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468B1 - 결로방지용 문틀 - Google Patents

결로방지용 문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468B1
KR101171468B1 KR1020100004999A KR20100004999A KR101171468B1 KR 101171468 B1 KR101171468 B1 KR 101171468B1 KR 1020100004999 A KR1020100004999 A KR 1020100004999A KR 20100004999 A KR20100004999 A KR 20100004999A KR 101171468 B1 KR101171468 B1 KR 101171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frame
door
door frame
conden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298A (ko
Inventor
김시태
Original Assignee
현대테크닉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테크닉스(주) filed Critical 현대테크닉스(주)
Priority to KR1020100004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468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Abstract

본 발명은 결로방지용 문틀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끼움홈부를 가지는 스페이서에 직접 프레임을 억지 끼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스페이서와 프레임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유지시킴은 물론, 결합에 따른 작업의 어려움과 복잡성을 없애고, 열전도율이 낮은 합성수지재인 스페이서를 통해 실내 실외 온도 차가 있더라도 결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결로방지용 문틀{Doorframe for Dewdrops Prevention}
본 발명은 결로방지용 문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주택?사무실 등의 입구에 설치되는 현관문을 지지하며 실내와 실외의 온도 차이로 인하여 이슬이 맺히지 않도록 하는 결로방지용 문틀에 관한 것이다.
건물 입구에 설치되는 문틀과 현관문은 외부에서 침입자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강도를 가짐은 물론 내구성이 좋아야 하므로 그 재질로는 금속재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문틀의 일례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4-71458 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로 "방화문틀"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 1에 도시하였다.
상기 종래기술 1의 방화문틀은 양측 날개면(10)에 각각 끼움홈(50)을 구성하며 콘크리트 타설재와 결합력을 증대시키도록 절곡된 한 쌍의 마주보는 프레임틀(60)과, 상기 양측의 프레임틀(60) 사이에 형성되며 이들을 연결하는 방화문 시트면(90)과 방화문 걸림턱절곡부(80)와, 수평틀(70)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 1에 의한 방화문틀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날개면(10), 프레임틀(60)이 일체로 이루어져 있어 동절기와 같이 실내와 실외 온도 차이가 심할 경우 실내 쪽에서 이슬이 맺히게 되는 결로(結露)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결로 현상은 공기 중의 수증기가 낮은 온도의 벽체, 마감재, 유리면 등에 접촉하여 응결되는 표면 결로와 벽체 등의 구성재 내부 공기 중의 수증기가 주변 온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아질 때 응결되는 내부 결로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결로 현상은 금속재로 된 방화문틀을 부식시켜 강도를 떨어뜨리게 됨은 물론 부식으로 외관상 보기 흉한 방화문틀을 교체해야 되는 비용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4-1598 호(이하, '종래기술2'라 함)에는 도어와 문틀로 이루어진 안전도어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 2의 안전도어는 내부골재(11a)와 전?후면 철판재(10a,10b)를 접합하여 형성되는 도어(D)를 문틀(F) 상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는 출입문으로서, 상기 문틀(F)에는 완충부(42a)를 구비하는 제 1 안전패킹(40a)의 삽입부(44a)를 고정하고 겹침턱(54a)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절곡홈(50a)과, 상기 절곡홈(50a)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일정한 크기와 깊이로 함몰되는 공간부(60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 2의 안전 도어에서는 도어(D)와 문틀(F) 사이에 제 1 안내패킹(40a)이 설치되는데, 제 1 안내패킹(40a)은 도어(D)와 문틀(F) 사이에 위치하는 완충부(42a)와 문틀(F)의 절곡홈(50a) 내부에 위치하는 삽입부(44a)로 이루어져 있어 문틀(F)이 도어에 접촉되지 않게 차단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 2의 안전도어가 비록 열전도율이 낮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된 제 1 안내패킹(40a)에 의해 차단되기는 하지만, 도어(D)와 문틀(F)이 각각 단일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도어(D) 또는 문틀(F) 각각에서 발생되는 결로 현상의 발생은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원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 1,2의 문제를 개선하는 특허출원 제 2007-13419 호를 2007.02.08.자로 출원하여 2007.12.11.자로 등록하였다.(등록특허 제 10-786558 호)
