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606B1 -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606B1
KR101243606B1 KR1020100136268A KR20100136268A KR101243606B1 KR 101243606 B1 KR101243606 B1 KR 101243606B1 KR 1020100136268 A KR1020100136268 A KR 1020100136268A KR 20100136268 A KR20100136268 A KR 20100136268A KR 101243606 B1 KR101243606 B1 KR 101243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long
numaru
marumar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4439A (ko
Inventor
왕병윤
Original Assignee
왕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혜영 filed Critical 왕혜영
Priority to KR1020100136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606B1/ko
Publication of KR20120074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2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laying flo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러 개의 누마루판을 가결합 한 상태에서 조임용 기구를 통해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여 누마루판의 조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틈새가 없이 미려한 누마루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a) 장귀틀 중 좌측 또는 우측 장귀틀의 결합홈 일측을 절개하여 절개홈을 형성하되 누마루판의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로 절개하는 단계; (b) 절개홈이 형성된 장귀틀에 대향되는 동귀틀을 제외한 장귀틀의 좌측 또는 우측 내측면 상의 결합홈과 이에 대응하는 동귀틀 방향측 결합홈의 하부면에 상부면이 동일 수평면상에 위치되도록 결합홈과 동일한 길이로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을 설치하는 단계; (c) 장귀틀과 동귀틀 사이에 누마루판을 임시로 거치시킨 상태에서 누마루판 조임용 기구를 통해 동귀틀을 장귀틀 방향으로 가압 이동시켜 누마루판의 조임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다음 열부터는 동귀틀과 동귀틀 사이에 누마루판을 임시로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누마루판 조임용 기구를 통해 누마루판의 조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d) 장귀틀과 동귀틀 사이 및 동귀틀과 동귀틀 사이에 누마루판을 차례로 조임이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마지막의 동귀틀과 장귀틀 사이는 장귀틀의 절개홈을 통해 누마루판의 양측 삽입단을 동귀틀과 장귀틀의 결합홈 상에 삽입한 상태에서 누마루판 조임용 기구를 통해 누마루판을 전방측 또는 후방측 장귀틀의 방향으로 조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Traditional construction methods of the structure floor}
본 발명은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을 통해 장방형의 외곽 테두리를 형성하는 장귀틀과 장귀틀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동귀틀 및 동귀틀과 장귀틀 사이 또는 동귀틀과 동귀틀 사이에 다수로 설치되어 마루를 구성하는 누마루판(또는 우물마루판)의 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 나라의 전통가옥인 한옥은 자연을 거슬리지 않고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삶에 중심을 둔 주거공간이다. 이러한 한옥은 집의 구조에서부터 재료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이 자연을 느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자연의 운행에 역행하지 않듯이 자연 그대로를 이용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한옥은 건축재료로 목재와 흙을 이용하여 짓기 때문에 헐어 넘어지면 오염 없이 바로 자연으로 돌아갈 수 있는 재료들이다. 이러한 한옥을 지을 때 가장 특징적인 것이라 할 수 있는 것이 못을 이용하지 않고 집을 짓는다는 점과 짜맞추기만으로 집이 완성된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한옥의 집짓는 순서와 과정을 살펴보면 우리 전통의 한옥은 목조짜기식(가구식) 방식으로 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보와 도리 및 서까래 등을 얹어 짜 맞춰 집을 짓는다. 이는 쌓기식(조적식)이라 부를 수 있는 서구식 집짓기와 대비되는 말이다. 먼저, 집을 짓기 위해서는 우선 집자리를 잡아 터를 닦고 돌과 흙으로 그 위에 바심질해 놓은 목재를 짜올리고 상량식을 갖는다. 집의 뼈대가 완성된 셈이다. 다음에는 지붕을 만들어 비를 가리고 벽체를 꾸민 후 바닥 난방(온돌)을 한다. 이어서 마루 깔기, 반자 만들기, 창호 달기 등 차례로 작업을 하여 한옥을 완성한다.
