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388B1 -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과,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을 이용한 천장용 배수판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과,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을 이용한 천장용 배수판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388B1
KR101740388B1 KR1020170045434A KR20170045434A KR101740388B1 KR 101740388 B1 KR101740388 B1 KR 101740388B1 KR 1020170045434 A KR1020170045434 A KR 1020170045434A KR 20170045434 A KR20170045434 A KR 20170045434A KR 101740388 B1 KR101740388 B1 KR 101740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unit
ceiling
drai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5160A (ko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유지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지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5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388B1/ko
Publication of KR20170045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천장용 배수판의 설치 후 처짐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배수판 내부에 집수 된 물을 신속하게 유도 배수하는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과,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을 이용한 천장용 배수판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며 내측에는 천장(30)과 앵커 볼트(40)로 장착 가능하도록 장착홈(11)이 형성되며, 천장(30)과 배수판(50)의 높낮이에 대응 가능한 가변형 샤프트(12)가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장착홈(11)의 하측에는 배수홈(14)을 통해 유입된 물이 배수관(60)을 통해 배수가 될 수 있도록 배수로(15)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12)의 하부 일측에는 외부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13)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3)의 상부 끝 선 위치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홈(14)이 형성되는 한편, 하부 일측에는 하부 유닛과 체결 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선(16)이 형성된 상부유닛(10)과, 상기 상부유닛(10)과 체결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부 유닛의 나선(16)에 대응하는 나선(21)이 내측에 형성되며, 외측에는 누수 방지 및 결속력 강화를 위한 플랜지(22)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하부유닛(20)을 포함하여 구성된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을 배수판에 형성된 결합홈(51)에 결속시켜 배수판의 처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배수가 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과,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을 이용한 천장용 배수판 설치방법{Drainage plate sag prevention and induction drainage unit, prevention of drainage plate sagging, and installation method of ceiling drain plate using induction drainage unit}
본 발명은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과,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을 이용한 천장용 배수판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천장용 배수판의 설치 후 처짐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배수판 내부에 집수 된 물을 신속하게 유도 배수하는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과,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을 이용한 천장용 배수판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지상으로 축조되는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지하에 옹벽을 쳐서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하에 건설되는 옹벽은 구조물 자체의 중력에 따른 안정성을 확보해주는 역할을 하는 한편, 상기와 같이 시공된 옹벽은 지하에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지하공간은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렇게 활용되는 지하공간은 땅속에 매립되어 있는 공간이어서 옹벽을 통해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옹벽을 시공할 때에는 모르타르에 방수제를 첨가하여 옹벽을 시공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방수제를 첨가한 모르타르를 이용해 옹벽을 건설함으로써, 땅속에 존재하는 수분(물) 침투를 예방할 수 있다. 하지만, 지하층 벽체에는 지하공간 내의 습기유입 및 온도 차이로 인하여 백화현상 또는 결로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백화현상 및 결로현상은 출입구가 항시 개방되어 있는 주차공간에 흔히 발생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 중의 습도가 온도차이로 인해 응결되면서 내벽에 결로 수가 생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결로 수는 내벽에 곰팡이 발생을 초래하여 지하공간에서 메케한 냄새는 물론 외관이 지저분해지고, 또 내벽의 부식을 촉진 시켜 백화현상까지도 초래한다.
상기와 같이 건축물의 지하공간 내벽 및 천장에 발생하는 결로수(수분)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공되는 것이 벽체용 배수판이다.
