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551B1 -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 - Google Patents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551B1
KR101869551B1 KR1020160104126A KR20160104126A KR101869551B1 KR 101869551 B1 KR101869551 B1 KR 101869551B1 KR 1020160104126 A KR1020160104126 A KR 1020160104126A KR 20160104126 A KR20160104126 A KR 20160104126A KR 101869551 B1 KR101869551 B1 KR 101869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outer frame
dispos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9878A (ko
Inventor
김영은
주미선
Original Assignee
김영은
주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은, 주미선 filed Critical 김영은
Priority to KR1020160104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551B1/ko
Publication of KR20180019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2Frames composed of part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 E05Y2800/41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개시되는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은, 개폐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실내외를 구획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며, 벽체에 고정되는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며,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실외 쪽에 위치되고, 금속재로 구비되는 외측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며, 그 일 측단이 상기 외측프레임의 일 측단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실내 쪽에 위치되고, PVC 발포폼으로 구비되는 내측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며, 그 일 측단이 상기 외측프레임의 양 측단 중 상기 내측프레임과 결합하지 않는 일 측단에 결합되며,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며, 그 일 측단이 상기 연결프레임의 양 측단 중 상기 외측프레임과 결합하지 않은 일 측단에 결합되고, 나머지 일 측단에 형성되되 상기 내측프레임의 양 측단 중 상기 외측프레임과 결합하지 않은 일 측단이 결합되도록 실내 측으로 노출되어 구비되는 결합홈을 가지는 결합부재; 및 상기 외측프레임, 상기 내측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 및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 내부에 충전되는 단열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Door system having anti dew condensation function}
본 발명(Disclsoure)은, 도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와 도어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실내외 온도차이에 의해 도어프레임의 실내 측 표면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 시 도어의 방화성능이 향상되는 구조의 도어를 가지는 도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건물(예: 아파트의 현관문, 방화문)에 설치되는 도어시스템은, 도어프레임과 도어로 구성되며, 외부에서 침입자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강도(强度)를 가짐은 물론 내구성이 좋아야 하므로 그 재질로는 금속재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도어시스템의 일례로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85298호는, 벽체에 고정되어 도어의 개폐를 위한 문틀을 구성하도록 도어를 기준으로 실외 쪽에 위치하는 제1 프레임(10)과, 실내 쪽에 위치하는 제2 프레임(20)으로 분할 구성하고, 상기 제1,2 프레임(10,20)의 일단이 각각 끼움 결합되는 제1,2 끼움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1,2 프레임(10,20)을 견고하게 결합 고정시키도록 열전도가 낮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30)를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서(30)에는 패킹(40)이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제3 끼움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용 문틀을 개시한 바 있다(도 1 참조).
이는, 스페이서(30)를 이용하여 제1,2 프레임(10,20)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함으로써, 실내에 위치되는 제2 프레임(20)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도어프레임은 내부에 단열재가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기 위해 단면이 내부와 외부가 구획되는 고리형상으로 구비되고, 몰탈(mortar)을 이용하여 벽의 단부에 고정되는데, 도어와 대면하는 패킹(40)가 위치된 부분에서만 열전도가 낮은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열전달을 차단한다 하여도, 벽의 단부에 고정되는 부분(도 1에서 하부)에서 제1,2 프레임(10,20)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한 열전달로 제2 프레임(20)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 되는 것은 여전한 문제가 있다.
또한, 제2 프레임이 금속재로 구비되므로, 실내 인테리어를 위한 형상이나 색상의 부가 등을 위해서는 그 표면에 별도의 장식재(예: 시트지)를 부착하여야 하는 문제는 물론, 장식재 표면에 결로 현상이 발생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도어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도어는, 화재시 화염이나 열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를 위해 도어의 내부에는 난연성을 가지는 재료(예: 글라스 울)가 삽입되어 구비된다.
