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300U -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300U
KR20120003300U KR2020100011325U KR20100011325U KR20120003300U KR 20120003300 U KR20120003300 U KR 20120003300U KR 2020100011325 U KR2020100011325 U KR 2020100011325U KR 20100011325 U KR20100011325 U KR 20100011325U KR 20120003300 U KR20120003300 U KR 201200033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oupling
wall
coupled
drainag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3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보
Original Assignee
김윤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보 filed Critical 김윤보
Priority to KR20201000113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3300U/ko
Publication of KR201200033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30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체로부터의 습기 누수 방지 및 결로 현상 예방을 위한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에 있어서,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위치되는 배수판; 및 상기 고정부과 상기 배수판 사이에 위치되되, 일측은 상기 고정부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배수판과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벽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서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에는 한 쌍의 상기 고정 돌기 사이에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 1 결합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는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배수판을 벽체에 용이하게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므로, 배수판을 벽체에 고정시키는 시간을 단축단축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Fixing Structure of Drain Board for Wall Structure}
본 고안은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벽체에 배수판을 용이하게 설치하도록 할 수 있는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지하층은 지하수 또는 습기 등에 노출되기 쉬우며,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건물 내부로의 결로 현상이 발생되기 쉽다. 이와 같은 결로 현상은 지하 내부의 공기를 습하게 하고, 벽면에 백화 현상을 발생케 하며, 곰팡이가 서식하는 등의 불쾌하고 비위생적인 폐단이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의 지하층 벽체로부터 건물 내부로 습기가 침입하지 못하도록 벽체에 방수처리를 하거나, 벽체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시멘트 블록을 이중으로 쌓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시공 기간 및 비용은 물론, 시멘트 블록의 두께로 인하여 건물 내부 공간의 막대한 손실을 가져오며, 하자 보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종래에는 벽체에 간단히 조립식으로 설치 가능하고, 벽체 내부로 지하수 또는 습기의 침투를 방지하고 침투된 지하수 또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벽체용 패널 조립체가 개시된 바 있다.
종래 패널 조립체를 도 1 을 통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고정핀(120)에 의하여 벽체면(W)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결합부(110)와, 결합부(110)에 결합되는 판형 형상의 고정 패널(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패널 조립체를 벽체면(W)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결합부(110)에 일대일 대응되는 복수 개의 고정 패널(100)을 각각 결합시켜야 하는 바, 시공이 번거로운 것은 물론, 공기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물 지하 벽체면(W)이 평평하지 못한 경우에, 결합부(110)가 벽체면(W)에서 들뜨게 되는데, 이때, 결합부(110)를 강제로 벽체면(W)에 고정시키게 되면, 고정 패널(100)이 휘게 되어 미관상 조잡해지고, 제품 파손이 자주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배수판을 벽체에 용이하게 고정시키도록 하여, 공기를 단축시키도록 할 수 있는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벽체의 굴곡정도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벽체로부터의 습기 누수 방지 및 결로 현상 예방을 위한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에 있어서,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위치되는 배수판; 및 상기 고정부과 상기 배수판 사이에 위치되되, 일측은 상기 고정부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배수판과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벽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서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에는 한 쌍의 상기 고정 돌기 사이에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 1 결합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고정 돌기의 선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결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결합안내부에서 상기 결착부와 대응되는 측부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결합안내부가 한 쌍의 상기 고정 돌기 사이에 삽입될 때, 상기 결착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벽체에 다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 위치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다수 개의 상기 고정부를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결합안내부가 다수 개의 상기 고정부 중 선택되는 고정부들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안내부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될 때, 상기 고정판과 상기 제 1 결합안내부 사이는 서로 이격되면서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에 하나 이상의 간격조정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벽체로부터의 습기 누수 방지 및 결로 현상 예방을 