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357B1 - 단열 창호 - Google Patents

단열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357B1
KR102105357B1 KR1020170102985A KR20170102985A KR102105357B1 KR 102105357 B1 KR102105357 B1 KR 102105357B1 KR 1020170102985 A KR1020170102985 A KR 1020170102985A KR 20170102985 A KR20170102985 A KR 20170102985A KR 102105357 B1 KR102105357 B1 KR 102105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rame
cap
connection ba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8254A (ko
Inventor
최영락
박성진
한성준
황우진
김병수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2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357B1/ko
Publication of KR20190018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06B3/26305Connection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06B3/2675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combined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열 창호는 건축구조물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실외측 일단에 고정되며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유리와, 상기 이격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열교를 차단하는 열교차단재와, 상기 열교차단재의 실외측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유리의 실외측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와 결합하여 상기 이격공간을 밀폐하며, 열교를 차단하는 캡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열 창호{Insulating window}
본 발명은 단열 창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열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 월은 외부로부터의 비나 바람을 막고 소음과 열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며, 기둥과 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유리 등으로 마감함으로써 외장용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커튼 월은 주로 고층 건물에서 사용되고, 통상 수평 바와 수직 바가 격자 형상으로 설치되어 격자 형상에 유리벽체를 설치하게 된다. 수평 바와 수직 바는 공장에서 동일 규격을 대량 생산하여 현장에서 시공하므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외벽의 거의 전면을 유리 마감재로 처리하기 때문에 단열성과 기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에너지 효율화 측면에서 열에너지 손실을 줄이기 위한 고단열, 고기밀의 커튼 월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커튼 월의 수평 바와 수직 바로는 합성수지와 알루미늄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합성수지는 단열성능은 탁월하나 강도가 약하다는 단점이 있고, 알루미늄은 높은 강도를 갖지만 열전도율이 높아 열손실이 커 커튼 월의 창호성능을 저하하는 주요 원인이다.
따라서 커튼 월의 프레임에서 열손실이 발생하는 문제를 보완하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7270호(2013.07.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과 다른 재질의 캡, 연결바 및 열교차단재를 구비하여 외기가 프레임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프레임을 통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단열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캡이 연결바로부터 탈착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성 및 유지관리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열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캡의 외부에 장식바가 탈착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성 및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열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창호는 건축구조물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실외측 일단에 고정되며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유리와, 상기 이격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열교를 차단하는 열교차단재와, 상기 열교차단재의 실외측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유리의 실외측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와 결합하여 상기 이격공간을 밀폐하며, 열교를 차단하는 캡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캡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바와 결합하는 제1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캡은 상기 제1결합부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결합홈과, 상기 제1결합홈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유리 사이의 빈틈을 막는 가스켓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벽과, 상기 내벽에 의해 분할된 내부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일면에서 상기 연결바 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1돌기와, 상기 제1돌기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면에서 상기 연결바 측으로 돌출되며 일단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돌기와, 상기 제2돌기와 상기 제1돌기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바가 안착하는 안착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는 상기 열교차단재와 결합하는 제3돌기와, 상기 안착홈에 안착하는 한 쌍의 제4돌기와, 상기 한 쌍의 제3돌기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돌기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과, 상기 제3돌기와 상기 제4돌기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돌기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상면 및 하면과 볼트 결합하며 실외측 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장식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식바는 상기 본체와 맞대어지는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대응되도록 실외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2면과,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3면과,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의 상단을 연결하되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제2면으로 갈수록 