즉, 등록특허 제 10-786558 호는 이격된 프레임을 열전도율이 낮은 합성수지로 고정함으로써 실내 실외 온도 차가 있더라도 결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결로방지용 문틀인 것이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 10-786558 호는 프레임에 마련되는 홈부에 스페이서를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스페이서를 고정수단인 고정편으로 그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는 바, 이에따른 결합작업이 어렵고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고, 이에따라 본 발명은 이러한 등록특허 제 10-786558 호를 개선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열전도율이 낮은 합성수지재인 스페이서를 통해 실내 실외 온도 차가 있더라도 결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그대로 유지시키면서도 등록특허 제 10-786558 호가 가지는 문제인 결합작업의 어려움과 복잡함을 개선한 것으로, 끼움홈부를 가지는 스페이서에 직접 프레임을 억지 끼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고정수단(예; 고정핀)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스페이서와 프레임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유지시킴은 물론, 결합에 따른 작업의 어려움과 복잡성을 없애는 결로방지용 문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결로방지용 문틀은, 벽체에 고정되어 도어의 개폐를 위한 문틀을 구성하도록 도어를 기준으로 하여 실외 쪽에 위치하는 제 1 프레임과, 실내 쪽에 위치하는 제 2 프레임으로 분할 구성하고, 상기 제 1,2 프레임의 일단이 각각 끼움 결합되는 제 1,2 끼움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 1,2 프레임을 견고하게 결합 고정시키도록 열전도가 낮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2 끼움홈부는 상기 스페이서의 서로 다른 면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에는 패킹이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제 3 끼움홈부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3 끼움홈부에는 패킹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걸림홈부가 연장 구성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끼움홈부를 가지는 스페이서에 직접 프레임을 억지 끼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스페이서와 프레임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유지시킴은 물론, 결합에 따른 작업의 어려움과 복잡성을 없애고, 열전도율이 낮은 합성수지재인 스페이서를 통해 실내 실외 온도 차가 있더라도 결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방화문틀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안전 도어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구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패킹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스페이서와 패킹이 결합되는 문틀 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패킹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스페이서와 패킹이 결합되는 문틀 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용 문틀은 벽체에 고정되어 도어의 개폐를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 제 1,2 프레임(10)(20)과 스페이서(30), 그리고 패킹(4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 1,2 프레임(10)(20)은 도어를 기준으로 하여 실외 쪽에 위치하는 제 1 프레임(10)과, 실내 쪽에 위치하는 제 2 프레임(20)으로 분할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2 프레임(10)(20)은 도어를 기준으로 하여 좌측 및 우측의 수직라인 문틀과, 도어를 기준으로 하여 상측 및 하측의 수평라인 문틀을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스페이서(30)는 상기 제 1,2 프레임(10)(20)를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 고정시키면서, 상기 제 1,2 프레임(10)(20)의 결합부위 틈새에서의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제 1,2 프레임(10)(20)의 일단이 각각 억지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 1,2 끼움홈부(31)(32)를 서로 다른 면에 형성함은 물론, 상기 패킹(40)이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제 3 끼움홈부(33)를 형성하고, 상기 제 3 끼움홈부(33)에는 상기 패킹(40)이 억지 끼움시 그 이탈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걸림홈부(34)가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30)는 문틀 내?외부로 열의 전달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도록 열전도가 낮은 합성수지(예; 폴리우레탄)로 사전 제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패킹(40)은 상기 스페이서(30)에 의해 결합되는 제 1,2 프레임(10)(20)의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에 위치하는 것으로, 그 일단에는 상기 제 3 끼움홈부(33)에 억지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결합돌기(41)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41)에는 상기 제 3 끼움홈부(33)에 연장 형성되는 걸림홈부(34)에 안착되는 걸림편(42)이 구성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 실시예의 문틀은 첨부된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30)의 일면에 마련되는 제 1 끼움홈부(31)에는 제 1 프레임(10)의 일단을 억지 끼움시켜 고정하고, 상기 스페이서(30)의 또 다른 일면에 마련되는 제 2 끼움홈부(32)에는 제 2 프레임(20)의 일단을 억지 끼움시켜 고정한다.
그러면, 상기 스페이서(30)를 중심으로 하여 문틀을 구성하는 제 1,2 프레임(10)(20)은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스페이서(30)를 통해서는 상기 제 1,2 프레임(10)(20)의 결합부위에서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30)에는 내측에 걸림홈부(34)를 형성한 또 다른 제 3 끼움홈부(3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3 끼움홈부(33)에 패킹(40)의 걸림돌기(41)를 억지 끼움 결합시킨다.
그러면, 상기 걸림돌기(41)의 걸림편(42)이 상기 걸림홈부(34)에 안착되면서, 상기 패킹(40)은 상기 제 1,2 프레임(10)(20)의 사이에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이에따라 상기 패킹(40)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와 상기 제 1,2 프레임(10)(20) 사이로의 공기 흐름을 차단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20 ; 제 1,2 프레임
30 ; 스페이서
31,32,33 ; 제 1,2,3 끼움홈부
34 ; 걸림홈부
40 ; 패킹
41 ; 걸림돌기
42 ; 걸림편

