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4345B1 -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4345B1
KR100964345B1 KR1020070081810A KR20070081810A KR100964345B1 KR 100964345 B1 KR100964345 B1 KR 100964345B1 KR 1020070081810 A KR1020070081810 A KR 1020070081810A KR 20070081810 A KR20070081810 A KR 20070081810A KR 100964345 B1 KR100964345 B1 KR 100964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drainage plate
support frame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7221A (ko
Inventor
엄기형
Original Assignee
엄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기형 filed Critical 엄기형
Priority to KR1020070081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345B1/ko
Publication of KR20090017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로부터 습기 누수 및 지하수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유도처리 하기 위한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이 상기 벽체와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상기 배수판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벽체와 상기 배수판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판에는 공기 유동이 발생되도록 방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는 평평하지 못한 벽체에도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미관이 훼손되지 않으며 제품파손을 줄일 수 있고, 시공 방법이 간단하고, 어느 방향에서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 기간 단축 및 공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배수판, 커버 판넬, 지지프레임, 간격유지부재

Description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Fixing Structure of Drain Board for Wall Structure}
본 발명은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지하층에 나타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지하층은 지하수 또는 습기 등에 노출되기 쉬우며,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건물 내부로의 결로 현상이 발생되기 쉽다. 이와 같은 결로 현상은 지하 내부의 공기를 습하게 하고, 벽면에 백화 현상을 발생케 하며, 곰팡이가 서식하는 등의 불쾌하고 비위생적인 폐단이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의 지하층 벽체로부터 건물 내부로 습기가 침입하지 못하도록 벽체에 방수처리를 하거나, 벽체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시멘트 블록을 이중으로 쌓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시공 기간 및 비용은 물론, 시멘트 블록의 두께로 인하여 건물 내부 공간의 막대한 손실을 가져 오며, 하자 보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종래에는 벽체에 간단히 조립식으로 설치 가능하고, 벽체 내부로 지하수 또는 습기의 침투를 방지하고 침투된 지하수 또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벽체용 이중 방습 패널 조립체가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패널 조립체를 도 1 을 통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벽체면(W)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오목 홈(110)을 가지며, 벽체면(W)과의 사이에 1차 방습 공간을 갖는 고정 패널(100)과, 고정 패널(10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체결 돌출부(210)를 가지며, 고정시 고정 패널(100)과의 사이에 2차 방습 공간을 형성하는 방습 커버 패널(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패널(100)의 오목 홈(110)이 고정핀(120) 등에 의해 벽체면(W)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패널 조립체를 벽체면(W)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복수 개의 고정 패널(100)의 오목 홈(110)에 일일이 고정핀(120) 등을 삽입시켜야 하므로, 시공이 번거로운 것은 물론, 시공 기간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건물 지하 벽체면(W)이 평평하지 못한 경우에는 오목 홈(110)의 바닥이 벽체면(W)으로부터 들뜨게 되는데, 이러한 오목 홈(110)을 강제로 벽체면(W)에 고정시키게 되면, 고정 패널(100)이 휘게 되어 미관상 조잡해지고, 제품 파손이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패널 조립체를 벽체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복수 개의 고정 패널(100)의 오목 홈(110)에 일일이 고정핀(120) 등을 삽입해야 하므로, 어느 한 방향부터 연속적인 시공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에 간단하게 시공되도록 하고, 어느 방향에서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 기간 단축 및 공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평하지 못한 벽체에도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미관이 훼손되지 않으며 제품파손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벽체로부터 습기 누수 및 지하수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유도처리 하기 위한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이 상기 벽체와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상기 배수판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벽체와 상기 배수판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판에는 공기 유동이 발생되도록 방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벽체로부터 습기 누수 및 지하수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유도처리 하기 위한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배수판이 상기 벽체와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상기 배수판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벽체와 상기 배수판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판에는 공기 유동이 발생되도록 방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내부가 빈 중공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은 개방부가 구비되고, 그 타측은 상기 벽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타측 및 상기 벽체에 못 등의 고정부재가 관통 삽입되어, 상기 간격유지부재가 상기 벽체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내부가 빈 중공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으로 