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889B1 - 복합성능 방화문 - Google Patents

복합성능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889B1
KR102347889B1 KR1020200031075A KR20200031075A KR102347889B1 KR 102347889 B1 KR102347889 B1 KR 102347889B1 KR 1020200031075 A KR1020200031075 A KR 1020200031075A KR 20200031075 A KR20200031075 A KR 20200031075A KR 102347889 B1 KR102347889 B1 KR 102347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plate
reinforcing
frame
fir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5385A (ko
Inventor
김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흥강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흥강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흥강판
Priority to KR1020200031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889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8Shape of edges of wing and/or its frame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Abstract

개시되는 복합성능 방화문은,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 양측단에서 수직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 1 후방절곡부와, 상기 제 1 후방절곡부의 후단에서 수평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내측절곡부를 포함하는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전면부와 이격되는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 양측단에서 수직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내측절곡부에 근접하게 연장되는 전방절곡부와, 상기 전방절곡부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전방절곡부와 밀착 연장되는 제 2 후방절곡부를 포함하는 후면플레이트와,
상기 내측절곡부의 전방으로 이격되는 제 1 수평보강부와, 상기 제 1 수평보강부의 내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전면부에 근접하게 연장되는 제 1 수직보강부와, 상기 제 1 수직보강부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1 수직보강부와 밀착되면서 상기 후면부와 이격되도록 연장되는 제 2 수직보강부와, 상기 제 2 수직보강부의 후단에서 전단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2 수직보강부와 밀착되면서 상기 전면부에 근접하도록 연장되는 제 3 수직보강부와, 상기 제 3 수직보강부의 전단에서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 2 수평보강부를 포함하는 보강부재와, 상기 전면플레이트 및 후면플레이트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는 내부단열재와, 상기 후면부, 제 1 후방절곡부, 제 1 수평보강부 및 제 1 수직보강부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는 제 1 단열패드와, 상기 제 2 후방절곡부 및 제 2 수직보강부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는 제 2 단열패드와, 상기 제 2 수직보강부 및 제 3 수직보강부의 절곡부분과 상기 후면부 및 전방절곡부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는 제 3 단열패드와, 상기 제 2 수평보강부 및 전면부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는 제 4 단열패드를 포함하는 단열부재와, 상기 내측절곡부와 문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전방 패킹과, 상기 후면부 및 전방절곡부의 절곡 부분에 구비되는 후방 패킹을 포함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단열, 난연, 불연, 결로 방지 등의 복합성능 방화문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성능 방화문{COMPLEX PERFORMANCE FIRE DOOR}
본 발명(Disclosure)은, 복합성능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전면플레이트와 후면플레이트의 측면에 이중 절곡된 보강부재를 개재하고, 전면플레이트와 보강부재의 사이 및 후면플레이트와 보강부재의 사이에 단열패드를 개재함으로써, 단열, 난연, 불연, 결로 방지 등의 복합성능 방화문을 제공할 수 있는 복합성능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건축법에서는 복합성능 방화문이 하나의 제품으로 단열, 기밀, 결로 방지, 내화, 차연 성능 등 여러 가지 성능을 동시에 구현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방화문의 내화성능(차열, 비차열)은 화재 발생 시 인명손상 및 화재 확산방지에 요구되고 있는 핵심 성능이다.
종래의 복합성능 방화문으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88657호(단열성이 향상된 방화문)가 개시되어 있는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판 형상의 전방플레이트(110), 전방플레이트(110)의 양단부에서 후방으로 절곡 형성된 제1전방절곡부(120), 제1전방절곡부(120)의 후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제2전방절곡부(130)를 갖는 전면플레이트(1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전면플레이트(100)의 양측 후방에 각각 배치되고, 전면플레이트(100)에서 이격되도록 제2전방절곡부(130)의 내측 단부 후방에 전후로 연장되게 형성된 측면부(210), 측면부(210)의 후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부(220)를 갖는 두 측면프레임(200)을 포함한다.
