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143Y1 - 벽체용 방습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방습 블럭 조립체 - Google Patents

벽체용 방습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방습 블럭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143Y1
KR200389143Y1 KR20-2005-0011547U KR20050011547U KR200389143Y1 KR 200389143 Y1 KR200389143 Y1 KR 200389143Y1 KR 20050011547 U KR20050011547 U KR 20050011547U KR 200389143 Y1 KR200389143 Y1 KR 2003891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all
moisture
blocks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5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철
최진태
Original Assignee
신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철 filed Critical 신현철
Priority to KR20-2005-00115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1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1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1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3Evacuating water from walls made from hollow bri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18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체용 방습 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벽체용 방습 블럭 조립체는 다습한 지하 벽체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층되어 설치됨으로 실내로의 습기 침투를 방지할 수 있으며, 다습한 환경으로 인하여 블럭에 맺혀진 결로수는 습기 배출홈을 통해서 전면으로 배출되지 않고 후면으로 배출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개의 블럭을 적층하여 블럭벽을 형성하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하며, 못이나 나사 등을 이용하지 않고 블럭 벽을 형성함으로 누수의 위험이 없으며 하자 보수시 철거 등이 용이하여 하자 보수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벽체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블럭 벽이 형성되기 때문에 벽체의 수평여부와 상관없이 블럭 조립체의 설치가 용이하며, 블럭의 적층 방식을 달리한다거나 블럭의 표면에 다양한 무늬 및 색채를 가미함으로써 벽체의 외관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벽체용 방습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방습 블럭 조립체{A BLOCK FOR PREVENETING THE DAMP AIR}
본 고안은 벽체용 방습 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벽체, 다습한 환경에 노출되는 지하층 벽체 특히 지하철의 지하 벽체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습기가 건물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다습한 환경으로 인하여 블럭에 맺혀진 결로수를 전면이 아니라 후면으로 떨어지도록 하여 외부로 배출 유도하는 한편, 다양한 무늬나 문양, 색채를 부가하여 외관 개선에도 도움이 되는 벽체용 방습 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건물 지하층 벽체로부터 습기 또는 침투수가 침입하지 않도록 벽체에 방수처리하거나, 건물 벽체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벽돌층을 쌓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방수처리된 벽체가 토압에 의한 하중에 걸린 상태에서 땅속의 지하수나 습한 기운에 노출되기 때문에 방수 처리층이 부식될 가능성이 크고, 이에 따라 지하수 또는 습기가 벽체내로 침투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또한, 벽돌층을 쌓는 경우에는 시공시간 및 시공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벽돌의 두께로 인하여 내부 공간이 좁아진다는 단점과 함께 하자 보수시 벽돌층을 허물어야 함으로 하자 보수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아니라 하자보수를 시행하더라도 막대한 비용이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실용신안 제0300708호(벽체용 이중 방습 패널 조립체)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이 실용신안은 판 형상의 고정패널을 벽체와 직접 결합시키는 데, 이를 이용하여 나사, 못 등을 이용하여 결합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고정패널을 벽체에 나사, 못 등으로 결합시키게 되면 다습한 지하벽체에서 지하수가 흘러나와 누수의 위험이 있으며, 결로수가 나사, 못 등에 맺힘으로써 장시간이 지나면 나사, 못 등이 부식될 위험이 있다. 또한, 고정패널이 지하 벽체에 나사, 못 등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철거가 어려워 하자 보수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지하 벽체가 고르지 못한 경우에는 판 형상의 고정패널을 이용하여 수평을 맞출수가 없음으로, 고정 판널을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으며, 설령 설치한다하더라도 수평이 형성되지 않아 조잡한 미감을 형성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습한 지하 벽체로부터 습기 침투를 방지하는 한편 다습한 환경으로 인하여 블럭에 맺혀진 결로수를 전면이 아니라 후면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트랜치를 통해 외부로 안내하는 벽체용 방습 블럭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벽체의 하자 보수나 방습 블럭 조립체의 하자 보수시에 하자 보수가 용이하며, 벽체의 수평여부와 상관없이 용이하게 블럭 조립체의 설치가 용이하며, 외관 개선에도 도움이 되는 벽체용 방습 블럭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벽체로부터 습기 침투를 방지하는 벽체용 방습 블럭 조립체는, 하부 바닥에는 높이를 일정하게 맞추기 위한 하부 높이조절부재, 상기 하부 높이조절부재의 상부에는 블럭을 적층시키기도록 측면 벽체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게 설치되는 하부 U자 관, 상기 하부 U자 관의 안쪽면 위에 적층되어 블럭 벽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블럭, 상기 적층된 블럭을 상부에서 고정하도록 상부 천장에 길게 설치되는 상부 U자 관, 및 상부 천장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추기 위한 상부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벽체용 방습 블럭은 상부면에는 1개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의 타 블럭의 돌출부가 삽입 고정되는 요홈부가 형성되며, 인접하는 측면의 타 블럭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일측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삽입 돌기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럭(30) 하부의 안쪽 내벽에는 하부의 타 블럭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가이드 돌기(42)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럭의 상부면에는 다습한 환경으로 인하여 블럭에 맺혀진 결로수를 후면으로 배출하도록 안내하는 습기 배출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록은 공기 및 습기의 원활한 흐름을 위하여 하부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뒷면은 중공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럭의 돌출부의 안쪽에는 철심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벽체용 방습 블럭 조립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용 방습 블럭의 사시도이다. (가)는 블럭의 전면부 및 측면부를 도시하고, (나)는 블럭의 후면부 및 측면부를 도시한다.