내리막을 형성하는 제4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면에는 상기 제1면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와 맞대어지는 제1결합편과, 상기 제1결합편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1면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와 맞대어지는 제2결합편이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편 및 상기 제2결합편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P:Engineering Plastic)으로 제작되고, 상기 연결바는 EP 또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되고, 상기 열교차단재는 EP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EP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렌(PBT:Polybutylene terephthalate)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EP는 상기 PBT에 ASA(acrylonitrile styrene acrylate)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가 결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EP는 PBT, PBT+ASA 또는 PBT+PET에 첨가되어 상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구조를 보강하는 유리섬유(Glass Fiber)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단열 창호에 의하면, 프레임과 다른 재질의 캡, 연결바 및 열교차단재를 구비하여 외기가 프레임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프레임을 통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캡이 연결바로부터 탈착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성 및 유지관리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캡의 외부에 장식바가 탈착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성 및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창호의 단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열 창호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캡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단열 창호에 연결된 장식바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창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창호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창호(10)는 프레임(100), 유리(200), 열교차단재(300), 연결바(400) 및 캡(5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프레임(100)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고, 건축구조물에 격자형태로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된 프레임(100)에는 상기의 유리(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유리(200)는 프레임(100)에 고정되어 건축구조물의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프레임(100)에는 개폐 가능한 창이 구비되어 건축구조물의 실내환기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유리(200)는 프레임(100)의 실외측 일단에 고정되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유리(200)는 서로 맞대어져 구비되지 않고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한 쌍의 유리(200) 사이에 이격공간(2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의 열교차단재(300)는 상기 이격공간(210)에 구비되어 일단이 프레임(1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실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열교차단재(30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P:Engineering Plastic)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로 제작되는데, EP와 폴리아미드는 강도가 높고 내열성이 우수하여 구조적으로도 안전할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재질의 프레임(100)에 외부의 열을 전달하거나 내부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EP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EP의 재료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렌(PBT:Polybutylene terephthalate)이 사용될 수 있다. (C12H12O4)n 의 분자식으로 이루어지며, 아래와 같은 분자구조를 갖는다.
Figure 112017078186462-pat00001
그리고 ASA(acrylonitrile styrene acrylate)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결합한 PBT+ASA 또는 PBT+PET 형태의 확장 재료도 EP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리섬유(Glass Fiber)을 PBT, PBT+ASA 또는 PBT+PET에 첨가하여 EP의 구조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EP로는 BASF사의 Ultradur® 제품 등이 있다.
상기의 연결바(400)는 상기 열교차단재(300)의 실외측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유리(200)의 실외측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바(400)는 열교차단재(300)와 마찬가지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거나 프레임(100)과 같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연결바(400)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작할 경우, 프레임(100)에 외부의 열을 전달하거나 내부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 방지하는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연결바(400)를 알루미늄으로 제작하더라도 열교차단재(300)에 의해 열의 전달이 차단되므로 프레임(100)에 외부의 열을 전달하거나 내부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 것을 방지하는 효과는 동일하게 발휘될 수 있다.
