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9095A - 창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창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9095A
KR20120109095A KR1020110026613A KR20110026613A KR20120109095A KR 20120109095 A KR20120109095 A KR 20120109095A KR 1020110026613 A KR1020110026613 A KR 1020110026613A KR 20110026613 A KR20110026613 A KR 20110026613A KR 20120109095 A KR20120109095 A KR 20120109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ounting
window frame
wall
mount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6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2013B1 (ko
Inventor
이준영
Original Assignee
이준영
주식회사 하누리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영, 주식회사 하누리건설 filed Critical 이준영
Priority to KR1020110026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2013B1/ko
Publication of KR20120109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2Base frames, i.e. template frames for openings in walls or the like, provided with means for securing a further rigidly-mounted frame; Special adaptations of frames to be fixed therei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9Arrangements at the overlapping vertical edges of the wings that engage when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물 벽체의 내벽면으로부터 건물 벽체의 외벽면을 향하여 인입 형성되는 제1결합면과, 제1결합면과 높낮이 차를 갖고 외벽면으로부터 내벽면을 향하여 인입 형성되는 제2결합면과, 외벽면을 향하는 제1결합면의 일 측 단과 내벽면을 향하는 제2결합면의 일 측 단을 연결하는 제3결합면을 포함하며 단차진 구조를 갖는 결합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측에 창문틀이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레일 마련된 지지부와, 지지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벽체의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게 결합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장착부를 구비하며, 장착부는 제1결합면에 장착되는 제1장착면과, 제2결합면에 장착되는 제2장착면과, 제1장착면의 일 측 단과 제2장착면의 일 측 단을 연결하며 제3결합면에 장착되는 제3장착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에 의하면, 실내 측을 향하여 장착되는 제1장착면이 실외 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제2장착면보다 높게 형성된 구조를 가지므로 실외 측으로부터 실내 측으로 전달되는 소음차단, 방풍 및 단열의 효과를 가지며 창호 프레임의 장작부와 창호프레임이 설치되는 건물 벽체의 결합부 사이를 통해 빗물 또는 바람이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창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Window fram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which using this}
본 발명은 창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소음이나 바람 등에 대하여 다중의 방음, 방풍, 단열작용을 할 수 있고, 빗물이 실내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 구조를 갖는 창호의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 프레임은 창문이 장착되어 슬라이딩 동작으로 개폐시키도록 창문을 지지하는 것으로, 창문의 수에 따라 단 창 또는 이중창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러한 창호 프레임은 개폐공간의 효율성과 시공의 편의성 등 원가절감의 차원에서 대다수의 건축물에 적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보다 넓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창문의 크기가 점점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종래의 창호 프레임의 일 예로서, 창틀의 레일과 유리가 끼워지는 창틀의 접촉부 또는 레일을 구분하게 설치된 격벽에 슬라이딩 동작에 방해를 끼치지 않는 범위에서 모헤어를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창호 프레임은 건물의 격벽에 설치될 시 격벽의 결합면에 결합되는 부분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어 결합면과 창호 프레임 사이를 통해 바람이나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결합면에 모르타르를 바른 후 창호 프레임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모르타르가 양생되는 과정에서 수축되어 결합면과 창호 프레임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바람이나 빗물이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창호 프레임과 창호프레임이 설치되는 건물 벽체의 결합부 사이를 통해 빗물 또는 바람이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단열 방음 기능을 갖도록 높낮이 차를 갖는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은 건물 벽체의 내벽면으로부터 상기 건물 벽체의 외벽면을 향하여 인입 형성되는 제1결합면과, 상기 제1결합면과 높낮이 차를 갖고 상기 외벽면으로부터 상기 내벽면을 향하여 인입 형성되는 제2결합면과, 상기 외벽면을 향하는 상기 제1결합면의 일 측 단과 상기 내벽면을 향하는 상기 제2결합면의 일 측 단을 연결하는 제3결합면을 포함하며 단차진 구조를 갖는 결합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측에 창문틀이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레일 마련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벽체의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게 