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0339A - 커튼월형 창호 - Google Patents

커튼월형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0339A
KR20120040339A KR1020100101689A KR20100101689A KR20120040339A KR 20120040339 A KR20120040339 A KR 20120040339A KR 1020100101689 A KR1020100101689 A KR 1020100101689A KR 20100101689 A KR20100101689 A KR 20100101689A KR 20120040339 A KR20120040339 A KR 20120040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window
window portion
curtain wall
outer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0032B1 (ko
Inventor
장대호
김양규
신승철
황재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00101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032B1/ko
Publication of KR20120040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된 비전부(vision part)들 및 상기 비전부들 사이에 위치된 스팬드럴부(spandrel part)들이 연속하여 형성된 건물에 설치할 수 있는 커튼월형 창호에 있어서, 상기 비전부에 삽입되는 내부 창호부; 상기 내부 창호부와 결합되고, 두께의 일부가 상기 비전부에 삽입되며, 상기 비전부 및 상기 스팬드럴부 상에 위치되는 외부 창호부; 및 상기 외부 창호부 및 상기 내부 창호부에 끼워지는 마감재들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 창호부는 인접한 다른 외부 창호부와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커튼월형 창호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커튼월형 창호는 미려한 건물의 입면을 제공하고, 건물 내부의 단열성을 향상시키며, 하중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고, 침투수 및 내부 결로수의 유입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커튼월형 창호{CURTAIN WALL TYPE WINDOW}
본 발명은 커튼월형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부층의 창호들간의 연속적인 결합, 설치의 용이성 및 구조적 안정성을 구현하기 위한 커튼월형 창호에 관한 것이다.
창호는 건물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시키기 위하여 창이나 출입구 등과 같은 개구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창호는 건물의 입면에서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공동 주택 또는 주상복합 건물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창호는 끼워넣기식 창호(punched window)이다. 이러한 끼워넣기식 창호는 세대별 창이 설치될 수 있는 비전부에 각각 삽입되는 형태이다. 이로 인해, 건물의 입면은 창호의 형태에 따라 세대별로 상호 간에 분할된 형태를 갖게 된다. 하지만, 건물에서 층과 층 사이를 나타내는 스팬드럴부는 창호가 설치되지 않고 건물 자체의 표면을 그대로 드러내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끼워넣기식 창호는 건물의 입면에 대한 일체성을 나타내지 못하여, 건물의 아름다운 입면을 나타내는 데에 다소 제한적이다.
또한, 최근 창호는 단일 소재를 벗어나 금속, 플라스틱 및 목재 등 다양한 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창호가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나뉘어지고 상이한 재료로 제작되어 상호 결합되고 있다. 이때, 상호 결합은 끼움 결합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로 인해, 창호는 단일 소재와는 달리, 각각의 재료가 가진 장점을 활용할 수 있고, 설치 작업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결합되는 부분에 틈이 생성될 수 있고, 끼움 결합으로 인해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창호는 외부로부터 수분이 침투하여 창호의 부식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중이 가해지거나 운반 작업이 이루어질 때 뒤틀리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호 간에 연결되어 미려한 건물의 입면을 형성할 수 있는 커튼월형 창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창호부와 외부 창호부를 통해 단열성을 향상시키면서 이들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커튼월형 창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중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외부로부터 침투수 및 내부 결로수의 유입을 감소시킬 수 있는 커튼월형 창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개방된 비전부(vision part)들 및 상기 비전부들 사이에 위치된 스팬드럴부(spandrel part)들이 연속하여 형성된 건물에 설치할 수 있는 커튼월형 창호에 있어서, 상기 비전부에 삽입되는 내부 창호부; 상기 내부 창호부와 결합되고, 두께의 일부가 상기 비전부에 삽입되며, 상기 비전부 및 상기 스팬드럴부 상에 위치되는 외부 창호부; 및 상기 외부 창호부 및 상기 내부 창호부에 끼워지는 마감재들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 창호부는 인접한 다른 외부 창호부와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외부 창호부는, 상기 외부 창호부의 상측 테두리를 형성하는 헤드 바아(head bar); 상기 헤드 바아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외부 창호부의 하측 테두리를 형성하는 실 바아(sil bar); 및 상기 헤드 바아의 종단들과 상기 실 바아의 종단들을 각각 연결하여 상기 외부 창호부의 양측 테두리를 형성하고, 상기 스팬드럴부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실 