또한, 두 측면프레임(200)의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사각 판 형상의 후방플레이트(310), 후방플레이트(310)의 양단부에서 전방으로 절곡 형성된 제1후방절곡부(320), 제1후방절곡부(320)의 전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측면프레임(200)의 결합부(220) 후면과 마주하는 제2후방절곡부(330)를 갖는 후면플레이트(300)을 포함한다.
한편, 두 측면프레임(200)과 각각 인접하도록 두 측면프레임(200)의 사이에 배치되고, 측면프레임(200)의 측면부(210)와 마주하도록 전후로 연장 형성된 제1보강부(410), 제1보강부(410)의 전단부에서 전면플레이트(100)의 전방플레이트(110)와 제2전방절곡부(130)의 사이로 진입하도록 절곡 형성된 제2보강부(420)를 갖는 두 보강프레임(400)을 포함한다.
추가로, 측면프레임(200)의 결합부(220)와 후면플레이트(300)의 제2후방절곡부(330) 사이에 개재된 개스킷(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전면플레이트(100), 두 측면프레임(200) 및 후면플레이트(300)이 상호 비접촉되게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복합성능 방화문은 전면플레이트(100), 두 측면프레임(200) 및 후면플레이트(300)을 구비하되, 전면플레이트(100)과 두 측면프레임(200)의 각 내측 측면부를 보강하도록 개재되고, 전면플레이트(100)과 후면플레이트(300)의 측면을 마감하는 두 측면프레임(200)이 여러번 절곡될 뿐만 아니라 절곡된 부분에 개스킷(500), 패킹(700) 등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제조 과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복합성능 방화문은 측면프레임(200)과 후방패널(300)이 절곡되면서 개스킷(500)을 통해 결합되는데, 그 절곡되는 부분인 전방단열재(610와 후방단열재(620)의 사이에 공기층(S)이 형성됨으로써, 상호 비접촉하여 단열성이 향상된다고 기재하고 있지만, 공기층(S)의 존재로 인해 방화문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단열, 결로 방지 성능을 충족하면서 동시에 내화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복합성능 방화문 기술 개발이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88657호
본 발명(Disclosure)은, 전면플레이트와 후면플레이트의 측면에 이중 절곡된 보강부재를 개재하고, 전면플레이트와 보강부재의 사이 및 후면플레이트와 보강부재의 사이에 단열패드를 개재함으로써, 단열, 난연, 불연, 결로 방지 등의 복합성능 방화문을 제공할 수 있는 복합성능 방화문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Disclosure)은, 보강부재의 내측으로 도어락보강부재와 단열패드를 개재함으로써, 방화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성능 방화문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Disclosure)은, 전면플레이트와 후면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보강부재와 단열패드를 통해 전면플레이트와 후면플레이트를 비접촉시켜 일정 간격만큼 이격시킴으로써, 방화문의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성능 방화문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Disclosure)은, 문틀과 방화문의 측면에서 전면플레이트의 절곡 부분과 후면플레이트의 절곡 부분에 패킹을 구비하여 문틀과 방화문 측면의 공간에서 공기 유통을 방지함으로써, 방화문의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성능 방화문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Disclosure)은, 문틀과 방화문 측면의 공간에 냉기가 유입되더라도 전면플레이트와 후면플레이트의 사이에 개재된 보강부재와 단열패드를 통해 후면플레이트에 전달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방화문의 결로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복합성능 방화문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은,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 양측단에서 수직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 1 후방절곡부와, 상기 제 1 후방절곡부의 후단에서 수평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내측절곡부를 포함하는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전면부와 이격되는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 양측단에서 수직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내측절곡부에 근접하게 연장되는 전방절곡부와, 상기 전방절곡부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전방절곡부와 밀착 연장되는 제 2 후방절곡부를 포함하는 후면플레이트와, 상기 내측절곡부의 전방으로 이격되어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수평보강부와, 상기 제 1 수평보강부의 내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전면부에 근접하게 연장되는 제 1 수직보강부와, 상기 제 1 수직보강부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1 수직보강부와 밀착되면서 상기 후면부와 이격되도록 연장되는 제 2 수직보강부와, 상기 제 2 수직보강부의 후단에서 전단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2 수직보강부와 밀착되면서 상기 전면부에 근접하도록 연장되는 제 3 수직보강부와, 상기 제 3 수직보강부의 전단에서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 2 수평보강부를 포함하는 보강부재와, 상기 전면플레이트 및 후면플레이트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는 내부단열재와, 상기 전면부, 제 1 후방절곡부, 제 1 수평보강부 및 제 1 수직보강부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는 제 1 단열패드와, 상기 제 2 후방절곡부 및 제 2 수직보강부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는 제 2 단열패드와, 상기 제 2 수직보강부 및 제 3 수직보강부의 절곡부분과 상기 후면부 및 전방절곡부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는 제 3 단열패드와, 상기 제 2 