상기 지하공간의 내벽과 천장에 시공되는 벽체용 배수판은 그 형태가 다양하고, 상기 벽체용 배수판은 앵커 핀을 직접 지하공간 벽체에 박아 고정 시켜 시공하는 타입이 있으며, 별도의 고정매개물을 앵커 핀으로 벽체에 고정 시킨 상태에서 이 고정매개물에 고정 시켜 시공하는 타입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배수판은 벽체는 물론, 천장에서 설치될 수 있으며, 외관을 고려한 마감 부재로서 다양한 무늬와 색상이 표현된 단위 커버 패널에 의해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수판을 설치한다고 하더라도 결로 수(수분)는 계절에 따라 배수판의 외부에 물방울이 맺힌 상태로 있거나 혹은 내부에 항상 존재를 하기 때문에 배수판의 설치는 결로 수(수분)의 제거가 아닌 임시 가림막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배수판 설치 이후에도 미관을 해치지 않은 상태에서 배수판의 내부에 잔존하는 결로 수를 배수로로 배수시켜 배수판의 수명연장과 더불어 불쾌한 냄새를 조금이나마 제거할 수 있는 배수판 내부의 결로 수 배수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본원 출원인이 2017년 1월 6일 '벽면 및 천장에 설치된 배수판의 수분 유도 배수용 배수 부재 및 그 수분 유도 배수용 배수 부재를 이용한 배수판의 수분 배수방법'에 관한 특허를 출원한 바 있으나, 벽면에서는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천장용 배수판에는 효율적이지 못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당한 넓이와 길이를 갖는 천장용 배수판은 두께가 1mm 내외의 박판으로 이루어지는데 설치 이후에는 하중에 의한 처짐 현상이 발생 되었고, 처짐 현상이 일어난 부위에 물이 고이게 됨으로써 가장자리로 유도하여 배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키 위해 안출한 것으로 천장용 배수판 설치 이후 배수판의 처짐으로 인해 발생 되는 배수 불량 현상을 사전에 차단하여 배수판 내부에 집수 되는 물을 신속하게 배수처리 함과 동시에 배수판을 천장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 시킬 수 있는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과,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을 이용한 천장용 배수판 설치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S)은,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며 내측에는 천장(30)과 앵커 볼트(40)로 장착 가능하도록 장착홈(11)이 형성되며, 천장(30)과 배수판(50)의 높낮이에 대응 가능한 가변형 샤프트(12)가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장착홈(11)의 하측에는 배수홈(14)을 통해 유입된 물이 배수관(60)을 통해 배수가 될 수 있도록 배수로(15)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12)의 하부 일측에는 외부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13)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3)의 상부 끝선 위치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홈(14)이 형성되는 한편, 하부 일측에는 하부 유닛과 체결 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선(16)이 형성된 상부유닛(10)과,
상기 상부유닛(10)과 체결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부 유닛의 나선(16)에 대응하는 나선(21)이 내측에 형성되며, 외측에는 누수 방지 및 결속력 강화를 위한 플랜지(22)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하부유닛(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22)의 내측은 결합홈(51)에서 누수 될 수 있는 물이 배수로(15)를 통해 배수가 되도록 중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23)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을 이용한 천장용 배수판 설치방법은, 천장용 배수판(50)의 중심부에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S)을 결속할 수 있는 결합홈(51)을 천공하는 결합홈 천공단계(S100)와, 상기 결합홈(51)에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며 내측에는 천장(30)과 앵커 볼트(40)로 장착 가능하도록 장착홈(11)이 형성되며, 천장(30)과 배수판(50)의 높낮이에 대응 가능한 가변형 샤프트(12)가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장착홈(11)의 하측에는 배수홈(14)을 통해 유입된 물이 배수관(60)을 통해 배수가 될 수 있도록 배수로(15)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12)의 하부 일측에는 외부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13)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3)의 상부 끝선 위치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홈(14)이 형성되는 한편, 하부 일측에는 하부 유닛과 체결 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선(16)이 형성된 상부유닛(10)을 하측 방향으로 결속하는 상부유닛 결속단계(S200)와, 상기 상부유닛(10)이 결속된 배수판(50)의 타측 방향에서 상부유닛(10)과 체결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부 유닛의 나선(16)에 대응하는 나선(21)이 내측에 형성되며, 외측에는 누수 방지 및 결속력 강화를 위한 플랜지(22)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하부유닛(20)을 체결고정하는 하부유닛 체결 고정단계(S300)와, 상기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S)이 고정된 배수판(50)을 천장에 고정하는 배수판 고정단계(S400)와, 상기 배수판 고정 후 상부유닛(10)의 장착홈(11)을 통해 천장을 천공한 후 앵커 볼트(40)를 이용하여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S)을 천장(30)에 고정시키는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 