바아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멀리언 바아(mullion bar)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외부 창호부는, 상기 헤드 바아와 상기 실 바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멀리언 바아들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트랜섬 바아(transom bar); 및 상기 멀리언 바아들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트랜섬 바아와 상기 실 바아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분할 멀리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외부 창호부는, 상기 헤드 바아와 상기 트램섬 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개폐가능한 개폐 창짝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외부 창호부는, 상기 헤드 바아의 하측에 장착되는 서브 헤드바아; 상기 트램섬 바아의 상측에 형성되는 레일; 및 상기 멀리언 바아들에 각각 장착되어, 상호 간에 마주보는 잼 바아(jamb bar)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개폐 창짝들은 상기 서브 헤드바아 및 상기 레일에 끼워져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잼 바아들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개폐 창짝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레일 상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된 개폐창짝은 상기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개폐 창짝보다 하측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개폐 창짝은 슬라이딩(sliding) 창짝, 프로젝트 아웃(project out) 창짝, 케이스먼트(casement) 창짝, 패럴(parallel) 창짝, 풀 다운(pull down) 창짝, 틸트 앤 턴(tilt & turn) 창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외부 창호부는, 상기 헤드 바아의 외측에 장착되는 헤드캡; 상기 실 바아의 외측에 장착되는 실캡; 및 상기 멀리언 바아들의 외측에 각각 장착되는 멀리언캡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헤드캡, 상기 실캡 및 상기 멀리언캡들은 상기 마감재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외부 창호부는, 상기 헤드 바아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마감재가 끼워질 수 있는 헤드 글레이징 홈; 및 상기 실 바아의 하측에 실 캡이 장착되고 상기 실 바아의 하측에 글레이징 비드가 장착될 때, 상기 실 캡 및 상기 글레이징 비드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마감재가 끼워질 수 있는 비드 글레이징 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마감재는 상기 비드 글레이징 홈 및 상기 다른 외부 창호부의 상기 헤드 글레이징 홈에 끼워져, 상기 스팬드럴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외부 창호부는, 상기 멀리언 바아들에 상호 간에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상기 마감재가 끼워지는 멀리언 글레이징 홈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멀리언 바아는, 상기 멀리언 글레이징 홈이 형성되고, 상기 비전부 및 상기 스팬드럴부 상에 위치될 수 있는 제 1 격실부; 및 상기 제 1 격실부와 연결되어 상기 비전부에 삽입될 수 있는 제 2 격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외부 창호부는, 상기 트랜섬 바아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마감재가 끼워질 수 있는 트랜섬 글레이징홈; 및 상기 실 바아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마감재가 끼워질 수 있는 실 글레이징 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마감재는 상기 트랜섬 글레이징 홈 및 상기 실 글레이징 홈에 끼워져, 상기 트랜섬 바아 및 실 바아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외부 창호부는, 상기 트랜섬 바아의 외측에는 방충창이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방충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외부 창호부는, 상기 외부 창호부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 클립들을 더 포함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부 창호부는, 상기 걸림 클립들과 상호 간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창호부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거나, 함몰 형성된 걸림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걸림 클립들이 상기 걸림부들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외부 창호부가 상기 내부 창호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내부 창호부는, 개스킷 홈; 및 상기 개스킷 홈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 창호부로부터 돌출된 개스킷을 더 포함하되, 상기 걸림 클립들이 상기 걸림 부재들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개스킷은 변형되어 상기 내부 창호부 상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커튼월형 창호는, 상기 내부 창호부와 상기 외부 창호부를 연결하고, 결합 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내부 창호부는 플라스틱 재료이고, 상기 외부 창호부는 금속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마감재는 유리, 태양광 모듈, 판넬, 석재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형 창호는 하기와 같은 효과들을 가진다.