수평보강부 및 전면부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는 제 4 단열패드를 포함하는 단열부재와, 상기 내측절곡부와 문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전방 패킹과, 상기 후면부 및 전방절곡부의 절곡 부분에 구비되는 후방 패킹을 포함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한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에서, 상기 제 3 수평보강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 및 전면부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는 전방단열패드와, 상기 보강판 및 후면부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는 후방단열패드를 포함하는 도어락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에서, 상기 전방절곡부 및 제 2 후방절곡부와 상기 제 2 수직보강부 및 제 3 수직보강부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2 단열패드를 관통하여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에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내측절곡부 및 제 1 수평보강부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는 난연개스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에서, 상기 후면플레이트는, 도어체인이 설치되는 부분에 도어체인보강판을 구비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에서, 상기 후면플레이트는, 도어클로저가 설치되는 부분에 도어클로저보강판을 구비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에서, 상기 전면플레이트는, 하부 양측면 모서리 부분에 수직 및 수평으로 결로방지장공이 복수개 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플레이트와 후면플레이트의 측면에 이중 절곡된 보강부재를 개재하고, 전면플레이트와 보강부재의 사이 및 후면플레이트와 보강부재의 사이에 단열패드를 개재함으로써, 단열, 난연, 불연, 결로 방지 등의 복합성능 방화문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부재의 내측으로 도어락보강부재와 단열패드를 개재함으로써, 방화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플레이트와 후면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보강부재와 단열패드를 통해 전면플레이트와 후면플레이트를 비접촉시켜 일정 간격만큼 이격시킴으로써, 방화문의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문틀과 방화문의 측면에서 전면플레이트의 절곡 부분과 후면플레이트의 절곡 부분에 패킹을 구비하여 문틀과 방화문 측면의 공간에서 공기 유통을 방지함으로써, 방화문의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문틀과 방화문 측면의 공간에 냉기가 유입되더라도 전면플레이트와 후면플레이트의 사이에 개재된 보강부재와 단열패드를 통해 후면플레이트에 전달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방화문의 결로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이 설치되는 문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에 구비된 구성부의 상세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의 전면부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의 후면부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에서 단열재인 미네랄울을 충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을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이 설치되는 문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F.D)이 설치되는 문틀(10)에 대해 설명하면, 문틀(10)은 전방틀프레임(11), 후방틀프레임(11), 측방틀프레임(13)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전방틀프레임(11)은 방화문(F.D)의 측면 부분이 내측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일정 길이로 수직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전방틀부(11a)와, 제 1 전방틀부(11a)에서 수평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 2 전방틀부(11b)와, 제 2 전방틀부(11b)에서 수직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 3 전방틀부(11c)와, 제 3 전방틀부(11c)에서 수평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 4 전방틀부(11d)와, 제 4 전방틀부(11d)에서 수직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 5 전방틀부(11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방틀프레임(12)은 전방틀프레임(11)의 제 5 전방틀부(11e)에 결합되면서 수평 내측으로 구비되는 제 1 후방틀부(12a)와, 제 1 후방틀부(12a)에서 수직 전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 2 후방틀부(12b)와, 제 2 후방틀부(12b)에서 수직 후방으로 절곡되어 밀착되면서 제 2 후방틀부(12b)보다 상대적으로 큰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 3 후방틀부(12c)와, 제 3 후방틀부(12c)에서 수평 외측으로 절곡되어 전방틀프레임(110)의 제 1 전방틀부(11a)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제 4 후방틀부(12d)와, 제 4 후방틀부(12d)에서 수직 전방으로 절곡되어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 5 후방틀부(12e)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방틀프레임(11)과 후방틀프레임(12)은 수직으로 구비된 측방틀프레임(13)을 통해 제 1 전방틀부(11a)와 제 5 후방틀부(12e)를 연결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틀(10)에는 Z경첩(14)이 상부, 중부 및 하부에 3개가 구비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F.D)이 원활하게 개문 또는 폐문될 수 있다.