고정단계(S500)와, 상기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S) 고정 후 배수로(15)를 통해 배수된 물이 최종 하수처리 되도록 하부유닛(20)에 배수관(60)을 이음 연결하는 배수관 이음 단계(S6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원 발명의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과,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을 이용한 천장용 배수판 설치방법은 배수판의 중심부를 천장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배수판의 쳐짐현상을 방지하면서 배수판 내부에 집수 되는 물을 신속하게 배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일시 예를 보인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설치과정 블록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원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S)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배수판의 상단에 위치되는 상부유닛(10)과, 배수판의 저면에 위치되는 하부유닛(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유닛(10)은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며 내측에는 천장(30)과 앵커 볼트(40)로 장착 가능하도록 장착홈(11)이 형성되며, 천장(30)과 배수판(50)의 높낮이에 대응 가능한 가변형 샤프트(12)가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장착홈(11)의 하측에는 배수홈(14)을 통해 유입된 물이 배수관(60)을 통해 배수가 될 수 있도록 배수로(15)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12)의 하부 일측에는 외부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13)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3)의 상부 끝선 위치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홈(14)이 형성되는 한편, 하부 일측에는 하부유닛(20)과 체결 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선(16)이 형성 된다
상기 가변형 샤프트(12)라 함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절단선(17)을 정한 다음 샤프트의 길이가 현장에 알맞도록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의미하는바 이로 인해 길이가 가변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배수판(50)은 내부에 물이 집수 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넓으면서도 가장자리에는 단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단은 통상적으로 1 내지 5cm가 되는데 이러한 단이 배수판(50)과 천장 사이의 거리하고 할 수 있으며, 이 범위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가변형 샤프트(12)를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배수판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가변형 샤프트는 물론 장착홈(11) 까지 길게 형성되는 것이고, 샤프트의 일부를 절단하더라도 천장에 고정 시키는 작업은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배수판(50)은 처짐 현상이 방지되면서 수평(구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유닛(20)은 상기 상부유닛(10)과 체결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부유닛(10)의 나선(16)에 대응하는 나선(21)이 내측에 형성되며, 외측에는 누수 방지 및 결속력 강화를 위한 플랜지(22)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22)의 내측은 결합홈(51)에서 누수 될 수 있는 물이 배수로(15)를 통해 배수가 되도록 중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23)가 마련된다.
본원 발명의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S)은 기본적인 기밀 유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겠지만,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여 배수판(50)의 결합홈(51)을 통해 누수가 발생 되더라도 오목부(23)를 통해 배수로(15)로 배수가 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S)을 이용한 천장용 배수판 설치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천장용 배수판(50)의 중심부에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S)을 결속할 수 있는 결합홈(51)을 천공 한다(S100).
상기 결합홈은 배수판의 두께가 얇은 박판이기 때문에 통상의 코어 드릴 등을 이용하여 수월하게 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천공되면, 결합홈(51)에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며 내측에는 천장(30)과 앵커 볼트(40)로 장착 가능하도록 장착홈(11)이 형성되며, 천장(30)과 배수판(50)의 높낮이에 대응 가능한 가변형 샤프트(12)가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장착홈(11)의 하측에는 배수홈(14)을 통해 유입된 물이 배수관(60)을 통해 배수가 될 수 있도록 배수로(15)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12)의 하부 일측에는 외부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13)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3)의 상부 끝선 위치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홈(14)이 형성되는 한편, 하부 일측에는 하부 유닛과 체결 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선(16)이 형성된 상부유닛(10)을 하측 방향으로 결속한다(S200).