위한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에 있어서,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위치되는 배수판; 및 상기 고정부과 상기 배수판 사이에 위치되되, 일측은 상기 고정부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배수판과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판의 테두리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타측 방향으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 2 결합안내부가 대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결합안내부는 한 쌍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제 2 결합안내부에 두 개의 상기 배수판의 상기 결합부가 대면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부재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돌출되는 선단부에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안내부는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걸림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 2 결합안내부에 삽입될 때, 상기 걸림편이 상기 걸림턱에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결합안내부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다수 개의 상기 배수판이 상기 제 2 결합안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는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배수판을 벽체에 용이하게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므로, 배수판을 벽체에 고정시키는 시간을 단축단축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는 벽체의 굴곡정도에 상관없이, 다수 개의 배수판이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는 별도의 장식을 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미 및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벽체용 패널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의 고정부에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의 결합부재에 배수판이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의 외장커버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의 고정부에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는 지하 주차장 벽체(W) 등에서의 습기 누수 방지 및 결로 현상 예방 등을 위한 것으로, 벽체(W)에 고정되는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에 위치되는 배수판(30)과, 상기 고정부(10)와 상기 배수판(30)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부(10)는 벽체(W)에 고정되는 고정판(12)과, 고정판(12)에서 배수판(3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 돌기(14)를 포함한다. 고정판(12)은 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양측 단부에 못(16) 등의 고정부재가 삽입되도록 고정홀(12a)이 형성된다. 고정 돌기(14)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고정판(12)의 중앙에서 양측으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고정 돌기(14)의 선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결착부(15)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 1 결합안내부(22)의 걸림부(23)에 결착부(15)가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고정부(10)는 못(16), 와셔(17) 등의 고정부재에 의하여 벽체(W)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열로 고정 설치된다.
결합부재(2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다수 개의 고정부(10) 중 선택되는 고정부(10)들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으로, 그 일측에는 고정부(10)들과 결합되도록 제 1 결합안내부(22)가 구비되고, 그 타측에는 배수판(30)과 결합되도록 제 2 결합안내부(24)가 구비된다.
제 1 결합안내부(22)는 각각의 고정부(10)의 한 쌍의 고정 돌기(14) 사이에 삽입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며, 한 쌍의 고정 돌기(14)의 결착부(15)와 마주보는 양측부에는 오목하게 걸림부(23)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23)에 각각의 결착부(15)가 삽입되면서 걸림 결합된다.
제 2 결합안내부(24)는 제 1 결합안내부(22)에서 배수판(30) 방향으로 일체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결합안내부(24)에서 배수판(30)의 후술하는 결합부(32)과 마주보는 위치에는 제 2 결합안내부(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오목부(25)가 형성된다. 이때, 오목부(25)는 서로 수평하게 한 쌍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오목부(25)에 두 개의 배수판(30)의 결합부(32)가 서로 대면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각 오목부(25)에는 걸림턱(26)이 형성되어 배수판(30)의 후술하는 걸림편(33)이 걸림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하기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배수판(30)은 벽체(W)에서 발생되는 습기 등을 차단시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의 플레이트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배수판(30) 다수 개가 결합부재(20)에 결합되면서 벽체(W)에 연속 배열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의 결합부재에 배수판이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정 간격으로 이격 위치된 다수 개의 고정부(10)가 서로 수평하게 다열로 배열되면서 벽체(W)에 고정된다. 그리고 다수 개의 고정부(10) 중 선택되는 고정부(10)들에 다수 개의 결합부재(20)의 제 1 결합안내부(22)가 삽입 결합되어, 다수 개의 결합부재(20)가 벽체(W) 상에 상호 수평하게 위치된다.
이어서 다수 개의 배수판(30)이 일 결합부재(20)의 제 2 결합안내부(24)에 삽입 결합되는데, 이를 위하여 배수판(30)의 테두리 양측에서 제 2 결합안내부(24) 방향으로 결합부(32)가 돌출 형성되고, 결합부(32)의 돌출되는 선단부에는 제 2 결합안내부(24)의 오목부(25)의 걸림턱(26)에 걸림 결합되도록 걸림편(33)이 형성된다.
그리고 다수 개의 배수판(30) 중 선택된 배수판(30)들의 일 결합부(32)가 일 결합부재(20)의 제 2 결합안내부(24)의 일 오목부(25)에 삽입되고, 상기 선택된 배수판(30)들의 타 결합부(32)가 상기 일 결합부재(20)와 수평으로 이격 위치된 타 결합부재(20)의 제 2 결합안내부(24)의 일 오목부(25)에 삽입되며,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다수 개의 배수판(30)이 다수 개의 결합부재(20)에 삽입 결합된다.