또한, 문틀(10)과 복합성능 방화문(F.D)의 측면에는 화재 시 방화문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방화핀(15)이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방화핀(15)의 원활한 결합과 방화문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해 방화핀(15)이 삽입되는 방화캡(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방틀프레임(12)의 내측, 즉 제 5 전방틀부(11e)에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장공(17)이 2열로 타공됨으로써, 문틀(10)의 내측과 외측의 온도차를 감소시켜 성에와 습기가 차지 않도록 하여 결로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문틀(10)의 내부에는 미네랄울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된 단열재(18)가 무기질접착제를 이용하여 충진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문틀(10)에 구비되는 복합성능 방화문(F.D)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에 구비된 구성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1와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은 전면플레이트(100), 후면플레이트(200), 보강부재(300), 단열부재(400), 패킹부재(500), 도어락보강부재(600), 고정부재(7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플레이트(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F.D)의 전면을 이루는 플레이트로, 전면부(110), 제 1 후방절곡부(120), 내측절곡부(13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기아연도금강판(EGI : electric galvanized iron)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전면부(110)는 복합성능 방화문(F.D)의 전면을 이루는 부분이고, 제 1 후방절곡부(120)는 전면부(110)의 양측단에서 수직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며, 내측절곡부(130)는 제 1 후방절곡부(120)의 후단에서 수평 내측으로 절곡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 후방 절곡부(120)는 전방틀프레임(11)의 제 3 전방틀부(11c)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고, 내측절곡부(130)는 제 4 전방틀부(11d)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후면플레이트(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F.D)의 후면을 이루는 플레이트로, 후면부(210), 전방절곡부(220), 제 2 후방절곡부(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부(210)는 전면부(110)와 이격되어 구비되어 복합성능 방화문(F.D)의 후면을 이루는 부분이고, 전방절곡부(220)는 후면부(210)의 양측단에서 수직 전방으로 절곡되어 내측절곡부(130)에 근접하게 연장되며, 제 2 후방절곡부(230)는 전방절곡부(220)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전방절곡부(220)와 밀착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방절곡부(220)는 전방틀프레임(11)의 제 5 전방틀부(11e)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대향 연장될 수 있고, 제 2 후방절곡부(230)는 전방절곡부(220)에 접하여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이중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측면 지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강부재(300)는 전면플레이트(100)와 후면플레이트(200)의 측면 내부 공간에 개재되어 측면 구조를 지지 및 보강하는 것으로, 제 1 수평보강부(310), 제 1 수직보강부(320), 제 2 수직보강부(330), 제 3 수직보강부(340), 제 2 수평보강부(3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수평보강부(310)는 전면플레이트(100)에 구비된 내측절곡부(130)의 전방으로 이격되어 내측으로 연장되며, 전면부(110)와 제 1 후방절곡부(120)의 내측에 단열재가 개재되는 사각 공간을 갖도록 내측절곡부(130)와 대향되어 제 1 후방절곡부(120)의 내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된 부분에서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 수직보강부(320)는 제 1 수평보강부(310)의 내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전면플레이트(100)의 전면부(110)에 근접하게 연장되며, 제 2 수직보강부(330)는 제 1 수직보강부(320)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제 1 수직보강부(320)와 밀착되면서 후면플레이트(200)의 후면부(210)와 