상기 결합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1결합면에 장착되는 제1장착면과, 상기 제2결합면에 장착되는 제2장착면과, 상기 제1장착면의 일 측 단과 상기 제2장착면의 일 측 단을 연결하며 상기 제3결합면에 장착되는 제3장착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1장착면은 상기 결합부에 상기 내벽면을 향하여 장착되고, 상기 제2장착면은 상기 결합부에 상기 외벽면을 향하여 장착되며, 상기 제1장착면은 상기 제2장착면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상기 내벽면과 상기 외벽면을 향하여 설치되는 제1상부장착면과 제2상부장착면이 각각 마련된 상부장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부에 상기 내벽면과 상기 외벽면을 향하여 설치되는 제1하부장착면와 제2하부장착면이 각각 마련된 하부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상부장착면은 상기 제2상부장착면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하부장착면은 상기 제2하부장착면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될 시 상기 결합부의 표면에 도포되는 모르타르가 상기 결합면과 상기 장착부 사이에서 상기 모르타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부 방향을 향하여 인입된 인입홈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인입홈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결합면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리브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 시공방법은 창호 프레임이 벽체에 삽입 설치될 수 있게 상기 벽체에 제1결합면과 제2결합면 및 제3결합면을 포함하는 결합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1결합면과 상기 제2결합면이 단차지게 상기 결합부를 형성하는 결합부 형성단계와, 상기 결합부에 상기 창호프레임이 고정될 수 있게 상기 결합부에 모르타르를 도포하는 도포단계와, 상기 창호 프레임의 제1장착면과 상기 제2장착면 및 상기 제3장작면이 상기 제1결합면과 상기 제2결합면 및 상기 제3결합면에 장착되게 상기 창호 프레임을 상기 결합부에 장착하는 장착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에 의하면, 실내 측을 향하여 장착되는 제1장착면이 실외 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제2장착면보다 높게 형성된 구조를 가지므로 실외 측으로부터 실내 측으로 전달되는 소음차단, 방풍 및 단열의 효과를 가지며 창호 프레임의 장작부와 창호프레임이 설치되는 건물 벽체의 결합부 사이를 통해 빗물 또는 바람이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창호 프레임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창호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창호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7a는 도 5에 도시된 결합부 형성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5에 도시된 도포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c는 도 5에 도시된 장착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은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c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2)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7c를 참조하면, 창호 프레임(2)은 내측에 창문틀(40)이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부(100)와, 지지부(100)의 외측에 형성되어 후술되는 건물 벽체(1)의 결합부(30)에 결합될 수 있게 결합부(3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장착부(2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건물 벽체(1)의 내벽면(10)과 외벽면(20)은 건물의 실내 측과 실외 측에 위치되는 벽체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2)은 건물 벽체(1)에 창문을 설치할 수 있게 일부를 개방 형성되고 적어도 둘 이상의 결합면을 포함하는 단차진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부(30)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2)을 설명하기 이전에 창호 프레임(2)이 설치되는 건물 벽체(1)의 결합부(30)에 대해 설명한다.
결합부(30)는 제1결합면과 제2결합면 및 제3결합면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결합면은 후술되는 제1상부결합면(34a)과 제1하부결합면(35a)을 포함하고, 제2결합면은 후술되는 제2상부결합면(34b) 및 제2하부결합면(35b)을 포함하며, 제3결합면은 후술되는 제3상부결합면(34c) 및 제3하부결합면(35c)을 포함한다.
제1결합면은 건물 벽체(1)의 내벽면(10)으로부터 외벽면(20)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벽체(1)가 이루는 평면과 직교하는 평면상에 형성된다. 제2결합면은 건물 벽체(1)의 외벽면(20)으로부터 내벽면(10)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되 제1결합면와 높이 차를 갖도록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된다. 제3결합면은 제1결합면의 연장방향의 일 측 단과 제2결합면의 연장방향의 일 측 단을 연결하는 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면과 제2결합면이 이루는 평면과는 직교되는 평면상에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3결합면(33)은 건물 벽체(1)와 평행한 평면상에 즉, 제1결합면(31)과 제2결합면(32)이 이루는 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구조가 도시되었으나, 건물 벽체(1)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경사진 평면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후술되는 장착부(200)의 제3하부장착면(223)과 제3결합면(33)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창호 프레임(2)의 설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건물 벽체(1)의 결합부(30)는 상부결합부(34)와 하부결합부(35) 및 측면결합부(36)로 구분된다.