개방부가 구비되고, 그 타측으로 상기 지지프레임과 삽입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그 측방으로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상기 결합홈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못 등의 고정부재가 관통 삽입되어, 상기 간격유지부재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수판이 상기 벽체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배수판의 일측에서 상기 벽체 방향으로 보조간격유지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수판의 외면에는 상기 배수판을 미려하게 형성하도록 다양한 색상의 커버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수판의 외면에는 커버부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의 측부에서 상기 배수판 방향으로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판의 상기 방출공에 상기 커버부의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수판은 판형의 커버판넬 다수 개가 연속 배열되도록 구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배수판이 서로 결합되도록, 다수 개의 상기 커버판넬 중 최외곽에 위치되는 커버판넬 테두리의 어느 한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한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도록 연결돌기가 형성 및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내부가 빈 중공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으로 개방부가 구비되고, 그 타측 상방으로 단차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기 단차부의 하부가 위치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내부가 빈 중공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으로 개방부가 구비되고, 그 타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과 수평으로 돌출바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타측이 위치되면서, 상기 돌출바의 하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구 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타측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못 등의 고정부재가 일체로 관통 삽입되어, 상기 간격유지부재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일면으로 상기 배수판과 결합되며, 상기 벽체와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일정 두께를 가지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타면의 상측 및 하측에서 상기 벽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유지돌기를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걸림유지돌기의 서로 마주보는 공간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이 삽입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는 벽체에 간단하게 시공되도록 하고, 어느 방향에서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 기간 단축 및 공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는 평평하지 못한 벽체에도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미관이 훼손되지 않으며 제품파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벽체 배수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벽체 배수판이 벽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W)로부터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에 있어서, 배수판(10)은 타일과 같이, 커버판넬(11) 여러 개가 가로, 세로로 배치되어 벽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나란히 배치되는 여러 개의 커버판넬(11)이 서로 평면을 이루며 벅체(W)와 평행하게 배치 및, 벽체(W)로부터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여러 개의 커버판넬(11) 다수 개가 벽체(W)에 연속 배열될 때, 인접된 각각의 커버판넬(11)이 서로 연결되도록 여러 개의 커버판넬(11) 중 최외곽에 위치되는 커버판넬(11) 테두리의 어느 한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공을 갖는 다수의 결합돌기(11a)가 형성되고, 다른 한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결합돌기(11a)와 대응되도록 연결공을 갖는 다수의 연결돌기(미도시)가 형성 및 서로 결합된다.
그리고 커버판넬(11)이 벽체(W)와 간격을 유지하면서 평행하게 고정 위치되도록 간격유지부재(20)가 커버판넬(11)에 일체로 형성 및 후술하는 지지프레임(40)에 고정된다.
이러한 간격유지부재(20)는 벽면을 형성하는 여러 개의 커버판넬(11) 중 선택된 커버판넬(11) 또는, 각 커버판넬(1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수는 제한되지 않고, 크기와 용도에 따라 더 많이 구비되거나, 더 적게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간격유지부재(20)가 커버판넬(11)에 일체로 형성되게 되면, 작업자가 간격유지부재(20)를 커버판넬(11)에 따로 장착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그만큼의 시공 기간이 단축됨은 물론, 작업자가 보다 수월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벽체(W)에 위치되는 커버판넬(11)을 지지하도록 지지프레임(40)이 벽체(W)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지지프레임(40)은 장형으로 형성되며, 벽체(W)에서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고정 위치되고, 간격유지부재(20)가 지지프레임(40)에 걸림 결합 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간격유지부재(20)에 의하여 커버판넬(11)과 벽체(W)가 서로 이격되어 위치될 때, 커버판넬(11)에서 벽체(W) 방향으로 보조간격유지부(1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보조간격유지부(14)는 커버판넬(11)이 간격유지부재(20)에 지지되면서 벽체(W)와 서로 이격되도록 위치될 때, 커버판넬(11) 자체에 형성되어 간격유지부재(20)를 보조하는 것으로서, 커버판넬(11)의 일측에서 벽체(W)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그 길이는 간격유지부재(20)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커버판넬(11)이 간격유지부재(20)에 의하여 벽체(W)와 이격 위치될 때, 보조간격유지부(14)의 선단부가 벽체(W)에 위치되어, 커버판넬(11)은 간격유지 부재(20) 및 보조간격유지부(14)에 의하여 벽체(W)와 이격 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벽체 배수판의 간격유지부재가 지지프레임과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간격유지부재(20)의 형상은 내부가 빈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커버판넬(11)과 벽체(W)가 서로 이격되도록 벽체(W)의 울퉁불퉁한 정도에 따라 정해진 길이를 갖고, 커버판넬(11)과 대응되는 그 일측으로는 개방된 원형의 개방부(22)가 구비되고, 벽체(W)와 대응되는 그 타측으로는 지지프레임(40)에 삽입 결합되도록 결합홈(24)이 형성된다.