그러나 난연성을 가지는 재료라 할지라도 그 난연성을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어 적정한 시간내에 화재가 진압되지 않는 경우 도어의 화염이나 열 차단 기능이 급격히 저하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도어의 구조 개발이 요구된다.
1.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85298호
본 발명(Discloure)은, 실내에 배치되는 도어프레임에 결로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도어프레임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Discloure)은, 실내에 배치되는 도어프레임의 인테리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도어프레임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Disclosure)은, 방화성능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도어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은, 개폐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실내외를 구획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며, 벽체에 고정되는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며,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실외 쪽에 위치되고, 금속재로 구비되는 외측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며, 그 일 측단이 상기 외측프레임의 일 측단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실내 쪽에 위치되고, PVC 발포폼으로 구비되는 내측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며, 그 일 측단이 상기 외측프레임의 양 측단 중 상기 내측프레임과 결합하지 않는 일 측단에 결합되며,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금속재 판부재(170);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며, 그 일 측단이 상기 금속재 판부재(170)의 양 측단 중 상기 외측프레임과 결합하지 않은 일 측단에 결합되고, 나머지 일 측단에 형성되되 상기 내측프레임의 양 측단 중 상기 외측프레임과 결합하지 않은 일 측단이 결합되도록 실내 측으로 노출되어 구비되는 결합홈을 가지는 결합부재; 및 상기 외측프레임, 상기 내측프레임, 상기 금속재 판부재(170) 및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 내부에 충전되는 단열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가 배치되는 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외측프레임과 상기 금속재 판부재(170)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도어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외측프레임과 상기 금속재 판부재(17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그 양단이 용접에 의해 상기 외측프레임과 상기 금속재 판부재(170)에 고정되며, 상기 금속재 판부재(170)은 상기 벽체의 두께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금속재 판부재(170)이 고정되는 상기 외측프레임의 일면은 상기 금속재 판부재(17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을 기준으로 실외 측과 실내 측에 분리되어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의 양 측단이 각각 상기 외측프레임 및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방향의 사잇각은, 그 결합 시 상기 단열재에 수축력이 가해지도록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벽체의 두께방향으로 실내 쪽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측프레임은 그 양 측단 중 상기 내측프레임과 결합되는 일 측단이 절곡되어, 상기 결합홈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체결홈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내측프레임은, 상기 결합홈과 상기 체결홈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는 프레임몸체;와, 상기 프레임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실외 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와, 상기 프레임몸체의 타측에 구비되며 실내 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체결홈에 끼워지는 후크돌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후크돌기는, 그것의 일면과 상기 프레임몸체의 일면과 상기 외측프레임의 일면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으로 정의되며 실외 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가스켓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몸체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가스켓홈에 삽입되며, 탄성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기밀성 및 단열성을 유지하는 가스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이 상기 가스켓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스켓홈을 정의하는 상기 프레임몸체의 일면에는 상기 가스켓홈의 개방된 면적을 감소시키는 이탈방지돌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외측프레임은 각각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면을 형성하되, 상기 서로 마주하는 면 중 적어도 일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기밀유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내측 상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며, 설정된 온도의 열에 의해 녹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되는 물 수용부; 및 상기 물 수용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물 수용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공급받는 탄화포(carbonized cloth);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탄화포는, 상기 도어의 두께 방향으로 적층 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글라스 울 사이에 삽입 적층 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되 상부에 상기 물 수용부가 배치되는 구획판;을 가지며, 상기 구획판은 상기 물 수용부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탄화포에 공급되도록 상기 탄화포의 직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탄화포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슬롯;을 가지되, 상기 구획판은 상기 가이드슬롯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되 상부에 상기 물 수용부가 배치되는 구획판;을 가지며, 상기 구획판은 상기 물 수용부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탄화포에 공급되도록 상기 탄화포의 직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탄화포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통공;을 가지되, 상기 구획판은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통공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프레임이 PVC 발포폼 재질로 구비되므로, 외측프레임으로부터 단열이 유지되어 결로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프레임이 PVC 발포폼 재질로 구비되므로, 색상, 형상 등의 변형 가공이 용이해지므로 도어프레임의 인테리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내부에 물 수용부를 구비함으로써, 화재 시 물 수용부에서 공급되는 물에 의해 탄화포의 방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도어시스템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의 변형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2에서 도어의 구조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4에서 A-A 단면을 보인 도면.