지하 벽체로부터 습기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수개의 벽체용 방습 블럭(30)이 일정한 패턴으로 적층되어 벽체판을 형성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블럭(30)의 상부에는 돌출부(32)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에는 하부의 타 블럭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요홈부(34)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 및 요홈부는 블럭의 적층시에 서로 단단히 결합되도록 서로 맞는 치수를 가진다.
상기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형성되나, 블럭이 옆으로 더욱 연장되어 3개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요홈부도 동일하게 연장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돌출부 및 하나의 요홈부도 형성될 수 있다.
블럭(30)의 측면에는 인접하는 측면의 타 블럭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일측면에는 삽입홈(38)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삽입 돌기(36)가 형성된다. 삽입홈(38)과 삽입돌기(36)는 끼움 방식으로 측면의 타 블럭과 결합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럭(30)의 뒷면과 하부면에는 다습한 지하벽체의 공기 및 습기가 원할히 유통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뒷면의 중공부(46)는 지하 벽체의 벽이 고르지 않기 때문에 블록의 설치시에 벽과 블록이 맞닺는다 하더라도 공기 및 습기의 흐름을 막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블럭(30)의 상부면에는 다습한 환경으로 인하여 블럭에 맺혀진 결로수를 후면으로 배출하도록 안내하는 습기 배출홈(40)이 형성된다. 상기 습기 배출홈(40)은 다습한 환경으로 인하여 블럭에 맺혀진 결로수를 전면으로 배출되지 않고 후면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블럭에 맺혀진 결로수는 후면으로 배출되어 하부의 트랜치(도 5 참조)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용 방습 블럭의 저면도이다. 이는 블럭의 돌출부와 요홈부가 결합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럭 하부의 요홈부의 안쪽 내벽에는 하부의 타 블럭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42)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블럭(30)은 돌출부(32), 요홈부(34), 및 삽입돌기(36), 삽입홈(38)을 이용하여 다수개가 일정한 패턴으로 적층되어 방습벽을 형성하게 된다. 본 고안의 블럭은 일정한 강도를 가지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데, 본 고안의 실시예에는 연질 PE(polyethylene)를 사용하였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용 방습 블럭을 조립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블럭(30) 상부의 돌출부(32)는 상부에 위치하는 타 블럭의 요홈부(34)에 삽입 고정됨으로, 다수개의 블럭을 적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접하는 측면의 블럭과는 삽입홈(38)과 삽입 돌기(36)의 결착에 의해서 서로 단단히 고정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 중에서 다른 것보다 길이가 더 긴 블럭이 다수개 삽입되는 데, 이는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다른 것에 비하여 길이가 더 긴 블럭을 에폭시 수지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벽체에 고정시킴으로써 블럭으로 적층시킨 블럭벽이 튼튼하게 설치되게 된다.
한편, 블럭벽이 보다 튼튼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블럭의 돌출부의 안쪽에는 철심(7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44)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을 통해서 기다란 철심이 천장과 바닥을 연결 고정됨으로써 블럭벽이 외부의 충격이나 하중에 의해서 무너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반드시 관통공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형성되며, 일반적인 경우에는 관통공이 형성될 필요가 없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용 방습 블럭 조립체의 측단면도이다. 즉, 실제적으로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하부 벽체에는 높이를 일정하게 맞추기 위한 하부 높이조절부재(10)가 설치된다. 하부 높이조절부재(10)는 바닥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에 바닥면의 높이가 일정하도록 군데 군데 설치되어 높이를 일정하게 맞추는 역할을 한다. 하부 높이조절 부재(10)는 고무판 등이 사용된다.