(1) 커튼월형 창호가 건물의 비전부에 삽입될 때, 외부 창호부는 두께의 일부가 비전부에 삽입되면서 비전부 및 스팬드럴부 상에 위치된다. 이때, 외부 창호부는 인접한, 예를 들어 하측에 형성된 비전부에 두께의 일부가 삽입된 다른 외부 창호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커튼월형 창호는 외부 창호부에 의해 상호 연결된 입면을 갖는 건물을 구현할 수 있다.
(2) 금속 재료로 제작되는 외부 창호부와,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며 내부가 금속 재료로 보강된 내부 창호부는 상호결합된다. 외부 창호부와 내부 창호부가 상이한 재료로 제작됨에 따라, 외부 창호부로부터 내부 창호부로의 열전달이 제한되어, 커튼월형 창호는 향상된 단열성을 갖게 된다. 또한, 외부 창호부와 내부 창호부가 결합될 때, 각각 형성된 걸림 클립 및 걸림부의 끼워짐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외부 창호부와 내부 창호부는 간단한 끼움을 통해 용이하게 결합된다.
(3) 걸림클립 및 걸림부의 끼움 결합을 보강하기 위하여, 브라켓을 통하여 외부 창호부와 내부 창호부를 연결하여,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이로 인해, 외부 창호부와 내부 창호부의 결합이 보강되고 건물에서 하중이 작용하거나 물건의 운반이 이루어지더라도 저항할 수 있어, 커튼월형 창호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내부 창호부에 개스킷이 돌출형성되어, 외부 창호부와 내부 창호부가 결합될 때 변형되어 내부 창호부 상에 밀착된다. 따라서, 커튼월형 창호는 이러한 개스킷으로 인해, 외부로부터 침투수 및 내부 결로수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형 창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튼월형 창호가 건물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튼월형 창호에서 외부 창호부의 멀리언바아를 도시하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커튼월형 창호를 선 A-A'를 따라 절개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커튼월형 창호를 선 B-B'를 따라 절개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커튼월형 창호의 C부분을 확대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형 창호(1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튼월형 창호(10)가 건물(20)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튼월형 창호(10)에서 외부 창호부(100)의 멀리언 바아(103)를 도시하는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커튼월형 창호(10)를 선 A-A'를 따라 절개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커튼월형 창호(10)를 선 B-B'를 따라 절개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커튼월형 창호(10)의 C부분을 확대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형 창호(10)는 외부 창호부(100), 내부 창호부(200) 및 마감재(300)를 포함하고, 비전부(21; vision part)들과 스팬드럴부(22; spandrel part)들이 연속하여 형성된 건물(2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비전부(21)는 건물(20) 내에 사람이 거주할 수 있는 공간의 개구부를 나타내고, 스팬드럴부(22)는 사람이 거주할 수 있는 공간을 상하방향으로 구분하여 층과 층 사이를 구분한다. 또한, 건물(20)의 외부에서 볼 때, 비전부(21)는 개방된 상태이고, 스팬드럴부(22)는 폐쇄된 상태이다.
외부 창호부(100)는 두께(t)의 일부가 비전부(21)에 삽입되고, 비전부(21) 및 스팬드럴부(22) 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외부 창호부(100)에서 비전부(21)에 대응되는 부분과 스팬드럴부(22)에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마감재(300)가 끼워질 수 있다. 여기서, 마감재(300)는 유리, 태양광 모듈, 판넬, 석재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외부 창호부(100)는 헤드 바아(101; head bar), 실 바아(102; sil bar), 멀리언 바아(103; mullion bar)들, 트랜섬 바아(104; transom bar) 및 수직분할 멀리언 바아(105)들을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외부 창호부(100)는 다른 외부 창호부(400)와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좌우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열될 수 있으며, 인접한 외부 창호부에 대하여 어떠한 방향으로도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창호부(100)와 연결되는 다른 외부 창호부(400)는 외부 창호부(100)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갖는다. 따라서, 하기의 다른 외부 창호부(400)에 대한 구성요소들은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부 창호부(100)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헤드 바아(101)는 외부 창호부(100)의 상측 테두리를 형성한다. 이러한 헤드 바아(101)의 상측에는 헤드 글레이징 홈(111)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헤드 캡(113)이 장착된다.