이격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수직보강부(330)는 전단부에서 제 1 수직보강부(310)와 밀착되어 연장되다가 중앙부에서 후단부까지는 제 2 후방절곡부(230)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후면부(210)에 근접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 3 수직보강부(340)는 제 2 수직보강부(330)의 후단에서 전단으로 절곡되어 제 2 수직보강부(330)와 밀착되면서 전면플레이트(100)의 전면부(110)에 근접하도록 연장되며, 제 2 수평보강부(350)는 제 3 수직보강부(340)의 전단에서 내측으로 절곡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수평보강부(350)는 전면부(110)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대향되게 제 3 수직보강부(340)의 전단에서 내측으로 수평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단열부재(400)는 전면플레이트(100), 후면플레이트(200) 및 보강부재(300)의 각 사이 공간에 개재되어 방화문(F.D)의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내부단열재(410), 제 1 단열패드(420), 제 2 단열패드(430), 제 3 단열패드(440), 제4 단열패드(4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단열재(410)는 전면플레이트(100) 및 후면플레이트(200)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며, 전면플레이트(100)의 전면부(110)와 후면플레이트(200)의 후면부(210)의 사이 공간에 미네랄울 재료를 이용하여 무기질 접착제를 통해 충진 및 부착할 수 있다.
제 1 단열패드(420)는 전면부(110), 제 1 후방절곡부(120), 제 1 수평보강부(310) 및 제 1 수직보강부(320)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며, 열차단제인 세라믹 재료를 이용하여 전면부(110), 제 1 후방절곡부(120), 제 1 수평보강부(310) 및 제 1 수직보강부(320) 사이의 사각형 공간에 개재함으로써, 전면플레이트(100)의 측면에서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단열패드(430)는 제 2 후방절곡부(230) 및 제 2 수직보강부(330)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며, 열차단제인 경질 세라믹 재료를 이용하여 전면플레이트(100)의 내측절곡부(130)와 후면플레이트(200)의 제 2 후방절곡부(230)와 보강부재(300)의 제 2 수직보강부(330) 사이의 사각형 공간에 개재함으로써, 후면플레이트(200)의 측면에서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 단열패드(440)는 제 2 수직보강부(330) 및 제 3 수직보강부(340)의 절곡부분과 후면부(210) 및 전방절곡부(220)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며, 열차단제인 경질 세라믹 재료를 이용하여 후면플레이트(200)의 후면부(210) 및 전방절곡부(220)의 모서리 부분에 제 2 단열패드(430)의 후방에 개재함으로써, 후면플레이트(200)와 문틀(10) 사이의 공기 유입 부분에서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 단열패드(450)는 제 2 수평보강부(350) 및 전면부(110)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며, 내열성이 뛰어난 세라믹 재료인 탄화세라믹을 이용하여 전면플레이트(100)의 전면부(110)와 보강부재(300)의 제 1 수직보강부(320)와 제 2 수직보강부(330)의 절곡 부분 내측과 제 2 수평보강부(350) 사이인 사각형 공간에 개재함으로써, 전면플레이트(100)와 보강부재(300)의 사이에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아연도금강판 재료로 제작되는 전면플레이트(100)와 보강부재(300)의 직접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패킹부재(500)는 방화문(F.D)의 측면과 문틀(10)의 사이 공간에 구비되어 공기 유통을 차단하는 것으로, 전방 패킹(510), 후방 패킹(520), 난연개스킷(5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패킹(510)은 내측절곡부(130)와 문틀(10)의 사이에 구비되며, 강도, 내열, 단열 성능이 뛰어난 섬유유리(fiber glass)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어 전면플레이트(100)의 내측절곡부(130)와 문틀(10)의 전방틀프레임(11) 중 제 4 전방틀부(11d) 사이 공간에 구비되되, 내측절곡부(130)의 외측과 제 4 전방틀부(11d)의 외측에 상호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전방 패킹(510)은 물방울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여 밀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방화문(F.D)의 전방플레이트(100)와 문틀(10) 사이의 공간(틈)에서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기, 열기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후방 패킹(520)은 후면부(210) 및 전방절곡부(220)의 절곡 부분에 구비되며, 