다시 말해서, 한옥을 짓는 순서는 1. 터닦기 2. 기초다짐 3. 주줏돌놓기 4. 바심질 5 .짜맞추기 6. 지붕잇기 7. 벽체꾸미기 8. 구들 놓기 9. 마루깔기 10. 기단 쌓기 11. 반자 12. 창호 달기와 같은 순서로 집을 짓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지어지는 한옥은 목재의 특성상 장단점을 모두 갖추고 있는 건축물로, 마루깔기는 장방형으로 고정식의 장귀틀을 결합하여 고정한 다음, 장귀틀에 의한 장방형의 내측에 이동식의 동귀틀을 다수 설치하고, 장귀틀과 동귀틀 사이 및 동귀틀과 동귀틀 사이에 누마루판(우물마루판)을 설치하여 마루깔기를 시공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마루깔기의 과정에서 장귀틀과 동귀틀 사이 및 동귀틀과 동귀틀 사이에 누마루판(우물마루판)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종래의 기술은 동귀틀의 끝단 일측에 누마루판의 길이에 해당하는 절개홈이 형성되어 이 절개홈을 통해 누마루판을 삽입한 다음, 삽입된 누마루판을 나무망치 등을 통해 두드리면서 일측 방향으로 조임되도록 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누마루판의 시공은 누마루판 하나하나를 나무망치를 통해 조임이 되도록 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음은 물론, 누마루판을 삽입하기 위해 장귀틀 및 동귀틀 각각의 끝단 일측에 누마루판의 길이에 해당하는 절개홈이 형성되어 마지막 한 장으로 마무리하기 때문에 틈새가 발생하여 미관이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여러 개의 누마루판을 가결합 한 상태에서 조임용 기구를 통해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여 누마루판의 조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틈새가 없이 미려한 누마루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한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일정한 힘을 가하여 여러 개의 누마루판을 가결합 한 상태에서 조임용 기구를 통해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여 누마루판의 조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마루판의 뒤틀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일정한 힘을 가하여 여러 개의 누마루판을 가결합 한 상태에서 조임용 기구를 통해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여 누마루판의 조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작업에 비해 인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은 내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되어지되 결합에 의해 장방형을 형성하는 장귀틀, 장귀틀에 의한 장방형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양측면에는 장귀틀의 결합홈에 대응하여 결합홈이 대향 형성된 다수의 동귀틀 및 장귀틀과 동귀틀 그리고 동귀틀과 동귀틀 사이에 양측단이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어 설치되는 누마루판으로 이루어진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에 있어서, (a) 장귀틀 중 좌측 또는 우측 장귀틀의 결합홈 일측을 절개하여 절개홈을 형성하되 누마루판의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로 절개하는 단계; (b) 절개홈이 형성된 장귀틀에 대향되는 동귀틀을 제외한 장귀틀의 좌측 또는 우측 내측면 상의 결합홈과 이에 대응하는 동귀틀 방향측 결합홈의 하부면에 상부면이 동일 수평면상에 위치되도록 결합홈과 동일한 길이로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을 설치하는 단계; (c) 장귀틀과 동귀틀 사이에 누마루판을 임시로 거치시킨 상태에서 누마루판 조임용 기구를 통해 동귀틀을 장귀틀 방향으로 가압 이동시켜 누마루판의 조임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다음 열부터는 동귀틀과 동귀틀 사이에 누마루판을 임시로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누마루판 조임용 기구를 통해 누마루판의 조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d) 장귀틀과 동귀틀 사이 및 동귀틀과 동귀틀 사이에 누마루판을 차례로 조임이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마지막의 동귀틀과 장귀틀 사이는 장귀틀의 절개홈을 통해 누마루판의 양측 삽입단을 동귀틀과 장귀틀의 결합홈 상에 삽입한 상태에서 누마루판 조임용 기구를 통해 누마루판을 전방측 또는 후방측 장귀틀의 방향으로 조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장귀틀과 동귀틀 사이 및 동귀틀과 동귀틀 사이에 누마루판을 차례로 조임하는 경우 누마루판의 임시 거치는 누마루판의 일측 삽입단을 동귀틀의 일측에 삽입한 상태에서 누마루판의 타측 삽입단을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 상에 올려 임시 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장귀틀과 동귀틀 사이 및 동귀틀과 동귀틀 사이에 누마루판을 임시 거치시켜 차례로 조임한 다음에는 조임된 각각의 동귀틀 전후 끝단을 쐐기를 통해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여러 개의 누마루판을 가결합 한 상태에서 조임용 기구를 통해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여 누마루판의 조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틈새가 없이 미려한 누마루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누마루판의 뒤틀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발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여러 