그리고 배수판(30) 다수 개가 벽체(W)에 연속 배열될 때, 서로 인접된 일 배수판(30)과 타 배수판(30)이 서로 연결되도록 일 배수판(30) 테두리의 어느 한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돌기(35)가 형성되고, 타 배수판(30) 테두리에서 상기 연결돌기(35)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삽입부(3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돌기(35)가 상기 돌기삽입부(36)에 삽입 결합되어, 서로 인접한 배수판(30)끼리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처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는 벽체(W)에 고정된 다수 개의 고정부(10)에 장형의 결합부재(20)를 삽입 결합시킨 후, 상기 결합부재(20)에 다수 개의 배수판(30)을 삽입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므로, 배수판(30)을 벽체(W)에 고정시키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결합부재(20)의 제 1, 2 결합안내부(22, 24)를 사용하여, 배수판(30)을 용이하게 벽체(W)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간격조정부(28)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는 고정부(10), 결합부재(20), 배수판(30) 및 간격조정부(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부(10)는 벽체(W)에 고정되는 고정판(12)과, 결합부재(20)의 제 1 결합안내부(22)가 삽입되도록 고정 돌기(14)를 포함한다. 그리고 결합부재(20)는 고정 돌기(14)에 삽입되는 제 1 결합안내부(22)와, 배수판(30)의 결합부(32)가 삽입되는 제 2 결합안내부(24)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 돌기(14)의 높이는 벽체(W)의 평평한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면, 벽체(W)의 평평한 위치에 고정된 고정부(10)의 고정 돌기(14)는 제 1 결합안내부(22)와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제 1 결합안내부(22)와 고정판(12) 사이에 이격 공간이 구비되지 않는다.
그러나 벽체(W)의 움푹 들어간 부분에 위치된 고정부(10')의 고정 돌기(14')는 제 1 결합안내부(22) 보다 길게 형성되어, 고정판(12)과 제 1 결합안내부(22) 사이가 서로 이격되어, 중공의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에 판형의 간격조정부(28)가 삽입되며, 이때, 삽입되는 간격조정부(28)의 개수는 상기 공간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하나 또는 다수 개로 구성된다.
이처럼 벽체(W)의 움푹 들어간 부분에 제 1 결합안내부(22) 보다 긴 고정 돌기(14')를 갖는 고정부(10')가 위치되므로, 고정부(10')에 결합부재(20)가 결합될 때, 고정판(12)과 제 1 결합안내부(22) 사이에 형성된 상기 공간에 간격조정부(28)가 삽입되어, 벽체(W)의 움푹 들어간 부분을 메워주기 때문에, 다수 개의 제 2 결합안내부(24) 및 다수 개의 배수판(30)은 어느 부분에서나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외장커버(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는 벽체(W)에 고정된 다수 개의 고정부(10)에 장형의 결합부재(20)가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재(20)에 다수 개의 배수판(30)이 결합된다. 그리고 배수판(30)의 외면에 색상 또는 도형 또는 문자를 구비하는 외장커버(40)가 더 결합된다.