상부결합부(34)는 결합부(30)에 있어 상부에 형성되고, 제1상부결합면(34a)과 제2상부결합면(34b) 및 제3상부결합면(34c)으로 이루어진다. 하부결합부(35)는 결합부(30)의 하부에 형성되고, 제1하부결합면(35a)과 제2하부결합면(35b) 및 제3하부결합면(35c)으로 이루어진다. 측면결합부(30)는 상부결합부(34)와 하부결합부(35) 사이에 형성된다.
상부결합부(34)와 하부결합부(35)는 설명의 편의상 결합부(30)를 상하로 구분한 것으로 제1상부결합면(34a)과 제1하부결합면(35a)은 제1결합면에 포함되고, 제2상부결합면(34b)과 제2하부결합면(35b)은 제2결합면에 포함되며, 제3상부결합면(34c)과 제3하부결합면(35c) 또한 제3결합면에 포함된다.
제1상부결합면(34a)과 제2상부결합면(34b)은 제3상부결합면(34c)에 의해 단차지게 형성되고, 제1하부결합면(35a)과 제2하부결합면(35b) 또한 제3하부결합면(35c)에 의해 단차지게 형성된다.
제3상부결합면(34c)은 제1상부결합면(34a)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2상부결합면(34b)이 제1상부결합면(34a)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제3하부결합면(35c)은 제1하부결합면(35a)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2하부결합면(35b)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지지부(100)는 베이스(110)와 가이드레일(120)과 측벽(130)을 포함한다.
베이스(110)는 창호 프레임(2)을 이루는 기본적인 틀로서 내부가 빈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베이스(110)는 상부결합부(34) 방향으로 배치되는 천장부(111)과, 하부결합부(35) 방향으로 배치되는 바닥부(112) 및 천장부(111)과 바닥부(112) 양측을 연결하는 수직부(113)을 포함한다.
가이드레일(120)은 창문틀(40) 하부에 마련된 롤러(41)가 바닥부(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바닥부(112)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된 것으로 끝 부분이 롤러(41)를 밀착지지할 수 있게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측벽(130)은 바닥부(112)의 폭 방향 양 끝단 측에 바닥부(11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것으로, 창문틀(40)의 롤러(41)가 가이드레일(120)로부터 이탈될 시 창호 프레임(2)으로부터 창문틀(4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베이스(110)는 자연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외벽면(20)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외벽면(20) 방향으로 형성된 일 측의 측벽(130) 및 가이드레일(120)에는 좌우를 관통하는 배수구가 다수 형성된다.
장착부(200)는 상부장착부(210)와 하부장착부(220)를 구비하고, 상부장착부(210)는 제1상부장착면(211)과 제2상부장착면(212)과 제3상부장착면(213) 및 상부연장부(214)를 포함하며, 하부장착부(220)는 제1하부장착면(221)과 제2하부장착면(222)와 제3하부장착면(223) 및 하부연장부(224)를 포함한다.
상부연장부(214)는 천장부(111)으로부터 제1길이만큼 상방으로 연장되고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제1상부연장부(215)과, 천장부(111)으로부터 상방으로 제2길이만큼 연장되고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제2상부연장부(216)을 포함한다.
제1상부연장부(215)과 제2상부연장부(216)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며, 제1상부연장부(215)의 길이는 제2상부연장부(216)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진다.
제1상부장착면(211)은 제1상부연장부(215)들의 끝단을 연결하는 것으로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건물 벽체(1)의 제1상부결합면(34a)에 장착된다.
제2상부장착면(212)은 제2상부연장부(216)들의 끝단을 연결하는 것으로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건물 벽체(1)의 제2상부결합면(34b)에 장착된다.