팽창성발포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어 전방틀프레임(11)의 제 5 전방틀부(11e) 후단과 후방틀프레임(12)의 제 1 후방틀부(12a) 및 제 2 후방틀부(12b)가 이루는 홈에 삽입되면서 전방은 후면부(210)의 모서리 부분이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후방 패킹(520)은 팽창발포성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어 밀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방화문(F.D)의 후방플레이트(200)와 문틀(10) 사이의 공간(틈)에서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기, 열기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즉, 전방 패킹(510)과 후방 패킹(520)을 통해 방화문(F.D)의 측면과 문틀(10) 사이의 공간(틈)에서 공기 유입을 이중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기, 열기 등을 이중으로 차단할 수 있다.
난연개스킷(530)은 내측절곡부(130) 및 제 1 수평보강부(310)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며, 난연, 준불연, 불연 성능을 갖는 난연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어 내측절곡부(130)와 제 1 수평보강부(310)가 이격된 사이 공간에 구비됨으로써,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아연도금강판 재료로 제작되는 전면플레이트(100)와 보강부재(300)의 직접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어락보강부재(600)는 도어락이 설치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해당 부분의 강도 및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강판(610), 전방단열패드(620), 후방단열패드(6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판(610)은 전기아연도금강판 재료를 이용하여 제 3 수평보강부(340)의 내측에 구비되고, 전방단열패드(620)는 세라믹 재료를 이용하여 보강판(610) 및 전면부(110)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며, 후방단열패드(630)는 보강판(610) 및 후면부(210)의 사이 공간에 개재됨으로써, 도어락이 설치되는 부분에서 방화문(F.D)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재(700)는 보강부재(300)와 후면플레이트(100)의 측면부를 상호 이격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것으로, 전방절곡부(220) 및 제 2 후방절곡부(230)와 제 2 수직보강부(330) 및 제 3 수직보강부(340)를 이격된 상태로 제 2 단열패드(430)를 관통하여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700)를 통해 보강부재(300)와 후방플레이트(200)의 측면부를 이격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방화문(F.D)의 측면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의 전면부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의 후면부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F.D)에는 전방플레이트(100)의 전면부(110)에서 하부 양측면 모서리 부분에 수직 및 수평으로 결로방지장공(810)이 2열로 복수개가 타공됨으로써, 전방플레이트(100)의 내측과 외측의 공기 순환을 통해 온도차를 감소시켜 결로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결로방지장공(810)은 크기에 따라 1열로 복수개가 타공되거나 혹은 3열 이상으로 복수개가 타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복합성능 방화문(F.D)에는 도어체인이 설치되는 부분(예를 들면, 후면플레이트(200)의 후면부(210)에서 도어락 설치 부분의 상부 등)에 도어체인보강판(820)이 추가로 구비됨으로써, 도어체인이 설치되는 부분에 강제적인 힘이 인가되더라도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추가적인 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후면플레이트(200)의 후면부(210)에서 상부 모서리 부분에는 도어클로저의 설치를 위해 도어클로저보강판(830)이 추가로 구비됨으로써, 도어클로저가 설치되는 부분에 추가적인 강성을 제공하여 개문 또는 폐문 시 빈번하게 사용되는 도어클로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후면플레이트(200)의 하단부에는 일정 높이로 알루미늄플레이트(840)를 구비함으로써, 복합성능 방화문(F.D)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알루미늄플레이트(840)는 후면플레이트(200)의 후면부(210) 선단에서 대략 5mm 정도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F.D)에는 상부와 하부에 가스홀(85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가스홀(850)을 형성함으로써, 방화문 내부로 유입된 가스를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성능 