외장커버(4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미를 제공하도록 미려한 형상 또는 다양한 컬러를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의 도형부(40a)가 외장커버(40)의 외면에 형성 또는 부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외장커버(40)의 내면에서 배수판(30) 방향으로 결합돌기(42)가 돌출 형성되고, 배수판(30)의 외면에서 상기 결합돌기(42)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돌기(42)가 삽입되도록 결합홀(38)이 형성되어, 외장커버(40)가 배수판(30)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의 외장커버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수 개의 외장커버(40) 중 선택되는 일부 외장커버(40)들에 도형부(40a')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형부(40a')들은 다수 개가 모자이크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표시부, 예를 들면 "출구" 와 같은 단어, 또는 꽃이나 화살표 형상의 도형 등을 형성하게 되어, 외장커버(40)에 별도의 장식을 하지 않아도 되며,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미, 각종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10': 고정부 12: 고정판
12a: 고정홀 14, 14': 고정 돌기
14': 고정 돌기 15: 결착부
16: 못 17: 와셔
20: 결합부재 22: 제 1 결합안내부
23: 걸림부 24: 제 2 결합안내부
25: 오목부 26: 걸림턱
28: 간격조정부 30: 배수판
32: 결합부 33: 걸림편
35: 연결돌기 36: 돌기삽입부
38: 결합홀 40: 외장커버
40a, 40a': 도형부 42: 결합돌기

Claims (8)

  1. 벽체로부터의 습기 누수 방지 및 결로 현상 예방을 위한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에 있어서,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위치되는 배수판; 및
    상기 고정부과 상기 배수판 사이에 위치되되, 일측은 상기 고정부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배수판과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벽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서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에는 한 쌍의 상기 고정 돌기 사이에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 1 결합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고정 돌기의 선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결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결합안내부에서 상기 결착부와 대응되는 측부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결합안내부가 한 쌍의 상기 고정 돌기 사이에 삽입될 때, 상기 결착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벽체에 다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 위치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다수 개의 상기 고정부를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결합안내부가 다수 개의 상기 고정부 중 선택되는 고정부들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안내부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될 때,
    상기 고정판과 상기 제 1 결합안내부 사이는 서로 이격되면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하나 이상의 간격조정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5. 벽체로부터의 습기 누수 방지 및 결로 현상 예방을 위한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에 있어서,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위치되는 배수판; 및
    상기 고정부과 상기 배수판 사이에 위치되되, 일측은 상기 고정부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배수판과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판의 테두리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타측 방향으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 2 결합안내부가 대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안내부는 한 쌍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제 2 결합안내부에 두 개의 상기 배수판의 상기 결합부가 대면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부재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돌출되는 선단부에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안내부는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걸림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 2 결합안내부에 삽입될 때, 상기 걸림편이 상기 걸림턱에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안내부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다수 개의 상기 배수판이 상기 제 2 결합안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KR2020100011325U 2010-11-03 2010-11-03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KR201200033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325U KR20120003300U (ko) 2010-11-03 2010-11-03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325U KR20120003300U (ko) 2010-11-03 2010-11-03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300U true KR20120003300U (ko) 2012-05-11

Family

ID=46612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325U KR20120003300U (ko) 2010-11-03 2010-11-03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330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608B1 (ko) * 2020-06-15 2021-07-12 엄재현 클립바 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벽체배수판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608B1 (ko) * 2020-06-15 2021-07-12 엄재현 클립바 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벽체배수판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4320B1 (ko)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US9879433B2 (en) Suspension rails for panel veneer systems
KR100825883B1 (ko) 건축물의 슬라이딩식 목재데크판 고정 구조
KR200433891Y1 (ko)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KR20100120867A (ko) 커튼월 샷시조립체
KR20130078918A (ko) 레일 패널
KR20120003300U (ko)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KR20080039184A (ko) 벽체 배수플레이트 설치 구조
KR100730587B1 (ko)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48575B1 (ko)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
KR100964345B1 (ko)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KR200438940Y1 (ko)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
KR100617964B1 (ko) 방습용 및 아트용 벽체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조립체
KR20210083156A (ko) 클립바 삽입형 벽체배수판 및 그 체결장치
KR20110039933A (ko) 실내 벽체마감용 수평몰딩 및 상기 수평몰딩을 이용하여 벽체를 마감하는 시공방법
CN201850732U (zh) 一种木塑地板组件
JP5616158B2 (ja) 巾木および巾木の施工方法
KR101824198B1 (ko) 조립식 난방 패널
KR101721223B1 (ko) 갤러리 창호
KR101243606B1 (ko)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
KR100964344B1 (ko)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KR100891505B1 (ko) 건물벽체 마감구조물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10148688A (ko) 위치 조절형 벽체 배수판 구조
KR200389143Y1 (ko) 벽체용 방습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방습 블럭 조립체
KR101311150B1 (ko) 조립식 패널의 두께에 맞춰 설치되는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