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834B1 -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 - Google Patents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834B1
KR102618834B1 KR1020220062898A KR20220062898A KR102618834B1 KR 102618834 B1 KR102618834 B1 KR 102618834B1 KR 1020220062898 A KR1020220062898 A KR 1020220062898A KR 20220062898 A KR20220062898 A KR 20220062898A KR 102618834 B1 KR102618834 B1 KR 102618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fters
modular
rafter
blocking member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2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63157A (ko
Inventor
정강인
이화영
Original Assignee
정강인
이화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강인, 이화영 filed Critical 정강인
Priority to KR1020220062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834B1/ko
Publication of KR20230163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3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6Devices for sealing the spaces or joints between roof-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04D2001/308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urfing tiles, step 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나머지 영역의 종단면의 형상이 상이한 복수의 서까래; 및 서로 이웃하는 서까래의 상기 일부 영역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모듈형 당골막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까래 각각의 상기 일부 영역에는 상기 당골막이의 측면과 마주하는 제1평면부가 구비되고, 상기 당골막이의 측면에는 상기 제1평면부에 대응하는 제2평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MODULAR DANGGOL MEMBRANE AND RAFTER ASSEMBLY}
본 발명은 한옥에 있어서,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모듈형태로 형성된 모듈형 당골막이를 서로 이웃하는 서까래 사이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 할 수 있는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통가옥인 한옥은 양옥과는 달리 목재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건축한 목조 건축물이다. 즉, 초석(주춧돌)위에 나무로 기본골격을 만든 후 그 기본골격 위에 지붕을 씌우고 벽체와 창호 등이 설치된다.
기본골격의 중심이 되는 부재는 기둥, 보, 도리, 서까래 등이다. 부재의 크기는 보통 집의 규모에 따라 달라진다. 기둥 상부로는 집의 평면과 규모에 따라 결구방식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 부분의 목재 엮기 방식을 가구라고 하는데 바로 이 부분이 한옥구조의 핵심이 되고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일반적인 한옥에 시공되는 서까래와 당골막이 구조를 나타낸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일반 목조 건축물인 한옥(1)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주춧돌(2)의 상부에는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다수의 기둥(3)이 세워지고, 기둥(3)의 위에는 대들보(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대들보 위에는 대공이 세워지고, 대공과 대들보의 위에는 중도리(4a)가 안치된다. 중도리(4a)의 위에는 다수의 서까래(5)들이 안치되며, 지붕의 네 모서리를 이루도록 중도리의 모서리에는 추녀(6)가 설치되며, 추녀(6)의 중앙부분을 지지하는 주심도리(4b)를 포함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서까래(5)는 주심도리(4b)의 밑 부분에 추가로 외목도리(4c)를 설치한다. 상기의 구성에서 중도리(4a), 주심도리(4b) 및 외목도리(4c)를 총칭하여 이 기술분야에서는 도리라 칭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통가옥인 한옥에서 벽체는 주로 기둥(3)의 사이에 만들어서 실내외를 구분하고, 내부칸막이 역할도 한다. 벽체의 주재료는 진흙, 볏짚 등을 반죽한 진흙 반죽(9a)을 사용하기 때문에 넓은 벽면을 모두 진흙 반죽으로 채우기는 구조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기둥(3)의 사이에 인방 같은 수평부재를 걸고 벽체를 만들고 있다.
상기와 같이 기둥(3)의 사이에 벽체를 만들어 실내외를 구분하는 한옥은 중도리(4a), 주심도리(4b) 및 외목도리(4c)의 상부에 서까래(5)를 안착시킨 후 그 상부에 개판(7)을 설치하여 기와를 얻어 지붕을 만들음으로써 필연적으로 중도리(4a)의 위에 설치된 서까래(5)와 서까래(5)의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한다.
서까래(5)는 중도리(4a)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경사지게 안착되며, 서까래(5)의 상부는 개판(7)이 깔려져있다. 따라서 중도리(4a)의 위에 안착된 서까래(5)와 서까래(5)의 사이에는 틈이 생길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중도리(4a)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안착된 서까래(5)들의 사이와 그 상부에 깔려진 개판(7)의 사이에 틈새가 생긴다. 이 틈을 전통가옥 건축분야에서는 당골(또는 단골)(9)이라 하며, 당골(9)을 막는 것을 "당골막이"라 한다.