상기의 캡(500)은 상기 연결바(400)와 결합하여 이격공간(210)을 밀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격공간(210)을 통해 외부의 열이 프레임(1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캡(500)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구조적으로도 안전하면서 프레임(100)에 외부의 열을 전달하거나 내부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열 창호(10)는 프레임(100)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열교차단재(300), 연결바(400) 및 캡(500)의 재질을 프레임(100)과 다르게 하거나 동일한 재질이 연속적으로 구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프레임(100)에 외부의 열이 전달되거나 내부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강도 높은 재질을 사용함에 따라 구조적으로도 안전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의 열교차단재(300), 연결바(400) 및 캡(50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열 창호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캡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창호(10)는 건축구조물에 고정되는 프레임(100), 프레임(100)의 실외측 일단에 고정되며 이격공간(210)을 형성하는 유리(200), 이격공간(210)에 구비되고 프레임(100)에 고정되어 열교를 차단하는 열교차단재(300), 열교차단재(300)의 실외측 일단에 고정되어 유리(200)의 실외측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연결바(400)와 및 연결바(400)와 결합하여 이격공간(210)을 밀폐하며, 열교를 차단하는 캡(50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캡(500)은 본체(510)와 본체(510)의 일면 즉, 연결바(400)와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어 연결바(400)와 결합하는 제1결합부(5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캡(500)은 제1결합부(52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제1결합부(520)와 동일한 본체(510)의 일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결합홈(530)과 가스켓(54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가스켓(540)은 제1결합홈(530)에 구비되어 본체(510)와 유리(200) 사이의 빈틈을 막아 캡(500)의 기밀성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캡(500)은 내벽(550)과 내부공간(56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내벽(550)은 본체(51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공간(560)은 상기의 내벽(550)에 의해 본체(5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본체(510)의 내부에는 세 개의 내벽(550)이 구비되고 내벽(550)에 의해 네 개의 내부공간(56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510)의 내부에 내벽(550)을 구비하여 내부공간(560)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캡(500)의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캡(5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캡(500)은 내벽(550)과 내부공간(560)을 구비하고 제1결합홈(530)과 가스켓(540)이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b)를 참조하면, 캡(500)은 제1결합홈(530)과 가스켓(540)이 생략됨과 동시에 내벽(550)과 내부공간(560) 또한 생략되어 본체(510)의 내부에 빈 공간이 없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3(c)를 참조하면, 캡(500)은 내벽(550)과 내부공간(560)이 생략되되 제1결합홈(530)과 가스켓(540)이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캡(500)은 단열 창호(10)가 설치되는 위치나 주변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캡(500)의 제1결합부(520)는 본체(510)의 일면에서 연결바(400) 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1돌기(521), 제1돌기(521)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본체(510)의 일면에서 연결바(400) 측으로 돌출되며 일단에 걸림턱(522a)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돌기(522) 및 제2돌기(522)와 제1돌기(521)의 사이에 형성되어 연결바(400)가 안착하는 안착홈(523)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제2돌기(522)에 각각 구비되는 걸림턱(522a)은 제1돌기(521)를 향하도록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연결바(400)는 열교차단재(300)와 결합하는 제3돌기(410), 제1결합부(520)의 안착홈(523)에 안착하는 한 쌍의 제4돌기(420), 한 쌍의 제3돌기(410)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삽입홈(430) 및 제3돌기(410)와 제4돌기(420)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삽입홈(44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제4돌기(420)는 제2돌기(522)와 유사한 형태로 구비되어 안착홈(523)에 안착한 후 제2돌기(522)와 맞물려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4돌기(420)가 안착홈(523)에 안착함과 동시에 제1결합부(520)의 제1돌기(521)가 제1삽입홈(430)에 삽입되고 제2돌기(522)가 제2삽입홈(44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캡(500)과 연결바(400)는 돌기와 홈을 구비하여 끼움 방식을 통해 서로 결합함으로써 신속하게 시공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탈착이 용이하여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편리하게 유지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다양한 형태의 캡(500)을 여러 가지 여건 등을 고려하여 유동적으로 교체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열교차단재(300)는 몸체(310), 몸체(310)에서 연결바(400) 측으로 연장되는 제5돌기(320) 및 프레임(100) 측으로 연장되는 제6돌기(330)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310)는 상기 캡(500)의 내벽(550)과 내부공간(560)과 같은 벽과 공간(미부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5돌기(320)는 연결바(400)의 한 쌍의 제3돌기(410)에 의해 형성된 제3삽입홈(450)에 삽입됨으로써 열교차단재(300)가 연결바(400)와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6돌기(330)는 프레임(100)의 열교차단재(300) 측 일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7돌기(110) 사이에 형성된 제4삽입홈(120)에 삽입됨으로써 열교차단재(300)가 프레임(100)과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바(400), 열교차단재(300) 및 프레임(100) 또한 상기의 캡(500) 및 연결바(400)와 마찬가지로 돌기와 홈을 구비하여 끼움 방식을 통해 서로 결합함으로써 신속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창호(10)에 연결되는 장식바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단열 창호에 연결된 장식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창호(10)는 건축구조물에 고정되는 프레임(100), 프레임(100)의 실외측 일단에 고정되며 이격공간(210)을 형성하는 유리(200), 이격공간(210)에 구비되고 프레임(100)에 고정되어 열교를 차단하는 열교차단재(300), 열교차단재(300)의 실외측 일단에 고정되어 유리(200)의 실외측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연결바(400)와 및 연결바(400)와 결합하여 이격공간(210)을 밀폐하며, 열교를 차단하는 캡(50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단열 창호(10)에는 본체(510)의 상면 및 하면과 볼트(20) 결합하며 실외측 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장식바(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장식바(600)는 본체(510)와 맞대어지는 제1면(610), 제1면(610)과 대응되도록 실외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2면(620), 제1면(610)과 