실 바아(102)는 헤드 바아(101)의 하측에 위치되어, 외부 창호부(100)의 하측 테두리를 형성한다. 이러한 실 바아(102)의 상측에는 실 글레이징 홈(121)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실 캡(123)이 장착되며, 하측에는 글레이징 비드(125)가 장착된다. 이때, 실 캡(123) 및 글레이징 비드(125)가 실 바아(102)에 장착됨에 따라, 실 바아(102)의 하측에는 글레이징 홈(127)이 형성된다.
또한, 실 바아(102)의 하측에 다른 외부 창호부(400)가 위치될 때, 마감재(300)가 비드 글레이징 홈(127)과 다른 외부 창호부(400)의 헤드 바아(101)에 형성된 헤드 글레이징 홈(111)에 각각 끼워질 수 있다. 이때, 끼워진 마감재(300)는 스팬드럴부(22)를 덮을 수 있게 된다.
멀리언 바아(103)들은 상기 헤드 바아(101)의 종단들과 상기 실 바아(102)의 종단들을 각각 연결하여, 외부 창호부(100)의 양측 테두리를 형성한다. 이러한 멀리언 바아(103)들은 실 바아(102)의 하측으로 더 연장되어 돌출되며, 외부 창호부(100)의 두께(t)의 일부가 비전부(21)에 삽입될 때 스팬드럴부(22)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멀리언 바아(103)들이 더 연장됨에 따라, 외부 창호부(100)가 비전부(21)에 완전히 삽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멀리언 바아(103)는 제 1 및 제 2 격실부(131, 133), 멀리언 캡(135) 및 멀리언 글레이징 홈(137)을 포함한다.
제 1 격실부(131)는 외부 창호부(100)가 비전부(21)에 삽입될 때 비전부(21) 및 스팬드럴부(22) 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제 1 격실부(131)를 통해, 외부 창호부(100)는 다른 외부 창호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격실부(133)는 내부 창호부(200)와 결합되고, 외부 창호부(100)가 비전부(22)에 삽입될 때 비전부(22)에 삽입된다.
멀리언 캡(135)은 멀리언 바아(103), 구체적으로는 제 1 격실부(131)의 외측에 장착된다.
멀리언 글레이징 홈(137)은 멀리언 바아(103)들, 구체적으로는 제 1 격실부(131)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간에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멀리언 바아(103)가 다른 외부 창호부(400)의 헤드 바아(101)에 연결될 때, 마감재(300)가 실 바아(102)와 다른 외부 창호부(400)의 헤드 바아(101) 사이에 끼워지면, 마감재(300)의 양측은 멀리언 글레이징 홈(137)에 끼워지게 된다.
한편, 멀리언 바아(103)가 다른 외부 창호부(400)의 헤드 바아(101)에 연결됨으로써, 본 실시예의 커튼월형 창호(10)는 상호 간에 상하로 연결되어 균일한 건물(20)의 입면을 구현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트랜섬 바아(104)는 헤드 바아(101)와 실 바아(102) 사이에 위치되어 멀리언 바아(103)들을 연결한다. 이러한 트랜섬 바아(104)는 외부 창호부(10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스팬드럴부(22)의 크기를 고려하여, 비전부(21) 상에 위치되는 외부 창호부(100)가 분할될 수 있다. 즉, 커튼월형 창호(10)의 입면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트랜섬 바아(104)의 하측에는 마감재(300)가 끼워질 수 있는 트랜섬 글레이징 홈(141)이 형성된다.