당골막이는 통상 진흙과 볏짚 및 물 등이 적당히 혼합된 진흙 반죽(9a)과 횟가루와 물이 적당히 혼합된 회반죽을 이용하여 미장 시공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당골(9)을 막지 아니하는 경우, 실내 외간의 차단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실내와 실외간의 공기 흐름이 자유롭게 되어 단열 및 소음차단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이때, 서까래(5)와 서까래(5)의 사이의 간격인 당골(9)의 폭은 약 300밀리미터(mm) 내외로 비교적 넓기 때문에 진흙 반죽(9a)으로 당골(9)을 막기 위해서는 위 진흙 반죽(9a)을 당골(9)에 부착하기 위한 힘살(8)이 있어야 한다. 종래에는 당골(9)이 형성된 중도리(4a)의 대응 위치에 대못(8a,8b)을 박아 힘살(8)을 형성한 후 진흙 반죽(9a)을 당골(9)에 채운 넣은 후 회반죽으로 미장하여 실내와 실외를 차단하는 당골벽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진흙 반죽(9a)을 이용하여 당골(9)을 채워하는 종래의 당골막이의 구조 및 그 시공법은 많은 공사기간과 인력을 소요케 함으로서 시공비가 과도하게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73219호는 블럭형 당골막이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블럭형 당골막이는 서까래 시공과 당골막이 시공을 동시에 진행하여 빠른 시간 내에 시공을 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을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블럭형 당골막이는 당골막이에 있어서 서까래에 마주하는 부분이 원형으로 가공되어야 하므로 당골막이 가공의 시간 및 비용이 평면에 비해 많이 소요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블럭형 당골막이는 서까래 시공과 함께 시공될 때 당골막이에 형성된 원형 홈에 서까래의 둘레를 일일이 맞추어야 하므로, 복수의 당골막이와 복수의 서까레의 시공에 시간 및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블럭형 당골막이는 서까래 시공과 함께 시공되고, 서까래 상부에 개판이 덮인 후에는 당골막이를 따로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없으므로, 블럭형 당골막이 각각을 유지 보수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블럭형 당골막이 구조 및 시공법은 한옥을 철거 또는 이전할 경우, 한옥에 사용된 부자재가 폐기물로 처리되어, 자원 낭비 및 환경 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7321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당골막이에 있어서 서까래에 마주하는 부분이 평면으로 가공되어, 당골막이 가공의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까래가 시공된 후에 당골막이를 이웃하는 서까래 사이로 삽입하도록 하여, 복수의 서까레 및 복수의 당골막이의 시공에 시간 및 인력이 절감될 수 있는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서까래 및 복수의 당골막이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 개개의 당골막이의 분리 및 보수가 가능한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옥을 철거하거나 이전할 때, 폐기물을 현저하게 줄임과 동시에, 서까래 및 당골막이를 포함하는 한옥에 사용된 부재를 재사용할 수 있는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나머지 영역의 종단면의 형상이 상이한 복수의 서까래; 및 서로 이웃하는 서까래의 상기 일부 영역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모듈형 당골막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까래 각각의 상기 일부 영역에는 상기 당골막이의 측면과 마주하는 제1평면부가 구비되고, 상기 당골막이의 측면에는 상기 제1평면부에 대응하는 제2평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당골막이 자체의 가공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고, 당골막이의 설치인력 및 설치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
상기 제1평면부에는 상기 당골막이의 일부가 결합되는 제1결합홈이 상기 제1평면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뻗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결합홈을 따라서 당골막이의 일부(이하 설명될 외측 차단부재)가 상기 서까래의 제1평면부에 슬라이딩 결합되거나, 또는 서까래가 모두 시공된 상태에서 당골막이의 일부의 폭방향 단부가 상기 제1결합홈에 밀어 넣어지는 방식으로 이웃하는 서까래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듈형 당골막이는, 상기 제1결합홈에 결합되는 외측 차단부재; 및 상기 외측 차단부재를 향하여 이웃하는 서까래 사이로 삽입되는 내측 삽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차단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까래의 상부에 개판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 차단부재가 상기 제1결합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제1결합홈의 깊이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서까래 상부에 개판이 시공되기 전에 상기 외측 차단부재가 상기 제1결합홈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미리 결합되거나, 또는 서까래 상부에 개판이 시공된 후에 상기 외측 차단부재의 폭방향 단부가 상기 제1결합홈에 밀어 넣어지는 방식으로 상기 외측 차단부재의 폭방향 양 단부가 상기 제1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까래의 상부에 개판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 삽입부재가 이웃하는 서까래 사이로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다. 