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941B1 -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 - Google Patents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941B1
KR101203941B1 KR1020120029729A KR20120029729A KR101203941B1 KR 101203941 B1 KR101203941 B1 KR 101203941B1 KR 1020120029729 A KR1020120029729 A KR 1020120029729A KR 20120029729 A KR20120029729 A KR 20120029729A KR 101203941 B1 KR101203941 B1 KR 101203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nishing
insulation
window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규
Original Assignee
(주)융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융기 filed Critical (주)융기
Priority to KR1020120029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28Protection against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창틀이 벽체에 시공될 때, 창틀이 벽체에 시공될 때, 특히 창틀의 고정프레임에 형성된 돌출처마부로 인해 외부마감선을 일정한 라인으로 형성할 수 있어 외부마감을 깔끔하게 할 수 있으며, 돌출처마부 형성에 따른 단열층 확보로 인해 단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EAVES STRUCTURE FOR WINDOW FRAME}
본 발명은 창틀 단열 및 마감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이 벽체에 시공될 때, 특히 창틀의 고정프레임에 형성된 돌출처마부로 인해 외부단열마감선을 일정한 라인으로 형성할 수 있어 외부단열마감을 깔끔하게 할 수 있으며, 돌출처마부 형성에 따른 단열층 확보로 인해 단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벽이나 지붕에 창틀과 창문으로 이루어지는 창호가 설치되는 데, 이러한 창호는 집안에서 밖을 내다 볼 수 있도록 하고 집안으로 햇빛이 들어올 수 있도록 하며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창문은 기밀성, 수밀성, 내풍압성 및 단열성능 등이 우수할 것이 요구된다.
한편, 창호는 비내력벽으로서 벽체 하중을 분담하지 않는 프레임을 연속 조합하여 건축물의 외벽체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창문을 이루는 프레임은 비교적 경량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건축물의 경량화에 도움이 되고, 기초 골조에 하중 부담을 경감하여 주며, 현장의 설치 작업이 간편한 등의 이유로 최근에 신축되는 건축물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여기서, 상기 창틀은 벽체에 설치하기 위해, 벽체에 올려놓는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고정시키게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창틀을 벽체에 설치하는 구조는 벽체 상측에 창틀을 올려놓은 상태, 즉 창틀의 바닥과 벽체가 단순히 서로 맞대어진 상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창틀과 벽체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의 공기나 빗물이 실내로 유입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은 기밀성, 내풍압성 및 단열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창틀은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고정시킨 다음, 창문의 외곽을 몰탈로 미장 마감하여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하지만, 종래의 창틀을 벽체에 설치하는 구조는 창틀의 외곽을 마감하는 미장 마감면을 정확하게 맞추어 시공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창틀의 외곽을 마감하는 마감면이 일정하지 못하고 비틀게 마감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창틀의 외곽을 마감하는 미장 마감면이 깨끗한 구조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창틀에 시공되는 미장 마감면의 정확한 수직, 수평기울기 측량 등의 시공이 선행되어야 했으며, 창틀의 외곽에 미장 마감을 위한 수직 수평기울기 기준선을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의 저하뿐 아니라 이로 인한 건축물의 시공 기간도 늘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창틀의 크기 및 설치 위치에 따라 미장 마감을 하기 위한 별도의 기준선을 설치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불필요한 추가인력 및 작업시간이 발생할 수 있었으며, 이 기간에는 다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어 건축물의 시공기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창틀이 벽체에 시공될 때, 특히 창틀의 고정프레임에 형성된 돌출처마부로 인해 외부마감선을 일정한 라인으로 형성할 수 있어 외부마감을 깔끔하게 할 수 있으며, 돌출처마부 형성에 따른 단열층 확보로 인해 단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은, 하부프레임, 상부프레임 및 측면프레임이 창문의 테두리를 따라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되, 창문의 내측을 고정시키는 고정블럭 및 상기 창문의 외측 및 저면을 고정하도록 상기 고정블럭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된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고정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의 고정프레임의 외측면 상단에 돌출처마부가 형성되도록 상단이 하단에 비해 돌출형성되어 돌출처마부의 하측에 추가적 단열공간을 확보하도록 하고, 상기 돌출처마부 하단 외측단부에는 외부단열마감선을 지정해주는 마감표기돌기가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마감돌기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돌출처마부 하단에는 공기나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방지돌기가 하향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돌출처마부 하단에 형성된 마감표기돌기를 기준으로 고정프레임 하측을 단열마감함으로써 외부단열마감선이 일정한 라인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처마부의 하단에 형성된 단열공간의 추가적 단열으로 인해 단열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는 창틀이 벽체에 시공될 때, 특히 창틀의 고정프레임에 형성된 돌출처마부로 인해 외부마감선을 일정한 라인으로 형성할 수 있어 외부마감을 깔끔하게 할 수 있으며, 돌출처마부 형성에 따른 단열층 확보로 인해 단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삭제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인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에 따른 고정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과 창문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4는 도1의 B-B 단면도이고,
도5는 도1의 C-C 단면도이고,
도6은 도1의 A-A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인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에 따른 고정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과 창문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4는 도1의 B-B 단면도이고, 도5는 도1의 C-C 단면도이고, 도6은 도1의 A-A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101), 상부프레임(102) 및 측면프레임(103)이 창문(10)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어 창틀(100)을 이루는 구조로서, 상기 창틀(100)은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10)의 내측을 고정시키는 고정블럭(110), 상기 창문(10)의 외측 및 저면을 고정하도록 상기 고정블록(110)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120)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공간에는 선택적으로 단열재(20)가 충진되며, 상기 고정블럭(110)과 창문(10)이 만나는 부분과 상기 고정프레임(120)과 창문(10)이 만나는 부분에는 밀봉부재(130)가 설치되어 창문을 지지 및 기밀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밀봉부재(130)는 외부 및 내부밀봉부재(131,13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120)과 창문(10)이 만나는 부분에 설치되는 외부밀봉부재(131) 및 상기 고정블럭과 유리창이 만나는 부분에 설치되는 내부밀봉부재(13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스킷 즉, 고무패킹을 결합하여 밀봉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종래와 같이 실리콘 액으로 밀봉처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창문의 하면과 창틀(10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기 위해 차단밀봉부재(14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차단밀봉부재(140)는 내부가 중공(141a)으로 형성된 차단부(141)와 차단부(141)의 일부분에서 외부로 돌출된 결합부(142)로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프레임(120)에는 차단밀봉부재(140)의 결합부(142)와 대응되는 결합홈(121)이 형성되며, 이 결합홈(121)에 차단밀봉부재(140)의 결합부(142)가 결합되어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차단밀봉부재(140)의 결합부(142)가 창틀(100)의 결합홈(1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리창(10)을 결합하면 중공(141a)의 차단부(141)가 눌리면서 압축 변형되어 넓은 면적으로 틈새를 차단하게 구성된다. 이때, 차단부(141)의 내부를 중공(141a)으로 형성하는 것은 탄성력을 주어 외부에서 힘을 가했을 때 압축 변형이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프레임의 외측면 상단에는 돌출처마부(122)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상기 돌출처마부(122)는 고정프레임(120)의 상단이 하단에 비해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상기 돌출처마부(122)의 하측에 추가적 단열공간(I)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 돌출처마부(122) 하단 외측단부에는 외부단열마감선(S)을 지정해주는 마감표기돌기(122-1)가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마감표시돌기(122-1)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돌출처마부(122) 하단에는 공기나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방지돌기(122-2)가 하향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프레임의 역할을 창틀의 측면프레임과 상부프레임 부분을 표현하고 있는 도4 및 도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창틀의 외부마감단열시 돌출처마부의 하단에 형성된 마감표시돌기(122-1)에 의해 표시된 외부단열마감선(S)에 맞추어 외부마감을 시공하면 외부단열마감선(S)이 일직선으로 깔끔하게 표현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본 발명에서와 같은 외부마감시 마감선을 표시해 주는 표시부재가 없었기 때문에 외부단열마감선이 일직선이 되지 않고 삐둘삐둘해져서 마감외관이 좋지 않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마감표시돌기에 의해 표시되는 외부단열마감선으로 인해 외부단열마감이 일정한 직선으로 시공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다.