Claims (4)

  1. 벽체에 고정되어 도어의 개폐를 위한 문틀을 구성하도록 도어를 기준으로 실외 쪽에 위치하는 제 1 프레임과, 실내 쪽에 위치하는 제 2 프레임으로 분할 구성하고,
    상기 제 1,2 프레임의 일단이 각각 끼움 결합되는 제 1,2 끼움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 1,2 프레임을 견고하게 결합 고정시키도록 열전도가 낮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서에는 패킹이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제 3 끼움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용 문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끼움홈부는 상기 스페이서의 서로 다른 면에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용 문틀.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끼움홈부에는 패킹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걸림홈부가 연장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용 문틀.
KR1020100004999A 2010-01-20 2010-01-20 결로방지용 문틀 KR101171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999A KR101171468B1 (ko) 2010-01-20 2010-01-20 결로방지용 문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999A KR101171468B1 (ko) 2010-01-20 2010-01-20 결로방지용 문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298A KR20110085298A (ko) 2011-07-27
KR101171468B1 true KR101171468B1 (ko) 2012-08-06

Family

ID=44922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999A KR101171468B1 (ko) 2010-01-20 2010-01-20 결로방지용 문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4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551B1 (ko) 2016-08-17 2018-06-20 김영은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
KR101988111B1 (ko) * 2017-07-13 2019-06-11 주식회사 명보 방화문용 도어프레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889Y1 (ko) * 2004-07-30 2004-11-17 동방노보펌 주식회사 도어 프레임의 결로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889Y1 (ko) * 2004-07-30 2004-11-17 동방노보펌 주식회사 도어 프레임의 결로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298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743B1 (ko) 단열성이 우수한 복합창호
KR101470536B1 (ko) 단열효과가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1607927B1 (ko) 방화문의 투시창 프레임
KR101672855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커튼월 창호
KR101230032B1 (ko) 커튼월형 창호
KR102423581B1 (ko)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단열복합창
KR101515800B1 (ko) 시스템 창호
KR101171468B1 (ko) 결로방지용 문틀
KR101484723B1 (ko)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20170112500A (ko) 결로 방지용 방화문
JP4863293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パネルユニット
KR101896484B1 (ko) 복합 단열 시스템 도어
JP2015194056A (ja) サッシ
KR20120100310A (ko) 결로 방지용 문틀
KR100786558B1 (ko) 결로방지용 문틀
JP6173891B2 (ja) 樹脂製建具
KR101793476B1 (ko) 단열성과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
KR101571541B1 (ko) 창틀프레임의 설치구조
KR101237435B1 (ko) 듀얼밸류 단열 복합 문테 없는 창호 프레임 구조
KR101608451B1 (ko) 도어용 단열 프레임
JP7386056B2 (ja) 建具
KR200492022Y1 (ko) 슬라이딩 문짝용 수직패널 구조
KR101080911B1 (ko) 창호의 중앙프레임 구조
KR102105357B1 (ko) 단열 창호
KR101368355B1 (ko)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