하부 높이조절부재(10)의 상부에는 단면이 U자 형상을 가지는 기다란 하부 U자 관(20)이 길게 설치된다(도 4참조). 하부 높이조절부재(10) 위에 올려진 하부 U자 관(20)은 하부 높이조절부재(10)에 의해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하부 U자 관(20)의 안쪽에는 블럭이 측정되어 블럭 벽을 형성하게 된다. 블럭은 도 3, 도 4 또는 도 6의 방식대로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적층된다.
블럭 중에는 타 블럭보다 길이가 긴 블럭이 중간 중간에 삽입되는 데, 이는 지하 측면 벽체와 결합하기 위해서이다. 블럭과 벽체와의 결합(A 부분)은 에폭시 수지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데, 종래와 같이 못이나 나사 등을 이용하여 벽체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누수의 위험이 없으며, 하자 보수시에 철거 등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에서 못이나 나사 등을 이용하지 않고 에폭시 수지만으로 블럭과 벽체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유는 종래의 실용신안과 같이 패널 형식이 아니라 블럭 형상을 지니고 있고, 상기 블럭이 돌출부와 요홈부, 삽입홈과 삽입돌기의 결합으로 단단히 결합되기 때문이다.
천장에는 상부 높이조절부재(60)가 설치된다. 상부 높이조절부재(60)는 하부 높이조절부재와 유사하게 천장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추기 위해서 설치된다.
상기 상부 높이조절부재(60)의 아래에는 하부 U자 관과 유사하게 상부 U자 관(50)이 설치된다. 상부 U자 관(50)은 적층된 블럭을 상부에서 고정시키기 위해서이다. 일정하게 적층된 블럭(30)의 상부에 측면에서 상부 U자 관(50)을 삽입하여 이를 고정시킨다.
최상부의 블럭은 돌출부를 절개하여 평면을 이루어도록 하여, 상부 U 자관에 삽입 결합되도록 한다. 블럭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간단하게 돌출부를 제거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용 방습 블럭의 다른 조립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 및 도 4와 다른 패턴으로 블럭을 적층하는 모습을 보인다. 즉, 일렬로 길게 적층하는 것이 아니라 벽돌의 적층방식과 동일하게 서로 교차되게 적층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이러한 적층방식은 외관의 미려감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적층된 블럭 조립체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 블럭의 표면에 색채 또는 문양을 삽입함으로써 다양한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음으로 벽면의 외관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체용 방습 블록을 나타낸다. (가)는 블럭의 전면부 및 측면부를 도시하고, (나)는 블럭의 후면부 및 측면부를 도시하며, (다)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돌출부(32)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이에 끼워지는 요홈부(34)도 역시 사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뒷면에는 중공부(4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면에는 블럭에 맺혀진 결로수가 배출되는 습기 배출홈(40)이 형성된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벽체용 방습 블럭 조립체는 다습한 지하 벽체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층되어 설치됨으로 실내로의 습기 침투를 방지할 수 있으며, 다습한 환경으로 인하여 블럭에 맺혀진 결로수는 습기 배출홈을 통해서 전면으로 배출되지 않고 후면으로 배출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개의 블럭을 적층하여 블록 벽을 형성하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하며, 못이나 나사 등을 이용하지 않고 블럭 벽을 형성함으로 누수의 위험이 없으며 하자 보수시 철거 등이 용이하여 하자 보수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벽체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블럭 벽이 형성되기 때문에 벽체의 수평여부와 상관없이 블럭 조립체의 설치가 용이하며, 블럭의 적층 방식을 달리한다거나 블럭의 표면에 다양한 무늬 및 색채를 가미함으로써 벽체의 외관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용 방습 블럭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용 방습 블럭의 저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용 방습 블럭을 조립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용 방습 블럭 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용 방습 블럭의 다른 조립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체용 방습 블록을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부 높이조절부재 20: 하부 U자 관
30: 블럭 32: 돌출부
34: 요홈부 36: 삽입 돌기
38: 삽입홈 40: 습기 배출홈
42: 가이드 돌기 44: 관통공
46: 중공부
50: 상부 U자 관 60: 상부 높이조절부재
70: 철심 80: 트랜치

Claims (8)

  1. 벽체로부터 습기 침투를 방지하는 벽체용 방습 블럭 조립체로서,
    하부 바닥에는 높이를 일정하게 맞추기 위한 하부 높이조절부재(10),
    상기 하부 높이조절부재의 상부에는 블럭을 적층시키기도록 측면 벽체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게 설치되는 하부 U자 관(20),
    상기 하부 U자 관의 안쪽면 위에 적층되어 블럭 벽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블럭(30),
    상기 적층된 블럭(30)을 상부에서 고정하도록 상부 천장에 길게 설치되는 상부 U자 관(50), 및
    상부 천장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추기 위한 상부 높이조절부재(60)를 포함하는 데,
    상기 블럭은 상부면에는 1개 이상의 돌출부(3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의 타 블럭의 돌출부가 삽입 고정되는 요홈부(34)가 형성되며,
    인접하는 측면의 타 블럭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일측면에는 삽입홈(38)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삽입 돌기(36)가 형성되며,
    상기 블럭(30) 하부의 안쪽 내벽에는 하부의 타 블럭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가이드 돌기(42)가 형성되고,
    상기 블럭의 상부면에는 다습한 환경으로 인하여 블럭에 맺혀진 결로수를 후면으로 배출하도록 안내하는 습기 배출홈(40)이 형성되며,
    공기 및 습기의 원활한 흐름을 위하여 하부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뒷면은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방습 블럭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의 돌출부의 안쪽에는 철심(7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4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방습 블럭 조립체.