그리고 못 등의 고정부재(27)가 간격유지부재(20)의 결합홈(24) 및 지지프레임(40)에 관통 삽입되어 간격유지부재(20)가 지지프레임(4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커버판넬(11)에서 간격유지부재(20)의 개방부(22)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원형의 관통공(12)이 형성되고, 작업자가 커버판넬(11)의 관통공(12)을 통하여 간격유지부재(20)의 결합홈(24) 및 지지프레임(40)에 상기 고정부재(27)를 관통 삽입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커버판넬(11)의 관통공(12)을 커버하도록 원형판넬(15: 도 3 도시)이 관통공(12)에 위치 및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커버판넬(11)의 외면에는 벽면을 아름답게 형성하도록 커버부(16)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도 5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커버판넬에 커버부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버판넬(11)의 외면에는 벽면을 아름답게 형성하도록 커버부(16)가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16)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하며, 다양한 색상을 사용하도록 하여, 벽면을 아름답게 형성하는 것은 물론, 서로 다른 색상의 커버부(16)를 사용하며 벽면에 글씨, 화살표 등의 문자, 기호를 형성할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커버부(16)는 커버판넬(11)의 외면에 결합되며 이때, 커버부(16)의 양측부에서 커버판넬(11) 방향으로 삽입돌기(17)가 형성되고, 커버판넬(11)의 외면 측부에는 방출공(13)이 형성되어, 커버판넬(11)의 방출공(13)에 커버부(16)의 삽입돌기(17)가 삽입 및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커버판넬(11)의 방출공(13)은 커버부(16)가 결합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벽체(W)로부터 발생되는 습기 등이 외부로 방출되는 역할도 한다.
즉, 커버부(16)는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커버판넬(11)의 외면에 결합되므로, 선택되지 않은 커버판넬(11)에 형성된 방출공(13)은 개방되어 있게 된다. 이 개방된 방출공(13)으로 벽체(W)에서 발생되는 습기나 기타 이물질 등이 외부로 방출되면서, 벽체(W)의 수분이 증발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의한 벽체 배수판이 벽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의한 벽체 배수판이 벽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10)은 간격유지부재에 통공이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10)의 간격유지부재(20)는 내부가 빈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커버판넬(11)과 대응되는 그 일측으로 개방부(22)가 구비되고, 벽체(W)와 대응되는 그 타측으로 결합홈(24)이 구비된다. 그리고 못 등의 고정부재(27)가 간격유지부재(20)의 타측 하부 및 지지프레임(40)에 일체로 관통 삽입되어 간격유지부재(20)가 지지프레임(4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간격유지부재(20)는 그 측방으로 하나 이상의 통공(25)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25)은 공기순환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하 벽체(W)의 습한 공기가 간격유지부재(20)에 의하여 정체되지 않도록 하여, 벽체(W)의 수분과 외부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용적인 측면에서, 간격유지부재(20)를 형성시킬 때, 간격유지부재(20)의 측방에 형성되는 통공(25) 크기 만큼의 재료가 덜 사용되므로, 생산비용 및 이로 인한 전체 공사 비용이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의한 벽체 배수판이 벽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의한 벽체 배수판이 벽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10)은 간격 유지부재(20')의 구성이 상기 제 1 실시예의 간격유지부재(20)와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10)의 간격유지부재(20')는 내부가 빈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커버판넬(11)과 벽체(W)가 서로 이격되도록 벽체(W)의 울퉁불퉁한 정도에 따라 정해진 길이를 갖고, 커버판넬(11)과 대응되는 그 일측으로 개방부(22)가 구비되고, 벽체(W)와 대응되는 그 타측으로 단차부(28)가 구비된다.
