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029B1 - 커튼 월 구조의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외부 장식재 - Google Patents

커튼 월 구조의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외부 장식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029B1
KR102213029B1 KR1020200103213A KR20200103213A KR102213029B1 KR 102213029 B1 KR102213029 B1 KR 102213029B1 KR 1020200103213 A KR1020200103213 A KR 1020200103213A KR 20200103213 A KR20200103213 A KR 20200103213A KR 102213029 B1 KR102213029 B1 KR 102213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plate
outer frame
wall structure
curtai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석
Original Assignee
지엔씨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엔씨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엔씨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3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0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Abstract

전면판,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을 포함하는 커튼 월 구조의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외부 장식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외부 장식재에서, 상기 전면판은 외부에 정면으로 노출되고, 주물성형에 의하여 제조되며,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은 상기 전면판의 노출되지 않는 이면의 제1 테두리부 및 제2 테두리부에 각각 용접에 의하여 결합하고, 압출성형에 의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월 구조의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외부 장식재는 경량성과 장식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고, 외부 장식재가 이탈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없다.

Description

커튼 월 구조의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외부 장식재{Exterior Decoration Member Installed On An Exterior Frame In A Curtain Wall Structure}
본 발명은 경량성과 장식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커튼 월 구조의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외부 장식재에 관한 것이다.
커튼 월(Curtain Wall)은 하중을 지지하지 않는 칸막이 구실의 바깥벽을 일컫는 것으로서, 한국 건축 용어로는 비내력 칸막이벽이라고 한다. 커튼 월 구조는 건물의 주체 구조인 기둥과 보의 골조만으로 건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과 바람이나 지진 등에 의한 수평하중을 지지하고, 벽체는 단순히 공간을 칸막이하는 커튼 구실만 한다.
커튼 월 구조는 실내 측에 배치되는 내부 프레임과 실외 측에 배치되는 외부 프레임의 사이 공간에 창유리의 테두리부가 끼워져서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이웃하는 창유리들의 측면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내부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결부가 배치된다. 연결부는 외부 프레임과 결합한다. 한편, 연결부 대신에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내부 프레임과 외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배치될 수도 있다. 외부 프레임에는 장식부재 또는 마감부재가 결합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커튼 월 구조에 적용된 장식부재는 장식성의 측면에서 외부 프레임을 덮음으로써 외부 프레임이 보이지 않게 하는 소극적 방식에 머무를 뿐이고, 적극적으로 장식부재에 장식적 무늬 또는 형상을 부여함으로써 장식성을 향상시키는 적극적 방식을 추구하지는 못하였다.
구체적인 예로서, 특허등록 제10-1878820호(2018. 07. 10. 등록)는 단열용 커튼 월을 개시한다. 개시된 커튼 월은 단열 향상을 위한 구조 개선에 주안점이 있는 것으로서, 연결 브라켓에는 단순한 형상의 장식부재가 끼워져서 결합하는 구조를 가질 뿐이다.
다른 예로서, 특허등록 제10-1750037호(2017. 06. 16. 등록)는 원터치 탈착 방식의 커튼 월 마감커버를 개시한다. 개시된 커튼 월 마감커버는 간단한 방식으로 마감커버를 장착할 수 있어 시공이 편리하고, 단부 클리어런스를 작게하여 단열효과를 높이고 물림치수를 크게 하여 유리창 시공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며, 마감커버의 장식성 향상을 위한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특허등록 제10-1236146호(2013. 02. 18. 등록)는 유리창호의 커튼 월 구조를 개시하고, 특허등록 제10-2051344호(2019. 11. 27. 등록)는 다목적 커튼월용 외부구조체를 개시한다. 개시된 발명들은 마찬가지로 단순한 형상의 장식부재를 개시할 뿐이고, 장식성을 적극적으로 향상시키지는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성과 장식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커튼 월 구조의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외부 장식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장식재를 경량으로 형성함으로써 외부 장식재가 이탈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없는, 즉 안전성이 우수한 커튼 월 구조의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외부 장식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러한 외부 장식재를 포함하는 커튼 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월 구조의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외부 장식재는 전면판,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외부 장식재에서, 상기 전면판은 외부에 정면으로 노출되고, 주물성형에 의하여 제조되며,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은 상기 전면판의 노출되지 않는 이면의 제1 테두리부 및 제2 테두리부에 각각 용접에 의하여 결합하고, 압출성형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전면판은 알루미늄 소재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7mm 이상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은 알루미늄 소재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1 내지 6 mm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판의 노출되는 정면에는 장식 무늬 또는 장식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 사이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지지판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측판, 상기 제2 측판 및 상기 지지판은 압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장식재는 제3 측판 및 제4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측판 및 상기 제4 측판은 상기 전면판의 상기 이면의 제3 테두리부 및 제4 테두리부에 각각 용접에 의하여 결합하고, 또한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에 각각 용접에 의하여 결합하며, 알루미늄 소재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1 내지 6 mm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실내 측에 배치되는 내부 프레임, 실외 측에 배치되는 외부 프레임, 상기 내부 프레임과 상기 외부 프레임의 사이 공간에 테두리부가 삽입되는 창유리를 포함하는 커튼 월 구조를 제공하다. 본 발명의 커튼 월 구조에서, 상기한 외부 장식재가 상기 외부 프레임에 설치된다.