개의 누마루판을 가결합 한 상태에서 조임용 기구를 통해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여 누마루판의 조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작업에 비해 인력의 낭비를 줄일 수가 있음은 물론, 누마루 시공에 따른 공기를 단축시킬 수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에서 누마루판의 가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에서 누마루판 조임장치를 통해 누마루판의 조임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에서 첫번째 열의 장귀틀과 동귀틀 사이의 누마루판을 조임하는 것을 보인 평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에서 두번째 열의 동귀틀과 동귀틀 사이의 누마루판을 조임하는 것을 보인 평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에서 세번째 열의 동귀틀과 동귀틀 사이의 누마루판을 조임하는 것을 보인 평면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에서 네번째 열의 동귀틀과 장귀틀 사이의 누마루판 설치를 보인 평면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에서 누마루판의 가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에서 누마루판 조임장치를 통해 누마루판의 조임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에서 첫번째 열의 장귀틀과 동귀틀 사이의 누마루판을 조임하는 것을 보인 평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에서 두번째 열의 동귀틀과 동귀틀 사이의 누마루판을 조임하는 것을 보인 평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에서 세번째 열의 동귀틀과 동귀틀 사이의 누마루판을 조임하는 것을 보인 평면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에서 네번째 열의 동귀틀과 장귀틀 사이의 누마루판 설치를 보인 평면 구성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본 발명에 따른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누마루의 구조를 살펴보면 내측면에 결합홈(102)이 형성되어 결합에 의해 장방형을 형성하는 장귀틀(100), 장귀틀(100)에 의한 장방형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양측면에는 장귀틀(100)의 결합홈(102)에 대응하여 결합홈(112)이 대향 형성되는 다수의 동귀틀(110) 및 장귀틀(100)과 동귀틀(110) 사이 그리고 동귀틀(110)과 동귀틀(110) 사이에 양측 삽입단(122)이 결합홈(102, 112)에 삽입 결합되어 설치되는 누마루판(120)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누마루의 구조에서 동귀틀(110)은 선단과 후단이 장귀틀(100)의 결합홈(102) 상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동귀틀(110)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해서는 전후로 마주보고 있는 장귀틀(100)의 결합홈(102)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단(도시하지 않음)이 동귀틀(110)의 선단과 후단 각각에 형성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은 장귀틀(100) 중 좌측 또는 우측 장귀틀(100)의 결합홈(102) 일측을 절개하여 절개홈(130)을 형성하되 누마루판(120)의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로 절개하는 과정, 절개홈(140)이 형성된 장귀틀(100)에 대향되는 동귀틀(110)을 제외한 장귀틀(100)의 좌측 또는 우측 내측면 상의 결합홈(102)과 이에 대응하는 동귀틀(110) 방향측 결합홈(112)의 하부면에 상부면이 동일 수평면상에 위치되도록 결합홈(102, 112)과 동일한 길이로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130)을 설치하는 과정, 장귀틀(100)과 동귀틀(110) 사이에 누마루판(120)을 임시로 거치시킨 상태에서 누마루판 조임용 기구(200)를 통해 동귀틀(110)을 장귀틀(100) 방향으로 가압 이동시켜 누마루판(120)의 조임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다음 열부터는 동귀틀(110)과 동귀틀(110) 사이에 누마루판(120)을 임시로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누마루판 조임용 기구(200)를 통해 누마루판(120)의 조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과정 및 장귀틀(100)과 동귀틀(110) 사이 및 동귀틀(110)과 동귀틀(110) 사이에 누마루판(120)을 차례로 조임이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마지막의 동귀틀(110)과 장귀틀(100) 사이는 장귀틀(100)의 절개홈(102)을 통해 누마루판(120)의 양측 삽입단(122)을 동귀틀(110)과 장귀틀(100)의 결합홈(112, 102) 상에 삽입한 상태에서 누마루판 조임용 기구(200)를 통해 누마루판(120)을 전방측 또는 후방측 장귀틀(100)의 방향으로 조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 누마루의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과정에서 사용되는 장귀틀(100)은 일측에만 결합홈(10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장귀틀(100)의 결합에 의해 장방형의 구조가 이루어지면 장귀틀(100)의 결합홈(102)은 내측에 위치되는 구조이다. 즉, 전후로 대향되는 장귀틀(100) 상의 결합홈(102)은 상호 전후로 대향 위치되고, 좌우로 대향되는 장귀틀(100) 상의 결합홈(102)은 상로 좌우로 대향 위치된다.