방화문에서 단열재인 미네랄울을 충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전기아연도금강판(EGI) 상에 슬라이스된 미네랄울(a)을 무기질접착제(b)로 접착하여 복수의 층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전면플레이트(100)와 후면플레이트(200)의 사이 공간에 미네랄울을 효과적으로 충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면플레이트와 후면플레이트의 측면에 이중 절곡된 보강부재를 개재하고, 전면플레이트와 보강부재의 사이 및 후면플레이트와 보강부재의 사이에 단열패드를 개재함으로써, 단열, 난연, 불연, 결로 방지 등의 복합성능 방화문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보강부재의 내측으로 도어락보강부재와 단열패드를 개재함으로써, 방화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플레이트와 후면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보강부재와 단열패드를 통해 전면플레이트와 후면플레이트를 비접촉시켜 일정 간격만큼 이격시킴으로써, 방화문의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문틀과 방화문의 측면에서 전면플레이트의 절곡 부분과 후면플레이트의 절곡 부분에 패킹을 구비하여 문틀과 방화문 측면의 공간에서 공기 유통을 방지함으로써, 방화문의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문틀과 방화문 측면의 공간에 냉기가 유입되더라도 전면플레이트와 후면플레이트의 사이에 개재된 보강부재와 단열패드를 통해 후면플레이트에 전달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방화문의 결로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 양측단에서 수직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 1 후방절곡부와, 상기 제 1 후방절곡부의 후단에서 수평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내측절곡부를 포함하는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전면부와 이격되는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 양측단에서 수직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내측절곡부에 근접하게 연장되는 전방절곡부와, 상기 전방절곡부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전방절곡부와 밀착 연장되는 제 2 후방절곡부를 포함하는 후면플레이트와,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측면 내부 공간에 개재되어 측면 구조를 지지 및 보강하되, 상기 내측절곡부의 전방으로 이격되어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수평보강부와, 상기 제 1 수평보강부의 내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전면부에 근접하게 연장되는 제 1 수직보강부와, 상기 제 1 수직보강부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1 수직보강부와 밀착되면서 상기 후면부와 이격되도록 연장되는 제 2 수직보강부와, 상기 제 2 수직보강부의 후단에서 전단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2 수직보강부와 밀착되면서 상기 전면부에 근접하도록 연장되는 제 3 수직보강부와, 상기 제 3 수직보강부의 전단에서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 2 수평보강부를 포함하는 보강부재와,
    상기 전면플레이트, 후면플레이트 및 보강부재의 각 사이 공간에 개재되어 단열성을 향상시키되, 상기 전면플레이트 및 후면플레이트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는 내부단열재와, 상기 전면부, 제 1 후방절곡부, 제 1 수평보강부 및 제 1 수직보강부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는 제 1 단열패드와, 상기 제 2 후방절곡부 및 제 2 수직보강부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는 제 2 단열패드와, 상기 제 2 수직보강부 및 제 3 수직보강부의 절곡부분과 상기 후면부 및 전방절곡부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는 제 3 단열패드와, 상기 제 2 수평보강부 및 전면부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는 제 4 단열패드를 포함하는 단열부재와,
    상기 내측절곡부와 문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전방 패킹과, 상기 후면부 및 전방절곡부의 절곡 부분에 구비되는 후방 패킹을 포함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문틀은, 복합성능 방화문의 측면 부분이 내측에 결합되는 전방틀프레임과, 상기 전방틀프레임에 결합되는 후방틀프레임과,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전방틀프레임 및 후방틀프레임을 연결 결합시키는 측방틀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전방틀프레임의 내측에 공기를 순환시키는 장공이 타공되는
    복합성능 방화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성능 방화문은,