도 6은, 도 5의 변형 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을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의 변형 예를 보인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100)은, 도어(110), 도어프레임(120), 외측프레임(121), 내측프레임(122), 금속재 판부재(170)(123), 결합부재(124) 및 단열재(125)를 포함한다.
도어(110)는, 개폐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실내외를 구획하도록 구비된다.
도어프레임(120)은, 도어(110)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며, 벽체(130)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도어프레임(120)은, 외측프레임(121), 내측프레임(122), 연결프레임(123), 결합부재(124) 및 단열재(125)의 결합으로 형성된다.
도어프레임(120)은, 도어(11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110)의 측면 전체와 대응하도록 고리형상, 일반적으로 사각형상으로 구비된다.
외측프레임(121)은, 도어프레임(120)을 구성하며, 도어(110)를 기준으로 실외 쪽에 위치되고, 금속재로 구비된다. 일 예로, 철재 EGI 1.6T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프레임(121)은, 그 횡단면이 도어(110)의 측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절곡된 판재로 구비된다.
내측프레임(122)은, 도어프레임(120)을 구성하며, 그 일 측단이 외측프레임(121)의 일 측단에 결합되며, 도어(110)를 기준으로 실내 쪽에 위치되고, PVC 발포폼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120)은, 외측프레임(121)과 내측프레임(122)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되되, 실내 쪽에 위치되는 내측프레임(122)이 열전도도가 낮은 재질로 구비되어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또한, 내측프레임(122)이 PVC 발포폼으로 구비되므로, 다양한 형상 및 색상의 구현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내측프레임(122)의 인테리어 기능을 향상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는, 결로현상의 방지를 위해, 연결프레임(123) 및 결합부재(124)를 추가로 구비하는데, 연결프레임(123)은, 도어프레임(120)을 구성하며, 그 일 측단이 외측프레임(121)의 양 측단 중 내측프레임(122)과 결합하지 않는 일 측단에 결합되며, 벽체(130)에 고정된다.
연결프레임(123)의 벽체(130) 고정에는 몰탈(M)이 이용될 수 있다.
결합부재(124)는, 도어프레임(120)을 구성하며, 그 일 측단이 연결프레임(123)의 양 측단 중 외측프레임(121)과 결합하지 않은 일 측단에 결합되고, 나머지 일 측단에 형성되되 내측프레임(122)의 양 측단 중 외측프레임(121)과 결합하지 않은 일 측단이 결합되도록 실내 측으로 노출되어 구비되는 결합홈(124a)을 가진다.
단열재(125)는, 외측프레임(121), 내측프레임(122), 연결프레임(123) 및 결합부재(124)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 내부에 충전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결합부재(124)는, 연결프레임(12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외측프레임(121)과 연결프레임(123)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지지프레임(14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프레임(140)은, 단열재(125)가 배치되는 영역에 구비되며, 외측프레임(121)과 연결프레임(123)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고 도어(110)의 폭방향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지지프레임(140)은, 그 양단이 용접에 의해 외측프레임(121)과 연결프레임(123)에 고정되며, 연결프레임(123)은 벽체(130)의 두께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연결프레임(123)이 고정되는 외측프레임(121)의 일면은 연결프레임(123)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단열재(125)는, 지지프레임(140)을 기준으로 실외 측과 실내 측에 분리되어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내측프레임(122)의 양 측단이 각각 외측프레임(121) 및 결합홈(124a)에 결합되는 방향의 사잇각은, 그 결합 시 단열재(125)에 수축력이 가해지도록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은 내측프레임(122)의 양 측단이 각각 외측프레임(121) 및 결합홈(124a)에 결합되는 방향의 사잇각이 180도인 경우로서, 결합홈(124a)은, 벽체(130)의 두께방향으로 실내 쪽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외측프레임(121)은 그 양 측단 중 내측프레임(122)과 결합되는 일 측단이 절곡되어, 결합홈(124a)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체결홈(121a)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내측프레임(122)은, 결합홈(124a)과 체결홈(121a)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는 프레임몸체(122a)와, 프레임몸체(122a)의 일측에 구비되며 실외 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결합홈(124a)에 끼워지는 결합돌기(122c)와, 프레임몸체(122a)의 타측에 구비되며 실내 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체결홈(121a)에 끼워지는 후크돌기(122b)를 가진다.