제3상부장착면(213)은 제1상부장착면(211)과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상부장착면(212)을 연결하는 것으로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건물 벽체(1)의 제3상부결합면(34c)에 장착된다.
제1상부장착면(211)은 제2상부연장부(216)보다 긴 길이로 연장된 제1상부연장부(215)에 의해 제2상부장착면(212)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장착부(210)는 내벽면(10) 측에서 외벽면(20) 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계단형상을 갖는다.
하부연장부(220)는 바닥부(112)로부터 제1길이만큼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하부연장부(225)와, 바닥부(112)로부터 제2길이만큼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하부연장부(226)를 포함한다.
제1하부연장부(225)과 제2하부연장부(226)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며, 제1상부연장부(215)의 길이는 제2상부연장부(216)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다.
제1하부장착면(221)은 제1하부연장부(225)들의 끝단을 연결하는 것으로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건물 벽체(1)의 제1하부결합면(35a)에 장착된다.
제2하부장착면(222)은 제2하부연장부(226)들의 끝단을 연결하는 것으로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건물 벽체(1)의 제2하부결합면(35b)에 장착된다.
제3하부장착면(223)은 제1하부장착면(221)과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하부장착면(222)을 연결하는 것으로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건물 벽체(1)의 제3하부결합면(35c)에 장착된다.
제1하부장착면(221)은 제2하부연장부(226)보다 긴 길이로 연장된 제1하부연장부(225)에 의해 제2하부장착면(222)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장착부(220)의 형상 또한 상부장착부(210)와 대응되게 내벽면(10) 측에서 외벽면(20) 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계단형상을 갖는다.
장착부(200)는 상부장착부(210)와 하부장착부(220)를 연결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30)의 측면결합부(36) 형상과 대응되게 평탄한 구조의 측면결합부(미도시)가 결합 될 수도 있고, 상부장착부(210)와 대응되는 단차진 구조를 갖는 측면결합부가 결합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합부(30)의 측면결합부(36)는 측면장착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장착부(200)에는 결합부(30)에 결합될 시 결합부(30)와 장착부(200) 사이에 도포되는 모르타르(5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지지부(100)를 향하여 인입된 인입홈(230)이 형성된다.
인입홈(230)에는 모르타르(50)가 수용되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내측으로부터 결합부(30)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리브(231)가 마련된다. 리브(231)는 창호 프레임(2)의 자중에 의해 인입홈(230)으로 유입되는 모르타르(50) 속에서 굳어져 장착부(200)에 외력이 작용할 경우 모르타르(50)에 지지되어 장착부(200)가 결합부(30)로부터 이탈되는 것 즉, 외벽면(20)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벽면(10) 측에서 외벽면(20) 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계단형상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2)에 의하면 외벽면(20)을 타고 흐르는 빗물 또는 창문틀(40)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제2상부장착면(212)과 제2상부결합면(34b) 사이의 공간 그리고 제2하부장착면(222)과 제2하부결합면(35b)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입될 수는 있으나 제1상부장착면(211)과 제1하부장착면(221)이 각각 제2상부장착면(212)과 제2하부장착면(222) 보다 높은 위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빗물이 사이 공간을 통해 내벽면(1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200)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4를 참조하면, 하부장착부(220)는 상부장착부(21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되 내벽면(10) 측으로부터 외벽면(20) 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제1하부장착면(221)이 제2하부장착면(222) 보다 낮은 위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건물 벽체(1)의 결합부(30)는 제1하부결합면(35a) 보다 제2하부결합면(35b)이 높은 구조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200)가 내벽면(10) 측에서 외벽면(20) 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구조의 경우 외벽면(20) 측으로 창호 프레임(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창호 프레임(2)을 결합부(30)에 단순히 끼워넣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이 용이하다.