    상기 제 3 수평보강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 및 전면부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는 전방단열패드와, 상기 보강판 및 후면부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는 후방단열패드를 포함하는 도어락보강부재
    를 더 포함하는 복합성능 방화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성능 방화문은,
    상기 전방절곡부 및 제 2 후방절곡부와 상기 제 2 수직보강부 및 제 3 수직보강부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2 단열패드를 관통하여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를 더 포함하는 복합성능 방화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내측절곡부 및 제 1 수평보강부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는 난연개스킷
    을 더 포함하는 복합성능 방화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플레이트는, 도어체인이 설치되는 부분에 도어체인보강판을 구비하는 복합성능 방화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플레이트는, 도어클로저가 설치되는 부분에 도어클로저보강판을 구비하는 복합성능 방화문.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플레이트는, 하부 양측면 모서리 부분에 수직 및 수평으로 결로방지장공이 타공되는 복합성능 방화문.
KR1020200031075A 2020-03-13 2020-03-13 복합성능 방화문 KR102347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075A KR102347889B1 (ko) 2020-03-13 2020-03-13 복합성능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075A KR102347889B1 (ko) 2020-03-13 2020-03-13 복합성능 방화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385A KR20210115385A (ko) 2021-09-27
KR102347889B1 true KR102347889B1 (ko) 2022-01-07

Family

ID=77925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075A KR102347889B1 (ko) 2020-03-13 2020-03-13 복합성능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8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9727B1 (ko) * 2023-03-17 2023-06-30 주식회사 우리도어 화염 및 열차단 구조가 구비된 방화문
KR102577068B1 (ko) * 2023-03-21 2023-09-08 김광호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 및 이를 이용한 문틀보수보강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675B1 (ko) * 2018-07-11 2019-07-10 대림산업 주식회사 방화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657B1 (ko) 2017-02-28 2017-10-20 이승용 단열성이 향상된 방화문
KR20180115085A (ko) * 2017-04-12 2018-10-22 이승용 차열성 및 기밀성이 향상된 복합성능 방화문
KR102027317B1 (ko) * 2017-10-31 2019-10-01 (주)삼선씨에스에이 차열용 방화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675B1 (ko) * 2018-07-11 2019-07-10 대림산업 주식회사 방화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385A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7889B1 (ko) 복합성능 방화문
KR200448747Y1 (ko) 단열 및 기밀성이 향상된 도어
JP7061218B2 (ja) 建具
JP5595889B2 (ja) サッシ
KR102115829B1 (ko) 방화문의 결로 방지 구조
KR20190048501A (ko) 차열용 방화문
JP2015190298A (ja) サッシ窓
JP6017339B2 (ja) 窓ユニット
KR20190001056U (ko) 내화와 단열 기능이 강화된 방화문의 보강구조
KR20090106204A (ko) 결로 방지 및 단열형 도어
KR101925486B1 (ko) 차열성 및 기밀성이 향상된 복합성능 방화문
KR102619172B1 (ko) 이중 단열 방화 유리문
KR101897928B1 (ko)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
KR102120544B1 (ko) 방화문
JP6271133B2 (ja) 窓シャッター装置
JP6843684B2 (ja) 建具
KR200368017Y1 (ko) 현관방화문
CN207739889U (zh) 一种钢质隔热防火门
KR102575594B1 (ko) 3피스 구조의 방화문
JP6978567B2 (ja) 建具
KR102549727B1 (ko) 화염 및 열차단 구조가 구비된 방화문
JP7061057B2 (ja) 建具
KR102128217B1 (ko) 현관 및 대피소용 방화문
JP2018009332A (ja) 建具枠および建具
JP6912344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