또한, 상기 상부유닛(10)이 결속된 배수판(50)의 타측 방향 즉, 저면 방향에서 상부유닛(10)과 체결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부유닛(10)의 나선(16)에 대응하는 나선(21)이 내측에 형성되며, 외측에는 누수 방지 및 결속력 강화를 위한 플랜지(22)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하부유닛(20)을 체결고정한다(S300).
체결 고정은 나사 결합 고정방식이기 때문에 작업현장에서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S)이 고정된 배수판(50)을 천장에 고정한다(S400). 배수판의 고정 방식은 통상의 배수판 고정방식을 그대로 적용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본원 발명의 설치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즉, 배수판의 테두리부분 고정 후 상부유닛(10)의 장착홈(11)을 통해 천장을 천공한 다음 앵커 볼트(40)를 이용하여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S)을 천장에 고정(S500) 시킴으로써 배수판 고정작업이 완료된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S) 고정 후 배수로(15)를 통해 배수된 물이 최종 하수처리 되도록 하부유닛(20)에 배수관(60)을 이음 연결(S600)함으로써 배수판(50) 설치작업은 완성되는 것이다.
이때 하부유닛(20)과 배수관(60)을 이음 연결하는 방식은 피팅(미도시) 이음 또는 플랜지 이음 등 공지의 파이프 이음 방식을 채택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원 발명의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S)은 배수판의 수량에 맞게 설치할 수 있으며, 하나의 배수판에 다수개의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S)을 설치할 수도 있다.
뿐 아니라, 본원 발명의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S)을 견고하게 결합할 경우 기본적인 방수는 보장받을 수 있으나, 작업현장에 따라 기밀성을 보와 하기 위한 조치로서 실리콘의 도포 내지는 오링 등의 고무패킹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S: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
10:상부유닛 11:장착홈
12:가변형 샤프트 13:플랜지
14:배수홈 15:배수로
16:나선 17:절단선
20:하부유닛
21:나선 22:플랜지
23:오목부 30:천장
40:앵커 볼트 50:배수판
51:결합홈 60:배수관
S100: 결합홈 천공 단계
S200: 상부 유닛 결속 단계
S300: 하부 유닛 체결 고정 단계
S400: 배수판 고정 단계
S500: 배수판 처짐 방지 및 배수 유닛 고정 단계
S600: 배수관 이음 단계

Claims (3)

  1.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며 내측에는 천장(30)과 앵커 볼트(40)로 장착 가능하도록 장착홈(11)이 형성되며, 천장(30)과 배수판(50)의 높낮이에 대응 가능한 가변형 샤프트(12)가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장착홈(11)의 하측에는 배수홈(14)을 통해 유입된 물이 배수관(60)을 통해 배수가 될 수 있도록 배수로(15)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12)의 하부 일측에는 외부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13)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3)의 상부 끝선 위치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홈(14)이 형성되는 한편, 하부 일측에는 하부유닛(20)과 체결 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선(16)이 형성된 상부유닛(10)과,
    상기 상부유닛(10)과 체결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부유닛(10)의 나선(16)에 대응하는 나선(21)이 내측에 형성되며, 외측에는 누수 방지 및 결속력 강화를 위한 플랜지(22)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하부유닛(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S).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22)의 내측은 결합홈(51)에서 누수 될 수 있는 물이 배수로(15)를 통해 배수가 되도록 중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23)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S).