상기 외부 프레임은 상기 창유리와 접촉하는 접촉판부와 상기 접촉판부로부터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프레임의 상기 돌출판부는 각각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의 내면에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튼 월 구조는 또한 상기 외부 프레임의 상기 접촉판부 및 상기 돌출판부와 접촉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사가 상기 제1 측판, 상기 외부 프레임의 상기 돌출판부 및 상기 보강부재를 차례로 관통함으로써 상기 제1 측판, 상기 외부 프레임의 상기 돌출판부 및 상기 보강부재가 서로 결합되고, 마찬가지로 나사가 상기 제2 측판, 상기 외부 프레임의 상기 돌출판부 및 상기 보강부재를 차례로 관통함으로써 상기 제2 측판, 상기 외부 프레임의 상기 돌출판부 및 상기 보강부재가 서로 결합되며, 또한 볼트가 상기 보강부재, 상기 외부 프레임의 접촉판부 및 상기 내부 프레임을 차례로 관통함으로써 상기 보강부재, 상기 외부 프레임의 접촉판부 및 상기 내부 프레임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부 프레임은 실내 측으로부터 이웃하는 상기 창유리들의 측면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프레임의 상기 접촉판부와 상기 창유리 사이에는 단열재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단열재는 상기 창유리들의 측면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내부 프레임의 상기 연장부와 접촉하거나 결합하며, 상기 창유리와 상기 제1 측판 그리고 상기 창유리와 상기 제2 측판이 이루는 구석 공간에는 실란트가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월 구조의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외부 장식재는 경량성과 장식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고, 외부 장식재가 이탈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커튼 월 구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B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커튼 월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측에 배치되는 내부 프레임(100), 실외 측에 배치되는 외부 프레임(200) 및 내부 프레임(100)과 외부 프레임(200)의 사이 공간에 테두리부가 삽입되는 창유리(300)를 포함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커튼 월 구조는 수직 구조부재와 수평 구조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외부 프레임(200)에는 외부 장식재(600)가 설치된다.
내부 프레임(100)은 속이 빈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프레임(100)은 실내 측으로부터 이웃하는 창유리들(300)의 측면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하, '연결공간'이라 함)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110)를 포함한다. 연장부(110)에는 단열재(410)가 끼워지는 홈부(112)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것의 말단부에는 외부 프레임(200) 방향으로 2개의 돌기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 프레임(100)과 창유리(300)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실란트(510)가 접착되어 있다. 실란트(510)의 안쪽 공간에는 실란트(510)를 지지하기 위하여 백업재(520)가 배치되어 있다.
외부 프레임(200)은 창유리(300)와 접촉하는 접촉판부(210)와 접촉판부(210)의 말단부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판부(220 및 230)를 포함한다. 외부 프레임(200)의 접촉판부(210)와 창유리(300) 사이에는 단열재(420)가 개재되어 있다. 단열재(420)는 연결공간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422)를 포함한다. 단열재(420)의 연장부(422)는 내부 프레임(100)의 연장부(110)와 접촉하거나 결합한다. 내부 프레임(100)의 연장부(110)와 결합하기 위하여, 단열재(420)의 연장부(422)에는 내부 프레임(100)의 돌기부(114)가 끼워지는 2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단열재(420)의 연장부(422)에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공극(4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극(424)에 의하여 단열재(420)는 연결공간에서 탄성적 변형이 더욱 용이하게 되고 또한 단열성능이 우수하게 된다.
외부 장식재(600)는 전면판(610), 제1 측판(620) 및 제2 측판(630)을 포함한다.