즉, 균일한 방식으로 빠른 시간 내에 서까래 및 개판이 시공된 후에, 상기 내측 삽입부재가 이웃하는 서까래 사이로 삽입되므로, 당골부재의 시공인력 및 시공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삽입부재는 내측 차단부재 및 상기 내측 차단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외측 차단부재를 향해 연장되는 단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웃하는 서까래 사이의 공간인 당골 부분의 방음, 방풍, 방열 및 내진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삽입부재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제2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홈에는, 이웃하는 서까래의 제1평면부 사이로 연장되는 고정바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측 삽입부재를 이웃하는 서까래 사이의 공간에 밀어넣어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결합홈은 상기 내측 삽입부재에 있어서 상기 외측 차단부재로부터 먼 단부측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웃하는 서까래 사이로의 내측 삽입부재의 삽입 및 이웃하는 서까래 사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내측 삽입부재의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외측 차단부재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내측 삽입부재를 향해 돌출되는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외기를 보다 잘 차단할 수 있으며, 바람 및 진동에 의한 당골막이 부분의 소음 및 파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삽입부재는, 이웃하는 서까래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폭방향의 적어도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서까래 중 적어도 하나의 하면에 접하는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웃하는 서까래 사이의 공간인 당골이 상기 삽입부에 의해 밀폐됨과 동시에, 서까래의 상기 일부영역의 하면이 상기 날개부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당골막이에 있어서 서까래에 마주하는 부분이 평면으로 가공되어, 당골막이 가공의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까래가 시공된 후에 당골막이를 이웃하는 서까래 사이로 삽입하도록 하여, 복수의 서까레 및 복수의 모듈형 당골막이의 시공에 시간 및 인력이 절감될 수 있는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서까래 및 복수의 당골막이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 개개의 당골막이의 분리 및 보수가 가능한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한옥을 철거하거나 이전할 때, 폐기물을 현저하게 줄임과 동시에, 서까래 및 모듈형 당골막이를 포함하는 한옥에 사용된 부재를 재사용할 수 있는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일반적인 한옥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b 및 도 1c는 종래의 기술에 의해 도리 위에 안착된 서까래의 결합 상태와 당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당골막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서까래와 모듈형 당골막이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서까래와 모듈형 당골막이가 시공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서까래와 모듈형 당골막이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a)는 서까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b)는 서까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101)는 기설정된 길이를 구비하는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 서까래(101)의 길이는 시공될 한옥의 규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옥에 서까래(101)를 시공함에 있어서, 복수의 서까래(101)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서까래(101)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나머지 영역의 종단면의 형상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서까래(101)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횡단면 및 종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나머지 영역의 횡단면은 사각형 종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까래(101)의 모재는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종단면이 사각형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재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를 종단면이 원형인 형태로 가공하여 서까래(101)의 외형이 결정될 수 있다. 즉, 서까래(10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사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되고, 나머지 영역은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까래(101)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후술할 당골막이에 대응하는 제1영역(L1), 상기 제1영역(L1)으로부터 길이방향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2영역(L2) 및상기 제1영역(L1)으로부터 길이방향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3영역(L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방향 일측은 제1영역(L1)을 기준으로 건축물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길이방향 타측은 제1영역(L1)을 기준으로 건축물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L2)은 상기 제1영역(L1)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측 연장영역을 의미하고, 상기 제3영역(L3)은 상기 제1영역(L1)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측 연장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서까래(101)의 모재에서, 상기 제1영역(L1)을 제외한 상기 제2영역(L1) 및 상기 제3영역(L3)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종단면이 원형이 되도록 미리 가공될 수 있다. 즉, 서까래(101)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L1)의 종단면은 사각형이고, 상기 제2영역(L2) 및 상기 제3영역(L3)의 종단면은 원형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영역(L1)의 횡단면 역시 사각형으로서, 상기 제1영역(L1)의 외형은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서까래(101)의 일부 영역(상기 제1영역(L1)을 의미함)에는 후술할 당골막이의 측면과 마주하는 제1평면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평면부(110)는 후술할 모듈형 당골막이의 제2평면부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모듈형 당골막이가 당골에 시공된 상태에서, 상기 제1평면부(110)는 모듈형 당골막이의 폭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제2평면부에 맞닿을 수 있다.