또한, 외부단열마감이 시공된 다음에는 추가적 단열공간(I)과 유입방지돌기(122-2)로 인해 단열성능이 향상된다. 즉, 고정프레임(120)의 외측 상단에 돌출처마부(122)가 형성되므로 상대적으로 고정프레임(120)의 하측 하단에 추가적 단열공간(I)이 형성되며, 상기 추가적 단열공간(I)에는 단열마감된다. 따라서, 외부단열마감선(S)과 고정프레임(120)의 저면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는 공기나 빗물은 고정프레임의 돌출처마부 하단과 추가적 단열공간에 시공된 외부단열부재(M)와의 접촉면 사이를 통해 유입되며 유입되는 과정에서, 고정프레임의 마감표시돌기(122-1) 및 유입방지돌기(122-2)에 의해 유입경로가 굴곡져 공기나 빗물의 유입이 어려워져 공기나 빗물이 내부로 침투할 수 없게 된다. 이에,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 단열성능이 향상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는 창틀의 하부프레임도 상부프레임 및 측면프레임과 동일하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배수를 위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101)의 돌출처마부(122) 하단부에는 배수공(122-3)이 형성되어 상기 창틀의 내부에서 배출되는 빗물이 하부프레임의 돌출처마부(122)의 하측에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배수공(122-3)은 돌출처마부(122)의 하방으로 형성되어 빗물이 돌출처마부(122)의 하측으로 낙하되면서 배출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돌출처마부(122) 내부에서 빗물이 용이하게 배출되며, 이와 같이 배출되는 빗물은 물흐름처마(150)를 통해 지면으로 낙하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유리창 100: 창틀
110: 고정블럭 120: 고정프레임
122: 돌출처마부 122-1: 마감표시돌기
122-2: 유입방지돌기 122-3: 배수공
150: 물흐름처마 I: 추가적 단열공간
S: 외부단열마감선 M: 외부단열부재

