 2005-07-20 2005-10-13 유재현 지중저압 접속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5139A (ja) * 1993-05-24 1994-12-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器具用耐火パネル
KR20000072900A (ko) * 1999-05-03 2000-12-05 박창운 콘센트박스
KR200255166Y1 (ko) 2001-07-30 2001-12-13 이성균 벽면 매설용 콘센트 박스
KR200398625Y1 (ko) 2005-07-20 2005-10-13 유재현 지중저압 접속함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0072900
2003986250000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095B1 (ko) * 2007-08-20 2008-11-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면커버에 실링부재가 설치된 다상차단기
KR101184682B1 (ko) 2011-12-15 2012-09-24 주식회사 뿌리를 지키는 사람들 봉안단의 라이너함 개폐구조
KR101398450B1 (ko) * 2014-01-07 2014-05-27 안명선 물침투 방지 매립형 콘센트 박스
KR101926618B1 (ko) * 2017-03-13 2018-12-07 허용호 노출방지형 부스바가 구비된 옥외용 분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09304C (en) Rainproof recessed outlet box
US7518061B1 (en) Recessed electrical box
KR100615033B1 (ko) 건축물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
KR100706645B1 (ko) 건축물 통합단자함 구조
KR101426506B1 (ko) 벽체형 전기 통신 케이블 덕트
RU2007119138A (ru) Защищенная кабельная система
KR100761047B1 (ko) 공동주택 천정 전기 케이블 설치구조
KR101396033B1 (ko) 케이블 배선용 입상트레이 슬리브
KR200459675Y1 (ko)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KR101093898B1 (ko) 건축물용 매입형 전기스위치박스
US9048645B1 (en) Electrical box assembly with siding block and while-in-use cover
KR200255166Y1 (ko) 벽면 매설용 콘센트 박스
KR20100024810A (ko)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KR101930622B1 (ko) 전선 취출용 커버 박스, 플로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조립체
KR100679931B1 (ko) 건축물 내부벽체 전선보호관
US7358440B1 (en) Rain shielded box for exiting through siding
JP6742872B2 (ja) 建具
KR200438940Y1 (ko)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
KR101319295B1 (ko) 공동주택에 사용되는 콘센트커버 구조
KR200379731Y1 (ko) 스위치 박스
KR100964345B1 (ko)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KR100999471B1 (ko) 전선 콘센트 박스
KR200204645Y1 (ko) 아파트의 파이프 덕트 스틸 판넬
KR20090007645U (ko) 매립형 케이블 수납박스
KR200397843Y1 (ko) 조립식 문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