상기 제1평면부(110) 및 상기 제2평면부는 도리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상측을 향해 뻗는다.
서까래(101)의 시공에 있어서, 복수의 거까래(101)가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고, 서로 이웃하는 서까래(101) 사이에 당골막이가 배치되므로, 각각의 서까래(101)는 한 쌍의 상기 제1평면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평면부(105)는 서까래(101)의 폭방향 양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서까래의 폭방향은 서까래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이 될 수 있다.
제2영역(L2) 및 제3영역(L3)의 직경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영역(L2) 및 제3영역(L3)의 직경은 제1영역(L1)의 폭 및 높이이하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까래가 도리 상부에 시공될 때, 서까래의 제1영역(L1)의 평면부분이 도리의 평면부분 상에 지지되기 때문에, 시공 편의성 및 지지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제1평면부(110)에는 당골막이의 일부가 결합되는 제1결합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115)은 한 쌍의 제1평면부(11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115)은 상기 제1평면부(110)의 높이방향을 따라 뻗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결합홈(115)은 상기 제1평면부(110)의 전체 높이에 걸쳐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평면부의 높이방향은 서까래의 높이방향이 될 수 있고, 서까래의 높이방향을 서까래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수직인 방향이 될 수 있다.
전술한 서까래(101)의 형태로 인해, 서까래(101) 자체의 시공 및 후술할 당골막이의 시공 편의성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 2의 (b)를 참조하여, 서까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의 (b)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102)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2의 (a)를 참조하여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101)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일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101)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101)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102) 역시, 일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101)와 마찬가지로, 기설정된 길이를 구비하는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102)는 제2영역(L2)의 종단면은 원형이고, 제1영역(L1) 및 제3영역(L3)의 종단면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102)는 제3영역(L3)의 종단면이 사각형인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101)와 상이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102)는 막힌 형태의 천장을 구비하는 한옥에서 제3영역(L3)이 실내에서 노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유용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재에서 외형을 원형으로 가공해야 할 부분의 길이가 감소되어, 가공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서까래에 있어서, 이웃하는 서까래의 사이의 공간('당골' 이라고도 함)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되는 모듈형 당골막이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당골막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서까래 사이에 시공되는 당골막이와 관련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아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101)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102)도 동일한 방식으로 시공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당골막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모듈형 당골막이(300)는 전술한 이웃하는 서까래(101)의 일부 영역인 제1영역(L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모듈형 당골막이(300)는 외측 차단부재(310) 및 내측 삽입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차단부재(310) 및 상기 내측 삽입부재(330)는 서로 마주하는 면이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내측 및 실외측을 기준으로, 외측 차단부재(310)는 당골에 있어서 실외측에 가까이 배치되고, 내측 삽입부재(330)는 실내측에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차단부재(310)는 판형 부재로서, 전술한 제1결합홈(115)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측 차단부재(310)의 폭방향 양 측부가 대응하는 제1결합홈(115)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 차단부재(310)는 상기 제1결합홈(115)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결합홈(115)에 상기 외측 차단부재(310)가 슬라이딩결합된 후에, 서까래(101) 상부에 개판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측 차단부재(310)는 판형 브라켓의 형태로서, 알루미늄과 같은 탄성이 있는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측 차단부재(310)는 상기 제1결합홈(115)의 내측을 향하여(즉, 서까래(101)의 폭방향 내측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밀어 넣어지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까래(101) 상부에 개판이 결합된 후고 하더라도, 상기 외측 차단부재(310)가 상기 제1결합홈(115)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까래(101)의 상부에 개판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 차단부재(310)가 