단차부(28)는 간격유지부재(20')의 타측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간격유지부재(20')의 타측 상방이 그 타측 하방보다 높은 상태인 단차 상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간격유지부재(20')의 타측 하방이 지지프레임(40)에 위치되면서, 단차부(28)의 하부가 지지프레임(40)의 상부에 위치 및 지지프레임(40)에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못 등의 고정부재(27)가 간격유지부재(20')의 타측 하부 및 지지프레임(40)에 일체로 관통 삽입되어 간격유지부재(20')가 지지프레임(4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의한 벽체 배수판이 벽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의한 벽체 배수판이 벽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10)은 상 기 제 5 실시예의 간격유지부재(20')에서 단차부(28) 대신에, 돌출바(29)가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10)의 간격유지부재(20'')는 내부가 빈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커버판넬(11)과 벽체(W)가 서로 이격되도록 벽체(W)의 울퉁불퉁한 정도에 따라 정해진 길이를 갖고, 커버판넬(11)과 대응되는 그 일측으로 개방부(22)가 구비되고, 벽체(W)와 대응되는 그 타측으로 돌출바(29)가 구비된다.
돌출바(29)는 지지프레임(40)과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간격유지부재(20'')의 타측 하방이 지지프레임(40)에 위치되면서, 돌출바(29)의 하부가 지지프레임(40)의 상부에 위치 및 지지프레임(40)에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못 등의 고정부재(27)가 간격유지부재(20'')의 타측 하부 및 지지프레임(40)에 일체로 관통 삽입되어 간격유지부재(20'')가 지지프레임(4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의한 벽체 배수판이 벽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10)은 간격유지부재(20''')가 결합부(30)와 걸림유지돌기(31)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10)의 간격유지부재(20''')는 결 합부(30)와 걸림유지돌기(31)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30)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그 일면으로 커버판넬(11)과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커버판넬(11)과 벽체(W)가 서로 이격되도록 벽체(W)의 울퉁불퉁한 정도에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30) 타면의 상측 및 하측으로는 걸림유지돌기(31) 한 쌍이 벽체(W)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한 쌍의 걸림유지돌기(31)의 서로 마주보는 공간으로 지지프레임(40)이 삽입 위치되면서, 지지프레임(40)에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못 등의 고정부재(27)가 간격유지부재(20''')의 결합부(30) 및 지지프레임(40)에 관통 삽입되어 간격유지부재(20''')가 지지프레임(4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는 배수판을 지지프레임에 용이하게 결합 및 지지시켜서 내부에 배수 공간을 간편하게 형성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한 시공 기간 단축 및 공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균일하지 않은 벽체나 파손된 벽체에도 균일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패널 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벽체 배수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벽체 배수판이 벽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벽체 배수판의 간격유지부재가 지지프레임과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커버판넬에 커버부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의한 벽체 배수판이 벽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의한 벽체 배수판이 벽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의한 벽체 배수판이 벽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의한 벽체 배수판이 벽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의한 벽체 배수판이 벽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의한 벽체 배수판이 벽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의한 벽체 배수판이 벽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배수판 11: 커버판넬
12: 관통공 13: 방출공
14: 보조간격유지부 15: 원형판넬
16: 커버부 17: 결합돌기
20, 20', 20'', 20''': 간격유지부재
22: 개방부 24: 결합홈
25: 통공 26: 결합돌기
27: 고정부재 28: 단차부
29: 돌출바 30: 결합부
31: 걸림유지돌기 40: 지지프레임

Claims (15)

  1. 삭제
  2. 벽체로부터 습기 누수 및 지하수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유도처리 하기 위한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배수판이 상기 벽체와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상기 배수판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부재; 및