그리고, 누마루를 구성하는 동귀틀(110)은 그 양측에 결합홈(112)이 형성되어 장귀틀(100)에 의해 형성되는 장방형의 내측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 좌우측에 위치된 동귀틀(110)의 결합홈(112)은 좌우측의 장귀틀(100) 상에 형성된 결합홈(102)과 상호 대향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동귀틀(110)과 동귀틀(110) 사이의 결합홈(112) 역시 상호 대향되어진다.
아울러, 누마루를 구성하는 누마루판(120)은 판 상의 양측에 장귀틀(100)과 동귀틀(110) 사이의 결합홈(102, 112) 및 동귀틀(110)과 동귀틀(110) 사이의 결합홈(112)에 대응하여 삽입단(12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장귀틀(100)과 동귀틀(110) 사이의 결합홈(102, 112) 및 동귀틀(110)과 동귀틀(110) 사이의 결합홈(112)에 누마루판(120)의 삽입단(122)이 삽입되어 결합되어지면 장귀틀(100)과 동귀틀(110) 및 누마루판(12))의 상부면은 거의 수평면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을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의 장귀틀(100) 사이에 3개의 동귀틀(110)을 설치하여 4열의 누마루판(120)을 설치하는 구조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장귀틀(100)의 후반부측 결합홈(102) 상에는 누마루판(120)의 길이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절개홈(140)이 절개 형성된다. 이러한 우측 장귀틀(100)의 후반부측 절개홈(140)은 가장 마지막 열에 누마루판(120)을 삽입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절개홈(140)을 통해 누마루판(120)의 삽입 설치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좌측 장귀틀(100)의 내측면 상에 형성된 결합홈(102) 하부면 및 동귀틀(110) 각각의 우측면 상에 형성된 결합홈(112) 하부면과 상부면이 동일 수평면이 되도록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130)이 설치 고정된다. 이때,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130)의 길이는 장귀틀(100)과 동귀틀(110)의 내측면에 보여지는 결합홈(102, 112)과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마지막 최우측의 동귀틀(110) 상에는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130)이 설치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열의 누마루판(120)의 설치는 좌측의 장귀틀(100)과 첫번째 동귀틀(110) 사이에 누마루판(120)의 시공이 이루어진다. 즉, 동귀틀(110)의 결합홈(112) 상에 누마루판(120)의 일측 삽입단(122)을 삽입한 상태에서 누마루판(120)의 타측 삽입단(122)을 좌측의 장귀틀(100)의 내측면 상에 설치된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130) 상에 거치시킨다. 이때, 장귀틀(100)과 동귀틀(110)의 결합홈(102, 112) 및 누마루판 임지 지지편(130)에 관해서는 방향성을 다르지만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동귀틀(110)의 결합홈(112) 상에 누마루판(120)의 일측 삽입단(122)을 삽입한 상태에서 누마루판(120)의 타측 삽입단(122)을 좌측의 장귀틀(100)의 내측면 상에 설치된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130) 상에 거치시킨 다음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누마루판 조임용 기구(200)를 통해 첫번째 동귀틀(110)을 장귀틀(100) 방향으로 가압 이동시켜 장귀틀(100)의 내측면 상에 설치된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130) 상에 거치된 누마루판(120)의 타측 삽입단(122)이 장귀틀(100)의 결합홈(102) 상에 삽입 조임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누마루판 조임용 기구(200)를 통해 첫번째 동귀틀(110)을 장귀틀(100) 방향으로 가압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130)의 상부면이 장귀틀(100)의 결합홈(102) 하부면과 동일 수평면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귀틀(100)의 내측면 상에 설치된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130) 상에 거치된 누마루판(120)의 타측 삽입단(122)은 수평 이동되어 장귀틀(100)의 결합홈(102) 상에 삽입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누마루판 조임용 기구(200)를 통해 첫번째 동귀틀(110)을 장귀틀(100) 방향으로 가압 이동시켜 장귀틀(100)의 내측면 상에 설치된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130) 상에 거치된 누마루판(120)의 타측 삽입단(122)이 장귀틀(100)의 결합홈(102) 상에 삽입 조임되도록 한 다음에는 가압된 상태의 동귀틀(110) 선단과 후단을 쐐기(150)를 통해 조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1열의 누마루판(120)을 조임 고정시킨 다음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동귀틀(110)과 두번째 동귀틀(110) 사이에 누마루판(120)을 삽입 조임한다. 