한편, 후크돌기(122b)가 형성되는 위치는, 프레임몸체(122a)의 일 측으로서, 후크돌기(122b)의 일면과 프레임몸체(122a)의 일면과 외측프레임(121)의 일면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으로 정의되며 실외 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가스켓홈(151)이 형성될 수 있는 위치로 정해진다.
가스켓(150)은, 가스켓홈(151)에 삽입되며, 탄성 재질로 구비되고, 도어(110)가 닫혀진 상태에서 기밀성 및 단열성을 유지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가스켓(150)이 가스켓홈(15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스켓홈(151)을 정의하는 프레임몸체(122a)의 일면에는 가스켓홈(151)의 개방된 면적을 감소시키는 이탈방지돌기(122d)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탈방지돌기(122d)는, PVC 발포에 의해 프레임몸체(122a)와 동시에 형성되므로 별도의 제조공정이 요구되지 않는 이점을 가진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도어(11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110)의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어(110)와 외측프레임(121)은 각각 도어(11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110)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면을 형성하되, 서로 마주하는 면 중 적어도 일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기밀유지부재(16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100)은, 내측프레임(122)의 내측면과 단열재(125) 사이에 개재되며, 내측프레임(122)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금속재 판부재(170)가 구비된다.
여기서, 금속재 판부재(170)는, 내측프레임(122)의 표면에 도어걸쇠 등과 같은 부착물을 고정할 때, 견고한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금속재 판부재(170)는, 외측프레임(121) 및 결합부재(124)와 분리된 상태로 구비되므로 외측프레임(121)으로부터 열전달이 차단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어시스템(100)에서 도어(110)의 방화성능 강화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서 도어의 구조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4에서 A-A 단면을 보인 도면, 도 6은, 도 5의 변형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서 도어(110)는, 물 수용부(111)와 탄화포(113)를 가지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물 수용부(111)는, 도어(110)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며, 설정된 온도의 열에 의해 녹는 합성수지 재질의 시트로 구비된다.
여기서, 합성수지 재질의 시트는, 폴리에틸렌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아세탈수지, 염화비닐수지, 폴리스타이렌 수지, ABS수지, 아크릴수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비결정성 열가소성 수지인 염화비닐수지, 폴리스타이렌 수지, ABS수지, 아크릴수지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화포(113)(carbonized cloth)는, 도어(110)의 내부에서 물 수용부(111)의 하부에 배치되며, 물 수용부(111)에서 배출되는 물을 공급받아 내화성능을 향상시키는 구성이다.
여기서, 탄화포(113)는, 도어(110)의 두께 방향으로 적층 되는 글라스 울(112) 사이에 삽입 적층 되어 구비된다.
또한, 글라스 울(112)과 마주하는 탄화포(113)의 양 측면에 물 수용부(111)를 형성하는 재질과 동일한 재질의 합성수지 시트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물 수용부(111)에서 공급되는 물이 탄화포(113)에 공급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탄화포(113)는, 내화성능을 가지는 재질이라면 다른 재질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서 도어(110)는,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되 상부에 물 수용부(111)가 배치되는 구획판(114)를 가진다.