상기 제1결합홈(115)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제1결합홈(115)의 깊이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외측 차단부재(310)의 폭은 이웃하는 서까래(101)의 제1영역(L1) 사이의 폭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이웃하는 제1결합홈(115)의 깊이방향 단부 사이의 거리가 상기 외측 차단부재(310)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측 차단부재(310)의 폭은 이웃하는 서까래(101)의 제1영역(L1) 사이의 폭보다 1~2cm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홈(115)의 깊이는 1~2cm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서까래(101) 상부에 개판이 시공된 상태라도, 외측 차단부재(310)가 상기 제1결합홈(115)에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결합홈(115)에 이미 결합되어 있는 상기 외측 차단부재(310)가 상기 제1결합홈(115)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삽입부재(330)는 이웃하는 서까래(101)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까래(101)가 도리 상에 시공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 삽입부재(330)는 이웃하는 서까래(101) 사이의 당골 내로 상기 외측 차단부재(310)를 향하여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서까래(101) 상부에 개판이 시공된 후라도, 상기 내측 삽입부재(330)는 상기 이웃하는 서까래(101) 사이의 당골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내측 삽입부재(330)의 폭방향 양 측면에는 제2평면부(335)가 구비될 수 있다. 내측 삽입부재(330)가 당골 내로 삽입된 상테에서, 상기 제2평면부(335)는 전술한 제1평면부(110)와 마주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제2평면부(335)에는 제1평면부(110)를 향해 돌출한 탄성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실링부재에 의해 제1평면부(110)와 제2평면부(335) 사이로의 외기의 침입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삽입부재(330)는 내측 차단부재(331) 및 상기 내측 차단부재(331)에 부착되고 상기 외측 차단부재(310)를 향해 연장되는(즉, 당골 내측으로 연장되는) 단열부재(3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차단부재(331)는 알루미늄과 같은 탄성이 있는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단열부재(333)는 상기 내측 차단부재(331)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333)의 폭방향 양 측면이 전술한 제2평면부(335)가 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내측 차단부재(331)의 타면(노출면)에는 시공을 위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삽입부재(330)는 이웃하는 서까래(101)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부(3301) 및 상기 삽입부(3301)의 폭방향의 적어도 일측으로 연장되는 날개부(3303)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3301)는 이웃하는 서까래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3301)의 폭방향 양 측면에 상기 제2평면부(3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3301)의 상면은 서까래 위에 덮이는 개판의 경사에 대응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삽입부(3301)의 상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즉, 옥 외측에서 옥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날개부(3303)는 상기 삽입부(3301)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3303)는 이웃하는 서까래(101) 중 적어도 하나의 하면에 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날개부(3303)의 상면은 서까래(101)의 제1영역(L1)의 하면에 대응하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서까래(101)의 제1영역(L1)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에 면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3303)의 상면은 상기 제1영역(L1)의 하면에 대응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날개부(3303)의 상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즉, 옥 외측에서 옥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웃하는 한 쌍의 내측 차단부재(331)의 마주하는 날개부(3303)의 상면이 이웃하는 내측 차단부재(331) 사이의 서까래(101)의 제1영역(L1)의 하면에 각각 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듈형 당골부재의 내측 삽입부재(330)를 형성함에 따라서, 서까래(101) 상부애 개판이 설치된 상태에서도, 당골 내로 내측 삽입부재(330)를 용이하게 삽입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유지 보수를 위하여, 내측 삽입부재(330)를 당골 외측으로 당겨서 취출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더 참조하여, 모듈형 당골막이가 이웃하는 서까래 사이에 설치되는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서까래와 모듈형 당골막이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서까래와 모듈형 당골막이가 시공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5를 함께 참조하면, 외측 차단부재(310)가 제1결합홈(115)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 차단부재(310)의 외측(전방측)에는 덮개(3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덮개(315)는 상기 외측 차단부재(310)의 전방면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덮개(315)는 외측 차단부재(310)에 있어서 상기 내측 삽입부재(330)의 맞은편에 배치되고, 외표면에 목재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400)에 의해 외측 차단부재(310)의 외측이 더 차폐됨과 동시에, 외부에서 볼 때, 한옥의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다.