수직분할 멀리언 바아(105)는 멀리언 바아(103)들 사이에 위치되어 트랜섬 바아(104)와 실 바아(102)를 연결한다. 이러한 수직분할 멀리언 바아(105)는 외부 창호부(10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마감재(300)는 헤드 바아(101)와 트랜섬 바아(104) 사이, 트랜섬 바아(104)와 실 바아(102) 사이에서도 수직분할 멀리언 바아(105)에 의해 나누어져 끼워질 수 있다. 특히, 트랜섬 바아(104)와 실 바아(102) 사이에 끼워지는 마감재(300)는 난간으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마감재(300)의 상측 및 하측은 각각 트랜섬 글레이징 홈(141)과 실 글레이징 홈(121)에 끼워지고, 양측은 각각 멀리언 글레이징 홈(137)들에 끼워진다.
한편, 일반적으로 마감재(300)는 외부 창호부(100)에 끼워져 비전부(22)를 폐쇄하는 기능만을 한다. 이로 인해, 커튼월형 창호(10)를 통한 내부와 외부 사이의 환기가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헤드 바아(101)와 트램섬 바아(104) 사이에는 개폐 창짝들(110, 120)을 설치하여, 개폐가능하다. 이때, 마감재(300)는 개폐 창짝들(110, 120)에 끼워지고,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개폐 창짝들(110, 120)의 하측에 위치된 트램섬 바아(104)와 실 바아(102) 사이의 마감재(300)가 난간으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개폐 창짝(110, 120)들의 양측 테두리가 교차하는 경우, 이들은 수직분할 멀리언 바아(105)와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개폐 창짝들(110, 120)을 이용한 비전부(22)의 개폐를 위하여, 헤드 바아(101)의 하측에는 서브 헤드바아(115)가 장착되고, 트램섬 바아(104)의 상측에는 레일(143)이 형성되며, 멀리언 바아(103)들에는 서브 헤드바아(125)와 레일(143)을 연결하면서 상호 간에 마주보는 잼 바아(139; jamb bar)들이 장착된다.
개폐 창짝들(110, 120)은 서브 헤드바아(115) 및 레일(143)에 각각 끼워져, 레일(14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때, 잼 바아(139)들은 개폐 창짝들(110, 120)의 양측에 위치되어, 개폐 창짝들(110, 120)의 슬라이딩 이동 범위를 제한한다. 이러한 개폐 창짝들(110, 120)의 슬라이딩 이동은 비전부(21)의 일부를 개폐하게 된다.
또한, 개폐 창짝들(110, 120)로 인해 비전부(21)가 개방되면, 해충이 비전부(21)를 통해 건물(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충창(미도시 됨)을 설치하기 위하여, 트랜섬 바아(104)의 외측에는 이러한 방충망이 장착될 수 있도록 방충망 레일(14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창짝들(110, 120) 중 적어도 하나가 레일(143)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된 개폐 창짝(110)은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개폐 창짝(120)보다 외측 및 하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건물(20)의 내측에서 외측을 바라보았을 때, 비전부(21)를 통한 보다 넓은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는 개폐 창짝들(110, 120)이 슬라이딩형 창짝인 것으로 개시되고 있다. 하지만 개폐 창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딩(sliding) 창짝, 프로젝트 아웃(project out) 창짝, 케이스먼트(casement) 창짝, 패럴(parallel) 창짝, 풀 다운(pull down) 창짝, 틸트 앤 턴(tilt & turn) 창짝 등을 포함하는, 비전부(22)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창짝일 수 있다.
내부 창호부(200)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고 내부가 금속으로 보강된다. 이러한 내부 창호부(200)는 외부 창호부(100)와 결합되어 외부 창호부(100)의 두께(t)의 일부가 비전부(21)에 삽입될 때 비전부(21)에 완전히 삽입됨으로써 건물(20)의 내측에 위치된다. 또한, 내부 창호부(200)는 외부 창호부(100)보다 열 전도성이 낮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됨에 따라, 외부 창호부(100)로부터의 열전달이 제한된다. 상이한 재료를 갖는 내부 창호부(200) 및 외부 창호부(100)의 결합으로 인해, 커튼월형 창호(10)의 단열성은 향상된다.