    상기 배수판이 상기 벽체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배수판의 일측에서 상기 벽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조간격유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벽체와 상기 배수판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판에는 공기 유동이 발생되도록 방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내부가 빈 중공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으로 개방부가 구비되고, 그 타측으로 상기 지지프레임과 삽입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고, 그 측방으로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상기 결합홈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못 등의 고정부재가 관통 삽입되어, 상기 간격유지부재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
  8. 삭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의 외면에는 상기 배수판을 미려하게 형성하도록 다양한 색상의 커버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의 외면에는 커버부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의 측부에서 상기 배수판 방향으로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판의 상기 방출공에 상기 커버부의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은 판형의 커버판넬 다수 개가 연속 배열되도록 구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배수판이 서로 결합되도록, 다수 개의 상기 커버판넬 중 최외곽에 위치되는 커버판넬 테두리의 어느 한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한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도록 연결돌기가 형성 및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70081810A 2007-08-14 2007-08-14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KR100964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810A KR100964345B1 (ko) 2007-08-14 2007-08-14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810A KR100964345B1 (ko) 2007-08-14 2007-08-14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221A KR20090017221A (ko) 2009-02-18
KR100964345B1 true KR100964345B1 (ko) 2010-06-17

Family

ID=40686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810A KR100964345B1 (ko) 2007-08-14 2007-08-14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3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791B1 (ko) 2012-08-28 2013-05-20 박종암 건축물의 지하 벽면 배수를 위한 마감 내장재
KR101350176B1 (ko) * 2012-05-10 2014-01-09 박종암 건축물의 지하층 벽면 배수용 내장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541Y1 (ko) * 2004-06-29 2004-09-14 파스템건설 주식회사 패널 조립식 지하 이중벽 구조
KR200433891Y1 (ko) * 2006-09-28 2006-12-13 박옥교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541Y1 (ko) * 2004-06-29 2004-09-14 파스템건설 주식회사 패널 조립식 지하 이중벽 구조
KR200433891Y1 (ko) * 2006-09-28 2006-12-13 박옥교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176B1 (ko) * 2012-05-10 2014-01-09 박종암 건축물의 지하층 벽면 배수용 내장재
KR101265791B1 (ko) 2012-08-28 2013-05-20 박종암 건축물의 지하 벽면 배수를 위한 마감 내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221A (ko)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3891Y1 (ko)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KR101334320B1 (ko)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AU2012280201B2 (en) Fastening system
KR100825883B1 (ko) 건축물의 슬라이딩식 목재데크판 고정 구조
JP2014031709A (ja) 建物の換気構造
KR100964345B1 (ko)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KR100900479B1 (ko) 물받이가 구비된 조립식 창틀용 프레임구조
KR200438940Y1 (ko)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
KR100730587B1 (ko)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80039184A (ko) 벽체 배수플레이트 설치 구조
KR100603001B1 (ko) 벽체용 방습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920704B1 (ko)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
KR100964344B1 (ko)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KR101344701B1 (ko) 볼트리스 패널용 창호프레임
KR100879367B1 (ko) 벽체용 방습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200430324Y1 (ko) 지하이중벽의 내벽패널 설치구조
KR100933342B1 (ko) 천정재용 몰딩 설치구조
KR20100003610A (ko) 맨홀
KR20120003300U (ko)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KR100617964B1 (ko) 방습용 및 아트용 벽체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조립체
KR200160297Y1 (ko) 건축물 외부 마감판
KR200438121Y1 (ko) 벽체 배수판의 모양캡 설치구조
KR200233350Y1 (ko) 지하구조물 측벽의 마감재 조립체
KR102421686B1 (ko) 탈거방지를 위한 조립식 결로방지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브라켓
KR20090084173A (ko) 천정재 몰딩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