구획판(114)은 물 수용부(111)에서 배출되는 물이 탄화포(113)에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탄화포(113)의 직상방에 배치되고, 탄화포(113)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슬롯(114a)을 가진다.
또한, 구획판(114)은 가이드슬롯(114a)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탄화포(113)는, 그 상단이 가이드 슬롯(114a)을 통과하여 물 수용부(111)와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서 도어(110)는, 도 5와 같이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되 상부에 물 수용부(111)가 배치되는 구획판(114)을 가진다.
또한, 구획판(114)은 물 수용부(111)에서 배출되는 물이 탄화포(113)에 공급되도록 탄화포(113)의 직상방에 배치된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 구획판(114)에는 탄화포(113)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통공(114b)이 형성된다.
또한, 구획판(114)은 복수 개의 가이드 통공(114b)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구비된다.
이에 의하면, 물 수용부(111)로부터 탄화포(113)에 시간당 공급하는 물의 양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개폐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실내외를 구획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며, 벽체에 고정되는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며,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실외 쪽에 위치되고, 금속재로 구비되는 외측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며, 그 일 측단이 상기 외측프레임의 일 측단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실내 쪽에 위치되고, PVC 발포폼으로 구비되는 내측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며, 그 일 측단이 상기 외측프레임의 양 측단 중 상기 내측프레임과 결합하지 않는 일 측단에 결합되며,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며, 그 일 측단이 상기 연결프레임의 양 측단 중 상기 외측프레임과 결합하지 않은 일 측단에 결합되고, 나머지 일 측단에 형성되되 상기 내측프레임의 양 측단 중 상기 외측프레임과 결합하지 않은 일 측단이 결합되도록 실내 측으로 노출되어 구비되는 결합홈을 가지는 결합부재; 및
    상기 외측프레임, 상기 내측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 및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 내부에 충전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프레임의 양 측단이 각각 상기 외측프레임 및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방향의 사잇각은, 그 결합 시 상기 단열재에 수축력이 가해지도록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벽체의 두께방향으로 실내 쪽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측프레임은 그 양 측단 중 상기 내측프레임과 결합되는 일 측단이 절곡되어, 상기 결합홈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체결홈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내측프레임은, 상기 결합홈과 상기 체결홈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는 프레임몸체;와, 상기 프레임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실외 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와, 상기 프레임몸체의 타측에 구비되며 실내 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체결홈에 끼워지는 후크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가 배치되는 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외측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도어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외측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그 양단이 용접에 의해 상기 외측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벽체의 두께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이 고정되는 상기 외측프레임의 일면은 상기 연결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을 기준으로 실외 측과 실내 측에 분리되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돌기는, 그것의 일면과 상기 프레임몸체의 일면과 상기 외측프레임의 일면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으로 정의되며 실외 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가스켓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몸체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가스켓홈에 삽입되며, 탄성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기밀성 및 단열성을 유지하는 가스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이 상기 가스켓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스켓홈을 정의하는 상기 프레임몸체의 일면에는 상기 가스켓홈의 개방된 면적을 감소시키는 이탈방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외측프레임은 각각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면을 형성하되, 상기 서로 마주하는 면 중 적어도 일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기밀유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내측 상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며, 설정된 온도의 열에 의해 녹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되는 물 수용부; 및