Claims (3)

  1. 하부프레임, 상부프레임 및 측면프레임이 창문의 테두리를 따라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되, 창문의 내측을 고정시키는 고정블럭 및 상기 창문의 외측 및 저면을 고정하도록 상기 고정블럭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된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고정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의 고정프레임의 외측면 상단에 돌출처마부가 형성되도록 상단이 하단에 비해 돌출형성되어 돌출처마부의 하측에 추가적 단열공간을 확보하도록 하고, 상기 돌출처마부 하단 외측단부에는 외부단열마감선을 지정해주는 마감표기돌기가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마감돌기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돌출처마부 하단에는 공기나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방지돌기가 하향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돌출처마부 하단에 형성된 마감표기돌기를 기준으로 고정프레임 하측을 단열마감함으로써 외부단열마감선이 일정한 라인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처마부의 하단에 형성된 단열공간의 추가적 단열으로 인해 단열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120029729A 2012-03-23 2012-03-23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 KR101203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729A KR101203941B1 (ko) 2012-03-23 2012-03-23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729A KR101203941B1 (ko) 2012-03-23 2012-03-23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3941B1 true KR101203941B1 (ko) 2012-11-22

Family

ID=47565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729A KR101203941B1 (ko) 2012-03-23 2012-03-23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94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860B1 (ko) * 2015-04-21 2015-12-18 (주)지에이에스디 외벽체 창호 시스템 및 그의 설치 방법
KR20160021476A (ko) 2014-08-18 2016-02-26 정준호 광고기능을 가진 단열 블럭
KR101612412B1 (ko) * 2015-06-30 2016-04-15 오석건설 주식회사 창호의 유리창 단열 마감장치
KR101692385B1 (ko) * 2016-02-04 2017-01-03 주식회사 효성금속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
KR101904398B1 (ko) * 2017-06-29 2018-10-04 (유)원테크 단열 기능이 향상된 창틀 조립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1476A (ko) 2014-08-18 2016-02-26 정준호 광고기능을 가진 단열 블럭
KR101578860B1 (ko) * 2015-04-21 2015-12-18 (주)지에이에스디 외벽체 창호 시스템 및 그의 설치 방법
KR101612412B1 (ko) * 2015-06-30 2016-04-15 오석건설 주식회사 창호의 유리창 단열 마감장치
KR101692385B1 (ko) * 2016-02-04 2017-01-03 주식회사 효성금속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
KR101904398B1 (ko) * 2017-06-29 2018-10-04 (유)원테크 단열 기능이 향상된 창틀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3941B1 (ko)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
KR20110002819U (ko) 창호
US20150191966A1 (en) Window assemblies including bronze elements
KR20120040339A (ko) 커튼월형 창호
KR100900479B1 (ko) 물받이가 구비된 조립식 창틀용 프레임구조
KR101234284B1 (ko) 문짝 및 폐쇄창의 설치용 유리 실외 끼움 창호프레임 구조
KR101526193B1 (ko) 단열, 기밀, 조립 및 안전성이 개선된 미서기 창호
KR101014297B1 (ko) 창호
KR101354665B1 (ko) 방충 및 방범 기능이 동시에 부여되고, 물성성능이 강화된 창호 시스템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JP4928371B2 (ja) 建具周囲の排水構造
KR20110001759A (ko) 커튼 월
KR20110001777A (ko) 커튼 월
KR101281356B1 (ko) 커튼 월
KR100491963B1 (ko) 공동주택 창문 빗물커버용 알루미늄 인방틀 설치공법
KR20120109095A (ko) 창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594741B1 (ko) 건축물 아치형 외각 창문 구조
KR100951443B1 (ko) 창문
JP2013011148A (ja) 横連窓pcカーテンウォール
KR101203940B1 (ko) 빗물 배수구조가 형성된 창틀
KR101234282B1 (ko) 단독창호용 창호프레임 구조
KR20120124971A (ko) 문짝 및 폐쇄창의 설치용 유리 내부 끼움 창호프레임 구조
JP5013553B2 (ja) 引違いサッシ
CN210714308U (zh) 一种具有排水系统的门窗系统
CN214576473U (zh) 一种室外窗与窗框防渗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