서까래(101), 외측 차단부재(310) 및 개판(미도시)이 모두 시공된 상태에서, 내측 삽입부재(330)가 당골 내측으로 상기 외측 차단부재(310)를 향하여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삽입부재(330)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결합홈(355)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내측 삽입부재(330)의 상면 및 하면 모두에 제2결합홈(355)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결합홈(355)은 내측 차단부재(331)의 절곡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결합홈(355)은 단열부재(333)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를 오목하게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홈(355)은 내측 삽입부재(330)에 있어서, 외측 차단부재(310)의 맞은편 단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결합홈(355)은 상기 내측 삽입부재(330)에 있어서 상기 외측 차단부재(310)로부터 먼 단부측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측 차단부재(330)가 당골 내로 충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결합호(355) 내에 후술할 고정바(500)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홈(355)에는, 이웃하는 서까래(101) 사이로 연장되는 고정바(500)가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바(500)는 이웃하는 서까래(101)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바(500)는 서로 마주하는 제1평면부(110)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500)는 내측 삽입부재(330)가 당골 내로 충분히 삽입될 때, 상기 제2결합홈(355)에 체결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500)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바(500)는 도리(700)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1고정바(510) 및 개판(미도시)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2고정바(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바(520)는 개판의 하면에 구비되어도 되고, 마주하는 제1평면부(110) 사이에서 상기 제2평면부(110)에 고정되도록 구비되어도 된다.
상기 제2결합홈(355)은 상기 내측 삽입부재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서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500)는 상기 제2결합홈(355)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차단부재(310)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내측 삽입부재(330)를 향해 돌출되는 실링부재(318)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실링부재(318)는 상기 외측 차단부재(31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실링부재(318)는 외측 차단부재(310)의 폭방향으로 뻗도록 구비될 수 있고,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318)에 의해, 상기 외측 차단부재(310)와 상기 내측 삽입부재(330) 사이가 실링될 수 있으며, 외기, 진동 및 소음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리 상부에 단순하고 반복적으로 서까래를 시공한 후에, 모듈형 당골막이를 분리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 인력, 시공 시간 및 시공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형 당골막이 각각에 대한 개별적인 유지보수가 가능다. 또한, 한옥의 철거 및 이전설치 시에도 모듈형 당골막이를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폐기물의 양이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서까래와 모듈형 당골막이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서까래와 모듈형 당골막이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서까래와 모듈형 당골막이의 조립체의 구성이 시공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서까래와 모듈형 당골막이의 시공방법은, 서까래 시공단계(S10), 개판 시공단계(S20), 모듈형 당골막이 시공단게(S30)를 포함한다.
서까래 시공단계(S10)에서는, 도리(700)의 상부에 복수개의 서까래(101)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 및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개판 시공단계(S20)에서는 서까래(101)의 상부에 개판이 덮여서 고정될 수 있다.
모듈형 당골막이 시공단계(S30)는, 이웃하는 서까래(101)의 마주하는 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1결합홈(115)으로 외측 차단부재(31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단계 및 이웃하는 서까래(101) 사이의 당골에 상기 외측 차단부재(310)를 향하여 내측 삽입부재(330)가 삽입되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계는 개판 시공단계(S20) 이전에 상기 제1결합홈(115)에 상기 외측 차단부재(310)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방식으로도 행해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 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1, 102 서까래
110 제1평면부
115 제1결합홈
300 모듈형 당골막이
310 외측 차단부재
315 덮개
318 실링부재
330 내측 삽입부재
335 제2평면부
355 제2결합홈
500 고정바
700 도리

Claims (10)

  1.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나머지 영역의 종단면의 형상이 상이한 복수의 서까래; 및
    서로 이웃하는 서까래의 상기 일부 영역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모듈형 당골막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까래 각각의 상기 일부 영역에는 상기 당골막이의 측면과 마주하는 제1평면부가 구비되고,
    상기 당골막이의 측면에는 상기 제1평면부에 대응하는 제2평면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평면부에는 상기 당골막이의 일부가 결합되는 제1결합홈이 상기 제1평면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뻗도록 형성되고,
    상기 모듈형 당골막이는, 상기 제1결합홈에 결합되는 외측 차단부재 및 상기 외측 차단부재를 향하여 이웃하는 서까래 사이로 삽입되는 내측 삽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차단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서까래의 상부에 개판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 차단부재가 상기 제1결합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제1결합홈의 깊이가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나머지 영역의 종단면의 형상이 상이한 복수의 서까래; 및