  3. 벽체로부터 습기 침투를 방지하는 벽체용 방습 블럭으로서,
    상부면에는 1개 이상의 돌출부(3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의 타 블럭의 돌출부가 삽입 고정되는 요홈부(34)가 형성되며, 인접하는 측면의 타 블럭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일측면에는 삽입홈(38)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삽입 돌기(3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30) 하부의 안쪽 내벽에는 하부의 타 블럭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가이드 돌기(4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의 상부면에는 다습한 환경으로 인하여 블럭에 맺혀진 결로수를 후면으로 배출하도록 안내하는 습기 배출홈(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공기 및 습기의 원활한 흐름을 위하여 하부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뒷면은 중공부가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의 돌출부의 안쪽에는 철심(7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4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
  8. 벽체로부터 습기 침투를 방지하는 벽체용 방습 블럭으로서,
    상부면에는 1개 이상의 돌출부(3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의 타 블럭의 돌출부가 삽입 고정되는 요홈부(34)가 형성되며,
    인접하는 측면의 타 블럭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일측면에는 삽입홈(38)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삽입 돌기(36)가 형성되며,
    상기 블럭(30) 하부의 안쪽 내벽에는 하부의 타 블럭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가이드 돌기(42)가 형성되고,
    상기 블럭의 상부면에는 다습한 환경으로 인하여 블럭에 맺혀진 결로수를 후면으로 배출하도록 안내하는 습기 배출홈(40)이 형성되며,
    공기 및 습기의 원활한 흐름을 위하여 하부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뒷면은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
KR20-2005-0011547U 2005-04-26 2005-04-26 벽체용 방습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방습 블럭 조립체 KR2003891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547U KR200389143Y1 (ko) 2005-04-26 2005-04-26 벽체용 방습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방습 블럭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547U KR200389143Y1 (ko) 2005-04-26 2005-04-26 벽체용 방습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방습 블럭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143Y1 true KR200389143Y1 (ko) 2005-07-07

Family

ID=43690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547U KR200389143Y1 (ko) 2005-04-26 2005-04-26 벽체용 방습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방습 블럭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1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228B1 (ko) * 2019-10-07 2020-05-18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조립식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228B1 (ko) * 2019-10-07 2020-05-18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조립식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4601B1 (ko) 투명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26666B1 (ko) 수직배수 유도형 네일옹벽
KR200389143Y1 (ko) 벽체용 방습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방습 블럭 조립체
KR100900479B1 (ko) 물받이가 구비된 조립식 창틀용 프레임구조
KR100603001B1 (ko) 벽체용 방습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0617964B1 (ko) 방습용 및 아트용 벽체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조립체
KR100914927B1 (ko) 배수판
KR100879367B1 (ko) 벽체용 방습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20110119874A (ko) 벽체설치형 방습용 프레임
KR200438940Y1 (ko)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
KR100939077B1 (ko) 조립식 건축물
KR200380431Y1 (ko) 벽체배수판
KR100964345B1 (ko)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KR20100003610A (ko) 맨홀
KR200414210Y1 (ko) 벽체 방습용 블록 조립체
KR100536067B1 (ko) 건축물 기초의 외단열 구조
KR200369480Y1 (ko) 토목섬유를 사용한 토류판
KR200399347Y1 (ko) 지하실 내부 벽체용 패널 구조
KR100650500B1 (ko) 시공이 용이한 공동주택의 기초부 외단열구조
KR100700442B1 (ko) 건축물 기초의 조립식 외단열 패널
US10661475B2 (en) Panel insert for concrete foundation walls
KR200399882Y1 (ko) 지하이중벽의 내벽 구축용 패널의 설치구조
KR20120003300U (ko)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KR101740388B1 (ko)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과,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을 이용한 천장용 배수판 설치방법
KR102151869B1 (ko) 지하 벽체를 위한 마감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