한편, 도 6의 외부 창호부(100)의 실 바아(102)와 내부 창호부(200)가 결합된 모습을 통해 외부 창호부(100)와 내부 창호부(200)의 결합을 설명하고자 한다.
내부 창호부(200)와 실 바아(102)는 내부 창호부(200)의 외측 및 실 바아(102)의 내측이 맞닿은 상태에서 결합된다. 여기서, 외측은 건물(20)의 바깥쪽 방향을 나타내고, 내측은 건물(20)의 안쪽 방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합을 위하여, 실 바아(102)의 내측에는 걸림 클립(130)들이 돌출 형성되고, 내부 창호부(200)의 외측에는 걸림 클립(130)들과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부(201)들이 돌출 형성되거나 함몰 형성된다.
이때, 내부 창호부(200)와 실 바아(102)는 브라켓(202)을 통해 연결하고, 이러한 브라켓(202)은 결합 부재(203)로 내부 창호부(200)와 실 바아(102)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부재(203)는 스크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커튼월형 창호(10)는 향상된 구조적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내부 창호부(200)에는 개스킷 홈(204)이 형성되고, 캐스킷(205)이 개스킷 홈(204)에 장착되어 내부 창호부(200)로부터 돌출된다. 걸림 클립(130)들이 걸림부(201)들에 결합되어 내부 창호부(200)와 실 바아(102)가 결합될 때, 개스킷(205)은 변형되어 내부 창호부(200) 상에 밀착된다. 이로 인해, 개스킷(205)은 결합된 내부 창호부(200)와 실 바아(102) 사이의 공간을 통한 침투수 및 내부 결로수의 유입을 방지한다. 이때, 개스킷(205)은 EPDM, 산토프렌, 실리콘, 네오프렌,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형상은 개스킷 홈(204)에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T자형 또는 J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창호부(100)에서 실 바아(102)가 내부 창호부(200)와 결합되는 예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창호부(100)의 헤드 바아(101) 및 멀리언 바아(103)들도 상기와 같이 내부 창호부(200)와 결합될 수 있다.
마감재(300)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외부 창호부(100) 및 내부 창호부(200)에 끼워진다. 외부 창호부(100) 및 내부 창호부(200)는 비전부(21)를 통해 창문으로서의 기능을 함에 따라, 마감재(300)는 일반적으로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마감재(300)는 유리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들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스팬드럴부(22)에 대응되는 외부 창호부(100)에 끼워지는 마감재(300)는 유리뿐만 아니라, 태양광 모듈, 판넬, 석재 등일 수 있다. 마감재(300)가 태양광 모듈이라면, 커튼월형 창호(10)에서 마감재(300)를 통한 전기 에너지의 생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커튼월형 창호(10)는 끼워넣기식 창호(punched window)로서도 적용가능하고, 이는 예를 들어, 헤드 바아(101)와 실 바아(102)의 외측의 크기와 이에 따른 헤드 캡(113) 및 실 캡(123)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커튼월형 창호 100 외부 창호부
101 헤드 바아 102 실 바아
103 멀리언 바아 104 트랜섬 바아
105 수직분할 멀리언 바아 130 걸림 클립
200 내부 창호부 201 걸림부
202 브라켓 203 결합 부재
205 개스킷 300 마감재

Claims (18)

  1. 개방된 비전부(vision part)들 및 상기 비전부들 사이에 위치된 스팬드럴부(spandrel part)들이 연속하여 형성된 건물에 설치할 수 있는 커튼월형 창호에 있어서,
    상기 비전부에 삽입되는 내부 창호부;
    상기 내부 창호부와 결합되고, 두께의 일부가 상기 비전부에 삽입되며, 상기 비전부 및 상기 스팬드럴부 상에 위치되는 외부 창호부; 및
    상기 외부 창호부 및 상기 내부 창호부에 끼워지는 마감재들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 창호부는 인접한 다른 외부 창호부와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창호부는,
    상기 외부 창호부의 상측 테두리를 형성하는 헤드 바아(head bar);
    상기 헤드 바아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외부 창호부의 하측 테두리를 형성하는 실 바아(sil bar); 및
    상기 헤드 바아의 종단들과 상기 실 바아의 종단들을 각각 연결하여 상기 외부 창호부의 양측 테두리를 형성하고, 상기 스팬드럴부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실 바아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멀리언 바아(mullion bar)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창호부는,
    상기 헤드 바아와 상기 실 바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멀리언 바아들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트랜섬 바아(transom bar); 및
    상기 멀리언 바아들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트랜섬 바아와 상기 실 바아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분할 멀리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창호부는,