전면판(610)은 외부에 정면으로 노출되고 주물성형, 즉 주조법(casting)에 의하여 제조된다. 전면판(610)은 알루미늄 소재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알루미늄의 표면에는 불소 또는 분체 도장으로 도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판(610)은 주물성형에 의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그 두께를 7mm 이하로 형성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전면판(610)의 두께는 7mm 이상을 가지며, 대체적으로 7 내지 15 mm 범위 정도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전면판(610)의 두께는 10mm로 설정될 수 있다. 전면판(610)은 주물성형에 의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그것의 노출되는 정면에는 장식 무늬 또는 장식 형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측판(620) 및 제2 측판(630)은 압출성형에 의하여 제조된다. 제1 측판(620) 및 제2 측판(630)은 알루미늄 소재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알루미늄의 표면에는 불소 또는 분체도장으로 도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측판(620) 및 제2 측판(630)은 압출성형에 의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그 두께를 7mm 이하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측판(620) 및 제2 측판(630)은 1 내지 6 mm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mm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2mm 또는 3mm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측판(620) 및 제2 측판(630)은 전면판(610)의 노출되지 않는 이면의 제1 테두리부 및 제2 테두리부에 각각 용접(W)에 의하여 결합한다. 이때, 전면판(610)의 이면의 제1 테두리부 및 제2 테두리부는 전면판(610)의 이면의 모서리로부터 제1 측판(620) 및 제2 측판(630)의 두께 만큼의 폭을 가지는 면적 부분을 일컫는 것으로서, 제1 측판(620) 및 제2 측판(630)과 각각 접촉하는 부분이다.
제1 측판(620) 및 제2 측판(630) 사이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지지판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3개의 지지판(640, 650 및 660)이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하나는 접촉지지판(640)이고 두개는 비접촉지지판(650 및 660)이다. 접촉지지판(640)은 전면판(610)과 접촉하는 제1 측판(620) 및 제2 측판(630)의 말단부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제1 측판(620) 및 제2 측판(630)이 용접(W)에 의하여 전면판(610)과 결합할 때, 전면판(610)의 이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접촉지지판(640)에 의하면, 제1 측판(620) 및 제2 측판(630)을 전면판(610)의 이면에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어 용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비접촉지지판(650 및 660)은 전면판(610)과 접촉하지 않고 또한 창유리(300)와도 접촉하지 않는 제1 측판(620) 및 제2 측판(630)의 중간 부분에서 제1 측판(620) 및 제2 측판(630)과 결합하는 것이다. 제1 측판(620), 제2 측판(630) 및 지지판(640, 650 및 660)은 압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출성형에 의하면, 제1 측판(620), 제2 측판(630) 및 지지판(640, 650 및 660)이 일체로 결합된 형상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편리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외부 장식재(600)는 제3 측판 및 제4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측판 및 제4 측판은 전면판(610)의 이면의 제3 테두리부 및 제4 테두리부에 각각 용접에 의하여 결합하고, 또한 제1 측판(620) 및 제2 측판(630)에도 각각 용접에 의하여 결합한다. 제3 측판 및 제4 측판은 알루미늄 소재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1 내지 6 mm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mm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한 외부 장식재(600)를 외부 프레임(200)에 설치하기 위하여, 먼저 외부 장식재(600)의 제1 측판(620) 및 제2 측판(630)을 외부 프레임(200)의 돌출판부(220 및 230)의 외면에 각각 접촉시켜서 배치한다.
또한 외부 장식재(600)를 외부 프레임(200)에 장착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보강부재(700)를 외부 프레임(200)의 접촉판부(210) 및 돌출판부(220 및 230)에 접촉시켜 배치한다. 이를 위하여 보강부재(700)는 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인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700)는 기저부(710) 및 측면날개부(720 및 730)로 구분할 수 있다. 보강부재(700)의 기저부(710)는 외부 프레임(200)의 접촉판부(210) 상에 접촉되게 배치되고, 측면날개부(720 및 730)는 외부 프레임(200)의 돌출판부(220 및 230)에 각각 접촉되게 배치된다.