한편, 하부장착부(220)가 외벽면(20) 측에서 내벽면(10) 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구조는 빗물이 유입되기 용이한 구조이나, 하부결합부(35)와 하부장착부(220) 사이에는 창호 프레임(2)을 결합부(30)에 고정하기 위해 모르타르(50)가 도포되고 모르타르(50)가 양생 중 수축되더라도 창호 프레임(2)의 하중에 의해 하부결합부(35)와 하부장착부(220) 사이의 공간이 밀봉되므로 실질적으로 빗물은 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하부결합부 및 하부장착부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는 다르게 각각 평탄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장착면과 제2장착면이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와는 다르게 상호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 시공방법은 결합부 형성단계(S1)와, 도포단계(S2)와, 장착단계(S3)를 포함한다.
결합부 형성단계(S1)는 창호 프레임(2)의 상부장착부(210)와 하부장착부(220)가 설치될 수 있게 창호 프레임(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내벽면(10) 측에 외벽면(20) 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계단 구조를 갖는 건물 벽체(1)의 상부결합부(34) 및 하부결합부(35)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건물 벽체(1)를 형성하기 위한 기초지반형성, 철근 배근, 거푸집 설치, 모르타르를 타설 및 양생 과정을 거친다.
도포단계(S2)는 양생을 거쳐 단차지게 형성된 결합부(30)에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2)을 고정하기 위해 모르타르(50)를 하부결합부(35)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로 소정 양의 모르타르(50)를 하부결합부(35)에 도포한다. 본 단계는 건물 벽체(1)가 콘크리트 구조물이 아닌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장착단계(S3)는 창호 프레임(2)을 결합부(30)에 삽입장착하는 단계로서, 창호 프레임(2)의 상부장착부(210) 및 하부장착부(220)를 결합부(30)의 상부결합부(34)와 하부결합부(35)에 각각 밀착되게 장착한다.
장착단계(S4) 이후에는 결합부(30)와 창호 프레임(2) 사이에 에폭시 수지, 우레탄 폼 등을 주입하여 결합부(30)와 창호 프레임(2) 사이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건물 벽체 2 : 창호 프레임
10 : 내벽면 20 : 외벽면
30 : 결합부 40 : 창틀
100 : 지지부 110 : 베이스
120 : 가이드레일 200 : 장착부
210 : 상부장착부 220 : 하부장착부
230 : 인입홈 231 : 리브
S1 : 결합부형성단계
S2 : 도포단계
S3 : 장착단계

Claims (5)

  1. 건물 벽체의 내벽면으로부터 상기 건물 벽체의 외벽면을 향하여 인입 형성되는 제1결합면과, 상기 제1결합면과 높낮이 차를 갖고 상기 외벽면으로부터 상기 내벽면을 향하여 인입 형성되는 제2결합면과, 상기 외벽면을 향하는 상기 제1결합면의 일 측 단과 상기 내벽면을 향하는 상기 제2결합면의 일 측 단을 연결하는 제3결합면을 포함하며 단차진 구조를 갖는 결합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측에 창문틀이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레일 마련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벽체의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게 상기 결합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1결합면에 장착되는 제1장착면과, 상기 제2결합면에 장착되는 제2장착면과, 상기 제1장착면의 일 측 단과 상기 제2장착면의 일 측 단을 연결하며 상기 제3결합면에 장착되는 제3장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면은 상기 결합부에 상기 내벽면을 향하여 장착되고, 상기 제2장착면은 상기 결합부에 상기 외벽면을 향하여 장착되며,
    상기 제1장착면은 상기 제2장착면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상기 내벽면과 상기 외벽면을 향하여 설치되는 제1상부장착면과 제2상부장착면이 각각 마련된 상부장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부에 상기 내벽면과 상기 외벽면을 향하여 설치되는 제1하부장착면와 제2하부장착면이 각각 마련된 하부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상부장착면은 상기 제2상부장착면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하부장착면은 상기 제2하부장착면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4.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될 시 상기 결합부의 표면에 도포되는 모르타르가 상기 결합면과 상기 장착부 사이에서 상기 모르타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부 방향을 향하여 인입된 인입홈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인입홈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결합면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리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5. 제1항에 따른 창호 프레임이 벽체에 삽입 설치될 수 있게 상기 벽체에 제1결합면과 제2결합면 및 제3결합면을 포함하는 결합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1결합면과 상기 제2결합면이 단차지게 상기 결합부를 형성하는 결합부 형성단계와;
    상기 결합부에 상기 창호프레임이 고정될 수 있게 상기 결합부에 모르타르를 도포하는 도포단계와;
    상기 창호 프레임의 제1장착면과 상기 제2장착면 및 상기 제3장작면이 상기 제1결합면과 상기 제2결합면 및 상기 제3결합면에 장착되게 상기 창호 프레임을 상기 결합부에 장착하는 장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시공방법.