이때, 첫번째 동귀틀(110)과 두번째 동귀틀(110) 사이에 누마루판(120)의 설치는 두번째 동귀틀(110)의 좌측면 상에 형성된 결합홈(112) 상에 누마루판(120)의 일측 삽입단(122)을 삽입한 상태에서 누마루판(120)의 타측 삽입단(122)을 첫번째 동귀틀(110)의 우측면 상에 설치된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130) 상에 거치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두번째 동귀틀(110)의 좌측면 상에 형성된 결합홈(112) 상에 누마루판(120)의 일측 삽입단(122)을 삽입한 상태에서 누마루판(120)의 타측 삽입단(122)을 첫번째 동귀틀(110)의 우측면 상에 설치된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130) 상에 거치시킨 다음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누마루판 조임용 기구(200)를 통해 두번째 동귀틀(110)을 첫번째 동귀틀(110) 방향으로 가압 이동시켜 첫번째 동귀틀(110)의 우측면 상에 설치된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130)에 거치된 누마루판(120)의 타측 삽입단(122)이 동귀틀(110)의 결합홈(112) 상에 삽입 조임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누마루판 조임용 기구(200)를 통해 두번째 동귀틀(110)을 첫번째 동귀틀(110) 방향으로 가압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130)의 상부면이 동귀틀(110)의 결합홈(112) 하부면과 동일 수평면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첫번째 동귀틀(110)의 우측면 상에 설치된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130)에 거치된 누마루판(120)의 타측 삽입단(122)은 수평 이동되어 첫번째 동귀틀(110)의 결합홈(112) 상에 삽입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누마루판 조임용 기구(200)를 통해 두번째 동귀틀(110)을 첫번째 동귀틀(110) 방향으로 가압 이동시켜 첫번째 동귀틀(110)의 우측면 상에 설치된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130)에 거치된 누마루판(120)의 타측 삽입단(122)이 첫번째 동귀틀(110)의 결합홈(112) 상에 삽입 조임되도록 한 다음에는 가압된 상태의 두번째 동귀틀(110) 선단과 후단을 쐐기(150)를 통해 조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2열의 누마루판(120)을 조임 고정시킨 다음에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번째 동귀틀(110)과 세번째 동귀틀(110) 사이에 누마루판(120)을 삽입 조임한다. 이때, 두번째 동귀틀(110)과 세번째 동귀틀(110) 사이에 누마루판(120)의 설치는 세번째 동귀틀(110)의 좌측면 상에 형성된 결합홈(112) 상에 누마루판(120)의 일측 삽입단(122)을 삽입한 상태에서 누마루판(120)의 타측 삽입단(122)을 두번째 동귀틀(110)의 우측면 상에 설치된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130) 상에 거치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번째 동귀틀(110)의 좌측면 상에 형성된 결합홈(112) 상에 누마루판(120)의 일측 삽입단(122)을 삽입한 상태에서 누마루판(120)의 타측 삽입단(122)을 두번째 동귀틀(110)의 우측면 상에 설치된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130) 상에 거치시킨 다음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누마루판 조임용 기구(200)를 통해 세번째 동귀틀(110)을 두번째 동귀틀(110) 방향으로 가압 이동시켜 첫번째 동귀틀(110)의 우측면 상에 설치된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130)에 거치된 누마루판(120)의 타측 삽입단(122)이 동귀틀(110)의 결합홈(112) 상에 삽입 조임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누마루판 조임용 기구(200)를 통해 세번째 동귀틀(110)을 두번째 동귀틀(110) 방향으로 가압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130)의 상부면이 동귀틀(110)의 결합홈(112) 하부면과 동일 수평면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두번째 동귀틀(110)의 우측면 상에 설치된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130)에 거치된 누마루판(120)의 타측 삽입단(122)은 수평 이동되어 두번째 동귀틀(110)의 결합홈(112) 상에 삽입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누마루판 조임용 기구(200)를 통해 세번째 동귀틀(110)을 두번째 동귀틀(110) 방향으로 가압 이동시켜 두번째 동귀틀(110)의 우측면 상에 설치된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130)에 거치된 누마루판(120)의 타측 삽입단(122)이 두번째 동귀틀(110)의 결합홈(112) 상에 삽입 조임되도록 한 다음에는 가압된 상태의 세번째 동귀틀(110) 선단과 후단을 쐐기(150)를 통해 조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3열의 누마루판(120)을 조임 고정시킨 다음에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열의 누마루판(120)을 조임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4열의 누마루판(120)을 설치하기 위한 네번째 동귀틀(120)과 우측의 장귀틀(100)의 결합홈(112, 102) 사이의 간격은 누마루판(120)의 좌우 폭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어 누마루판 조임용 기구(200)를 사용할 수가 없다. 