한편, 측면날개부(720 및 730)의 말단부가 제1 측판(620) 및 제2 측판(630)에 접촉되어 지지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제1 측판(620) 및 제2 측판(630)은 해당 부분에서 다른 곳보다 두께가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면날개부(720 및 730)의 말단면이 지지판(660)에 접촉하여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배치된 제1 및 제2 측판(620 및 630), 외부 프레임(200)의 돌출판부(220 및 230) 및 보강부재(700)의 측면날개부(720 및 730)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나사(800)가 제1 측판(620), 외부 프레임(200)의 돌출판부(220) 및 보강부재(700)의 측면날개부(720)를 차례로 관통함으로써 제1 측판(620), 외부 프레임(200)의 돌출판부(220) 및 보강부재(700)의 측면날개부(720)가 서로 결합한다. 마찬가지로 나사(800)가 제2 측판(630), 외부 프레임(200)의 돌출판부(230) 및 보강부재(700)의 측면날개부(730)를 차례로 관통함으로써 제2 측판(630), 외부 프레임(200)의 돌출판부(230) 및 보강부재(700)의 측면날개부(730)가 서로 결합한다.
한편, 볼트(900)가 보강부재(700)의 기저부(710), 외부 프레임(200)의 접촉판부(210) 및 내부 프레임(100)을 차례로 관통함으로써 보강부재(700)의 기저부(710), 외부 프레임(200)의 접촉판부(210) 및 내부 프레임(100)이 서로 결합한다. 이때, 보강부재(700)의 기저부(710)와 볼트(900) 머리 사이에는 와셔(910)가 개재되며, 내부 프레임(100) 측에는 너트(미도시)가 체결된다. 또한, 볼트(900)는 내부 프레임(100)의 연장부(110)를 관통하고, 단열재(420) 및 연장부(110)에 형성된 홈부(112)에 삽입된 단열재(410)를 관통한다.
한편, 창유리(300)와 제1 측판(620)이 이루는 구석 공간에는 실란트(530)가 접착되어 기밀이 유지된다. 또한 창유리(300)와 제2 측판(630)이 이루는 구석 공간에는 실란트(530)가 접착되어 기밀이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커튼 월 구조에서, 외부 장식재(600)는 전면판(610)만을 주물성형에 의하여 제조하고, 나머지 부분, 즉 제1 및 제2 측판(620 및 630), 지지판(640, 650 및 660) 그리고 제3 및 제4 측판은 압출성형에 의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외부 장식재 전체를 주물성형에 의하여 제조하는 것에 비하여 경량화될 수 있다. 그렇게 경량화를 달성하면서도 전면판(610)은 주물성형에 의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전면판(610) 그 자체 또는 전면판(610)의 정면에 장식적 무늬 또는 형상을 형성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외부 장식재(600)는 더욱 향상된 장식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부 장식재(600)는 그러한 경량성에 의하여 외부 장식재가 이탈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100: 내부 프레임 110: 연장부
112: 홈부 114: 돌기부
200: 외부 프레임 210: 접촉판부
220,230: 돌출판부 300: 창유리
410,420: 단열재 422: 연장부
424: 공극 510,530: 실란트
520: 백업재 600: 외부 장식재
610: 전면판 620,630: 측판
640: 접촉지지판 650,660: 비접촉지지판
700: 보강부재 710: 기저부
720,730: 측면날개부 800: 나사
900: 볼트 910: 와셔

Claims (9)

  1. 전면판,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판은 외부에 정면으로 노출되고, 주물성형에 의하여 제조되며,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은 상기 전면판의 노출되지 않는 이면의 제1 테두리부 및 제2 테두리부에 각각 용접에 의하여 결합하고, 압출성형에 의하여 제조되며,
    상기 전면판은 알루미늄 소재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7mm 이상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은 알루미늄 소재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1 내지 6 mm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 구조의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외부 장식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의 노출되는 정면에는 장식 무늬 또는 장식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 구조의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외부 장식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 사이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지지판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 구조의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외부 장식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판, 상기 제2 측판 및 상기 지지판은 압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 구조의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외부 장식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식재는 제3 측판 및 제4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측판 및 상기 제4 측판은 상기 전면판의 상기 이면의 제3 테두리부 및 제4 테두리부에 각각 용접에 의하여 결합하고, 또한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에 각각 용접에 의하여 결합하며, 알루미늄 소재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1 내지 6 mm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 구조의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외부 장식재.