    서로 이웃하는 서까래의 상기 일부 영역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모듈형 당골막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까래 각각의 상기 일부 영역에는 상기 당골막이의 측면과 마주하는 제1평면부가 구비되고,
    상기 당골막이의 측면에는 상기 제1평면부에 대응하는 제2평면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평면부에는 상기 당골막이의 일부가 결합되는 제1결합홈이 상기 제1평면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뻗도록 형성되고,
    상기 모듈형 당골막이는, 상기 제1결합홈에 결합되는 외측 차단부재 및 상기 외측 차단부재를 향하여 이웃하는 서까래 사이로 삽입되는 내측 삽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서까래의 상부에 개판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 삽입부재가 이웃하는 서까래 사이로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삽입부재는 내측 차단부재 및 상기 내측 차단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외측 차단부재를 향해 연장되는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삽입부재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제2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홈에는, 이웃하는 서까래의 제1평면부 사이로 연장되는 고정바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홈은 상기 내측 삽입부재에 있어서 상기 외측 차단부재로부터 먼 단부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
  9.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차단부재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내측 삽입부재를 향해 돌출되는 실링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
  10.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삽입부재는,
    이웃하는 서까래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폭방향의 적어도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서까래 중 적어도 하나의 하면에 접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
KR1020220062898A 2022-05-23 2022-05-23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 KR102618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898A KR102618834B1 (ko) 2022-05-23 2022-05-23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898A KR102618834B1 (ko) 2022-05-23 2022-05-23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3157A KR20230163157A (ko) 2023-11-30
KR102618834B1 true KR102618834B1 (ko) 2023-12-27

Family

ID=88968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2898A KR102618834B1 (ko) 2022-05-23 2022-05-23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8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804B1 (ko) * 2009-08-24 2012-05-04 한진 한옥용 단골막이 착고 및 이를 이용한 단골막이 시공방법
KR101199833B1 (ko) * 2012-02-21 2012-11-15 주식회사 양백 당골막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3219A (ko) 2011-12-23 2013-07-03 김한식 블럭형 당골막이 및 이를 이용한 당골막이 시공방법
KR20170052098A (ko) * 2015-11-03 2017-05-12 (주)한옥과 문화 서까래 조립체
KR20180066728A (ko) * 2016-12-09 2018-06-19 김호준 단열재가 구비된 당골막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804B1 (ko) * 2009-08-24 2012-05-04 한진 한옥용 단골막이 착고 및 이를 이용한 단골막이 시공방법
KR101199833B1 (ko) * 2012-02-21 2012-11-15 주식회사 양백 당골막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3157A (ko) 202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11344B2 (ko)
US20110239548A1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US6324812B1 (en) Method and kit for monolithic construction of metal fiber reinforced concrete formed by corrugated foam panels
WO2008113207A1 (fr) Panneau mural extérieur et son procédé de montage
US4510726A (en) Insulated building structure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JP2731293B2 (ja) 建築物、建築物部分またはこれに類したものを建造するための建築エレメント
KR102618834B1 (ko)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
KR101850948B1 (ko) 친환경 거푸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건축물의 시공 방법
CN211007029U (zh) 一种装配式建筑物用的钢缆拉紧墙面及其构筑物
KR102156970B1 (ko) 조립주택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조립주택의 시공방법
KR200425116Y1 (ko) 조립식 컨테이너 교실
RO122681B1 (ro) Set de panouri structurale pentru realizarea unei construcţii civile şi procedeu de realizare a construcţiei
KR102198692B1 (ko) 정자형 파고라
EP1214484B1 (en) Improved concrete form wall building system
KR100939077B1 (ko) 조립식 건축물
JPH04309636A (ja) 建築用パネル、当該建築用パネルからなる木造建築物およびその構築工法
KR100485585B1 (ko) 조립식 구조물 및 이를 위한 형강
KR20070080802A (ko) 조립식월칸막이 시공방법
DE102010018625A1 (de) Wandelement und modulare Wand sowie Verfahren zur Nutzung von Sonnenenergie
RU94601U1 (ru)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KR102198690B1 (ko) 정자형 파고라 설치 방법
KR102643608B1 (ko) 한옥의 모듈형 벽체구조
KR950009610B1 (ko) 조립식 벽체구조물용 패널과 그 시공방법
RU109769U1 (ru) Здание, возведенное с помощью набора универсальных элементов
JP2634744B2 (ja) ユニット式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