제2면(620)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3면(630) 및 제1면(610)과 제2면(620)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4면(64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장식바(600)에는 제1면(610), 제2면(620), 제3면(630) 및 제4면(64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밀폐하는 한 쌍의 측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장식바(600)는 캡(500)에 고정되어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건축물의 미관을 보완하거나 가림막 역할을 하여 햇빛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불어, 처마 역할도 가능해 비나 눈이 올 경우, 비나 눈을 피할 수 있는 임시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식바(600)는 캡(500)과 결합하기 위해 제1면(610)에 제1결합편(611)과 제2결합편(61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제1결합편(611)은 제1면(610)의 상단에 구비되어 본체(510)의 상부와 맞대어지고, 제2결합편(612)은 제1면(610)의 하단에 구비되어 본체(510)의 하부와 맞대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결합편(611)과 제2결합편(612)에는 볼트(20)가 체결되는 체결홈(613)을 각각 구비하여 볼트결합을 통해 장식바(600)가 캡(500)과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식바(600)가 볼트결합을 통해 캡(500)과 결합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제4면(640)은 제1면(610)에서 제2면(620)으로 갈수록 내리막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비나 눈이 올 시 자연스럽게 제1면(610)에서 제2면(620)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제4면(640)이 내리막으로 형성됨에 따라 빗물이나 눈이 제4면(640)에 잔존하여 빗물이나 눈의 하중에 의해 장식바(600)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제3면(630)에는 내장공간(650)이 구비되어 조명장치(미도시) 등을 구비하여 건축물의 미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창호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단열 창호 100: 프레임
200: 유리 300: 열교차단재
400: 연결바 500: 캡
600: 장식바

Claims (13)

  1. 건축구조물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실외측 일단에 고정되며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유리와,
    상기 이격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열교를 차단하는 열교차단재와,
    상기 열교차단재의 실외측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유리의 실외측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와 결합하여 상기 이격공간을 밀폐하며, 열교를 차단하는 캡을 구비하고,
    상기 캡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바와 결합하는 제1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제1결합부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결합홈과, 상기 제1결합홈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유리 사이의 빈틈을 막는 가스켓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벽과, 상기 내벽에 의해 분할된 내부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일면에서 상기 연결바 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1돌기와, 상기 제1돌기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면에서 상기 연결바 측으로 돌출되며 일단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돌기와, 상기 제2돌기와 상기 제1돌기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바가 안착하는 안착홈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바는 상기 열교차단재와 결합하는 제3돌기와, 상기 안착홈에 안착하는 한 쌍의 제4돌기와, 상기 한 쌍의 제3돌기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돌기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과, 상기 제3돌기와 상기 제4돌기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돌기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열교차단재는 몸체, 상기 몸체에서 상기 연결바 측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상기 제3돌기에 의해 형성된 제3삽입홈에 삽입되는 제5돌기 및 상기 프레임 측으로 연장되는 제6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캡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P:Engineering Plastic)으로 제작되고, 상기 연결바는 EP 또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되고, 상기 열교차단재는 EP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로 제작되고,
    상기 EP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렌(PBT:Polybutylene terephthalate)으로 제작되고,
    상기 본체의 상면 및 하면과 볼트 결합하며 실외측 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장식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장식바는 상기 본체와 맞대어지는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대응되도록 실외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2면과,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3면과,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의 상단을 연결하되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제2면으로 갈수록 내리막을 형성하는 제4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면에는 상기 제1면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와 맞대어지는 제1결합편과, 상기 제1결합편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1면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와 맞대어지는 제2결합편이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편 및 상기 제2결합편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3면에는 건축물의 미관 효과를 높이는 조명장치가 내장되는 내장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P는 상기 PBT에 ASA(acrylonitrile styrene acrylate)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가 결합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호.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EP는 PBT, PBT+ASA 또는 PBT+PET에 첨가되어 상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구조를 보강하는 유리섬유(Glass Fib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호.