  7. 실내 측에 배치되는 내부 프레임, 실외 측에 배치되는 외부 프레임, 상기 내부 프레임과 상기 외부 프레임의 사이 공간에 테두리부가 삽입되는 창유리를 포함하는 커튼 월 구조에 있어서,
    제1항, 제3항, 제4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외부 장식재가 상기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프레임은 상기 창유리와 접촉하는 접촉판부와 상기 접촉판부로부터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프레임의 상기 돌출판부는 각각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의 내면에 접촉하게 배치되며,
    상기 커튼 월 구조는 또한 상기 외부 프레임의 상기 접촉판부 및 상기 돌출판부와 접촉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나사가 상기 제1 측판, 상기 외부 프레임의 상기 돌출판부 및 상기 보강부재를 차례로 관통함으로써 상기 제1 측판, 상기 외부 프레임의 상기 돌출판부 및 상기 보강부재가 서로 결합되고, 마찬가지로 나사가 상기 제2 측판, 상기 외부 프레임의 상기 돌출판부 및 상기 보강부재를 차례로 관통함으로써 상기 제2 측판, 상기 외부 프레임의 상기 돌출판부 및 상기 보강부재가 서로 결합되며, 또한 볼트가 상기 보강부재, 상기 외부 프레임의 접촉판부 및 상기 내부 프레임을 차례로 관통함으로써 상기 보강부재, 상기 외부 프레임의 접촉판부 및 상기 내부 프레임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프레임은 실내 측으로부터 이웃하는 상기 창유리들의 측면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프레임의 상기 접촉판부와 상기 창유리 사이에는 단열재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단열재는 상기 창유리들의 측면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내부 프레임의 상기 연장부와 접촉하거나 결합하며, 상기 창유리와 상기 제1 측판 그리고 상기 창유리와 상기 제2 측판이 이루는 구석 공간에는 실란트가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 구조.
KR1020200103213A 2020-08-18 2020-08-18 커튼 월 구조의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외부 장식재 KR102213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213A KR102213029B1 (ko) 2020-08-18 2020-08-18 커튼 월 구조의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외부 장식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213A KR102213029B1 (ko) 2020-08-18 2020-08-18 커튼 월 구조의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외부 장식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029B1 true KR102213029B1 (ko) 2021-02-05

Family

ID=74558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213A KR102213029B1 (ko) 2020-08-18 2020-08-18 커튼 월 구조의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외부 장식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0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061A (ko) * 2017-02-02 2018-08-10 이태균 유리강화플라스틱 단열보강부재를 이용한 커튼월 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190018254A (ko) * 2017-08-14 2019-02-22 대림산업 주식회사 단열 창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061A (ko) * 2017-02-02 2018-08-10 이태균 유리강화플라스틱 단열보강부재를 이용한 커튼월 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190018254A (ko) * 2017-08-14 2019-02-22 대림산업 주식회사 단열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639B1 (ko) 이중단열복합 커튼월 프레임
KR101235718B1 (ko) 유닛 타입 스틸 커튼월의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 장착구조
KR100648441B1 (ko) 스틸 커튼월 시스템
AU2024200728A1 (en) Semi-invisible combination for sliding doors which allows the unhindered passage
KR100853014B1 (ko) 스틸 커튼월의 수직프레임
KR102076928B1 (ko) 견고한 연결구조로 이루어지는 커튼월.
KR101172391B1 (ko) 친환경 단열 커튼월 창호
KR20210081503A (ko) 멀티형 커튼 월
KR101022501B1 (ko) 연결어댑터를 이용한 이질재 결합구조
KR101577622B1 (ko) 커튼월의 하부받침대 및 유리 고임목 겸용 단열부재
KR101121149B1 (ko) 스틸 커튼월의 결합구조
KR102213029B1 (ko) 커튼 월 구조의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외부 장식재
JP3762656B2 (ja) ガラスカーテンウォール
CN203795652U (zh) 一种组合式墙体
WO2015149372A1 (zh) 一种组合式墙体及其施工方法
US4715153A (en) Panel mounting building wall construction
KR101359429B1 (ko) 스틸 커튼월용 프레임 및 그를 포함한 스틸 커튼월
CN111677410B (zh) 幕墙式窗
KR102240604B1 (ko) 커튼월 프레임의 접합 시스템 및 방법
EP3561189B1 (en) A partition wall, especially for creation of a fire compartment in rooms of buildings
CN210685511U (zh) 手术室八角型模块化装配式结构
KR101151874B1 (ko) 방화 난간 구조
KR102490085B1 (ko) 단열석재복합패널 및 시스템찬넬을 이용한 건축용 커튼월 구조
KR102622192B1 (ko) 전면 확장보강형 프레임구조의 커튼월 시스템
JP5934124B2 (ja) ユニット式建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