    상기 물 수용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물 수용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공급받는 탄화포(carbonized clot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탄화포는, 상기 도어의 두께 방향으로 적층 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글라스 울 사이에 삽입 적층 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되 상부에 상기 물 수용부가 배치되는 구획판;을 가지며,
    상기 구획판은 상기 물 수용부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탄화포에 공급되도록 상기 탄화포의 직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탄화포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슬롯;을 가지되, 상기 구획판은 상기 가이드슬롯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되 상부에 상기 물 수용부가 배치되는 구획판;을 가지며,
    상기 구획판은 상기 물 수용부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탄화포에 공급되도록 상기 탄화포의 직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탄화포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통공;을 가지되, 상기 구획판은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통공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
KR1020160104126A 2016-08-17 2016-08-17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 KR101869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126A KR101869551B1 (ko) 2016-08-17 2016-08-17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126A KR101869551B1 (ko) 2016-08-17 2016-08-17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878A KR20180019878A (ko) 2018-02-27
KR101869551B1 true KR101869551B1 (ko) 2018-06-20

Family

ID=61394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126A KR101869551B1 (ko) 2016-08-17 2016-08-17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5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3320A (ko) 2019-05-29 2021-01-12 김영동 방화문
KR20210014725A (ko) 2019-05-29 2021-02-09 김영동 방화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931A (ko) 2020-11-11 2022-05-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결로방지 냉동고 도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316Y1 (ko) * 2004-08-12 2004-11-18 대한주택공사 결로방지용 문틀 프레임
KR200394727Y1 (ko) * 2005-06-16 2005-09-05 주식회사 점보에이에이치씨복합창 폐 합성수지 폼을 이용한 방화문
KR100786558B1 (ko) * 2007-02-08 2007-12-21 김시태 결로방지용 문틀
KR20100130841A (ko) * 2009-06-04 2010-12-14 강동신 단열 문틀
KR101067759B1 (ko) * 2011-04-15 2011-09-28 주식회사 플러스창호 신속하게 설치가능한 리모델링용 시스템 도어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468B1 (ko) 2010-01-20 2012-08-06 현대테크닉스(주) 결로방지용 문틀
KR101589054B1 (ko) * 2014-06-11 2016-01-27 주식회사 중일 단열 방화문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316Y1 (ko) * 2004-08-12 2004-11-18 대한주택공사 결로방지용 문틀 프레임
KR200394727Y1 (ko) * 2005-06-16 2005-09-05 주식회사 점보에이에이치씨복합창 폐 합성수지 폼을 이용한 방화문
KR100786558B1 (ko) * 2007-02-08 2007-12-21 김시태 결로방지용 문틀
KR20100130841A (ko) * 2009-06-04 2010-12-14 강동신 단열 문틀
KR101067759B1 (ko) * 2011-04-15 2011-09-28 주식회사 플러스창호 신속하게 설치가능한 리모델링용 시스템 도어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3320A (ko) 2019-05-29 2021-01-12 김영동 방화문
KR20210014725A (ko) 2019-05-29 2021-02-09 김영동 방화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878A (ko) 201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626B1 (ko) 단열 방화문
KR101869551B1 (ko)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
KR101370463B1 (ko) 커튼월
JP6091924B2 (ja) 開口部装置
KR101589054B1 (ko) 단열 방화문 설치구조
KR20200001031U (ko) 방화문의 투시창 프레임 구조
US20160222653A1 (en) Mullion-Transom Structure
KR101942858B1 (ko) 복합성능 방화문
KR200484329Y1 (ko) 방화문용 단열유닛 및 이를 갖는 방화문
KR101863614B1 (ko) 방화문의 단열구조
KR101484723B1 (ko)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2347889B1 (ko) 복합성능 방화문
JP6726045B2 (ja) 戸体および建具
KR100907602B1 (ko) 침입 및 결로 방지용 현관문 및 문틀
JP2018168586A (ja) 戸体および建具
JP6744832B2 (ja) 建具
KR101600585B1 (ko) 단열 도어조립체
JP2013231274A (ja) プレハブ式貯蔵庫
JP2022173479A (ja) 建具
KR102123181B1 (ko) 지알피 패널 도어
JP2015086667A (ja) 開口部装置
JP2018168585A (ja) 戸体および建具
JP6715115B2 (ja) 建具枠および建具
KR20180118381A (ko) 차열성 및 기밀성이 향상된 복합성능 방화문
JP6727966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