  3. 천장용 배수판(50)의 중심부에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S)을 결속할 수 있는 결합홈(51)을 천공하는 결합홈 천공단계(S100);와,
    상기 결합홈(51)에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며 내측에는 천장(30)과 앵커 볼트(40)로 장착 가능하도록 장착홈(11)이 형성되며, 천장(30)과 배수판(50)의 높낮이에 대응 가능한 가변형 샤프트(12)가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장착홈(11)의 하측에는 배수홈(14)을 통해 유입된 물이 배수관(60)을 통해 배수가 될 수 있도록 배수로(15)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12)의 하부 일측에는 외부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13)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3)의 상부 끝선 위치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홈(14)이 형성되는 한편, 하부 일측에는 하부 유닛과 체결 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선(16)이 형성된 상부유닛(10)을 하측 방향으로 결속하는 상부유닛 결속단계(S200);와,
    상기 상부유닛(10)이 결속된 배수판(50)의 타측 방향에서 상부유닛(10)과 체결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부 유닛의 나선(16)에 대응하는 나선(21)이 내측에 형성되며, 외측에는 누수 방지 및 결속력 강화를 위한 플랜지(22)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하부유닛(20)을 체결고정하는 하부유닛 체결 고정단계(S300);와,
    상기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S)이 고정된 배수판(50)을 천장(30)에 고정하는 배수판 고정단계(S400);와,
    상기 배수판 고정 후 상부유닛(10)의 장착홈(11)을 통해 천장(30)을 천공한 후 앵커 볼트(40)를 이용하여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S)을 천장(30)에 고정시키는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 고정단계(S500);와,
    상기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S) 고정 후 배수로를 통해 배수된 물이 최종 하수처리 되도록 하부 유닛(20)에 배수관(60)을 이음 연결하는 배수관 이음 단계(S6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을 이용한 천장용 배수판 설치방법.
KR1020170045434A 2017-04-07 2017-04-07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과,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을 이용한 천장용 배수판 설치방법 KR101740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434A KR101740388B1 (ko) 2017-04-07 2017-04-07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과,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을 이용한 천장용 배수판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434A KR101740388B1 (ko) 2017-04-07 2017-04-07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과,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을 이용한 천장용 배수판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160A KR20170045160A (ko) 2017-04-26
KR101740388B1 true KR101740388B1 (ko) 2017-05-26

Family

ID=58705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434A KR101740388B1 (ko) 2017-04-07 2017-04-07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과,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을 이용한 천장용 배수판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3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07321A1 (en) 2006-03-29 2009-01-08 Young Boung Kang Drainage apparatus for a sink
KR101389734B1 (ko) 2014-01-22 2014-04-30 주식회사 한국국토안전연구원 물배출 앵커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07321A1 (en) 2006-03-29 2009-01-08 Young Boung Kang Drainage apparatus for a sink
KR101389734B1 (ko) 2014-01-22 2014-04-30 주식회사 한국국토안전연구원 물배출 앵커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160A (ko) 201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5172A (ko) 건물 바닥용 배수트랩
US20070220818A1 (en) Concrete masonry units window and door flashing and installation
KR101740388B1 (ko)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과, 배수판 처짐 방지 및 유도 배수 유닛을 이용한 천장용 배수판 설치방법
KR100906762B1 (ko) 배관 연결용 슬리브조립체
KR100942016B1 (ko) 금속패널의 연결구조
KR200370381Y1 (ko) 지붕조립용 샌드위치판넬
HUT73599A (en) Outlet component to be mounted in concrete floors in particular
KR200438940Y1 (ko)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
KR101702063B1 (ko) 건축용 외장패널 고정구조체
KR100722237B1 (ko) 구조물 외벽체의 방수층 방수턱과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20090078535A (ko) 루프드레인
JPH0346030Y2 (ko)
KR200430324Y1 (ko) 지하이중벽의 내벽패널 설치구조
KR100536067B1 (ko) 건축물 기초의 외단열 구조
KR100641382B1 (ko) 배수처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외단열구조
KR200254715Y1 (ko) 에어컨의 응축수 배수를 위한 장치함
KR20120109095A (ko) 창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346948Y1 (ko) 배수관 고정슬리브
KR100581015B1 (ko) 발코니 배수시설
KR100642983B1 (ko)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
KR100650952B1 (ko) 건축구조물 옥상 방수구조
KR200432330Y1 (ko) 구조물 외벽체의 방수층 방수턱
GB2463070A (en) Device for reinforcing a joist
KR200389143Y1 (ko) 벽체용 방습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방습 블럭 조립체
KR200456309Y1 (ko) 관통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