또한, 네번째 동귀틀(120)의 우측면에는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130)이 설치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다만,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마지막 4열의 누마루판(120)을 설치하기 위한 네번째 동귀틀(120)과 우측의 장귀틀(100) 사이에는 누마루판(12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우측의 장귀틀(100) 상의 절개홈(140)을 통해 누마루판(120)을 삽입 설치한다. 즉, 우측의 장귀틀(100) 상에 형성된 절개홈(140) 상부를 통해 누마루판(120)의 타측인 좌측 삽입단(122)을 네번째 동귀틀(110)의 우측면 결합홈(112) 상에 삽입한 상태에서 누마루판(120)의 일측인 우측 삽입단(122)을 절개홈(140)으로 안착시킨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4열의 누마루판(120)을 설치하기 위한 과정에서 절개홈(140)은 우측 장귀틀(100)의 결합홈(102)이 형성된 상부면을 절개한 것이기 때문에 누마루판(120)의 일측인 우측 삽입단(122)을 절개홈(140)으로 안착시키게 되면 누마루판(120)의 일측인 우측 삽입단(122)은 우측 장귀틀(100)의 좌측면 상에 형성된 결합홈(102)에 안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우측의 장귀틀(100) 상에 형성된 절개홈(140) 상부를 통해 누마루판(120)의 타측인 좌측 삽입단(122)을 네번째 동귀틀(110)의 우측면 결합홈(112) 상에 삽입한 상태에서 누마루판(120)의 일측인 우측 삽입단(122)을 절개홈(140)으로 안착시킨 다음에는 누마루판(120)을 도 6 에서와 같이 전방측으로 이동시켜 누마루판 조임용 기구(200)를 통해 조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누마루판 조임용 기구(200)를 통해 누마루판(120)을 전방측 장귀틀(100) 방향으로 조임하는 경우 누마루판(120)을 다수의 삽입 설치한 상태에서 누마루판 조임용 기구(200)를 통해 조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우측의 장귀틀(100) 상에 형성된 절개홈(140)을 통해 누마루판(120)을 차례로 삽입하여 네번째 동귀틀(110)과 우측의 장귀틀(100) 사이에 누마루판(120)을 삽입 설치한 상태에서 누마루판 조임용 기구(200)를 통해 조임한 다음, 마지막 한 장의 누마루판(120)을 네번째 동귀틀(110)의 우측면 결합홈(112) 상에 삽입한 상태에서 누마루판(120)의 일측인 우측 삽입단(122)을 절개홈(140)으로 안착시킨 다음 누마루판(120)의 우측단을 쐐기(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고정시켜 마감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개의 누마루판(120)을 임시로 가결합 한 상태에서 누마루판 조임용 기구(200)를 통해 가압하여 누마루판(120)의 조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틈새가 없이 미려한 누마루를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절개홈(140)만을 형성하기 때문에 미려하게 누마루를 시공할 수가 있음은 물론, 누마루판의 뒤틀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수작업에 비해 인력의 낭비를 줄일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0. 장귀틀 102, 112. 결합홈
110. 동귀틀 120. 누마루판
130.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 140. 절개홈
150. 쐐기 200. 누마루판 조임용 기구

Claims (3)

  1. 내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되어지되 결합에 의해 장방형을 형성하는 장귀틀, 상기 장귀틀에 의한 장방형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양측면에는 상기 장귀틀의 결합홈에 대응하여 결합홈이 대향 형성된 다수의 동귀틀 및 상기 장귀틀과 동귀틀 그리고 동귀틀과 동귀틀 사이에 양측단이 상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어 설치되는 누마루판으로 이루어진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장귀틀 중 좌측 또는 우측 장귀틀의 결합홈 일측을 절개하여 절개홈을 형성하되 상기 누마루판의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로 절개하는 단계;