KR1020110026613A 2011-03-24 2011-03-24 창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12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613A KR101312013B1 (ko) 2011-03-24 2011-03-24 창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613A KR101312013B1 (ko) 2011-03-24 2011-03-24 창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095A true KR20120109095A (ko) 2012-10-08
KR101312013B1 KR101312013B1 (ko) 2013-09-27

Family

ID=47280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613A KR101312013B1 (ko) 2011-03-24 2011-03-24 창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20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046B1 (ko) * 2015-03-04 2015-06-03 주식회사 스타빌엔지니어링 따뜻한 집 건축을 위한 창틀 단열 공법
KR20160068593A (ko) * 2014-12-06 2016-06-15 김태양 빗물침투를 방지하고 자연스러운 배수구조를 갖는 창문샤시
CN109629740A (zh) * 2019-01-05 2019-04-16 山东邦得绿建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防冷桥装配式外挂墙板的边框及窗口边框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973Y1 (ko) * 2003-12-22 2004-04-06 쌍용제이제이주식회사 이중 창문을 갖는 창틀프레임의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593A (ko) * 2014-12-06 2016-06-15 김태양 빗물침투를 방지하고 자연스러운 배수구조를 갖는 창문샤시
KR101525046B1 (ko) * 2015-03-04 2015-06-03 주식회사 스타빌엔지니어링 따뜻한 집 건축을 위한 창틀 단열 공법
WO2016140405A1 (ko) * 2015-03-04 2016-09-09 주식회사 스타빌엔지니어링 따뜻한 집 건축을 위한 창틀 단열 공법
US10221611B2 (en) 2015-03-04 2019-03-05 Starvillengineering Co., Ltd. Window frame insulation method for constructing warm house
CN109629740A (zh) * 2019-01-05 2019-04-16 山东邦得绿建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防冷桥装配式外挂墙板的边框及窗口边框结构
CN109629740B (zh) * 2019-01-05 2023-11-14 山东邦得绿建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防冷桥装配式外挂墙板的边框及窗口边框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2013B1 (ko) 2013-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2478B1 (ko) 커튼월용 외벽 단열 유니트 패널 및 그 설치방법
KR200491614Y1 (ko) 오염방지 및 내진 구조를 갖는 마감패널 조립체
KR101266392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적층식 차수장치
KR101672855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커튼월 창호
US11846134B2 (en) Modular sill
KR101312013B1 (ko) 창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15132118A (ja) 建物外部構築物
KR100591393B1 (ko) 창호시스템
KR101786546B1 (ko) 빗물 유입 방지 창호
KR100900479B1 (ko) 물받이가 구비된 조립식 창틀용 프레임구조
KR101203941B1 (ko)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
JP4928371B2 (ja) 建具周囲の排水構造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KR101591091B1 (ko) 커튼 월
KR100491963B1 (ko) 공동주택 창문 빗물커버용 알루미늄 인방틀 설치공법
KR200370381Y1 (ko) 지붕조립용 샌드위치판넬
KR101179549B1 (ko) 건축물 외벽의 차양고정장치
KR20130068833A (ko) 건축용 지붕패널 조립장치
JP5605037B2 (ja) 建物の外壁構造及び壁パネル
KR200377242Y1 (ko) 창틀 우수 배수용구
JP4600157B2 (ja) サッシの排水具
CN107700800B (zh) 用平面带肋的排水板和龙骨做出中空粉刷层
KR100991228B1 (ko) 건축물 창호 고정구조
JP5066045B2 (ja) 建具
KR101310406B1 (ko) 수직 및 수평 배수수단을 구비한 건식 커튼월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