    상기 헤드 바아와 상기 트램섬 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개폐가능한 개폐 창짝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창호부는,
    상기 헤드 바아의 하측에 장착되는 서브 헤드바아;
    상기 트램섬 바아의 상측에 형성되는 레일; 및
    상기 멀리언 바아들에 각각 장착되어, 상호 간에 마주보는 잼 바아(jamb bar)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개폐 창짝들은 상기 서브 헤드바아 및 상기 레일에 끼워져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잼 바아들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창짝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레일 상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된 개폐창짝은 상기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개폐 창짝보다 하측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창짝은 슬라이딩(sliding) 창짝, 프로젝트 아웃(project out) 창짝, 케이스먼트(casement) 창짝, 패럴(parallel) 창짝, 풀 다운(pull down) 창짝, 틸트 앤 턴(tilt & turn) 창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창호부는,
    상기 헤드 바아의 외측에 장착되는 헤드캡;
    상기 실 바아의 외측에 장착되는 실캡; 및
    상기 멀리언 바아들의 외측에 각각 장착되는 멀리언캡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헤드캡, 상기 실캡 및 상기 멀리언캡들은 상기 마감재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창호부는,
    상기 헤드 바아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마감재가 끼워질 수 있는 헤드 글레이징 홈; 및
    상기 실 바아의 하측에 실 캡이 장착되고 상기 실 바아의 하측에 글레이징 비드가 장착될 때, 상기 실 캡 및 상기 글레이징 비드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마감재가 끼워질 수 있는 비드 글레이징 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마감재는 상기 비드 글레이징 홈 및 상기 다른 외부 창호부의 상기 헤드 글레이징 홈에 끼워져, 상기 스팬드럴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커튼월형 창호.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창호부는,
    상기 멀리언 바아들에 상호 간에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상기 마감재가 끼워지는 멀리언 글레이징 홈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멀리언 바아는,
    상기 멀리언 글레이징 홈이 형성되고, 상기 비전부 및 상기 스팬드럴부 상에 위치될 수 있는 제 1 격실부; 및
    상기 제 1 격실부와 연결되어 상기 비전부에 삽입될 수 있는 제 2 격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창호부는,
    상기 트랜섬 바아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마감재가 끼워질 수 있는 트랜섬 글레이징홈; 및
    상기 실 바아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마감재가 끼워질 수 있는 실 글레이징 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마감재는 상기 트랜섬 글레이징 홈 및 상기 실 글레이징 홈에 끼워져, 상기 트랜섬 바아 및 실 바아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창호부는,
    상기 트랜섬 바아의 외측에는 방충창이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방충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창호부는,
    상기 외부 창호부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 클립들을 더 포함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부 창호부는,
    상기 걸림 클립들과 상호 간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창호부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거나, 함몰 형성된 걸림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걸림 클립들이 상기 걸림부들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외부 창호부가 상기 내부 창호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창호부는,
    개스킷 홈; 및
    상기 개스킷 홈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 창호부로부터 돌출된 개스킷을 더 포함하되,
    상기 걸림 클립들이 상기 걸림 부재들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개스킷은 변형되어 상기 내부 창호부 상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월형 창호는,
    상기 내부 창호부와 상기 외부 창호부를 연결하고, 결합 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창호부는 플라스틱 재료이고, 상기 외부 창호부는 금속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는 유리, 태양광 모듈, 판넬, 석재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형 창호.