    (b) 상기 절개홈이 형성된 장귀틀에 대향되는 상기 동귀틀을 제외한 상기 장귀틀의 좌측 또는 우측 내측면 상의 결합홈과 이에 대응하는 동귀틀 방향측 결합홈의 하부면에 상부면이 동일 수평면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합홈과 동일한 길이로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을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장귀틀과 동귀틀 사이에 상기 누마루판을 임시로 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누마루판 조임용 기구를 통해 상기 동귀틀을 장귀틀 방향으로 가압 이동시켜 상기 누마루판의 조임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다음 열부터는 상기 동귀틀과 동귀틀 사이에 상기 누마루판을 임시로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누마루판 조임용 기구를 통해 상기 누마루판의 조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장귀틀과 동귀틀 사이 및 동귀틀과 동귀틀 사이에 상기 누마루판을 차례로 조임이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마지막의 상기 동귀틀과 장귀틀 사이는 상기 장귀틀의 절개홈을 통해 상기 누마루판의 양측 삽입단을 상기 동귀틀과 장귀틀의 결합홈 상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누마루판 조임용 기구를 통해 상기 누마루판을 전방측 또는 후방측 장귀틀의 방향으로 조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귀틀과 동귀틀 사이 및 동귀틀과 동귀틀 사이에 상기 누마루판을 차례로 조임하는 경우 상기 누마루판의 임시 거치는 상기 누마루판의 일측 삽입단을 상기 동귀틀의 일측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누마루판의 타측 삽입단을 상기 누마루판 임시 지지편 상에 올려 임시 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귀틀과 동귀틀 사이 및 동귀틀과 동귀틀 사이에 상기 누마루판을 임시 거치시켜 차례로 조임한 다음에는 조임된 각각의 동귀틀 전후 끝단을 쐐기를 통해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
KR1020100136268A 2010-12-28 2010-12-28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 KR101243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268A KR101243606B1 (ko) 2010-12-28 2010-12-28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268A KR101243606B1 (ko) 2010-12-28 2010-12-28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439A KR20120074439A (ko) 2012-07-06
KR101243606B1 true KR101243606B1 (ko) 2013-03-14

Family

ID=46708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268A KR101243606B1 (ko) 2010-12-28 2010-12-28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36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108B1 (ko) 2016-01-15 2016-11-04 김범식 우물마루청판 짜맞추기용 타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71359Y1 (pl) * 2017-06-22 2020-04-30 Tuszynski Waclaw Aleksander Ramka do cel gniazdowych gołębników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1414A (ko) * 2004-10-08 2006-04-12 파워우드 주식회사 조립식 마루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1414A (ko) * 2004-10-08 2006-04-12 파워우드 주식회사 조립식 마루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108B1 (ko) 2016-01-15 2016-11-04 김범식 우물마루청판 짜맞추기용 타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439A (ko) 201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520388A (ja) 建築システム
KR101180075B1 (ko) 패널조립식 한옥구조
CN202559673U (zh) 装饰条
KR101243606B1 (ko)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
CN101338607B (zh) 金属面夹芯复合板和拼装复合墙板
KR100994783B1 (ko) 생태재료를 활용한 조립식 생태건축용 단위패널 및 이에 의한 생태건축물
WO2020244092A1 (zh) 一种地板的铺装方法
KR20120008812A (ko) 건축물 내외장용 금속패널 및 시공방법
KR100900508B1 (ko) 벽체배수판
CN211114596U (zh) 一种地板连接卡扣及一种地板系统
KR101559106B1 (ko) 외장벽돌 시공방법
CN103758325A (zh) 循环快装快拆的地板龙骨结构及拆装方法
KR102106473B1 (ko) 마루바닥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CN203834879U (zh) 循环快装快拆的地板龙骨结构
CN2136289Y (zh) 地毯式拼花木地板块
CN201850732U (zh) 一种木塑地板组件
RU109167U1 (ru) Стеновое ограждение
KR102618834B1 (ko)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
KR102227404B1 (ko) 건물 장식 벽체와 이러한 장식 벽체의 제조방법
JP2007291812A (ja) タイル取付用パネル及びタイル壁面の施工方法
CN220521807U (zh) 一种空心格栅墙面系统
KR101978359B1 (ko) 마루 시공용 마루굽틀
JP2883868B1 (ja) 建築下地用枠状パネルと該パネルを用いた下地工法
CN209509387U (zh) 一种铝塑板的固定装置
JP3203628U (ja) 木質化粧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