KR1020170102985A 2017-08-14 2017-08-14 단열 창호 KR102105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985A KR102105357B1 (ko) 2017-08-14 2017-08-14 단열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985A KR102105357B1 (ko) 2017-08-14 2017-08-14 단열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254A KR20190018254A (ko) 2019-02-22
KR102105357B1 true KR102105357B1 (ko) 2020-04-28

Family

ID=65584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985A KR102105357B1 (ko) 2017-08-14 2017-08-14 단열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3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029B1 (ko) * 2020-08-18 2021-02-05 지엔씨건설 주식회사 커튼 월 구조의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외부 장식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193B1 (ko) 2015-10-20 2016-07-15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리모델링이 용이한 커튼월 시스템
KR101654567B1 (ko) * 2015-10-14 2016-09-07 주식회사 비이엠에스엔지니어링 착탈 가능한 커버를 구비한 창호 프레임
KR101657237B1 (ko) * 2014-03-17 2016-09-19 주식회사 인아웃텍 단열성 벽체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3910U (ja) * 1991-02-18 1992-09-08 ワイケイケイアーキテクチユラ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横枠の化粧カバー取付構造
KR101287270B1 (ko) 2012-04-16 2013-07-17 김화정 커튼월의 단열보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92472B1 (ko) * 2012-06-11 2014-05-07 (주)두린 커튼월의 이중 결합구조
JP6234560B2 (ja) * 2013-06-14 2017-11-22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Saint−Gobain Glass France 3重断熱ガラス用のスペー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237B1 (ko) * 2014-03-17 2016-09-19 주식회사 인아웃텍 단열성 벽체프레임
KR101654567B1 (ko) * 2015-10-14 2016-09-07 주식회사 비이엠에스엔지니어링 착탈 가능한 커버를 구비한 창호 프레임
KR101640193B1 (ko) 2015-10-20 2016-07-15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리모델링이 용이한 커튼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254A (ko) 2019-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339B1 (ko) 단열 및 수밀성능이 증가된 pvc 복합 커튼월
KR101638083B1 (ko) 단열 및 차수 구조를 구비한 커튼월
KR101654816B1 (ko) 다중 단열 및 배수 구조를 구비한 커튼월
KR101670709B1 (ko) 조립성 및 차수력이 개선된 커튼월
KR101672855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커튼월 창호
KR101558947B1 (ko) 유리 하중에 대한 지지구조 및 단열성능이 개선된 커튼월 구조체
KR101710526B1 (ko) 창문과 창문 틀 프레임 호환이 가능한 커튼 월 시스템
KR101230032B1 (ko) 커튼월형 창호
KR101172391B1 (ko) 친환경 단열 커튼월 창호
KR20100120867A (ko) 커튼월 샷시조립체
KR102105357B1 (ko) 단열 창호
KR101786546B1 (ko) 빗물 유입 방지 창호
KR101515800B1 (ko) 시스템 창호
KR20210081503A (ko) 멀티형 커튼 월
KR102126906B1 (ko) 단열성과 시공성이 개선된 창호구조
KR101526193B1 (ko) 단열, 기밀, 조립 및 안전성이 개선된 미서기 창호
KR101354665B1 (ko) 방충 및 방범 기능이 동시에 부여되고, 물성성능이 강화된 창호 시스템
KR101234284B1 (ko) 문짝 및 폐쇄창의 설치용 유리 실외 끼움 창호프레임 구조
KR20040104095A (ko)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내측패널과 외측패널로 구성된복합창호
KR101436609B1 (ko) 창호 시스템
KR101586427B1 (ko) 단열 효과를 극대화한 친환경 커튼월
KR102449318B1 (ko) 분리형 이중창호
KR101171468B1 (ko) 결로방지용 문틀
KR200417783Y1 (ko) 발코니 확장용 창호 구조물
KR102151961B1 (ko) 커튼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