KR1020100101689A 2010-10-19 2010-10-19 커튼월형 창호 KR101230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689A KR101230032B1 (ko) 2010-10-19 2010-10-19 커튼월형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689A KR101230032B1 (ko) 2010-10-19 2010-10-19 커튼월형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339A true KR20120040339A (ko) 2012-04-27
KR101230032B1 KR101230032B1 (ko) 2013-02-05

Family

ID=46140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689A KR101230032B1 (ko) 2010-10-19 2010-10-19 커튼월형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03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8165A (ko) * 2014-02-19 2015-08-27 이은하 알루미늄-피브이씨 일체형 복합 이중창호
KR20190118231A (ko) * 2018-04-10 2019-10-18 정두진 건물 벽체용 창호 모듈
KR102173709B1 (ko) * 2019-11-11 2020-11-03 주식회사 대진종합금속 커튼 월
WO2021070981A1 (ko) * 2019-10-08 2021-04-15 정두진 건물 벽체용 창호 모듈
KR20210056664A (ko) * 2019-11-11 2021-05-20 주식회사 대진종합금속 커튼 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158B1 (ko) * 2011-01-26 2011-07-19 에이큐 주식회사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
KR20210112716A (ko) 2020-03-06 2021-09-15 주식회사 중앙알텍 단열성과 미관이 우수한 벤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9096B2 (ja) * 2002-10-17 2007-10-31 Ykk Ap株式会社 カーテンウォール
KR100823663B1 (ko) * 2007-12-28 2008-04-21 (주)거산토탈시스템 슬라이딩 창호가 구비된 투명 마감 방식의 커튼월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8165A (ko) * 2014-02-19 2015-08-27 이은하 알루미늄-피브이씨 일체형 복합 이중창호
KR20190118231A (ko) * 2018-04-10 2019-10-18 정두진 건물 벽체용 창호 모듈
WO2021070981A1 (ko) * 2019-10-08 2021-04-15 정두진 건물 벽체용 창호 모듈
KR102173709B1 (ko) * 2019-11-11 2020-11-03 주식회사 대진종합금속 커튼 월
KR20210056664A (ko) * 2019-11-11 2021-05-20 주식회사 대진종합금속 커튼 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0032B1 (ko)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0032B1 (ko) 커튼월형 창호
KR102063537B1 (ko) 이종재질을 이용한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의 단열구조를 갖는 시스템 창호
US20080086961A1 (en) Frame for a Door, a Window, or the Like
US20100281779A1 (en) Reversible sliding glass door
CA2884931C (en) Window and door system having easily changeable structure
US11846134B2 (en) Modular sill
US20080271392A1 (en) Exterior pocket door
KR101526193B1 (ko) 단열, 기밀, 조립 및 안전성이 개선된 미서기 창호
KR101257496B1 (ko) 창호시스템
KR102094368B1 (ko) 멀티 테크 단열복합창
KR101583722B1 (ko) 다중 레일 고기밀성 창호
KR101234273B1 (ko) 문짝프레임 구조
JP3111380B2 (ja) スライディングサッシ
RU2721145C1 (ru) Дверь
KR101171468B1 (ko) 결로방지용 문틀
CN105625884A (zh) 一种全玻式隐框推拉窗
KR102654729B1 (ko) 복합 창호
KR101305312B1 (ko) 문짝 및 폐쇄창의 설치용 유리 내부 끼움 창호프레임 구조
KR102284824B1 (ko) 커튼 월
US11634941B2 (en) Window/shutter/door for outdoor settings
KR102308815B1 (ko) 다중 기밀구조를 가진 창호 어셈블리
JP2001065249A (ja) 窓サッシ
CN218150457U (zh) 一种新型无中挺对开窗纱一体式结构
JP6996691B2 (ja) 建具枠と外壁材とのシール構造
RU2749890C2 (ru) Система алюминиевых профил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